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008A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5008A KR20180075008A KR1020160178870A KR20160178870A KR20180075008A KR 20180075008 A KR20180075008 A KR 20180075008A KR 1020160178870 A KR1020160178870 A KR 1020160178870A KR 20160178870 A KR20160178870 A KR 20160178870A KR 20180075008 A KR20180075008 A KR 201800750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ginger
- garlic
- ethanol
- ethanol extr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마늘 에탄올추출물과 생강 에탄올추출물 및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이 혼합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여드름 개선 효능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마늘 에탄올추출물과 생강 에탄올추출물 및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이 혼합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여드름 개선 효능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마늘과 생강 및 어성초를 각각 에탄올 추출하여 혼합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사춘기의 청소년들에게 발생하는 심상성좌창(尋常性挫創)을 일컫는데, 치유가 된 후에도 상처를 남기기 때문에 외모에 관심이 많은 청소년들에게 정신적 스트레스를 가중시켜 병변을 일으키는 악순환을 유발하므로 발생한 즉시 조치를 취하여 회복시켜야 한다.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피지선의 증대 및 활성화가 일어나 피지가 과다 분비되고, 각화과정의 이상이 생겨나 각질형성 세포의 이각화증 또는 과각화증이 발생하는 것이 일차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피지가 자연스럽게 분비되지 못하고 케라틴, 세포 데브리스(cell debris)와 함께 모낭 내에 저류하게 되면, 여드름의 특징적 병변인 면포가 생겨나게 된다. 여기에 propionibacterium acnes 등의 세균이 증식하면서 영향을 미치면 염증성 병변을 만들어 내어 육안으로 보이는 붉거나 곪은 여드름 병변, 즉, 구진, 농포, 결절 등을 만들어내게 된다.
지금까지 여드름은 피부 염증성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에 발생한다는 인식이 있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식생활의 변화와 생활습관, 과로, 스트레스, 지나친 음주와 흡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10대 청소년뿐만 아니라 20대 이상의 성인에게서 발생되는 여드름 환자비율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여드름에 대한 치료약물은 피지 분비의 조절, 각화과정 이상의 교정, propionibacteriumacnes로 대표되는 세균에 대한 억제 기능, 이 세 가지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역할을 하여야만 여드름 치료에 유용한 약물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피지 과분비 억제를 위해 비정상적인 남성 호르몬의 분비를 제어하는 항안드로겐제 등의 여성호르몬의 사용, 여드름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항균제 및 항생제의 사용, 항염증 작용을 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화장료 분야에서는 레소시놀, 황, 살리실산,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성분을 첨가하여 피부 각질제거 및 여드름 균을 억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이 과다하게 첨가될 경우 피부 자극 및 쉽게 건조해지는 부작용이 발생하기 쉬워 레소시놀, 살리실산 같은 경우 배합한도가 정해져 있고, 벤조일퍼옥사이드 같은 성분은 국내에서는 배합금지 성분으로 지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마늘 에탄올추출물과 생강 에탄올추출물 및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이 혼합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여드름 개선 효능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마늘 에탄올추출물, 생강 에탄올추출물,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이 혼합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도록 되어 있어, 피부 손상 및 자극없이 여드름 예방과 개선 및 치료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제조과정을 보인 블록예시도
도 2 는 실시예 4 및 5 에 따른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 그래프
도 3 은 실시예 6 및 7 에 따른 ABTS 라디칼 소거능 그래프
도 4 는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세포독성 그래프
도 5 는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NO 생성량 그래프
도 6 은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iNOS와 COX-2의 발현량 그래프
도 7 은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TNF-a의 발현량 그래프
도 2 는 실시예 4 및 5 에 따른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 그래프
도 3 은 실시예 6 및 7 에 따른 ABTS 라디칼 소거능 그래프
도 4 는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세포독성 그래프
도 5 는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NO 생성량 그래프
도 6 은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iNOS와 COX-2의 발현량 그래프
도 7 은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TNF-a의 발현량 그래프
본 발명은 마늘과 생강 및 어성초를 각각 에탄올 추출하여 혼합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개선 효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케어, 바디케어, 썬케어, 유아용 화장품, 메이크업, 수분크림, 데오드란트, 향수, 수렴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연고,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샴푸, 린스, 기초 화장료,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헤어케어, 헤어 팩, 헤어 에센스 등등을 일상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다양한 화장관련 제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로션 및, 젤 타입으로 이루어진 제품을 의미한다.
상기 마늘은 백합과에 속하는 온화한 기후를 좋아하는 다년생 채소로 거의 연간 공급이 가능한 채소이고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에 있어서 꼭 필요한 조미료이다. 이러한 마늘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살균작용, 빈혈증, 냉증에 좋다고 알려져 왔다. 연구된 약리학적 효과를 보면 노화방지, 면역력과 저항력 강화, 살균, 항균작용, 피로회복, 체력 증진, 알레르기 억제, 호르몬 분비촉진 작용 등 국내외에 무수히 많은 연구가 되어 있다.
상기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에서는 2500년 전에 생강이 재배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우리 나라는 고려 현종 때 왕의 하사품으로 쓰였다는 기록이 있다. 중국 의학서에 의하면 생강은 건위, 토제, 진통해소에 효과적이며 헛배나 발열의 치료에 좋고 감기초기, 류머티종, 신경통, 좌상, 냉증에 끓여서 마시거나 외용으로 쓰면 효과가 있다고 되어있으며, "본초"에는 생강이 담이나 풍한과 습기도 없애고 소염제로 쓰인다고 되어있다. 동의치료에서는 주약으로 쓰는 경우는 적고 처방에 더운 약으로서 보조약으로 포함시켜 신진대사기능 촉진, 땀내기, 독풀이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밖에 생강은 염증을 치료하고 결장을 깨끗이 하며, 경련을 완화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한편, 강한 항산화제이며 염증이나 상처의 항생제로도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화장품 분야에서도 한약재의 사용이 두드러져, 보습력과 노화방지 기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건강(乾薑)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소화불량, 구토, 설사에 효과가 있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항염증과 진통 효과가 있다.
상기 어성초는 잎, 줄기, 뿌리 전체에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유의 독특한 냄새를 포함한 생리활성물질들이 신진대사를 도와 혈액을 맑게 하고 항산화작용, 혈액순환 개선 및 살균 작용을 가져 염증을 완화하며, 신장기능을 촉진, 염증 증상과 체내 독소를 배설하는 등의 기능이 있어, 한방에서 고혈압, 변비, 당뇨병, 해열, 종기, 해독, 관절염, 염증성 질환 및 피부질환에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마늘, 생강, 어성초를 물로 세척한 후, 음건하고, 이를 각각 에탄올 추출한 마늘 에탄올추출물, 생강 에탄올추출물,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이 혼합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제조과정을 보인 블록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마늘추출물, 생강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은 마늘, 생강, 어성초 각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900∼1,200 중량부를 첨가하고, 이를 상온(10℃∼30℃)에서 약 22∼28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4시간정도 추출/여과하여 1차추출물을 생성하는 1차추출단계;
1차추출단계 후, 잔사 100 중량부에 에탄올 900∼1,200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온(10℃∼30℃)에서 약 22∼28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4시간정도 추출/여과하여 2차추출물을 생성하는 2차추출단계;
2차추출단계 후, 잔사 100 중량부에 에탄올 900∼1,200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온(10℃∼30℃)에서 약 22∼28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4시간정도 추출/여과하여 3차추출물을 생성하는 3차추출단계;
상기 제1,2,3차 추출물을 혼합하여 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농축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은 마늘 에탄올추출물 : 생강 에탄올추출물 :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이 1∼7 : 6∼2 : 3∼1, 바람직하게는 3∼6 : 5∼2.5 : 2∼1.5 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은 그 첨가범위가 특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wt%내에 약 0.01∼25wt%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은 농도 100∼20,000 ㎍/mL, 바람직하게는 약 100∼10,000 ㎍/mL을 구비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000 ㎍/mL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마늘(국산), 생강(국산), 어성초(국산)을 대구 번개시장에서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여 음건한 후 이를 물 및 70% 에탄올에 의해 추출하여 마늘 물추출물(액상), 생강 물추출물(액상), 어성초 물추출물(액상)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때, 각각의 추출물(액상)은 filter paper (Whatman No 2, Maidstone, England)로 여과한 다음, rotary vaccum evaporator (Model N-1N, Eyela Co., Tokyo, Japan)로 감압 농축한 후에 동결건조(FD SFDSM12, Samwon, Korea) 및 분말화화여, 마늘 물추출물(GAR-WE), 생강 물추출물(GIN-WE), 어성초 물추출물(HC-WE), 마늘 에탄올추출물(GAR-EE), 생강 에탄올추출물(GIN-EE), 어성초 에탄올추출물(HC-EE)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때, 물 추출물(액상)은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각각의 둥근 플라스크에 건체 100중량부, 증류수 1,000 중량부를 넣어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액상)은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각각의 둥근 플라스크에 건체 100중량부, 70% 에탄올 1,000 중량부를 넣어 2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 및 여과하는 1차추출단계에 의해 1차추출물을 생성하고, 1차추출물 생성에 따른, 잔사 100 중량부에 70% 에탄올 1,000 중량부를 첨가하고, 20℃)에서 24시간 추출/여과하는 2차추출단계에 의해 2차추출물을 생성하며, 2차추출물 생성에 따른 잔사 100 중량부에 70% 에탄올 1,000 중량부를 첨가하고, 20℃에서 24시간정도 추출/여과하는 3차추출단계에 의해 3차추출물을 생성한 다음, 상기 1차추출물, 2차추출물, 3차추출물을 혼합, 농축,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실시예 2
총 페놀성 화합물의 측정
실시예1 에 따른 마늘 물추출물(GAR-WE), 생강 물추출물(GIN-WE), 어성초 물추출물(HC-WE), 마늘 에탄올추출물(GAR-EE), 생강 에탄올추출물(GIN-EE), 어성초 에탄올추출물(HC-EE)에 대한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이때, 총 페놀성 화합물의 측정은 Folin-Denis 의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추출시료 1 mL(㎖)를 95% 에탄올 1㎖와 증류수 5 mL(㎖)를 첨가하고, 1 N folin-ciocalteu reagent 0.5 mL(㎖)넣어 잘 섞어주고, 5분간 방치한 후, Na2CO3 1 mL(㎖)를 가한 후, 7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annic acid (Sigma, USA)를 1∼100 ㎍/mL(㎍/㎖)의 농도로 제조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얻은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시료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을 산출하였다.
[표1]
[표1]에서, 물로 추출한 시료보다 에탄올로 추출한 시료에서 페놀성 화합물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으며,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이 102.03±0.33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총 페놀성 화합물의 측정
실시예1 에 따른 마늘 에탄올추출물(GAR-EE)과 생강 에탄올추출물(GIN-EE) 및 어성초 에탄올추출물(HC-EE)을 혼합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을 [표2]에 따라 혼합한 후, 이에 대한 총 폴리페널 화합물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2]에 나타내었다. 이때, 총 페놀성 화합물의 측정은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표2]
[표2]에서, 마늘, 생강,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혼합비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어성초 첨가량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은 모두 65㎎/g 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 측정
실시예1 에 따른 마늘 물추출물(GAR-WE), 생강 물추출물(GIN-WE), 어성초 물추출물(HC-WE), 마늘 에탄올추출물(GAR-EE), 생강 에탄올추출물(GIN-EE), 어성초 에탄올추출물(HC-EE)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의 (a)에 나타내었다.
이때, 전자공여능 (EDA: electron donating abilities)은 Blois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각 시료용액 2㎖에 0.2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1 mL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L-ascorbic acid (Vit. C)를 사용하였고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대조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도 2의 (a)는 마늘, 생강, 어성초 물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 그래프를 도시한 것으로, 마늘, 생강 및 어성초를 각각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효과를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으로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물추출물보다 에탄올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에탄올로 추출한 시료의 농도 10,000 ㎍/mL(㎍/㎖)에서의 항산화효과는 마늘 82.8%, 어성초 83.0%, 생강 92.3% 순으로 생강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 측정
실시예 3 에 따른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 의 (b)에 나타내었다. 이때, 전자공여능 측정은 실시예 4 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 2의 (b)는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 그래프를 도시한 것으로, 모든 혼합시료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10,000㎍/mL(㎍/㎖)에서 마늘 에탄올추출물 82.8%, 생강 에탄올추출물 92.3% 및 어성초 에탄올추출물 83.0% 각각의 효과보다 마늘, 생강 및 어성초를 혼합한 시료에서 93.2∼95.8%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혼합비에 따른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의 효과를 농도 1,000㎍/mL(㎍/㎖)에서 비교한 결과 마늘 : 생강 : 어성초 = 5 : 3 : 2로 혼합한 시료 (E)에서 83.8%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의 측정
실시예1 에 따른 마늘 물추출물(GAR-WE), 생강 물추출물(GIN-WE), 어성초 물추출물(HC-WE), 마늘 에탄올추출물(GAR-EE), 생강 에탄올추출물(GIN-EE), 어성초 에탄올추출물(HC-EE)에 대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 의 (a)에 나타내었다.
이때,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의 측정은 Pellegrin 등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즉, 7 mM ABTS와 140 mM K2S2O8을 5 mL: 88 mL 로 섞어 어두운 곳에 14∼16시간 방치시킨 후, 이를 absolute ethanol과 1 : 88의 비율로 섞어 734 ㎚에서 대조구의 흡광도 값이 0.7±0.002가 되도록 조절한 ABTS solution을 사용하였다. 시료용액 50μL(㎕)와 ABTS solution 1㎖를 30초 동안 섞은 후 2.5분간 incubation하여 734㎚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3 은 ABTS 라디칼 소거능 그래프가 도시된 것으로, 도 3 의 (a)에서와 같이, 모든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에탄올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에탄올로 추출한 시료의 농도 10,000 ㎍/mL(㎍/㎖)에서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마늘 92.0%, 생강 99.3%, 어성초 99.6%로, 모두 90% 이상의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의 측정
실시예 3 에 따른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 의 (b)에 나타내었다. 이때, ABTS 측정은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 3 은 ABTS 라디칼 소거능 그래프가 도시된 것으로, 도 3 의 (b)에서와 같이,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마늘, 생강 및 어성초 에탄올추출물 각각의 효과보다 마늘, 생강 및 어성초를 혼합한 시료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혼합비에 따른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의 효과를 농도 1,000 ㎍/mL(㎍/㎖)에서 비교한 결과 마늘 : 생강 : 어성초 = 5 : 3 : 2로 혼합한 시료 (E)에서 92.5%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활성측정 (항산화능 측정)
실시예 3 에 따른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혼합비에 따른 황산화 활성비교를 위하여, FeSO4 검량선에 대입하여 FRAP value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시료에 대한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FRAP)는 C2H3NaO2와 acetic acid (C2H4O2)를 이용하여 acetate buffer (pH 3.6, 23 mM)를 조제하고 40 mM HCl과 TPTZ (2,4,6-tripyridyl-s-triazine)를 이용하여 10 mM TPTZ solution을 만들었으며, 실험을 위한 반응용액은 acetate buffer (pH 3.6, 23 mM), 10 mM TPTZ (2,4,6-tripyridyl-s-triazine) 및 20 mM FeCl3·6H2O를 10 : 1 : 1의 비율로 섞어 만든 후, 실험 전까지 37℃를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96 well 마이크로 플레이트 (well volume: 200μL(㎕)에 보리순 추출액 (2 mL)와 발색시약 (198μL)을 처리한 다음 약 30분간 암소에서 방치 한 후, 5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표3]
[표3]에서와 같이, 농도 10,000 ㎍/mL 이상에서 285.2±13.1 ∼ 3.5±2.5 uM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항균활성
실시예1 에 따른 마늘 물추출물(GAR-WE), 생강 물추출물(GIN-WE), 어성초 물추출물(HC-WE), 마늘 에탄올추출물(GAR-EE), 생강 에탄올추출물(GIN-EE), 어성초 에탄올추출물(HC-EE)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4]에 나타내었다.
항균력 검색 실험에 사용한 공시균주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S. aureus), Escherichia coli KCTC 1039(E. coli) 및 Propionibactrium acnes KCTC 3314 (P. acnes)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S. epidermidis, S. aureus 및 E. coli는 37℃, nutrient broth에서 배양하였고, P. acnes는 37℃, GasPak EZ Anaerobic Container System (BD, USA)을 이용한 혐기성 환경, DifcoTM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또한,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은 한국세포주은행 (Seoul, Korea)으로부터 분양 받아 37℃, 5% CO2 조건에서 10% FBS, 25 mM HEPES가 첨가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항균력 측정은 paper disc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평판 배지에 배양된 각 균주를 1 백금이량 취해서 액체 배지 10 mL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다시 액체 배지 10 mL에 균액을 0.1 mL 접종하여 3∼6시간 본 배양한 후 평판배지 1개당 균수를 약 107 cells되게 접종하여 멸균 면봉으로 균일하게 도말하였으며, 멸균된 filter paper disc (8mm, Tokyo, Japan)를 고체 평판배지에 올려놓은 다음 0.05 mL/disc가 되도록 시료를 농도별로 흡수시켜 37℃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disc 주위의 clear zone (㎜)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표4]
[표4]와 같이, 마늘, 생강 및 어성초 물추출물에서는 4종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에탄올추출물에서는 4종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항균활성
실시예 3 에 따른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혼합비에 따른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5]에 나타내었다.
[표5]
[표5]에서 보는 바와 같이 4종 균주 모두에 대하여 10∼20㎜의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마늘, 생강 및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의 혼합물 농도 1 mg/mL에서 5 : 3 : 2 혼합물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대식세포(macrophage)는 여러 가지 물질을 세포 밖으로 분비하는 대표적인 분비세포로서, 약 50가지 이상의 활성이 있는 물질을 분비하는데, 염증 반응에서 여러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어 부종, 열 등의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다른 염증 세포들이 염증 부위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위의 실시예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높은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 추출물 (5:3:2)을 대식세포에 농도별로(5, 10, 50, 100, 500, 1000 ㎍/mL) 처리하여 proliferation kit를 사용하여 세포 성장률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 에 나타내었다.
도 4 는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 그래프를 도시한 것으로, 도 4 에서와 같이, 1,000 ㎍/mL에서 성장저해와 세포 독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내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함유되는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 추출물은 최대 140,000㎍/mL 농도범위에서도 화장료 성분들과 혼합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음을 고려할 경우, 상기 1,000 ㎍/mL에서 성장저해와 세포 독성 발현은 본 발명의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에 따른 항염증활성은 세포 독성이 없는 농도인 100, 300, 500 ㎍/mL으로 진행하였다.
실시예 12
항염증 활성(NO 저해활성)
NO 유도물질인 LPS 처리 후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 추출물 (5 : 3 : 2)을 세포에 처리하여 LPS에 의해 생성되는 NO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 에 나타내었다.
도 5 는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 추출물의 NO 생성량 그래프가 도시된 것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량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300 ㎍/mL과 500 ㎍/mL에서 NO 생성 억제율이 80.1%와 89.4%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LPS 자극과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 추출물 (5 : 3 : 2)을 처리한 후 세포질의 iNOS와 COX-2의 세포내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6 에 나타내었다.
도 6 은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5:3:2)의 iNOS와 COX-2의 발현량 그래프를 도시한 것으로, LPS 자극에 의하여 COX-2와 iNOS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증가된 단백질 발현이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 추출물(5:3:2)의 처리에 의하여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5:3:2)은 iNOS와 COX-2 발현 억제를 통하여 염증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4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a 발현 억제 효과
염증 반응이 개시되면 TNF-a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반응에 참여하게 된다. 특히 대식세포에서는 LPS 등의 여러 자극 인자에 의해서 활성화가 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유리함으로써 염증반응에 관계된다.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5:3:2)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7 에 나타내었다.
도 7 은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5:3:2)의 TNF-a의 발현량 그래프를 도시한 것으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5:3:2)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300㎍/mL과 500㎍/mL 농도에서 LPS 자극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 마늘 에탄올추출물과 생강 에탄올추출물 및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이 혼합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은 마늘 에탄올추출물 : 생강 에탄올추출물 :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이 1∼7 : 6∼2 : 3∼1 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은 마늘 에탄올추출물 : 생강 에탄올추출물 :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이 3∼6 : 5∼2.5 : 2∼1.5 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 에 있어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wt%내에 0.01∼25wt%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 에 있어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은 농도 100∼20,000㎍/mL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 에 있어서;
마늘-생강-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은
마늘 에탄올추출물 : 생강 에탄올추출물 : 어성초 에탄올추출물이 5 : 3 : 2 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농도 100∼10,000㎍/mL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마늘추출물, 생강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은,
마늘, 생강, 어성초 각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900∼1,20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30℃에서 22∼28시간 추출/여과하여 1차추출물을 생성하는 1차추출단계;
1차추출단계 후, 잔사 100 중량부에 에탄올 900∼1,20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30℃에서 22∼28시간 추출/여과하여 2차추출물을 생성하는 2차추출단계;
2차추출단계 후, 잔사 100 중량부에 에탄올 900∼1,20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30℃에서 22∼28시간 추출/여과하여 3차추출물을 생성하는 3차추출단계;
상기 제1,2,3차 추출물을 혼합하여 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농축단계;에 의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8870A KR101877478B1 (ko) | 2016-12-26 | 2016-12-26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8870A KR101877478B1 (ko) | 2016-12-26 | 2016-12-26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5008A true KR20180075008A (ko) | 2018-07-04 |
KR101877478B1 KR101877478B1 (ko) | 2018-07-13 |
Family
ID=6291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8870A KR101877478B1 (ko) | 2016-12-26 | 2016-12-26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747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9208B1 (ko) * | 2019-09-09 | 2019-11-26 | 전임경 |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KR20200055329A (ko) * | 2018-11-13 | 2020-05-21 | 코스맥스엔에스 주식회사 | 어성초 및 생강을 포함하는 해독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5559B1 (ko) | 2019-07-22 | 2020-10-14 |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8332A (ko) * | 2000-04-21 | 2000-10-05 | 이성낙 |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및 예방용 화장용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
US10117812B2 (en) * | 2002-10-25 | 2018-11-06 | Foamix Pharmaceuticals Ltd. | Foamable composition combining a polar solvent and a hydrophobic carrier |
KR100955003B1 (ko) * | 2008-06-09 | 2010-04-29 | 공수경 | 해초 및 야생화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
KR101122733B1 (ko) * | 2009-03-09 | 2012-03-23 | 주식회사 아주의대벤쳐메딕스 |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101343508B1 (ko) * | 2012-02-03 | 2013-12-20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생강으로부터 여드름성 피부 항균성분의 선택추출법 |
-
2016
- 2016-12-26 KR KR1020160178870A patent/KR10187747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5329A (ko) * | 2018-11-13 | 2020-05-21 | 코스맥스엔에스 주식회사 | 어성초 및 생강을 포함하는 해독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WO2020101219A1 (ko) * | 2018-11-13 | 2020-05-22 | 코스맥스엔에스 주식회사 | 어성초 및 생강을 포함하는 해독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2049208B1 (ko) * | 2019-09-09 | 2019-11-26 | 전임경 |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7478B1 (ko) | 2018-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umar et al. | Ethnobotan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Aloe vera: a review | |
KR20090002678A (ko) |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CN105030621A (zh) | 一种保湿祛痘爽肤水及其制备方法 | |
CN104940050A (zh) | 沉香挥发油原液在制备护肤品中的用途 | |
KR101494661B1 (ko) | 흑마늘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86186B1 (ko) |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 |
KR101877478B1 (ko)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182209B1 (ko) | 생달나무 추출 정유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 |
CN111568780A (zh) | 一种具有优肌素养的草本凝胶及其制备方法 | |
KR101332215B1 (ko) |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 |
KR20190027178A (ko) |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Mihaylova et al. |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of bulgarian Malva sylvestris L | |
KR101679480B1 (ko) |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210117470A (ko) | 당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 |
KR20210048021A (ko) |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
KR101770413B1 (ko) |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부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Adom et al. | The chemical constituents,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ethnomedicinal properties of aloe barbadensis | |
KR102421800B1 (ko) |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KR20090046387A (ko) |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 |
KR101575722B1 (ko) | 산수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균, 항염 조성물 | |
Mozhaiev | Actual aspects of medical use of woloski nut extracts (Juglans regia l.) and black walnut (Juglans nigra l.) | |
KR20200119771A (ko) | 천연물을 포함하는 항균비누 | |
KR20180017974A (ko) |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96346A (ko) | 피부 개선용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723313B1 (ko) | 황금 및 그 복합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나노셀 콜로이드 외용겔제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