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150A -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150A
KR20070008150A KR1020050063168A KR20050063168A KR20070008150A KR 20070008150 A KR20070008150 A KR 20070008150A KR 1020050063168 A KR1020050063168 A KR 1020050063168A KR 20050063168 A KR20050063168 A KR 20050063168A KR 20070008150 A KR20070008150 A KR 20070008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pomegranate
grap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만
최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6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8150A/ko
Publication of KR20070008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15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각 성분의 상승작용으로 자외선, 유해산소, 공기 중에 표류하는 유해물질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고, 피부 트러블 및 염증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진정 효과를 가져 화장료 조성물로 적합하게 사용된다.
석류, 토마토, 포도발효 추출물, 염증, 피부 진정, 피부완화,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COMPRISING PUNICAGRANATUM L.EXTRACT, LYCOPERSICON ESCULENTUM EXTRACT AND RED-WINE,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자극완화 및 진정효과를 가지고, 항염증 효과가 있는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그와 관련된 질병으로부터 항상 위협받고 있으며 피부 또한 그러한 스트레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피부 스트레스는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내적, 외적 환경요인을 의미하며, 이러한 요인으로 자외선, 유해산소 또는 담배연기, 자동차 배기가스와 같은 공기에 존재하는 유해요소들이 피부 스트레스로 작용하기도 하며 일상에 사용하는 다양한 화장료 등도 피부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11151호는 글루타치온, 티오타우린 또는 히포타우린, 타닌 및 비타민 C류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에 피부 스트레스를 경감하는 물질로 화학 합성물질을 사용하고 있어, 과도하 게 사용하는 경우 피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고 그 기능이 충분하지 못하여 별도로 산화방지성분 또는 자외선 차단제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첨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천연 물질로부터 얻어진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55953호 및 제2003-0025067호는 석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석류 및 석류씨에서 추출한 석류 추출물이 세포 증식효과,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합성 효과를 제공하여 피부 노화 및 건조현상을 경감시켜 화장료 조성물로 적합하다고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84256호 또한 석류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언급하면서, 상기 석류 추출물과 더불어 대두배아 이소플라본 어글리콘(soybean germ isoflavone aglycone) 및 세코이소라리시레시놀(secoisolariciresinol)을 포함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고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상기 석류와 더불어, 국제출원공개 WO96/020284호는 탁수스종, 은행나무, 토마토 및 당근을 산-알코올로 추출하여 하이드록시 푸로린이 풍부한 단백질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언급하고 있다.
한편, 주류의 한 종류인 포도발효 추출물은 최근 들어 스킨 케어에 사용되고 있다. 민간에서는 기미예방, 피로회복, 혈액순환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각종 마사지 조성물로 적용되고 있다.
일례로 포도발효 추출물과 레몬즙을 섞어 피부에 바르면, 레몬에 함유된 비 타민 C와 포도발효 추출물에 들어있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라는 성분이 항염작용을 하여 피부를 정화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8215호는 포도 및 인삼을 혼합한 화장품을 언급하면서, 포도 및 인삼의 항산화 성분과 영양 성분을 받아 피부에 적용하여 우수한 영양 효과를 나타내고 보습 및 미백효과를 나타냄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18656호는 포도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언급하면서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 미백 효능이 우수하다고 입증하고 있다.
국제특허 공개WO99/04747호는 땅콩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언급하여, 주름 개선, 피부탄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언급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84619호는 상황버섯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콜라겐 섬유 생합성 효과와, 피부탄력 증진 및 항산화 효과로 인해 주름 방지 및 개선을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자는 피부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활성성분을 찾고자 연구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조합하였을 경우, 자극 없이 아황산가스, 담배연기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탁월하게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 피부트러블 완화 및 피부 진정효과가 뛰어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유해산소, 공기 중에 표류하는 유해물질 등으로부 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고, 현대인의 피부 트러블에 대한 완화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우수한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피부자극 완화 및 진정제, 항염증제 및 화장료에 적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내 언급되는 '추출물'은 과육 또는 채소의 농축액, 과육 또는 채소과 씨앗의 농축액 및 과피를 포함하는 원료로부터의 농축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 성분의 상승작용으로 자외선, 유해산소, 공기 중에 표류하는 유해물질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고, 피부 트러블 및 염증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석류 추출물
석류 추출물은 석류는 석류나무과(Punicaceae)의 열매인 석류(Punicagranatum L.)를 추출하여 얻어진 것이다.
석류는 안석류, 산석류 또는 감석류 등으로도 불리우며, 주요 성분으로 당질(포도당 과당)이 약 40%를 차지하며 유기산으로는 새콤한 맛을 내는 시트르산이 약 1.5%을 함유하여 혈액 정화 및 순환작용을 한다. 또한, 칼슘, 칼륨, 마그네슘, 아연, 철분 등 우리 몸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미네랄 성분들을 풍부하게 가지 고 있으며, 이와 같이 마그네슘, 아연, 철분 3가지의 미네랄 성분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은 석류뿐이다. 그 외에 석류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등의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서 신체 내에서 각종 기능의 조절 및 질병들을 예방하기 위한 좋은 영양소를 제공한다.
특히 석류 종자에는 1kg당 17mg의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이소플라본이 함유되어 있다. 에스트로겐의 분비 장소인 생식기관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기능이 퇴화되면서 여성호르몬 결핍에 따른 피부 노화 및 건조 현상이 두드러지고 피부가 얇아지며 탄력이 감소하게 되는데, 석류종자에는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화학구조를 갖고 있으면서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기능을 하여 소량으로도 피부의 대사기능과 생리기능을 정상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석류 추출물은 석류 나무에서 얻어진 열매를 사용하고, 석류의 종자, 껍질, 잎, 줄기 및 싹 등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으로, 천연에서 유래하여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추출물이다.
상기 석류 추출물은, 통상적으로 식물 추출물을 얻는 추출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례로 석류를 통째로 건조시킨 후 분쇄하거나 잘게 절단하여 얻어진 분쇄물에, 예컨대 증류수,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용매의 함량은 분쇄물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부피배의 양으로 첨가한 후 50 내지 100 ℃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온침 방법을 사용하거나, 4 내지 25 ℃의 낮은 온도에서 1 내지 20일간 침적시키는 냉침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얻어진 추출 여액을 탈수 또는 탈용매화한 후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액상 또는 분말 형태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석류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석류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사용감이 저하되어 각종 형태의 제제로 적용하기 어렵다.
2) 토마토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은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이다.
토마토는 가지과에 속하며 열매를 식용하며 보고된 효능효과는 고혈압, 항암효과, 야맹증예방, 당뇨예방, 골다공증 예방 등 다양하며, 열매는 수 g인 것부터 200g을 넘는 것까지 있으며 품종에 따서 다양하다. 토마토는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토마토 열매의 성분은 95%가 수분이며, 단백질 0.7%, 지방 0.1%, 탄수화물 3.3%, 셀룰로오스 0.4%, 회분 0.5%를 함유한다. 비타민류의 함량도 우수하여 100g당 카로틴 390 μg, 비타민C 20mg, 비타민B 0.05mg, 비타민B 0.03mg 외에 비타민 B, 칼륨, 인, 망간, 루틴, 니아신 등도 함유하고 있으며, 단맛을 나타내는 과당 및 포도당과 신맛을 나타내는 시트르산 및 말산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토마토 추출 성분 중 하나인 라이코펜은 강력한 항산화제 중 하나로, 프리 래디칼의 생성 및 활동을 억제하여 세포벽의 파괴를 막아줌 AHA 등 천연 각질 클리어 성분이 자연스럽게 노화된 각질을 제거하고 탄력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토마토 추출물은 토마토 열매, 씨, 잎 및 줄기를 추출하여 얻어진 것으로, 천연에서 유래하여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추출물이며, 상기 석류 추출물과 동일하게 통상의 추출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토마토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토마토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사용감이 저하되어 각종 형태의 제제로 적용하기 어렵다.
3) 포도발효 추출물( 레드 와인 )
포도발효 추출물은 '와인(wine)'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무색의 포도즙이 발효과정에서 포도 껍질과 섞여 그 껍질의 붉은색을 흡수하여 적색을 나타내는 레드 와인용을 사용한다.
레드 와인용 포도는 까베르네 소비뇽 (Cabernet Sauvignon), 멜로(Merlot), 피노 누아 (Pinot Noir), 쉬라/쉬라즈 (Syrah/Shiraz), 까베르네 프랑 (Cabernet Franc), 그르나슈 (Grenache), 네삐올로 (Nebbiolo), 산지오베제 (Sangiovese), 템프라니오(Tempranillo), 토링가 나시오날(Touriga Nacional), 진판델(Zinfandel), 바베라 (Barbera), 셍소(Cinsault), 가메(Gamay), 말벡(Malbec), 쁘띠 쉬라 (Petite Sirah) 및 피노타지(Pinotage) 등이 있다.
포도발효 추출물은 포도산, 사과산 등 유기산, 비타민 A, B1, B6, C, P, AHA, 폴리페놀 등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으며, 그중 폴리페놀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제 역할로 심장 혈관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암, 노화방지, 동맥경화 예방, 비만억제 등 다양한 효능이 있다.
특히, 포도발효 추출물에 함유된 AHA 성분은 각질 제거를 돕고 피부의 혈액순환을 촉진해 피부를 윤기 있게 가꿔주고, 세포 생성을 촉진해 노화 방지는 물론 싱싱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도발효 추출물은 '레드 와인' 제조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그 종류 및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례로 레드 와인용 포도과실(포도껍질, 과육 및 포도씨)의 분쇄물을 발효시킨다. 이 때, 포도과실의 분쇄를 위해서는 믹서기 등을 사용한다. 상기 발효 조건으로는 20∼25 ℃에서 6∼8일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를 20∼25 ℃에서 실시하는 것은, 과피에 묻어 있는 천연효모의 발효 능력에 관계있는 것으로, 20 ℃ 이하인 경우, 발효기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고, 25℃ 이상일 때는 효모가 죽어 발효가 중단되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온도에서 6∼8일간 발효를 실시하면, 당분이 모두 소멸되어 발효가 완료된다.
이어서, 상기 분쇄물을 여과한 여액을 숙성시켜 감압 농축 후 분무 건조한다. 상기 숙성은 11 ℃의 항온에서 지속적으로 30일간 실시하되, 직사광선을 피하고 온도가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숙성되어 가는 포도발효 추출물이 직사광선을 받게 되면 산화되기 쉽고, 살아있는 유기물로 불리는 포도발효 추출물이 시간, 온도, 빛 등에 따라 잘 변하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온도가 너무 낮으면 숙성이 제대로 되지 않으며 온도가 너무 높으면 오랜기간 동안 숙성시키기 적절하지 못하므로 유효성분 추출을 위해서 숙성 온도는 지속적인 1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숙성 기간은 30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숙성 단계를 통하여 유효성분이 최대로 용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포도발효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포도발효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사용감이 저하되어 각종 형태의 제제로 적용하기 어렵다.
전술한 바의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은 피부자극 완화 및 진정제, 항염증제 및 화장료로 적합하게 사용하여 도시공해물질, 담배연기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항염효과, 피부트러블 완화효과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로서, 각각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것보다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경우에 그 효과가 탁월하게 상승한다.
상기 피부자극 완화 및 진정제 및 항염증제는 상기 3종의 추출물만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나, 제형 및 사용방법에 따라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성분의 함량은 0. 03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유효성분의 함량이 0.03 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적인 효능을 위해선 다량의 투여가 필요할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하는 경우 사용량에 비해 효능이 일정할 수 있어 비경제적일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피부자극 완화 및 진정제 및 항염증제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혼합가능한 부형제로는, 글리세린, 전분, 유당,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살리실산, 다히아드로초산 및 생리식염수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자극 완화 및 진정제 및 항염증제는 경구 또는 비경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비경구 예컨대 경피 투여가 바람직하다. 피부자극 완화 및 진정제 및 항염증제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침제(INFUSIONS), 정제(TABLETS), 주사제(INJECTIONS), 캅셀제(CAPSULES) 및 환제(PILLS)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자극 완화 및 진정제 및 항염증제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부위, 방법,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으며, 예컨대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01 ㎎/㎏(체중) 내지 500 ㎎/㎏(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은 피부자극 완화 및 진정 및 항염증 효과를 가져 화장료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유 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장료 조성물은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0.03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함량은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그외 성분의 함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장료 조성물 내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의 함량이 0.03% 미만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서 실질적인 항염증 효과, 피부자극 완화 효과 및 진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하는 경우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의 향취를 마스킹(masking)하기 어렵고, 원가 상승에 따른 효능 대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0.0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3종의 추출물 이외에,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물성개선을 위하여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두피용 화장품, 면도용 화장품 또는 구강용 화장품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으며, 두발용 화장품으로는 샴푸,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무쓰, 헤어 리퀴드, 포마드, 헤어 칼라 제, 헤어 블릿치제, 칼라 린스가 있으며, 두피용 화장품으로는 헤어 토닉, 스칼프 트리트먼트가 있으며,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으며, 구강용 화장품으로는 치약, 마우스 워셔 등이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석류 추출물의 제조
석류 열매를 통째로 잘게 절단하여 얻어진 분쇄물을 비이커에 넣고, 추출용매로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석류 분쇄물의 10배(부피비)가 되도록 비이커에 첨가하여 20℃에서 10일간 냉침한 후, 추출원액을 200 mesh size의 필터로 여과하고 사용용매의 20%가 되도록 추출물을 농축하여 석류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토마토 추출물의 제조
토마토를 통째로 잘게 절단하여 얻어진 분쇄물을 비이커에 넣고, 추출용매로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토마토 분쇄물의 10배(부피비)가 되도록 비이커에 첨가하여 20℃에서 10일간 냉침한 후, 추출원액을 200 메쉬(mesh) 크기의 필터로 여과하고 사용 증류수양의 20%가 되도록 농축하여 토마토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포도발효 추출물의 제조
줄기를 골라낸 레드 와인용 포도과실(포도껍질, 과육 및 포도씨)을 분쇄한 후 전체를 한번에 발효시켰다. 발효는 20∼25 ℃에서 7일 동안 실시하였다. 용매로는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포도과실 분쇄물의 2배(부피비)가 되도록 사용 하였으며 20∼25 ℃에서 7일 동안 냉침한 후, 추출원액을 200 메쉬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사용하여 11 ℃의 항온에서 30일간 숙성을 실시하되, 직사광선을 피하고 온도가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숙성한 후, 200 메쉬 필터를 사용하여 앙금 등을 분리해 내여 포도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6: 조성물 제조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a 및 1b에 나타낸 바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혼합 믹서기 탱크에 증류수 및 유화제인 소듐 라우릴설패이트 및 소듐 라우레스 설패이트를 주입한 다음, 각각의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나머지 글리세린 및 코카미도 프로필베테인, 향료 및 색소를 첨가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석류 추출물 0.01 0.10 0.01 1.00 10.00 10.00
토마토 추출물 0.01 0.01 0.10 1.00 1.00 10.00
포도발효 추출물 0.01 0.01 0.10 1.00 10.00 10.00
소듐 라우릴설패이트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소듐 라우레스 설패이트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글리세린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코카미도 프로필베테인 5.00 5.00 5.00 5.00 5.00 5.0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석류 추출물 - 0.01 - - 0.01 - 0.01 12.00
토마토 추출물 - - 0.01 - - 0.01 0.01 12.00
포도발효 추출물 - - - 0.01 0.01 0.01 - 12.00
소듐 라우릴설패이트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소듐 라우레스 설패이트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글리세린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코카미도 프로필베테인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1: 피부자극 완화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자극 완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험방법은 Draize's 시험법을 사용하여 석류추출물, 토마토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의 도시 공해 및 매연의 주 원인물질인 아황산에 대한 피부자극 완화효과를 측정하였다.
적당한 환경(23 ± 2℃, 상대습도 50 ± 10%)에서 음수와 고형사료를 자유로이 섭취시킨 2내지 2.5kg의 웅성 뉴질랜드 흰 토끼에 대하여 3마리를 한군으로 구성하여, 24시간 전에 제모한 각 동물의 등 부위를 척추를 중심으로 약 1.5cm × 1.5cm 정도의 크기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물질과 대조물질을 동물 1마리당 1.0g씩 투여 부위에 도포하고, 적용부위는 가제로 덮은 후, 비자극성 테이프로 잘 고정하여 24시간 적용시켰다.
이때 적용부위는 24시간 후 및 72시간 후 홍반과 가피형성, 부종형성 등의 자극성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의 평가는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에 의거하여 판정하였다. 또한, 결과에 대한 자극성의 정도 판정은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일차자극지수의 산출방법에 따랐다(Draze, J.H., Appraisal of safety of chemical in foods, drugs and cosmetics. The Staff of division of pharmacology, Food and Drug Education and Welfare, Pub.(1959) 및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 substance(1992). OECD, Paris, France 참조).
대조물질로 H2SO4 10% 수용액과 Na2SO4 10% 수용액을 사용한 이유는 수용액 상태에서 수소이온과 SOX의 형태로 존재하여 매연의 주성분인 SOX와 유사한 형태의 물질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대조물질로 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1차 자극지수 평가는 하기 표 2 및 3의 기준에 의해 적용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 일차자극지수(Primary Irritation Index, P.I.I)는 하기 표2의 피부 반응의 정도에 의한 홍반평점과 부종평점의 합의 평균치를 4로 나누어 결정한 것이다. 한편 상기 표 1의 1차 자극지수는 하기 표 3에 기초하여 평가한다.
피부 반응정도 평가기준
피부 반응의 정도 평점
1. 홍반과 가피형성 홍반이 없음 아주 경도의 홍반(육안으로 겨우 식별할 정도) 명료한 홍반 중등도에서 강한 홍반 심홍색의 강한 홍반과 가피 형성 0 1 2 3 4
2. 부종 형성 부종 없음 매우 가벼운 부종(육안으로 겨우 식별할 정도) 명료한 부종(주위와 명료한 구분이 됨) 중등도의 부종(1mm 정도 부어 올랐을 경우) 강한 부종(1mm 이상 부어 오르고 노출 부위 밖에까지 확장된 상태) 0 1 2 3 4
1차 자극지수 평가기준
안전성 구분 1차 자극성 지수
0 - 0.5 0.6 - 2.0 2.1 - 5.0 5.1 이상 자극이 없음 약한 자극 당한 자극 심한 자극
1차 자극지수 작업성 1차 자극지수 작업성
실시예 1 0.30 양호 실시예 2 0.25 양호
실시예 3 0.25 양호 실시예 4 0.15 양호
실시예 5 0.15 양호 실시예 6 0.15 양호
비교예 1 5.3 양호 비교예 2 5.3 양호
비교예 3 3.2 양호 비교예 4 3.2 양호
비교예 5 1.5 양호 비교예 6 1.6 양호
비교예 7 1.5 양호 비교예 8 0.15 양호
대조군 5.5 불량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해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의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피부자극에 대한 완화효과가 뚜렷이 상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5 내지 8의 경우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양호하였으나, 과도한 추출물의 사용으로 제조가 어려웠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석류추출물, 토마토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에서 각 성분을 동시에 함유할때 피부자극성 완화효과 및 작업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항염증 효과
쥐의 양쪽귀를 이용하여 좌측은 대조군(비교예 1 적용)으로 우측은 시험군(실시예 1-6, 비교예 2-8 적용)으로 하여 각각 1회, 20㎕/귀 씩을 도포하고 도포 30분 후에, 좌측귀와 우측귀에 도시에 아라키도닉에시드(Arachidonic acid)를 2mg/귀 씩 도포하였다. 이어서, 1시간 후, 귀의 부종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로미터(micrometer)를 이용하여 양쪽귀의 두께를 3회씩 반복 측정하여 항염효과(%)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판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37864467-PAT00001
항염 효과(%) 작업성 항염 효과(%) 작업성
실시예 1 30.2 양호 실시예 2 35.1 양호
실시예 3 34.8 양호 실시예 4 51.5 양호
실시예 5 65.8 양호 실시예 6 78.5 양호
비교예 2 2.5 양호 비교예 3 3.4 양호
비교예 4 3.1 양호 비교예 5 5.1 양호
비교예 6 5.1 양호 비교예 7 4.8 양호
비교예 8 80.2 불량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혼합 사용한 실시예 1이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2-4)에 비하여 항염효과가 뚜렷이 상승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8의 경우 각각의 중량이 1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항염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나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에서 각 성분을 동시에 함유할 때 항염 효과 및 작업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 피부 진정효과
아토피 등 피부 트러블이 심한 자원자 대상으로, 평가 그룹당 30명이 되도록 그룹을 나눈 후, 각 그룹당 해당하는 상기의 시험예 및 비교예 시험제품을 지급하고, 2주일간 매일 1회 이상 제품을 사용하게 한 후, 평가전과 사용 2주일 후의 피부 트러블 완화 및 피부 진정효과를 평가하게 하여 평균을 산출하여 각 시험물질의 피부 트러블 완화 및 피부 진정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때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를 평가척도로 삼았으며,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피부 트러블 완화 및 진정효과 평가 기준
피부 상태 평가 기준 평점
1.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 여드름, 뾰루지, 아토피 등 피부 트러블이 매우 악화됨 여드름, 뾰루지, 아토피 등 피부 트러블이 약간 악화됨 여드름, 뾰루지, 아토피 등 피부 트러블 상태가 사용 전과 같음 여드름, 뾰루지, 아토피 등 피부 트러블이 약간 개선됨 여드름, 뾰루지, 아토피 등 피부 트러블이 매우 개선됨 1 2 3 4 5
2. 피부 진정 효과 건조감, 가려움, 따가움 등 피부상태가 매우 민감해짐 건조감, 가려움, 따가움 등 피부상태가 약간 민감해짐 건조감, 가려움, 따가움 등 피부상태가 사용 전과 같음 건조감, 가려움, 따가움 등 피부상태가 약간 진정됨 건조감, 가려움, 따가움 등 피부상태가 매우 진정됨 1 2 3 4 5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 피부 진정 효과 작업성
실시예 1 3.8 0.30 양호
실시예 2 3.8 0.25 양호
실시예 3 3.8 0.25 양호
실시예 4 4.0 0.15 양호
실시예 5 4.1 0.15 양호
실시예 6 4.5 0.05 양호
비교예 1 2.5 5.3 양호
비교예 2 3.0 3.2 양호
비교예 3 3.0 3.2 양호
비교예 4 3.0 3.2 양호
비교예 5 3.1 1.5 양호
비교예 6 3.1 1.6 양호
비교예 7 3.1 1.5 양호
비교예 8 4.5 0.15 불량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혼합 사용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이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2-4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피부 트러블 완화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가 뚜렷이 상승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중량이 1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트러블의 완화 및 진정 효과가 우수하지만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석류추출물, 토마토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에서 각 성분을 동시에 함유할 때 피부 트러블 완화효과, 피부 진정효과 및 작업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에서는 항염 및 항자극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에 안전한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 화장수 조성물의 제조
원료명 중량%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포도발효 추출물 0.1 0.1 0.1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히아루론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폴리에틸렌 올레일에틸 에탄올 방부제 향료 색소 증류수 5.0 3.0 0.5 0.1 0.1 5.0 0.15 적량 적량 To 100
실시예 8 : 에센스 조성물의 제조
원 료 명 중량 %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포도발효 추출물 5.0 5.0 5.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밀납 스쿠알란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디메틸실록산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향료 색소 증류수 1.0 1.0 0.5 5.0 3.0 0.3 0.5 8.0 4.0 0.2 0.22 0.25 적량 적량 적량 to 100
실시예 9 : 로션 조성물의 제조
원료명 중량%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포도발효 추출물 5.0 5.0 5.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밀납 스테아린산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마카데미아오일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디메틸실록산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카르복시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향료 색소 증류수 0.8 1.0 0.5 0.5 7.0 5.0 3.0 2.0 0.3 0.5 1.2 4.0 4.0 4.0 0.12 0.15 0.25 적량 적량 to 100
실시예 10 : 크림 조성물의 제조
원료명 중량%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포도발효 추출물 5.0 5.0 5.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밀납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정제호호바유 디메틸실록산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산탄검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향료 색소 증류수 3.0 1.5 1.5 0.5 8.0 7.0 4.0 4.0 0.3 1.0 1.2 6.0 4.0 4.0 0.06 0.10 0.25 적량 적량 to 100
실시예 11 : 젤 조성물의 제조
원료명 중량%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포도발효 추출물 1.0 1.0 1.0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카르복시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향료 색소 증류수 4.0 4.0 10 0.1 0.30 0.30 적량 적량 적량 to 100
실시예 12 : 연고 조성물의 제조
원료명 중량%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포도발효 추출물 10.0 10.0 10.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밀납 스쿠알란 모노스테아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폴리솔베이트 80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향료 색소 바세린 2.0 2.0 1.0 4.0 7.0 3.0 1.0 3,0 5.0 4.0 적량 적량 to 10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 포함하여 자외선, 유해산소, 공기 중에 표류하는 유해물질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고, 피부 트러블 및 염증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작업성이 우수하다.

Claims (9)

  1. 석류 추출물 0.01 내지 10.0 중량%, 토마토 추출물 0.01 내지 10.0 중량%, 및 포도발효 추출물 0.01 내지 10.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 및 진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류 추출물 및 토마토 추출물은 증류수,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된 용매에서 추출하고, 온침 또는 냉침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것인 피부자극 완화 및 진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발효 추출물은 레드 와인용 포도과실을 발효하여 얻어진 추출액인 것인 피부자극 완화 및 진정용 조성물.
  4. 석류 추출물 0.01 내지 10.0 중량%, 토마토 추출물 0.01 내지 10.0 중량%, 및 포도발효 추출물 0.01 내지 10.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석류 추출물 및 토마토 추출물은 증류수,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그 룹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된 용매에서 추출하고, 온침 또는 냉침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것인 항염증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발효 추출물은 레드 와인용 포도과실을 발효하여 얻어진 추출액인 것인 항염증용 조성물
  7. 석류 추출물 0.01 내지 10.0 중량%, 토마토 추출물 0.01 내지 10.0 중량%, 및 포도발효 추출물 0.01 내지 10.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석류 추출물 및 토마토 추출물은 증류수,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된 용매에서 추출하고, 온침 또는 냉침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발효 추출물은 레드 와인용 포도과실을 발효하여 얻어진 추출액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63168A 2005-07-13 2005-07-13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70008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168A KR20070008150A (ko) 2005-07-13 2005-07-13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168A KR20070008150A (ko) 2005-07-13 2005-07-13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150A true KR20070008150A (ko) 2007-01-17

Family

ID=3801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168A KR20070008150A (ko) 2005-07-13 2005-07-13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81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69B1 (ko) 2007-08-17 2009-03-25 (주)동양정밀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508622B1 (ko) * 2014-10-02 2015-04-07 주식회사 더마랩 그린토마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69B1 (ko) 2007-08-17 2009-03-25 (주)동양정밀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508622B1 (ko) * 2014-10-02 2015-04-07 주식회사 더마랩 그린토마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0052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123732A (ko) 아티초크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37879B1 (ko) 녹용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80399B1 (ko)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195502A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抗老化剤及びしわ改善剤
KR20100121352A (ko)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1195577B1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8150A (ko)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19587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51816B1 (ko) 월귤 열매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월귤 열매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2102239A (zh) 抗老化劑、抗氧化劑、抗炎症劑、及美白劑、以及化妝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