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313B1 - 황금 및 그 복합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나노셀 콜로이드 외용겔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금 및 그 복합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나노셀 콜로이드 외용겔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313B1
KR100723313B1 KR1020050072513A KR20050072513A KR100723313B1 KR 100723313 B1 KR100723313 B1 KR 100723313B1 KR 1020050072513 A KR1020050072513 A KR 1020050072513A KR 20050072513 A KR20050072513 A KR 20050072513A KR 100723313 B1 KR100723313 B1 KR 10072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
atp
solution
added
trade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871A (ko
Inventor
양재헌
김대근
정문웅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김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김동석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72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31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 및 그 복합생약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나노셀 콜로이드 외용겔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황금 및 그 복합생약을 항산화 조건하에 추출 및 가수분해 시킴으로서 항산화 작용의 증진, 피부투과 촉진, 소염 및 진통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는 외용겔제의 제조방법이다.
황금, 항산화 추출액, 가수분해물, 히드로겔, 리오겔

Description

황금 및 그 복합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나노셀 콜로이드 외용겔제의 제조방법{Preparations of nanocell colloidal gels for external use containing antioxidative hydrolyzed products of scutellariae radix and its compounding herbal medicinal extracts}
도 1은 초음파의 이레디에이션(irrediation)하에서 나노에이티피(Nano ATP)의 입자크기 및 제타 포텐셜(Zeta potentials)을 나타낸 도표
도 2는 바이칼린(Baicalin)과 바이칼라인(Baicalein)의 유지시간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구연산(citric acid)에 의한 바이칼린(Baicalin)의 가수분해를 나타낸 화학구조도
도 4는 나노 에이티피(Nano ATP) 등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도표
도 5는 바이칼린(Baicalin)의 가수분해에 있어서 구연산 효과를 나타낸 도표
도 6은 바이칼린(Baicalin)에서 바이칼라인(Baicalein)으로 변환하는데 있어서 구연산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바이칼린(Baicalin)에서 바이칼라인(Baicalein)으로 변환하는데 있어서 구연산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피부에 대한 히드로겔(hydrogel)의 침투 파라미터를 나타낸 도표
도 9는 피부에 대한 히드로겔(hydrogel)의 시간에 따른 침투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황금 히드로겔을 마우스 피부에 도포시킨후 7시간 후의 표피 잔류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여러 조건에서의 히드로겔의 항균력을 나타낸 도표
본 발명은 황금 및 그 복합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나노셀 콜로이드 외용겔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광선에 과도하게 노출된 피부, 건조한 피부, 피부상처, 화상피부, 미생물에 의한 피부염증, 알러지성 물질에 의한 피부발진, 접촉성 피부염, 피부소양증 등으로부터 손상된 피부를 보호하고 예방하며 개선하기 위하여 황금 및 그 복합생약의 항산화 가수분해 추출물을 이용하여 나노셀 콜로이드 외용겔제로 개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금(Scutellaria radix)은 수종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를 함유하고 있는 생약으로 중추신경과 교감신경 흥분을 억제하고 고점도 혈증을 완화하며 담즙배설 촉진, 염증성출혈 개선, 죽상 동맥경화 방지, 진정, 혈압강하, 위액 분비 억제, 항균, 항진균 및 항알러지 작용을 나타내어 한방에서 황련해독탕, 삼황사심탕 등의 처방에 활용하여 모세혈관의 울혈과 혈관의 염증성 출혈을 개선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황금의 진정작용, 소염작용, 항균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제나 화장품의 개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황금의 활성성분은 바이칼린(Baicaline), 바이칼라인(Baicaleine) 및 보고닌(Wogonine) 등으로서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로는 흰쥐의 간에서 지질산화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혈청 중 중성지방과 유리지방산의 함유량을 감소시키고 에탄올(EtOH) 섭취에 의해 유발된 고지혈증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졌고, 또한 황금성분의 항산화 작용으로 산화에 의한 세포손상을 보호하고 활성산소 및 프리 레디컬(Free radical))에 의한 피부세포의 산화 및 손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생강(Zingiberis Rhizoma)은 특유의 향기와 매운 맛으로 인하여 오랫동안 향신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약리효능도 가지고 있으므로 한방에서 건위제 및 발한제로 사용되고 있다. 생강의 풍미성분은 정유성분과 매운맛을 함유하는 Oleoresin 등으로 분류되며 특히 Gingerol, Gingerone 및 Shogaol 등이 매운맛 성분으로 이들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산삼에 버금가는 뛰어난 약효가 있다고 해서 한방에서는 “사삼(沙蔘)”이라 하여 해열(解熱)ㆍ거담(祛痰)ㆍ건위(健胃) 등에 약재로도 쓰이는데, 사포닌 등의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폐와 신장을 보호하고 특히 오랜 기침과 폐결핵 등 기관지 계통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모과(Chaenomelis Fructus)는 달고 신맛이 나며 향기가 강하고 육질이 단단하다. 꿀이나 설탕에 재워 먹기도 하며 차로 만들거나 술을 빚기도 한다. 옛날부터 진경(震驚)ㆍ거담ㆍ감기ㆍ천식 등에 모과를 달여 먹었다. 중국에서는 모과를 끓여 설탕에 재어 식용하며, 얇게 썰어 말린 것을 지혈제로도 쓴다.
박하(Menthae Herba)는 수증기 증류를 통해 박하엽에서 얻은 방향성 정유로서 항염작용, 진통작용, 항산화작용, 항소양작용 등이 있고 특유의 청량감을 지니고 있으므로 박하유, 박하수, 연고제 등 외용제제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방에서 청열해독제로 사용되고 있는 황금 및 그 복합생약을 항산화 조건하에서 추출하고 주성분을 가수분해시킴으로서 항산화 작용을 증진시키고 피부투과를 촉진시키며 소염 및 진통효과를 증강시킴으로서 화장품 등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외용겔제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항산화 가수분해물에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담갈색의 갈탄추출액(미국(소멸)특허 제4084938호; 상품명 - Nano ATP (Black), 한국iHS(주)),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무색의 갈탄추출액(미국(소멸)특허 제4084938호; 상품명 - Nano ATP Ⅰ(White), 한국iHS(주)), 메칠설포닐메탄(상품명 - Nano ATP Ⅱ, 한국iHS(주)) 및 알파리포인산(상품명 - Nano ATP Ⅲ, 한국iHS(주)) 등 항산화 작용이 강한 음이온성 나노셀을 복합하여 콜로이드화 함으로써 항산화작용을 더욱 증강시킬 수 있으며 피부투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
히드로겔과 리오겔 제조시 천연 사포닌 및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서 피부 도포시 맛사지하여 유제생성효과를 나타냄으로서 피부를 더욱 유연하게 만들 수 있는 제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아래와 같으며, 구성비율은 본원 발명에 해당되는 것이고, 구성량에 대해서는 ± 10% 범위에서 실시가 가능하다.
첫째는
황금 1.0kg을 50중량%의 에탄올(EtOH) 수용액 2리터(ℓ)에 넣어 2시간동안 방치하는 단계;
그 용액에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무색의 갈탄추출액(미국(소멸)특허 제4084938호; 상품명 - Nano ATP Ⅰ(white), 이하 '무색의 갈탄추출액'이라 한다.) 20㎖를 넣어 100rpm으로 18시간 동안 교반후 무명천으로 여과하는 단계;
여과후 남은 용액에 10중량%의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 20㎖를 추가하고 35 ~ 50℃로 4시간 경과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취하여 클로로포름 200㎖를 가하고 20분동안 흔들어 준 후 수층을 취하여 50 ~ 60℃에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추출물을 -66℃, 5 ~ 6 mmHg에서 동결 건조하는 단계;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200.0g과 카프릴로카프로일마크로골글리세리드(상품명 - 라브라졸(Labrasol), 계면활성제의 일종) 100.0g 및 카르복시폴리메칠렌(상품명 - Carbomer 940, 겔화제) 10.0g을 순차적으로 증류수 100㎖에 넣어 30분 교반하여 50~60℃로 가온한 용액에,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담갈색의 갈탄추출액(미국(소멸)특허 제4084938호; 상품명 - Nano ATP (black), 이하 '담갈색의 갈탄추출액'이라 한다.) 5.0g,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I (white)) 15.0g, 메칠설포닐메탄(상품명 - Nano ATP Ⅱ, 한국iHS(주)) 2.0g, 알파리포인산(상품명 - Nano ATP Ⅲ, 한국 iHS(주)) 5.0g, 증류수 78㎖를 순차적으로 넣어 혼합하는 단계;
전단계의 동결건조 분말 10g을 에탄올 100㎖와 증류수 100㎖의 혼합액에 넣어 50 ~ 60℃로 가온하여 혼합하는 단계;
모과 나노셀 콜로이드(Chaenomelis Fructus NC) 10.0g을 위의 용액에 가하여 계속 교반하면서 Triethanolamine을 적가하여 pH 7.0으로 한 후 알로에 추출물(Aloe Vera) 150.0g을 가하여 실온에서 교반시킨 다음 40℃에서 용기에 충천하고 4℃로 냉각하여 24시간 방치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둘째는
황금 500g, 생강 300.0g, 더덕 200.0g을 50중량%의 에탄올(EtOH) 수용액 2리터(ℓ)에 넣어 2시간동안 방치하는 단계;
그 용액에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I (white)) 20㎖를 넣어 100rpm으로 18시간 동안 교반후 무명천으로 여과하는 단계;
여과후 남은 용액에 10중량%의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 20㎖를 추가하고 35 ~ 50℃로 4시간 경과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취하여 클로로포름 200㎖를 가하고 20분동안 흔들어 준후 수층을 취하여 50 ~ 60℃에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추출물을 -66℃, 5 ~ 6mmHg에서 동결 건조하는 단계;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200.0g과 카프릴로카프로일마크로골글리세리드(상품명 - 라브라졸(Labrasol)) 100.0g 및 카르복시폴리메칠렌(상품명 - Carbomer 940; 겔화제) 10.0g을 순차적으로 증류수 100㎖에 넣어 30분 교반하여 50 ~ 60℃로 가온한 용액에, 담갈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black)) 5.0g,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I (white)) 15.0g, 메칠설포닐메탄(Nano ATP Ⅱ) 2.0g, 알파리포인산(Nano ATP Ⅲ) 5.0g, 증류수 78㎖를 순차적으로 넣어 혼합하는 단계;
전단계의 동결건조 분말 10g을 에탄올 100㎖와 증류수 100㎖의 혼합액에 넣어 50~60℃로 가온하여 혼합하는 단계;
모과 나노셀 콜로이드(Chaenomelis Fructus NC) 10.0g을 위의 용액에 가하여 계속 교반하면서 Triethanolamine을 적가하여 pH 7.0으로 한 후 알로에 추출물(Aloe Vera) 150.0g을 가하여 실온에서 교반시킨 다음 40℃에서 용기에 충천하고 4℃로 냉각하여 24시간 방치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셋째는
황금 1.0㎏을 50중량%의 에탄올(EtOH) 수용액 2리터(ℓ)에 넣어 2시간동안 방치하는 단계;
그 용액에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I (white)) 20㎖를 넣어 100rpm으로 18시간 동안 교반 후 무명천으로 여과하는 단계;
여과 후 남은 용액에 10중량%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 20㎖를 추가하고 35 ~ 50℃로 4시간 경과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취하여 클로로포름 200㎖를 가하고 20분동안 흔들어 준후 수층을 취하여 50 ~ 60℃에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추출물을 -66℃, 5 ~ 6mmHg에서 동결 건조하는 단계;
올리브 오일(Olive Oil) 223.0g, 살구씨 오일(Armeniae Oil) 100.0g 혼합액에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상품명 - Labrafac) 80.0g을 가하여 50℃에서 30분 녹인 용액에, 담갈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black)) 5.0g,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I (white)) 15.0g, 메칠설포닐메탄(Nano ATP Ⅱ) 2.0g, 알파리포인산(Nano ATP Ⅲ) 5.0g을 순차적으로 글리세린(Glycerin) 200.0g 에 혼합하여 50 ~ 60℃로 가온한 용액을 넣어 혼합하는 단계;
전단계의 동결건조 분말 10g과 에탄올(EtOH) 100㎖에 넣어 50℃로 가온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이 혼합액에 박하 나노셀 콜로이드(Menthae Herba NC) 10.0g을 넣어 상온에서 30분간 혼합 교반하여 40℃로 가열된 용기에 충전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넷째는
황금 500.0g, 생강 300.0g, 더덕 200.0g을 50중량%의 에탄올(EtOH) 수용액 2리터(ℓ)에 넣어 2시간동안 방치하는 단계;
그 용액에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I (white)) 20㎖를 넣어 100rpm으로 18시간 동안 교반 후 무명천으로 여과하는 단계;
여과 후 남은 용액에 10중량%의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 20㎖를 추가하고 35 ~ 50℃로 4시간 경과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취하여 클로로포름 200㎖를 가하고 20분동안 흔들어 준후 수층을 취하여 50 ~ 60℃에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추출물을 -66℃, 5 ~ 6 mmHg에서 동결 건조하는 단계;
올리브 오일(Olive Oil) 223.0g, 살구씨 오일(Armeniae Oil) 100.0g 혼합액에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상품명 - Labrafac) 80.0g을 가하여 50 ~ 60℃에서 30분 녹인 용액에, 담갈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black)) 5.0g,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I (white)) 15.0g, 메칠설포닐메탄(Nano ATP Ⅱ) 2.0g, 알파리포인산(Nano ATP Ⅲ) 5.0g을 순차적으로 글리세린(Glycerin) 200.0g을 혼합하여 50 ~ 60℃로 가온한 용액을 넣어 혼합하는 단계;
전단계의 동결건조 분말 10g과 에탄올(EtOH) 100㎖에 넣어 50℃로 가온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이 혼합액에 박하 나노셀 콜로이드(Menthae Herba NC) 10.0g을 넣어 상온에서 30분간 혼합 교반하여 40℃로 가열된 용기에 충전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 및 그 복합생약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나노셀 콜로이드의 외용겔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황금과 수종 발효생약의 항산화 조건 하에서의 활성성분을 추출하고 그 활성성분을 발효 및 가수분해시켜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화장품 등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외용겔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방법에서 사용된 구성용량은 ± 10%의 변화가 허용되고, 기재된 구성비의 비율은 본원 발명에 해당됨을 밝혀둔다.
실시예 1. 황금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히드로겔 제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황금 1.0㎏을 조절로 하여 50중량%의 에탄올(EtOH) 수용액 2ℓ에 넣어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Ⅰ(White)) 20㎖를 가하여 50 ~ 60℃ 수욕상에서 1분당 100회 왕복하여 18시간 진탕시킨 후 내용물을 꺼내어 무명으로 여과한다.
여액에 10중량%의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 20㎖를 가하고 온도는 35 ~ 50℃를 유지하며 4시간 진탕시킨 다음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취하여 클로로포름 200㎖를 가하고 20분동안 흔들어 준후 수층을 취하여 50 ~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은 후 -66℃, 5 ~ 6mmHg 조건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얻는다. (수율 4.7%)
Propyleneglycol 200.0g, 카프릴로카프로일마크로골글리세리드(상품명 - Labrasol) 100.0g 및 카르복시폴리메칠렌(상품명 - Carbomer 940) 10.0g을 순차적으로 증류수 100㎖에 넣어 50 ~ 60℃로 가온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여 녹인 용액에, 담갈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Black)) 5.0g,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Ⅰ(White)) 15.0g, 메칠설포닐메탄(Nano ATP Ⅱ) 2.0g 및 알파리포인산(Nano ATP Ⅲ) 5.0g을 순차적으로 증류수 78㎖에 혼합한 용액을 가하여 준다. 여기에 위의 동결건조 분말 10g을 취하여 에탄올 100㎖ 및 증류수 100㎖를 넣고 50 ~ 60℃로 가온하고 모과 나노셀 콜로이드(Chaenomelis Fructus NC) 10.0g을 혼화하여 위의 용액에 가하여 준다. 계속 교반하면서 Triethanolamine을 적가하여 pH 7.0으로 한 후 알로에 추출물(Aloe Vera) 150.0g을 가하여 실온에서 교반시킨 다음 40℃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4℃로 냉각하여 24시간 방치시킨다.
실시예 2. 황금 복합 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히드로겔 제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황금 500.0g, 생강 300.0g 및 더덕 200.0g을 각각 조절로 하여 50중량%의 에탄올(EtOH) 수용액 2ℓ에 넣어 2시간 동안 방치하고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Ⅰ(White)) 20㎖를 가하고, 이하 실시예 1.의 조제방법에 따라 조작하여 동결건조 분말을 얻는다. (수율 5.1%)
Propyleneglycol 200.0g, 카프릴로카프로일마크로골글리세리드(상품명 - Labrasol; 계면활성제) 100.0g 및 카르복시폴리메칠렌(상품명 - Carbomer 940; 겔화제) 10.0g을 순차적으로 증류수 100㎖에 넣어 50 ~ 60℃로 가온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여 녹인 용액에, 담갈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Black)) 5.0g,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Ⅰ(White)) 15.0g, 메칠설포닐메탄(Nano ATP Ⅱ) 2.0g 및 알파리포인산(Nano ATP Ⅲ) 5.0g을 순차적으로 증류수 78㎖에 혼합한 용액을 가하여 준다. 여기에 위의 동결건조 분말 10g을 취하여 Ethanol 100㎖ 및 증류수 100㎖를 넣고 50 ~ 60℃로 가온하고 모과 나노셀 콜로이드(Chaenomelis Fructus NC) 10.0g을 혼화하여 위의 용액에 가하여 준다. 계속 교반하면서 Triethanolamine을 적가하여 pH 7.0으로 한 후 알로에 추출물(Aloe Vera) 150.0g을 가하여 실온에서 교반시킨 다음 40℃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4℃로 냉각하여 24시간 방치시킨다.
실시예 3. 황금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리오겔 제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황금 1.0㎏을 조절로 하여 50중량%의 에탄올(EtOH) 수용액 2ℓ에 넣어 2시간 동안 방치하고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Ⅰ(White)) 20㎖를 가한 후, 이하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동결건조 분말을 얻는다. (수율 4.7%)
Olive Oil 223.0g과 살구씨 오일(Armeniae Oil) 100.0g 혼합액에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상품명 - Labrafac; 계면활성제) 80.0g을 가하여 50 ~ 60℃에서 30분 동안 가온하여 녹인 용액에 담갈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Black)) 5.0g,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Ⅰ(White)) 15.0g, 메칠설포닐메탄(Nano ATP Ⅱ) 2.0g 및 알파리포인산(Nano ATP Ⅲ) 5.0g을 순차적으로 Glycerin 200.0g에 혼합하고 50~60℃에서 가온하여 분산시킨 용액을 가하여 준다. 여기에 황금 엑스 동결건조 분말 10g을 취하여 에탄올(EtOH) 100㎖에 넣어 50℃에서 혼화하고 박하 나노셀 콜로이드 (Menthae Herba NC) 10.0g을 30분간 교반한 후 위의 용액에 가하여 주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40℃에서 용기에 충전한다.
실시예 4. 황금 복합 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리오겔 제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황금 500.0g, 생강 300.0g 및 더덕 200.0g을 각각 조절로 하여 50중량%의 에탄올(EtOH) 수용액 2ℓ에 넣어 2시간 동안 방치하고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Ⅰ(White)) 20㎖를 가하고, 이하 실시예 1.의 조제방법에 따라 조작하여 동결건조 분말을 얻는다. (수율 5.1%)
Olive Oil 223.0g과 살구씨 오일(Armeniae Oil) 100.0g 혼합액에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상품명 - Labrafac) 80.0g을 가하여 50 ~ 60℃에서 30분 동안 가온하여 녹인 용액에 담갈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Black)) 5.0g,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Ⅰ(White)) 15.0g, 메칠설포닐메탄(Nano ATP Ⅱ) 2.0g 및 알파리포인산(Nano ATP Ⅲ) 5.0g을 순차적으로 Glycerin 200.0g에 혼화하고 50 ~ 60℃에서 가온하여 분산시킨 용액을 가하여 준다. 여기에 황금 엑스 동결건조 분말 10g을 취하여 에탄올(EtOH) 100㎖에 넣어 50℃에서 혼합하고 박하 나노셀 콜로이드(Menthae Herba NC) 10.0g을 30분간 교반한 후 위의 용액에 가하여 주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40℃에서 용기에 충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또는 합성물의 작용 및 실험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나노 에이티피(Nano ATP)의 입자도 및 Zeta Potential 측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히드로겔 및 리오겔 제제의 원료로 사용된 나노 에이티피(Nano ATP)를 10분간 초음파처리한 후 입자도 및 Zeta Potential을 전기영동장치(ELS-8000, Otsuka Electronics)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 200㎚ ~ 600㎚ 정도의 입자크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Zeta Potential은 -35 ~ -60㎷의 전하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1 참조)
황금 항산화 가수분해물의 HPLC에 의한 주성분의 확인 및 정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황금추출건조엑스 50㎎을 메탄올을 가해 용해시키고 전량을 50㎖로 한후 검액으로 하였고, 따로 baicalin, baicalein 표준품 50㎎을 각각 메탄올 50㎖에 녹인후 표준액으로 사용하였다. 칼럼은 μ-Bondapak C18(Waters, ID 3.9㎜ × 30㎝, U.S.A), 이동 용매로는 acetonitril : 0.5% phosphoric acid(27 : 73 v/v)을 사용하였으며 검출기는 UV detector로서 파장은 328㎚, 유속은 1.2 ㎖/min, 20 ㎕를 injection하였고, 얻어진 chromatogram의 면적을 측정하여 검량선법에 의해 함량을 계산하였다.
황금 추출물 중 baicalin과 baicalein의 유지시간은 8.30분과 27.3분으로 표준품과 같은 유지시간을 나타내었다. (도2 참조)
황금 중 Baicalin의 함량은 3.5%이었고 황금 항산화 가수분해물 중 Baicalin의 함량은 1.1%인 반면 Baicalein의 함량은 2.4%로 나타났다. 따라서 황금 항산화 가수분해 조작으로 Baicalin 중 약 68%가 Baicalein으로 가수분해 되었다.
DPPH법에 의한 황금 추출물 및 원료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황금 항산화 추출물 및 원료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il)에 의한 프리 레디컬(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비교하였다. 실험방법은 0.2mM DPPH( 66.7μM)의 농도가 50% 감소되는 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프리 레디컬(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C50,,μM)를 측정하고 표기하였다.
실험결과 FSC5이 나노 에이티피(Nano ATP)(Black)는 9.66μM이고, 나노 에이티피(Nano ATP)Ⅰ(White)는 16.5μM, 1% α-lipoic acid는 12.3μM, 황금 항산화 가수분해물(Scutellariae Rdix Extract under Antioxidative Hydrolysis)은 18.4μM, 황금 복합생약 항산화 가수분해물(Scutellariae Rdix Compounding Extract under Antioxidative Hydrolysis)은 12.4μM로서 나노 에이티피(Nano ATP)(Black)이 가장 양호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4 참조)
온도 및 pH별 잔존량 및 가수분해율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황금추출물을 pH 1.0와 pH 6.0용액에 용해시킨 후 37± 2℃, 50± 2℃에서 20시간 반응시킨 후 각 시간별로 잔존량 및 가수분해율을 측정하였다.
20시간 후 pH 1.0에서 baicalin의 잔존량은 50℃에서 64.11㎍/㎖, 37℃에서는 70.17㎍/㎖로 감소되었다. pH 6.0에서 50℃의 20시간 후의 잔존량은 104.54㎍/㎖ 37℃의 20시간 후의 잔존량은 110.74㎍/㎖으로 감소되어 pH 1.0보다 낮은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다(도5 참조).
pH 1.0에서 가수분해에 의한 baicalein의 생성은 50℃에서 20시간 후 26.81㎍/㎖로서 37℃에서 20시간 후 15.99㎍/㎖보다 높게 나타났다. pH 6.0에서는 50℃에서 20시간 후 11.01㎍/㎖로 37℃에서는 9.52㎍/㎖로서 pH 1.0보다 낮은 가수분해를 나타내었다. (도6, 도7 참조)
황금 엑스 추출물의 히드로겔의 피부투과량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황금 엑스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히드로겔 1g을 취하여 Hairless mouse 피부에 도포한 후 baicalin 및 baicalein의 피부투과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Franz modified diffusion cell (area : 1.77㎠, effective vol. : 11.5㎖)을 이용하였다. Hairless mouse 피부는 복부를 절개하고 피하지방 및 모세혈관을 조심스럽게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시험액은 pH 7.4 완충용액을 사용하였다. Franz modified diffusion cell에 hairless mouse 피부를 장착하고 LR, GF, GLC 및 GLN gel 제제를 도포한 후 채취시간마다 시험액 100㎕씩을 채취하고 새로운 시험액을 동량 보충하였다. 시험액은 37± 0.2℃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cell 내의 교반속도는 600rpm으로 고정하였다. 피부의 단위 면적당 통과한 주성분의 양을 시간에 대한 함수로 나타낸 후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투과 파라메터들을 구하였다.
Figure 112005043724380-pat00001
Figure 112005043724380-pat00002
Js는 평형 상태에서의 투과 속도 (㎍/㎠/hr)이고, A는 투과가 일어나는 피부의 면적(㎠), (dQ/dt)ss는 평형 상태에서의 단위 시간당 피부를 통과하는 약물의 양(㎍/hr), C는 제제중의 약물 농도(㎍/㎖)이고, K는 약물의 분배계수(피부/기제), h는 피부의 두께(㎝), D는 피부를 통한 약물의 확산 계수(㎠/hr)이며, TL은 lag time(hr)이다.
황금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히드로겔로 만들어 마우스 피부에 도포한 다음 7 시간 후에 투과된 양을 측정한 결과 baicalin의 투과량이 56.39㎍인 반면, baicalein의 투과량은 177.36으로 약 3배 정도 높아졌으며 단위시간당 투과량은 baicalin이 8.05㎍이고 baicalein은 25.33㎍으로 나타났다.(도8 참조)
황금 엑스 추출물 히드로겔 피부잔류량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부투과실험 직후에 피부상에 잔류되어 있는 gel을 제거하고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피부를 충분히 씻어 낸 후 gel을 직접 바른 부분의 피부만을 절제하고 -66℃ 냉동건조기에 보관한 다음 해동시켜 무게를 잰 뒤 tris buffer 1 ㎖을 가하고, homogenizer를 사용하여 균질화 하였다. 균질액에 t-buthyl ethyl ether 5 ㎖를 가하여 원심분리 시킨 후 상징액 1 ㎖를 취하고, 50℃에서 증발 건조시킨 후 용제에 녹여 HPLC에 주입한 다음 피크면적의 양으로써 baicalin 및 baicalein의 잔류량을 산출하였다. (도10 참조)
황금 히드로겔을 마우스 피부에 도포시킨 다음 7시간 후의 표피 잔류량을 비교한 결과 baicalin은 193.2± 7.7㎍이고 baicalein은 73.44± 4.1㎍으로서 나타나 baicalin은 주로 표피에 잔류하고 baicalein은 대부분 피부를 통하여 흡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10 참조)
황금 동결건조 엑스 및 히드로겔의 항균력을 13종의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먼저 시험용 균을 Nutrient agar 및 Desoxycholate citrate agar 배양액의 탁도가 표준탁도기준(Tubidity Standard, Transmittance 35%)과 같도록 조절하여 시험균액으로 하였다.
시료용액으로 황금엑스와 히드로겔을 수욕상에서 가온하여 녹이고 membrane filter(0.2㎛)를 통과시킨 후 200, 100, 50, 25, 12.5 및 6.25㎍/㎖가 되도록 2배씩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각각 2㎖씩 Mueller Hinton agar medium 18㎖와 잘 혼화하여 굳힌 다음, 시험균액 5㎕씩을 자동분주기로 접종하고 37℃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각 균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를 관찰하였다.
따로 멸균한 test tube에 Mueller Hinton broth 8㎖, 시험균액 1㎖, 시료용액 (1000㎍/㎖) 1㎖씩을 가하여 37℃에서 18시간 배양한 다음 600nm에서 각각의 투과도를 측정하고 다음식에 의하여 세균의 성장억제율을 산출하였다. 시료를 가하지 않고 균액만 배양시킨 것을 대조군(Control)으로 하였다.
Figure 112005043724380-pat00003
C : Transmittance of Control
S : Transmittance of Sample
황금 항산화 추출물과 히드로겔의 그람 양성 및 음성균에 대한 세균 성장 억제율을 비교해보면 황금 추출물은 황색 포도상구균, 표피 포도상구균 등 그람 양성균에서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그람 음성균에서는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한편 히드로겔의 항균력은 그람 양성 및 음성균에 모두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그 성장억제율은 낮은 편이었다. (도11 참조)
본원의 제조방법에 따른 황금 및 그 복합생약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나노셀 콜로이드의 외용겔제는 양호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피부에 흡수가 잘 되며, 황색 포도상구균, 표피 포도상구균 등에 높은 항균력을 가진다.

Claims (4)

  1. 황금 1.0kg을 50중량%의 에탄올(EtOH) 수용액 2리터(ℓ)에 넣어 2시간동안 방치하는 단계;
    그 용액에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무색의 갈탄추출액(미국(소멸)특허 제4084938호; 상품명 - Nano ATP I (white)) 20㎖를 넣어 100rpm으로 18시간 동안 교반후 무명천으로 여과하는 단계;
    여과후 남은 용액에 10중량%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 20㎖를 추가하고 35 ~ 50℃로 4시간 경과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취하여 클로로포름 200㎖를 가하고 20분동안 흔들어 준후 수층을 취하여 50 ~ 60℃에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추출물을 -66℃, 5 ~ 6mmHg에서 동결 건조하는 단계;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200.0g과 카프릴로카프로일마크로골글리세리드(상품명 - 라브라졸(Labrasol); 계면활성제) 100.0g 및 카르복시폴리메칠렌(상품명 - Carbomer 940; 겔화제)을 순차적으로 증류수 100㎖에 넣어 30분 교반하여 50~60℃로 가온한 용액에,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담갈색의 갈탄추출액(미국(소멸)특허 제4084938호; 상품명 - Nano ATP (black)) 5.0g,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무색의 갈탄추출액(상품명 - Nano ATP I (white)) 15.0g, 메칠설포닐메탄(상품명 - Nano ATP Ⅱ) 2.0g, 알파리포인산(상품명 - Nano ATP Ⅲ) 5.0g, 증류수 78㎖를 순차적으로 증류수 78㎖에 혼합한 용액을 증류수 500㎖에 넣어 1시간 교반하여 50 ~ 60℃로 가온한 용액에 넣어 혼합하는 단계;
    전단계의 동결건조 분말 10g을 에탄올 100㎖와 증류수 100㎖의 혼합액에 넣어 50 ~ 60℃로 가온하여 혼합하는 단계;
    이 혼합액에 모과 나노셀 콜로이드(Chaenomelis Fructus NC) 10.0g을 넣어 혼합 교반하며 Triethanolamine을 적가하여 pH 7.0으로 한 후 알로에 추출물(Aloe Vera) 150.0g을 가하여 실온에서 교반시킨 다음 40℃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4℃로 냉각하여 24시간 방치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에 기재된 구성물 중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Ⅰ(white)), 담갈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black)), 메칠설포닐메탄(Nano ATP Ⅱ), 알파리포인산(Nano ATP Ⅲ), 황금의 용량은 각각 ± 10% 범위에서 변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 및 그 복합생약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나노셀 콜로이드의 외용겔제의 제조방법.
  2. 황금 500.0g, 생강 300.0g, 더덕 200.0g을 50중량%의 에탄올(EtOH) 수용액 2리터(ℓ)에 넣어 2시간동안 방치하는 단계;
    그 용액에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무색의 갈탄추출액(미국(소멸)특허 제4084938호; 상품명 - Nano ATP I (white)) 20㎖를 넣어 100rpm으로 18시간 동안 교반후 무명천으로 여과하는 단계;
    여과후 남은 용액에 10중량%의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 20㎖를 추가하고 35 ~ 50℃로 4시간 경과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취하여 클로로포름 200㎖를 가하고 20분동안 흔들어 준후 수층을 취하여 50 ~ 60℃에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추출물을 -66℃, 5 ~ 6mmHg에서 동결 건조하는 단계;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200.0g과 카프릴로카프로일마크로골글리세리드(상품명 - 라브라졸(Labrasol); 계면활성제) 100.0g 및 카르복시폴리메칠렌(상품명 - Carbomer 940; 겔화제) 10.0g을 순차적으로 증류수 100㎖에 넣어 30분 교반하여 50~60℃로 가온한 용액에,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담갈색의 갈탄추출액(미국(소멸)특허 제4084938호; 상품명 - Nano ATP (black)) 5.0g,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무색의 갈탄추출액(상품명 - Nano ATP I (white)) 15.0g, 메칠설포닐메탄(상품명 - Nano ATP Ⅱ) 2.0g, 알파리포인산(상품명 - Nano ATP Ⅲ) 5.0g, 증류수 78㎖를 순차적으로 증류수 78㎖에 혼합한 용액을 증류수 500㎖에 넣어 1시간 교반하여 50 ~ 60℃로 가온한 용액에 넣어 혼합하는 단계;
    전단계의 동결건조 분말 10g을 에탄올 100㎖와 증류수 100㎖의 혼합액에 넣어 50 ~ 60℃로 가온하여 혼합하는 단계;
    이 혼합액에 모과 나노셀 콜로이드(Chaenomelis Fructus NC) 10.0g을 넣어 혼합 교반하며 Triethanolamine을 적가하여 pH 7.0으로 한 후 알로에 추출물(Aloe Vera) 150.0g을 가하여 실온에서 교반시킨 다음 40℃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4℃로 냉각하여 24시간 방치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에 기재된 구성물 중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Ⅰ(white)), 담갈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black)), 메칠설포닐메탄(Nano ATP Ⅱ), 알파리포인산(Nano ATP Ⅲ), 황금, 생강, 더덕의 용량은 ± 10% 범위에서 변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 및 그 복합생약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나노셀 콜로이드의 외용겔제의 제조방법.
  3. 황금 1.0kg을 50중량%의 에탄올(EtOH) 수용액 2리터(ℓ)에 넣어 2시간동안 방치하는 단계;
    그 용액에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무색의 갈탄추출액(미국(소멸)특허 제4084938호; 상품명 - Nano ATP I (white)) 20㎖를 넣어 100rpm으로 18시간 동안 교반 후 무명천으로 여과하는 단계;
    여과 후 남은 용액에 10중량%의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 20㎖를 추가하고 35 ~ 50℃로 4시간 경과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취하여 클로로포름 200㎖를 가하고 20분동안 흔들어 준후 수층을 취하여 50 ~ 60℃에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추출물을 -66℃, 5 ~ 6mmHg에서 동결 건조하는 단계;
    올리브 오일(Olive Oil) 223.0g, 살구씨 오일(Armeniae oil) 100.0g 혼합액에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상품명 - Labrafac; 계면활성제) 80.0g을 가하여 50℃에서 30분 녹인 용액에,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담갈색의 갈탄추출액(미국(소멸)특허 제4084938호; 상품명 - Nano ATP (black)) 5.0g,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무색의 갈탄추출액(상품명 - Nano ATP I (white)) 15.0g, 메칠설포닐메탄(상품명 - Nano ATP Ⅱ) 2.0g, 알파리포인산(상품명 - Nano ATP Ⅲ) 5.0g을 순차적으로 글리세린(Glycerin) 200.0g 에 혼합하여 50 ~ 60℃로 가온한 용액을 넣어 혼합하는 단계;
    전단계의 동결건조 분말 10g 과 에탄올(EtOH) 100㎖에 넣어 50℃로 가온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이 혼합액에 박하 나노셀 콜로이드(Menthae Herba NC) 10.0g을 넣어 상온에서 30분간 혼합 교반하여 40℃로 가열된 용기에 충전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에 기재된 구성물 중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Ⅰ(white)), 담갈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black)), 메칠설포닐메탄(Nano ATP Ⅱ), 알파리포인산(Nano ATP Ⅲ), 황금의 용량은 각각 ± 10% 범위에서 변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 및 그 복합생약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나노셀 콜로이드의 외용겔제의 제조방법.
  4. 황금 500.0g, 생강 300.0g, 더덕 200.0g을 50중량%의 에탄올(EtOH) 수용액 2리터(ℓ)에 넣어 2시간동안 방치하는 단계;
    그 용액에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무색의 갈탄추출액(미국(소멸)특허 제4084938호; 상품명 - Nano ATP I (white)) 20㎖를 넣어 100rpm으로 18시간 동안 교반 후 무명천으로 여과하는 단계;
    여과 후 남은 용액에 10중량%의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 20㎖를 추가하고 35 ~ 50℃ 로 4시간 경과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취하여 클로로포름 200㎖를 가하고 20분동안 흔들어 준후 수층을 취하여 50 ~ 60℃에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추출물을 -66℃, 5 ~ 6mmHg에서 동결 건조하는 단계;
    올리브 오일(Olive Oil) 223.0g, 살구씨 오일(Armeniae Oil) 100.0g 혼합액에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상품명 - Labrafac; 계면활성제) 80.0g을 가하여 50 ~ 60℃에서 30분 녹인 용액에,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담갈색의 갈탄추출액(미국(소멸)특허 제4084938호; 상품명 Nano ATP (black)) 5.0g,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촉매제)에 의한 무색의 갈탄추출액(상품명 - Nano ATP I (white) 15.0g, 메칠설포닐메탄(상품명 - Nano ATP II) 2.0g, 알파리포인산(상품명 - Nano ATP III) 5.0g을 순차적으로 글리세린(Glycerin)200.0g에 혼합하여 50 ~ 60℃로 가온한 용액을 넣어 혼합하는 단계;
    전단계의 동결건조 분말 10g 과 에탄올(EtOH) 100㎖에 넣어 50℃로 가온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액에 박하 나노셀 콜로이드(Menthae Herba NC) 10.0g을 넣어 상온에서 30분간 혼합 교반하여 40℃로 가열된 용기에 충전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에 기재된 구성물 중 무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Ⅰ(white)), 담갈색의 갈탄추출액(Nano ATP (black)), 메칠설포닐메탄(Nano ATP Ⅱ), 알파리포인산(Nano ATP Ⅲ), 황금, 생강, 더덕의 용량은 각각 ± 10% 범위에서 변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 및 그 복합생약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나노셀 콜로이드의 외용겔제의 제조방법.
KR1020050072513A 2005-08-08 2005-08-08 황금 및 그 복합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나노셀 콜로이드 외용겔제의 제조방법 KR100723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513A KR100723313B1 (ko) 2005-08-08 2005-08-08 황금 및 그 복합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나노셀 콜로이드 외용겔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513A KR100723313B1 (ko) 2005-08-08 2005-08-08 황금 및 그 복합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나노셀 콜로이드 외용겔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871A KR20070017871A (ko) 2007-02-13
KR100723313B1 true KR100723313B1 (ko) 2007-05-31

Family

ID=4163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513A KR100723313B1 (ko) 2005-08-08 2005-08-08 황금 및 그 복합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나노셀 콜로이드 외용겔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37B1 (ko) 2017-03-16 2017-06-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경구 흡수율이 증진된 생약 추출물의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961B1 (ko) * 2006-09-08 2007-09-1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케토롤락 트로메타민 및 황금엑스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하이드로겔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041A (ko) * 2001-03-14 2002-09-19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여드름 치료 및 예방용 천연물질 조성물
KR100422763B1 (ko) 2002-01-17 2004-03-12 주식회사 태평양 경피흡수 촉진 능력이 우수한 식물성 나노입자의 제조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의약용 외용제 조성물
JP2004217739A (ja) 2003-01-10 2004-08-0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水性ゲル構造体
KR100490365B1 (ko) 2002-04-25 2005-05-17 한불화장품주식회사 화장료용 나노 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01399B1 (ko) 2003-05-23 2005-07-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041A (ko) * 2001-03-14 2002-09-19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여드름 치료 및 예방용 천연물질 조성물
KR100422763B1 (ko) 2002-01-17 2004-03-12 주식회사 태평양 경피흡수 촉진 능력이 우수한 식물성 나노입자의 제조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의약용 외용제 조성물
KR100490365B1 (ko) 2002-04-25 2005-05-17 한불화장품주식회사 화장료용 나노 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217739A (ja) 2003-01-10 2004-08-0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水性ゲル構造体
KR100501399B1 (ko) 2003-05-23 2005-07-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37B1 (ko) 2017-03-16 2017-06-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경구 흡수율이 증진된 생약 추출물의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871A (ko) 200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42993B (zh) 一种皮肤抗敏修复外用制剂
Ren et al. Galla Chinensis,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rehensive review of botany, traditional uses, chemical composition, pharmacology and toxicology
KR102033089B1 (ko) 항균, 항염증, 피지감소, 각질박리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2026407B1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Tiwari et al. The medicinal plant components and applications (Aloe vera)
Dai et al. Honey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 guide to future applications of NADES to medicines
KR20190068361A (ko)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CN107308044A (zh) 婴幼儿消炎抗敏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KR101751590B1 (ko) 마늘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77478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aidi et al. Tunisian Clematis flammula essential oil enhances wound healing: GC-MS analysis,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assessment
KR100723313B1 (ko) 황금 및 그 복합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나노셀 콜로이드 외용겔제의 제조방법
CN102335217B (zh) 谷胱甘肽生成促进剂
KR102081066B1 (ko) 한방 초고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167948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0105B1 (ko)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80053005A (ko)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JP2011195530A (ja) タンパク質糖化抑制剤
CN109364011A (zh) 一种可以美白祛斑的包裹型新八白散及其制备方法
KR101881663B1 (ko) 발효 구인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한 보습력 및 흡수력이 뛰어나며 피부 재생을 도모하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혈관계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CN111184667B (zh) 一种具有滋润保湿、抗敏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746044B1 (ko) 황금 및 그 복합생약 엑스의 항산화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나노셀 콜로이드 외용액제의 제조방법
CN113616801A (zh) 含有黄芩提取物的具有防腐、抑菌制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