KR102159128B1 - 감태와 피조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태와 피조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128B1
KR102159128B1 KR1020180157432A KR20180157432A KR102159128B1 KR 102159128 B1 KR102159128 B1 KR 102159128B1 KR 1020180157432 A KR1020180157432 A KR 1020180157432A KR 20180157432 A KR20180157432 A KR 20180157432A KR 102159128 B1 KR102159128 B1 KR 102159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xed
ecklonia cava
present
mix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9880A (ko
Inventor
강세원
김은지
정유린
선상욱
박경목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7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1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 생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감태와 피조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MIXTURE OF KAJIME AND RED SHELL}
본 발명은 바다 생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신체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장벽기능을 통해 외부스트레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기관으로,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으로 인해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oecies; ROS)를 생성한다. 피부가 가장 쉽게 노출되는 자외선은 세포농도를 정상으로 유지, 비타민 D 생성 및 살균작용 등 유익한 작용을 하기도 하지만, 진피층에 도달하면 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내 활성산소를 증가시켜 피부 주름을 생성하고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킨다. 또한 활성산소는 아토피피부염, 여드름, 건선 등을 유발 또는 악화시키기고 세포 내에서의 DNA 손상과 피부암 및 피부노화를 초래하는 염증 과정(inflammatory processes)과 알러지반응(allergic responses)에도 관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7849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일 관점에서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바다식물인 감태와 바다동물인 피조개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은 피부 산화를 가져오는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저해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은 피부 산화와 관련된 피부 노화, 피부 흑화 현상을 예방하거나 이를 완화 또는 개선할 수 있으므로, 항노화, 미백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수렴(astringent)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탄닌 산과 비슷한 수준으로 피부 단백질을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피부 탄력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은 또한 유효성분으로 바다식물인 감태와 바다동물인 피조개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염증 효과를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은 피부 염증을 예방하거나 이를 완화 또는 개선할 수 있어서 여드름이나 아토피의 치료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작용이 없고 세포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 유무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 추출물의 수렴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감태"는 에크로이나 카바(Eckloina cava)라는 학명을 가지는 바다 식물인 해조류로 갈조 식물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조개"는 스카파카 브로토니(Scapharca broughtonii)라는 학명을 가지는 바다 동물인 고막류로 돌조개목(Arcoida), 돌조개과(Arcidae)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서 "혼합 추출물"이란 감태와 피조개를 각각 추출한 후 얻어진 추출물들을 단순 혼합하는 경우 및 감태와 피조개를 먼저 혼합한 후 혼합물을 추출하는 경우를 모두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혼합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 추출물은 감태 단일의 추출물 및 피조개 단일의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위 혼합 추출물은 피조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을 2.5 내지 4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물일 경우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단순히 감태 추출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위 중량비를 벗어날 경우 감태 추출물의 중량비가 증가한다 하여도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는 감소하는 것을 실험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감태 추출물의 중량비가 위 중량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위 혼합 추출물은 피조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을 2.5 내지 3.5의 중량비, 더 구체적으로 2.5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물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현저하고도 뚜렷한 증진 효과는 감태와 피조개를 상기와 같은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서도 당연히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감태와 피조개를 상기 중량비로 혼합한 후 이를 추출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산화"는 피부에서의 산화를 억제(抗, anti-)하는 능력을 일컫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활성산소나 자유 라디칼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피부 노화, 피부 흑화 등을 예방하거나 개선 또는 완화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은 피부 항산화를 통해 당연히 예상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피부 주름 완화용, 피부 노화 지연용, 미백용 등의 용도를 또한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주름살,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을 예방 또는 지연시키거나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은 피부 수렴(astringent)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탄닌 산과 비슷한 수준으로 피부 단백질을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피부 탄력 개선에 우수한 결과를 보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은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노화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위와 같은 관점에서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미백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염증"이란 통상 일산화탄소(NO)의 생성이 그 원인으로 지목되는 염증의 예방이나 염증의 완화 또는 개선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 완화용, 염증 개선용, 또는 염증 예방용과 같은 용도를 가질 수도 있고, 이를 통해 구체적으로 염증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대표적인 피부 염증 증상인 여드름이나 아토피 증상을 예방하거나 이를 완화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피조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을 2.5 내지 4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위 중량비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극대화된다. 이와 같은 효과는 단순히 감태 추출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위 중량비를 벗어날 경우 감태 추출물의 중량비가 증가한다 하여도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는 감소하는 것을 실험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감태 추출물의 중량비가 위 중량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위 혼합 추출물은 피조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을 2.5 내지 3.5의 중량비, 더 구체적으로 2.5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물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현저하고도 뚜렷한 증진 효과는 감태와 피조개를 상기와 같은 중량비로 혼합한 후 함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서도 당연히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감태와 피조개를 상기 중량비로 혼합한 후 이를 추출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 혼합 추출물의 제조
건조 감태(Ecklonia cava)의 세절물을 8배수(w/v)의 70% 에탄올로 70℃에서 4시간 중탕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얻었다.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도 감태와 동일한 조건으로 추출하여 동결건조시킨 후 분말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감태 추출물과 피조개 추출물은 아래 표 1과 같은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하의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번호 감태 추출물 피조개 추출물
1(#1로 표시) 10 0
2(#2로 표시) 9 1
3(#3으로 표시) 8 2
4(#4로 표시) 7 3
5(#5로 표시) 6 4
6(#6으로 표시) 5 5
7(#7로 표시) 4 6
8(#8로 표시) 3 7
9(#9로 표시) 2 8
10(#10으로 표시) 1 9
11(#11로 표시) 0 10
[ 실험예 1]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능 평가 (1)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assay 로 자유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당업계에 알려진 항산화제인 L-아스코르빈산(L-ascobic acid, L-A)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실험군은 각각 25μℓ/ml, 50μℓ/ml, 100μℓ/ml 씩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그 결과 도 1을 얻게 되었다.
이렇게 얻어진 도 1에 의하면, 감태 추출물과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실시예 2 내지 10)이 감태 단일의 추출물(실시예 1)이나 피조개 단일의 추출물(실시예 11)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피조개 추출물 중량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을 2.5 내지 4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 추출물인 실시예 3 및 4에서 극대화된 항산화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고, 특히 실시예 4의 항상화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효과는 단순히 감태 추출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도 아니었다. 위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하는 혼합 추출물(실시예 2 및 실시예 5)에서의 항산화 효과가 급격히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상기 중량비의 범위 내 혼합 추출물은 단일 추출물의 단순 혼합으로부터는 예측할 수 없는 현저히 향상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자외선에 의한 피부 활성 산소의 증가가 염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 당업계의 상식임에 비추어 보면, 위와 같은 항산화 효과를 통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 추출물의 우수한 항염증 효과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능 평가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ssay로 자유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당업계에 알려진 항산화제인 L-아스코르빈산(L-ascobic acid, L-A)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실험군은 각각 25μℓ/ml, 50μℓ/ml, 100μℓ/ml 씩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그 결과 도 2을 얻게 되었다.
그 결과 (도 2), 피조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을 2.5 내지 4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물의 추출물(실시예 3 및 4)에서의 극대화된 항산화 효과를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도 2에서도 실시예 4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효과는 단순히 감태 추출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도 아니었다. 위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하는 혼합 추출물(실시예 6 및 실시예 7)에서의 항산화 효과가 급격히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상기 중량비의 범위 내 혼합 추출물은 단일 추출물의 단순 혼합으로부터는 예측할 수 없는 현저히 향상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외선에 의한 피부 활성 산소의 증가가 염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 당업계의 상식임에 비추어 보면, 위와 같은 항산화 효과를 통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 추출물의 우수한 항염증 효과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혼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 유무 확인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세포(한국 세포주 은행)와 Hacat세포(한국 세포주 은행)를 사용하였다.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enicillin/streptomycin, GIBCO) 1%와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GIBCO) 10%가 함유된 DMEM(Lonza) 배지에서 각각의 세포에 실시예에서 얻어진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37°C, 5% CO2항온기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각각의 배양세포에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어세이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여 도 6, 7에 나타내었다. MTT는 담황색의 기질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 효소와 반응하여 포르마잔(Formazan)을 형성하는데, 이 포르마잔을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570nm의 흡광도를 측정하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3 및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4] 혼합 추출물의 항염증능 평가
Raw264.7세포(한국 세포주 은행)에 LPS(sigma)와 실시예의 혼합 추출물을 각 처리하고 배양하여 생성된 세포배양액 중 NO량을 griess reagent(1% sulfanilamide, 0.1% naphylethylenediamine in 2.5% phosphoric aicd)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도 5를 얻었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조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을 2.5 내지 4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물의 추출물(실시예 3 및 4)이 극대화된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항염증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효과는 단순히 감태 추출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도 아니었다. 위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하는 혼합 추출물(실시예 6 및 실시예 7)에서의 항염증 효과가 급격히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상기 중량비의 범위 내 혼합 추출물은 단일 추출물의 단순 혼합으로부터는 예측할 수 없는 현저히 향상된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혼합 추출물의 피부 탄력 증진능 평가
피부단백질과 유사한 혈액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을 사용하여 피부 탄력 증진능을 평가하였다. 피부 탄력 증진능은 수렴(astringent) 활성 정도를 평가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모공이나 땀구멍이 확대되고 근육이 이완되어 탄력을 잃은 피부에 수렴작용을 주면 모공을 수축시켜주고 피부에 긴장감을 주어 피부탄력을 부여하고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피부 수렴작용은 피부 단백질이 폴리페놀과 결합하여 가교결합을 형성하면서 피부가 수축되어 발생하므로 피부단백질과 유사한 혈액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을 사용하는 것이다.
원심분리관(한일과학, 대한민국) 용기에 실시예의 혼합 추출물과 대조군인 탄닌산(Tannic acid)을 헤모글로빈 용액과 각 1:1로 혼합한 후 3,000rpm 조건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57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렴활성은 실시예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와 무첨가 시료군 간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조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을 2.5 내지 4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물의 추출물(실시예 3 및 4)이 극대화된 피부 탄력 증진, 개선 또는 탄력 저하 지연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4의 탄력 증진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효과는 단순히 감태 추출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도 아니었다. 위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하는 혼합 추출물(실시예 6 및 실시예 7)에서의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급격히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상기 중량비 범위 내 혼합 추출물이 단일 추출물의 단순 혼합으로부터는 예측할 수 없는 현저히 향상된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예를 설명하나, 이는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연질캅셀제
실시예 4의 혼합 추출물150 mg, 팜유 2 mg, 팜경화유 8 mg, 황납 4 mg 및 레시틴 6 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당 400 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
실시예 4의 혼합 추출물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3] 과립제
실시예 4의 혼합 추출물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제제예 4] 드링크제
실시예 4의 혼합 추출물150 mg, 포도당 10 g, 홍삼추출물 50 mg, 구연산 2 g 및 정제수 187.8 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 ml로 하였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4의 혼합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4의 혼합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율을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제형예 1] 로션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4의 혼합 추출물 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백굴채엑기스 0.20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크림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4의 혼합 추출물 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팩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4의 혼합 추출물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미용액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4의 혼합 추출물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00
크산탄검 (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연고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4의 혼합 추출물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은 피조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을 2.5 내지 4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인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은 피조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을 2.5 내지 4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인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3. 감태 추출물 및 피조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은 피조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하여 감태 추출물을 2.5 내지 4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인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KR1020180157432A 2018-12-07 2018-12-07 감태와 피조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59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432A KR102159128B1 (ko) 2018-12-07 2018-12-07 감태와 피조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432A KR102159128B1 (ko) 2018-12-07 2018-12-07 감태와 피조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880A KR20200069880A (ko) 2020-06-17
KR102159128B1 true KR102159128B1 (ko) 2020-09-23

Family

ID=7140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432A KR102159128B1 (ko) 2018-12-07 2018-12-07 감태와 피조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1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680A (ja) 2004-07-26 2006-02-09 Yukihiro Hirose 美白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0807196B1 (ko) 2006-12-15 2008-02-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피조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73515B1 (ko) 2014-02-07 2016-12-28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새고막을 이용한 비만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122A (ko) * 2008-06-26 2010-01-0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907849B1 (ko) 2017-04-14 2018-10-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680A (ja) 2004-07-26 2006-02-09 Yukihiro Hirose 美白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0807196B1 (ko) 2006-12-15 2008-02-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피조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73515B1 (ko) 2014-02-07 2016-12-28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새고막을 이용한 비만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880A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740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90060511A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80106155A (ko) 천연 혼합물의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미백 및 보습기능성 조성물
KR102299276B1 (ko)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00121352A (ko)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1195577B1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9128B1 (ko) 감태와 피조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141080A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4966A (ko) 항산화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3588B1 (ko) 복합 해조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활성 조성물
KR102238329B1 (ko) 천연 혼합물의 유산균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20100101257A (ko) 자외선 차단, 항염증, 항산화 및 항노화 조성물
KR102196051B1 (ko)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101746622B1 (ko) 땅빈대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90029897A (ko) 해조류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기능성 조성물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20140034964A (ko)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0563673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KR101940055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1997033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070008150A (ko)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