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069B1 -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069B1
KR100890069B1 KR1020070082861A KR20070082861A KR100890069B1 KR 100890069 B1 KR100890069 B1 KR 100890069B1 KR 1020070082861 A KR1020070082861 A KR 1020070082861A KR 20070082861 A KR20070082861 A KR 20070082861A KR 100890069 B1 KR100890069 B1 KR 100890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ixture
weight
liquid extrac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424A (ko
Inventor
진수정
조성휘
Original Assignee
(주)동양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정밀 filed Critical (주)동양정밀
Priority to KR102007008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06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천연재료로 이루어져서 피부에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솔잎 액상 추출물, 양파 액상 추출물, 녹차 액상 추출물, 포도 액상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알칼리 이온수, 솔잎 액상 추출물, 양파 액상 추출물, 녹차 액상 추출물, 포도 액상 추출물,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발효하여 침전물과 상등액으로 고/액 분리하는 단계, 상기 고/액 분리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상등액을 겔화하여 겔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겔을 상온으로 급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은 천연재료로 이루어져서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피부에 대한 침투력과 각질층에서의 수분 고정 기능이 우수하여 보습 효과가 탁월하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PREPARING METHOD OF NOURISHING CREAM COMPOSITION FOR KEEPING MOISTURE OF SKIN}
본 발명은 피부에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재료로 이루어져서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피부에 대한 침투력과 각질층에서의 수분 고정 기능이 우수하여 보습 효과가 탁월한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적정한 양의 수분을 보유하고 있어야 외견상 부드럽고 유연하고 건강하게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수분 증발량이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피부가 건조하게 되면, 표피의 상층주가 거칠고 건조하며 유연성이 저하된다. 피부의 건조 상태가 심화되면 각질이 과도하게 탈리되거나 갈라지기도 하며, 심각한 영우에는 아예 피부질환으로 분류된다. 또한, 건조한 피부에서는 각질 세포 사이의 결합력이 약화되고, 지질 성분의 변화가 발생하며, 각질의 수분 보유력 이 감소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건조한 피부는 단순히 피부의 수분 함유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피부에 피부 보습제를 지속적으로 발라주면 피부의 건조 정도가 개선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이 정상적인 피부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피부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기 위한 피부 보습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종래에 개발된 피부 보습제들은 단순히 피부를 보습하여 수분 함유량을 일시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습제가 표피를 통과하여 피부 깊숙하게 침투하는 기능이나, 건조하기 쉽고 수분에 대한 장벽 기능을 하는 각질층에서 수분을 고정하는 기능이 매우 부족하여,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59138 호(2006. 12. 19. 공고)에서는 유효성분으로 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퍼옥시즘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고, 피부보습인자의 발현을 촉진시켜 피부 보습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표피를 통과하여 피부 깊숙하게 침투하는 기능, 및 각질층에서 수분을 고정하는 기능이 매우 부족하여,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6-0067296 호(2006. 06. 20. 공개)에서 는 자일리톨과 베타-글루칸을 동시에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일리톨과 베타-글루칸을 조합하여 함유함으로써 피부의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표피를 통과하여 피부 깊숙하게 침투하는 기능, 및 각질층에서 수분을 고정하는 기능이 매우 부족하여,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재료로 이루어져서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피부에 대한 침투력과 각질층에서의 수분 고정 기능이 우수하여 보습 효과가 탁월한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솔잎 액상 추출물, 양파 액상 추출물, 녹차 액상 추출물, 포도 액상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 솔잎 액상 추출물 40 내지 50 중량부, 양파 액상 추출물 25 내지 35 중량부, 녹차 액상 추출물 7 내지 12 중량부, 포도 액상 추출물 4 내지 6 중량부, 보습제 3 내지 4 중량부, 스쿠알란 2.2 내지 2.8 중량부, 점도 조절제 2.1 내지 2.7 중량부, 및 유화제 1.4 내지 1.8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5 내지 7 일간 발효하여 침전물과 상등액으로 고/액 분리하는 단계; 상기 고/액 분리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상등액을 60 내지 65 분간 겔화하여 겔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겔을 상온으로 급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은 천연재료로 이루어져서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피부에 대한 침투력과 각질층에서의 수분 고정 기능이 우수하여 보습 효과가 탁월하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은 제조 과정이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솔잎 액상 추출물, 양파 액상 추출물, 녹차 액상 추출물, 및 포도 액상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된다(단계 S10).
본 발명의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솔잎 액상 추출물의 원료인 솔잎은 테르펜 계통의 피톤치드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그 자체로서 음이온을 발생하며, 인체에 유익한 비타민과 미네럴이 다량으로 함유된 재료이다. 또한, 솔잎은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솔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솔잎을 물로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솔잎을 표면에 물기가 마를 때까지 자연 건조하고, 상기 자연 건조된 솔잎을 분쇄하여 솔잎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솔잎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솔잎 액상 추출물을 회수함으로써, 혼합물에 포함되는 액상 성분인 솔잎 액상 추출물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양파 액상 추출물의 원료인 양파는 천연 방부제로서 이황화프로필, 황화알릴 등의 화합물이 포함되어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흥분, 발한, 이뇨 등의 효과가 있다. 이 외에, 각종 비타민과 함께 칼슘, 인산 등의 미네럴이 다량 함유되어 혈액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으며, 색소 성분인 퀘르세틴은 지질의 산패를 방지하며 고혈압을 예방하는 등의 다양한 약리 작용을 지니고 있다. 또한, 양파껍질은 강력한 살균 및 곰팡이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알리신(allicin)을 포함하여 천연식품류 중에서 곰팡이 억제 효과가 가장 탁월하여 영양크림 조성물에 곰팡이 억제 기능을 제공하여 화학적인 곰팡이 억제제의 필요성을 저감시킨다.
즉, 양파껍질까지 포함된 양파는 본 발명의 영양크림 조성물에 천연적인 방부 기능을 제공하여 보존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양파를 껍질째 분쇄하여 양파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양파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양파 액상 추출물을 회수함으로써, 혼합물에 포함되는 액상 성분인 양파 액상 추출물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녹차 액상 추출물의 원료인 녹차잎은 카테킨이 다량 함유되어 각종 성인병 예방 기능, 항암 기능, 살균 기능이 탁월하며, 비타민C, 비타민E, 베타카로틴, 식물섬유, 미네럴, 및 엽록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녹차잎을 분쇄하여 녹차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녹차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녹차 액상 추출물을 회수함으로써, 혼합물에 포함되는 액상 성분인 녹차 액상 추출물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포도 액상 추출물의 원료인 포도는 레스베라톨과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영양크림 조성물이 인체에 용이하게 침투하는 것을 촉진하며, 해독 작용이 우수한 주석산, 사과산, 및 구연산이 함유되어 피부의 유독성분을 해독하는 기능이 탁월하며, 각종 천연비타민과 포도당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포도를 분쇄하여 포도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포도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포도 액상 추출물을 회수함으로써, 혼합물에 포함되는 액상 성분인 포도 액상 추출물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솔잎 액상 추출물, 양파 액상 추출물, 녹차 액상 추출물, 및 포도 액상 추출물이, 각종 첨가제와 함께 용매인 알칼리 이온수에 혼합 용해되어 본 발명의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솔잎 액상 추출물 40 내지 50 중량부, 양파 액상 추출물 25 내지 35 중량부, 상기 녹차 액상 추출물 7 내지 12 중량부, 상기 포도 액상 추출물 4 내지 6 중량부, 및 첨가제 8.7 내지 11.3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첨가제가 상기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 기준으로 보습제 3 내지 4 중량부, 스쿠알란 2.2 내지 2.8 중량부, 점도 조절제 2.1 내지 2.7 중량부, 및 유화제 1.4 내지 1.8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된다(단계 S20).
본 발명에서는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구성성분을 용해하며, 제조된 영양크림 조성물에 피부에 대한 침투력을 향상시키고 보습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한다.
물을 전기분해하면 음이온이 하전된 알칼리 이온수와, 양이온이 하전된 산성 이온수로 분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피부에 대한 침투력을 향상시키고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영양크림 조성물을 각질층에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알칼리 이온수는 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산소(활성산소)와 결합하여 인체 외부로 배출시킬 뿐 아니라 각종 산성 노폐물을 끌어당기는 에너지가 있어 자연면역력을 높일 수 있다.
물은 물 분자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이루어지는 상태가 아니라, 다수의 물 분자가 클러스터 상태로 뭉쳐져서 이루어지는 상태로 존재하며, 물 분자의 클러스터의 크기가 감소될수록 인체에 침투하는 기능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물 분자의 클러스터의 크기는 핵자기 공명 측정기기(NMR)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수돗물을 핵자기 공명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물 분자의 클러스터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수돗물의 물 분자의 클러스터의 크기는 120 Hz인 반면, 인체의 세포의 크기는 60 Hz이므로 상기 수돗물의 물 분자가 피부의 표피를 통과하여 인체에 침투하거나 각질층에 고정되는 것이 극히 곤란하다. 상기와 같이 클러스터의 크기가 대형인 물 분자가 피부의 표피를 통과하는 것이 극히 곤란하다면, 용해된 각종 구성성분 역시 피부의 표피를 통과하는 것이 극히 곤란한데다 인체의 피부를 제대로 보습하는 기능도 부족하기 때문에, 수돗물 또는 수돗물을 단순 정제한 정제수는 본 발명의 영양크림 조성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할 수 없다.
그런데, 물이 고도로 전기분해되어 음이온이 다량으로 하전될수록 물 분자의 클러스터의 크기가 감소되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성 이온수와 분리시킴으로써, 음이온이 다량으로 하전되어 인체의 세포보다 작은 54 Hz의 물 분자 클러스터의 크기를 지니고 있는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영양크림 조성물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물을 고도로 전기분해하여 음이온을 다량으로 하전시킴으로써 인체의 세포보다 작은 54 Hz의 클러스터의 크기를 지니고 있는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하면, 제조된 영양크림 조성물이 피부 표피를 통과하는 침투력이 증가되고, 각질층에 수분을 고정하고 인체의 피부를 보습하는 효과 역시 크게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물질인 혼합물을 구성한다.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은 용매인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솔잎 액상 추출물 4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솔잎 액상 추출물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혼합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음이온 발생량, 및 비타민과 미네럴의 함량이 감소되며,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솔잎 액상 추출물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혼합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솔향이 지나치게 강해진다.
또한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은 용매인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양파 액상 추출물 2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한다.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양파 액상 추출물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혼합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보존성과 약리 작용이 저하되며,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양파 액상 추출물의 함량이 35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혼합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에게 충분한 보존성이 제공된다.
또한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은 용매인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녹차 액상 추출물 7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한다.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녹차 액상 추출물의 함량이 7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혼합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살균 작용과 각종 영양소의 함량이 저하되며,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녹차 액상 추출물의 함량이 12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혼합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녹차향이 지나치게 강해진다.
또한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은 용매인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도 액상 추출물 4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한다.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포도 액상 추출물의 함량이 4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혼합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이 인체로 침투하는 기능이 저하되며,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포도 액상 추출물의 함량이 6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혼합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에 인체로 침투하는 기능이 충분히 제공된다.
또한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은 용매인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보습제 3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한다.
혼합물에 포함되는 보습제는 수분을 고정하는 보습 작용이 매우 탁월하고 인체에 무해한 글리세린(glyceri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린은 유지가 가수 분해를 할 때 지방산과 함께 생성되거나 또는 석유로부터 합성되는 액체로서, 무색투명하고 점도가 높고 수분을 고정하는 보습 작용이 매우 탁월하고 인체에 무해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하여 글리세린은 의약품, 폭약, 화장품 등의 원료나 기계류의 윤활제로 대량 사용되고 있다.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보습제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혼합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보습 작용이 저하되며,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보습제의 함량이 4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혼합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고/액 분리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은 용매인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스쿠알란 2.2 내지 2.8 중량부를 포함한다.
혼합물에 포함되는 스쿠알란은 생물체 내에서 만들어진 고도불포화 탄화수소로서, 일반적으로 심해상어 간유에서 추출하여 정제한 오일을 의미한다. 스쿠알란은 인체 내에서도 생성되어 간이나 쓸개, 피부 등 여러 조직에 분포된 성분으로 인체의 상당 부분이 스쿠알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체의 피부표층 지방 역시 스쿠알란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친화력이 우수하고 피부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스쿠알란은 인체 내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피부노화를 방지한다. 이에 따라서 로션, 크림, 에센스 등의 화장품에 스쿠알란이 일정함량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스쿠알란의 함량이 2.2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혼합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피부친화력과 산소 공급 기능이 저하되며,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스쿠알란의 함량이 2.8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혼합물에 의하여 제조되 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원가가 상승한다.
또한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은 용매인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점도 조절제 2.1 내지 2.7 중량부를 포함한다.
혼합물에 포함되는 점도 조절제는 점도 조절 기능이 탁월한 산탄검(xanthan gum),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세테아릴 알콜(cetearyl alcohol), 및 상기 산탄검과 세테아릴 알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점도 조절제로 사용되는 산탄검은 탄수화물을 순수배양 발효하여 얻어지는 고분자 다당류 검물질을 이소프로필알콜에 정제, 건조, 및 분쇄한 것으로서 물에 용해되며, 에탄올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이러한 산탄검은 다른 증점제에 비교하여 점도가 양호하며, 농도에 따라 점차 점도가 증가되며, pH에 의한 점도 저하가 없고 pH 2-13의 범위 내에서도 안정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특성에 의하여 산탄검은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정제, 증점제, 결착제, 유화제, 고결제, 및 발포제 등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점도 조절제로 사용되는 세테아릴 알콜은 스위트 아몬드 열매를 알킨 압착하여 얻어지는 무취의 라이트 오일로서,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점도 조절제의 함량이 2.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혼합물의 점도 조절이 곤란하게 되고 상기 혼합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피부 연성화 기능 및 영양 공급 기능이 저 하되며,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점도 조절제의 함량이 2.7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혼합물의 점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은 용매인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화제 1.4 내지 1.8 중량부를 포함한다.
혼합물에 포함되는 유화제는 유화 기능이 탁월하면서 피부 윤활 기능을 제공하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는 중성의 안정된 에멀젼을 형성하는 유화제, 용매제, 및 보습제로서, 의약품, 화장품 등에서 유화 조절 능력이 탁월하며, 피부 윤활 기능이 탁월하다.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유화제의 함량이 1.4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혼합물의 유화 조절 기능이 저하되며, 혼합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함되는 유화제의 함량이 1.8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혼합물에 유화 조절 기능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성분과 함량으로 형성되는 혼합물을 중간물질로 사용하여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물을 5 내지 7 일간 발효하여 침전물과 상등액으로 고/액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단계 S30).
즉, 단계 S20에서의 구성 성분과 함량으로 형성되는 혼합물을 반응기에 주 입하고 27 내지 30 ℃에서 5 내지 7 일간 방치하여 발효시킨다. 이러한 혼합물의 발효 과정에서 상기 혼합물의 고상성분이 침전되어, 상기 혼합물이 침전물과 상등액으로 고/액 분리된다.
혼합물을 발효하는 온도가 27 ℃ 미만이면 상기 혼합물이 제대로 발효되지 않으며, 혼합물을 발효하는 온도가 30 ℃를 초과하면 상기 혼합물이 변성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혼합물을 발효하는 기간이 5 일 미만이면 상기 혼합물이 충분히 발효되지 않으며, 혼합물을 발효하는 기간이 7 일을 초과하면 상기 혼합물이 더 이상 발효하지 않는다.
이러한 혼합물의 발효 단계는 5 내지 7 일의 비교적 장기간으로 진행되므로, 발효 중인 혼합물이 변질되지 않도록 도기 재질의 반응기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혼합물이 발효되고, 발효된 혼합물로부터 침전물이 분리되어 수득되는 상등액을 사용하여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고/액 분리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단계 S40).
즉, 혼합물의 발효 과정인 단계 S30에서 침전물과 상등액으로 고/액 분리된 혼합물을 여과함으로써, 발효된 혼합물로부터 상기 상등액을 회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 법은 상기 상등액을 60 내지 65 분간 겔화하여 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단계 S50).
구체적으로, 단계 S40에서 회수된 상등액을 반응기에서 63 내지 67 ℃에서 60 내지 65 분간 겔화하여 겔을 형성한다.
상등액을 겔화하는 온도가 63 ℃ 미만이면 상기 상등액이 제대로 겔화되지 않으며, 상등액을 겔화하는 온도가 67 ℃를 초과하면 상기 상등액이 변성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등액을 겔화하는 시간이 60 분 미만이면 상기 상등액이 충분히 겔화되지 않으며, 상등액을 겔화하는 시간이 65 분을 초과하면 상기 상등액이 더 이상 겔화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겔을 상온으로 급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단계 S60).
상등액을 겔화하여 형성된 겔을 급랭 장치에 넣고 상온까지 강제급랭하여 엷은 황색의 크림 형태인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은 그 제조 과정이 단순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1. 솔잎을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서 물기가 사라질 때까지 자연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솔잎을 분쇄하여 솔잎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솔잎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솔잎 액상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양파를 껍질째 분쇄하여 양파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양파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양파 액상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녹차잎을 분쇄하여 녹차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녹차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녹차 액상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적포도를 분쇄하여 포도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포도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포도 액상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2. 알칼리 이온수 1000 g, 솔잎 액상 추출물 450 g, 양파 액상 추출물 300 g, 녹차 액상 추출물 100 g, 포도 액상 추출물 50 g, 보습제인 글리세린 53 g, 스쿠알란 25 g, 점도 조절제인 산탄검 2 g, 세테아릴 알콜 22 g, 및 유화제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6 g을 혼합하고 3000 rpm으로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3. 상기 혼합물을 도기 재질의 반응기에 주입하고, 28 ℃에서 6 일간 발효시 켜서 침전물과 상등액으로 고/액 분리하였다.
4. 상기 침전물과 상등액으로 고/액 분리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상기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5. 상기 상등액을 반응기에 주입하고, 65 ℃에서 60 분간 겔화시켜서 겔을 형성하였다.
6. 상기 겔을 급랭 장치에 넣고, 상온이 될 때까지 강제급랭하여 엷은 황색의 크림 형태인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시료의 보습력을 평가하는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임상실험은 화장품의 효능 및 안전성 평가 시험을 전문적으로 하는 임상 연구 전문기관인 아이이씨코리아(주)(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980-3 디지털엠파이어 C동 1205 호 소재)에서 실시하였다.
본 인상 실험은 25 명의 한국인 여성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4 주동안 실시하였다.
1. 선발된 피실험자의 좌측 뺨의 피부 수분량을 피부 수분 측정기인 코니오메터(corneometer)(독일 Courage+Khazaka GmbH사 제품, 모델명 CM825)를 사용하여 최초 측정하되, 측정할 때마다 1 인당 3 회씩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사용하였다.
2. 상기 최초 측정 후에, 피실험자들에게 상기 실시예에 의한 시료를 제공하고, 제공된 시료를 4 주 동안 매일 2 회(아침, 저녁)씩 얼굴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즉, 피실험자들은 아침, 저녁에 세안을 실시한 후에, 일반적인 화장품의 사용 방법에 의거하여 상기 시료를 얼굴에 도포하였다.
3. 상기 최초 측정 후 4 주가 경과한 날에 피실험자를 소집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최초 측정과 동일하게 피실험자의 좌측 뺨의 피부 수분량을 피부 수분 측정기인 코니오메터를 사용하여 3 회씩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피실험자의 피부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 표 1 > 본 발명의 영양크림 조성물의 피실험자에 대한 피부 수분량 측정의 임상실험 결과.
구 분 연령 얼굴피부 특성 자극 여부* 시료 사용전 피부 수분량(%) 시료 사용 4주 후 피부 수분량(%) 비고
1 35 건성 77.33 74.00
2 38 복합지성 84.00 83.33
3 32 복합지성 77.33 78.00
4 37 건성 86.00 86.33
5 37 중성 67.00 71.00
6 40 복합지성 80.67 86.00
7 34 복합지성 84.67 86.00
8 5 측정 불참
9 38 복합지성 84.67 84.67
10 29 복합지성 79.67 84.33
11 56 중성 74.67 95.33
12 48 복합지성 79.33 88.33
13 36 지성 75.00 80.33
14 42 건성 91.00 91.33
15 33 복합지성 84.33 87.00
16 38 중성 61.33 90.00
17 45 건성 71.00 83.33
18 38 측정 불참
19 37 복합지성 68.67 85.33
20 39 복합지성 76.33 88.00
21 42 복합지성 92.67 91.00
22 45 복합지성 83.67 88.67
23 38 건성 86.67 89.67
24 35 건성 79.67 84.33
25 39 중성 94.67 103.00
* 과거에 화장품에 의한 자극이 있었는가의 여부
상기 표 1에서는 시료 사용 4주 후 피실험자의 피부 수분량이 시료 사용 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영양크림이 피부보습 효과를 지닌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1 에 통계 데이터에 의거하여, 시료 사용 전과 시료 사용 4주 후 피실험자의 피부 수분량의 평균치를 계산한 결과, 시료 사용 전의 피실험자의 피부 수분량의 평균치가 80.02, 시료 사용 4주 후 피실험자의 피부 수분량의 평균치가 86.06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상기 시료 사용 전과 시료 사용 4주 후 피실험자의 피부 수분량의 평균치를 비교한 결과 그래프를 도 2에 나타낸다.
< 실험예 2 >
1.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시료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피실험자 개인이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보습 효과, 및 피부 상용성을 평가하는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2. 상기 임상실험은 실시에 1과 동일하게 아이이씨코리아(주)(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980-3 디지털엠파이어 C동 1205 호 소재)에서 25 명의 한국인 여성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시료 사용 전, 및 시료 사용 4주 후에 실시하였다.
3. 구체적으로, 시료 사용 전, 및 시료 사용 4주 후에 피실험자가 자각하는 증세를 문진하고, 상기 문진 결과에 의거하여 피실험자 개인이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보습 효과, 및 피부 상용성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여 통계를 작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피실험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보습 효과, 및 피부 상용성을 다음의 표 2에 나타낸다.
< 표 2 > 본 발명의 영양크림 조성물의 피실험자의 주관적인 보습 효과, 및 피부 상용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구 분 보습 효과 피부 상용성
답 변 피실험자 수 백분율(%) 피실험자 수 백분율(%)
매우 좋다 좋다 조금 좋다 보통이다 좋지 않다 8 10 1 4 0 34.8 43.5 4.3 17.4 0.0 0 16 0 6 1 0.0 69.6 0.0 26.1 4.3
긍정적인 답변의 합* 19 82.6 16 69.6
* 매우 좋다, 좋다, 조금 좋다
상기 표 2에서는 피실험자들이 시료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영양크림 조성물의 보습 효과, 및 피부 상용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그래프를 도 3에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보습 효과가 탁월하고, 피실험자들의 제품만족도 역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영양크림 사용 전과 사용 후의 피부 수분량의 평균치의 비교 결과 그래프
도 3은 영양크림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설문조사 결과 그래프

Claims (12)

  1. 솔잎 액상 추출물, 양파 액상 추출물, 녹차 액상 추출물, 및 포도 액상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솔잎 액상 추출물 40 내지 50 중량부, 양파 액상 추출물 25 내지 35 중량부, 녹차 액상 추출물 7 내지 12 중량부, 포도 액상 추출물 4 내지 6 중량부, 및 첨가제 8.7 내지 11.3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5 내지 7 일간 발효하여 침전물과 상등액으로 고/액 분리하는 단계;
    상기 고/액 분리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상등액을 60 내지 65 분간 겔화하여 겔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겔을 상온으로 급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 액상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솔잎을 분쇄하여 솔잎 분쇄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솔잎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솔잎 액상 추출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파 액상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양파를 껍질째 분쇄하여 양파 분쇄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양파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양파 액상 추출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액상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녹차잎을 분쇄하여 녹차 분쇄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녹차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녹차 액상 추출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 액상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적포도를 분쇄하여 포도 분쇄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도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포도 액상 추출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혼합되는 첨가제는, 상기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보습제 3 내지 4 중량부, 스쿠알란 2.2 내지 2.8 중량부, 점도 조절제 2.1 내지 2.7 중량부, 및 유화제 1.4 내지 1.8 중량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조절제는 산탄검(xanthan gum), 세테아릴 알콜(cetearyl alcohol), 또는 상기 산탄검과 세테아릴 알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발효하여 고/액 분리하는 단계는 27 내지 30 ℃에서 5 내지 7일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발효하여 고/액 분리하는 단계는 도기 재질의 반응기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을 형성하는 단계는 63 내지 67 ℃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070082861A 2007-08-17 2007-08-17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0890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61A KR100890069B1 (ko) 2007-08-17 2007-08-17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61A KR100890069B1 (ko) 2007-08-17 2007-08-17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24A KR20090018424A (ko) 2009-02-20
KR100890069B1 true KR100890069B1 (ko) 2009-03-25

Family

ID=4068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861A KR100890069B1 (ko) 2007-08-17 2007-08-17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326B1 (ko) 2010-02-09 2010-09-20 주식회사 에버코스 전기분해한 광천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우슬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150A (ko) 2005-07-13 2007-01-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150A (ko) 2005-07-13 2007-01-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석류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및 포도발효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326B1 (ko) 2010-02-09 2010-09-20 주식회사 에버코스 전기분해한 광천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우슬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24A (ko) 200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796B1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315843A (zh) 一种美白祛斑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1895056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7244B1 (ko) 원적외선 발산 효능을 갖는 피부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
KR20150101810A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679640A (zh) 一种天然滋养净肤护肤祛痘洁面凝露及其制备方法
CN108392455A (zh) 含有铁皮石斛提取物的护肤霜及其制备方法
CN104188859A (zh) 一种含天然成分提取物的抗皱嫩肤乳液及其制备方法
KR100955085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U2018204216B2 (en) Skin mimicking emulsion
KR100890069B1 (ko)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0890068B1 (ko)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
KR102647764B1 (ko)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CN115154375A (zh) 一种稳定且具有修护及舒缓功效的清洁组合物
KR20150137692A (ko) 홍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31529B1 (ko) 음이온 발산 효능을 갖는 피부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CN112245315A (zh) 一种具有保湿修复功效的神经酰胺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137927A (zh) 高渗透、重现光感初生肌的纤连蛋白精华乳及其制备方法
KR100914547B1 (ko) 원적외선 발산효능을 갖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제조 방법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388360A (zh) 一种泡澡精油及其制备方法
KR20090049461A (ko) 음이온 발산효능을 갖는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의제조 방법
KR20050097578A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