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005A -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005A
KR20180053005A KR1020160150281A KR20160150281A KR20180053005A KR 20180053005 A KR20180053005 A KR 20180053005A KR 1020160150281 A KR1020160150281 A KR 1020160150281A KR 20160150281 A KR20160150281 A KR 20160150281A KR 20180053005 A KR20180053005 A KR 20180053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ermatitis
leaves
grape
c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120B1 (ko
Inventor
장선일
유철
조병옥
신재영
데니스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향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향미원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1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Y10S514/85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은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피부염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 및 피부 두께 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으므로, 피부염 치료제 뿐만 아니라 피부염 환자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mprising extract mixture of corn silk, perilla leaf and grape stem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물리적, 화학적으로 외계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전신의 대사에 필요한 생화학적 기능을 영위하는 생명유지에 필수 불가결한 기관이다. 사람의 피부 (머리털, 손, 발톱 등을 포함)에 나타나는 모든 이상 소견을 피부질환, 즉 피부병이라 한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더욱이 피부의 근소한 변화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으며, 병변부의 일부를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검사하거나, 미생물의 검색 등의 검사를 하기 쉽고, 개개의 질병의 진단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그 종류는 다른 장기에 비하여 상당한 수에 이르며, 병명도 복잡 다양하다. 비교적 흔한 피부질환으로는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두드러기, 무좀, 완선, 건선, 단순포진/대상포진, 피부 건조증, 주부습진, 여드름 등이 있다. 이 중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소양감(搔痒感)을 가지는 재발성의 만성 피부염으로 그 원인이 현재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세계 전 인구의 10~20%가 이 피부염으로 고통받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환경 오염 등에 의한 공기 매개성 알러지 (allergy) 원인 물질 (allergen)의 증가와 건조성 피부를 형성시키는 조건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최근 수십 년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유병율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 우리나라 0-4세 유아 100명당 18명이 아토피를 앓고 있으며, 전체 아토피 환자 중에서 0-9세 환자의 비율을 보면 63.6%에 달하고 있다. 이는 아토피와 같은 만성 염증성 질환이 소아들에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심사평가원, 통계청; 2000-2003년 자료).
최근 수십 년간 선진국에서는 아토피 질환의 이환율이 상당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알레르기 질환의 급증과 함께 아토피 피부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에서 2000년도에 전국의 초등학생과 중학생 43,0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24.9%, 중학생의 12.8%가 아토피피부염을 진단받은 것으로 나타날 정도로 국민 건강에 미치는 위해성은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는 2003년에 전국적으로 115만명이 발병하였고, 이는 전국민 중 2.4%에 해당하는 수치이며, 아토피 치료를 위해서 들어간 돈이 의료보험 산출액만으로도 292억원에 이를 정도로 사회적 비용도 큰 질환이다. 더불어 한방치료비용과 민간요법 등의 비용 등을 합산시에는 그 사회적 비용이 60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국민경제에 미치는 심각성도 큰 실정이다.
한편, 옥수수 수염은 '옥촉수(玉蜀鬚)' 또는 '옥촉서예'라고 부르기도 하며, 맛은 달고 담담하며 약리효과가 뛰어나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는데,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향료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옥수수수염을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이뇨작용을 촉진해 소변의 염화물 배출을 활성화 하고, 담즙 분비를 촉진시키며, 혈압과 혈당을 내리고, 지혈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신우 신장에 있는 결석을 녹이는 작용, 소변길(요도)에 있는 진득진득한 물질을 씻어내는 작용이 있다. 최근 임상 보고에 따르면, 만성 신우신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6개월간 복용시킨 결과, 신장 기능이 개선되었고, 부종을 치료했으며, 단백뇨의 소실 및 경감 효과를 부작용없이 개선시켰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들깻잎은 나물 반찬이나 장아찌, 깻잎 김치 등의 밑반찬으로 먹기도 하고, 무침이나 탕 등에 향신료처럼 사용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주로 종실유를 채취할 목적으로 들깨가 재배되어왔으나 최근 육류의 소비증가, 외식문화의 발달 및 웰빙 열풍에 의한 쌈채소 소비 시장의 급성장으로 잎들깨용 품종이 개발되어 연중 생산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들깻잎의 의학적 기능성을 밝히고 이를 식품, 의약 부문에 다양하게 응용할 경우 산업상 이용 가치가 클 것이다. 들깻잎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물질로는 페릴라알데하이드, 로즈마리산, 안토시아닌, 카페인산 등이 보고된 바 있다.
포도는 몸속에 쌓여 있는 나쁜 노폐물 또는 독소를 제거하고, 간의 부담을 덜어주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이뇨작용을 도와 부종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포도 열매에 대한 연구는 이루졌으나, 포도 재배에 따른 포도가지, 포도덩굴 또는 포도 잎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일본등록특허 제5818685호에 유효성분 중에 옥수수 수염 또는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6-0064016호에 깻잎 츄러블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트러블 완화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68890호에 포도가지로부터 폴리페놀을 추출하여 농축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에 대해 언급된 바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이 피부염에 의해 상승한 NO, TNF-α 및 IL-6의 생성량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염이 유발된 피부조직의 두께, 피부염의 유발에 의해 증가된 긁는 횟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염에 의해 두꺼워진 피부를 진정시켜 두께를 감소시키고, 피부염에 의해 긁는 횟수를 줄여주고, 피부염을 자극하는 인자들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은 이들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에 비해 피부염에 의해 증가된 항염인자인 NO 생성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의 항염효과로서, NO 생성율을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UV 조사 및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피부의 두께(A), 멜라닌 지수(B) 및 홍반지수(C)의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은 정상군 대비 UV 조사시 멜라닌 지수 및 홍반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며, p<0.05이다. *, **는 UV 조사 대비 CPG 50, CPG 100 또는 아스코르브산을 처리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멜라닌 지수 및 홍반 지수가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임을 의미한다.
도 4는 UV 조사에 의해 유발된 피부염 모델 마우스에서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피부염의 완화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A)는 H&E 염색 결과이고, (B)는 톨루이딘 블루 염색결과이며, (C)는 피부조직 두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D)는 피부염을 유발시키는 비만세포(mast cell)의 개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은 정상군 대비 UV 조사시 상피세포 두께 및 비만세포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며, p<0.05이다. *, **, ***는 UV 조사 대비 CPG 50, CPG 100 또는 아스코르브산을 처리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피세포 두께 및 비만세포 수가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이며, ***은 p<0.001임을 의미한다.
도 5는 UV 조사 및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MDA(A) 및 GSH(B)의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은 정상군 대비 UV 조사시 MDA(A) 및 GSH(B)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며, p<0.05이다. *는 UV 조사 대비 CPG 50, CPG 100 또는 아스코르브산을 처리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MDA(malondialdehyde) 및 GSH(glutathione)가 감소 또는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임을 의미한다.
도 6은 UV 조사 및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TNF-α(A) 및 IL-6(B)의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은 정상군 대비 UV 조사시 TNF-α(A) 및 IL-6(B)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며, p<0.05이다. *, **는 UV 조사 대비 CPG 50, CPG 100 또는 아스코르브산을 처리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TNF-α 및 IL-6가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임을 의미한다.
도 7은 UV 조사에 의해 유도된 가려움증이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며, (A)는 긁는 횟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H&E 염색 결과이다. #은 정상군 대비 UV 조사시 긁는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며, **, ***는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 또는 양성대조구인 프리드니솔론(prednisolone)을 처리하여 긁는 횟수가 UV 조사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1이며, ***은 p<0.001임을 의미한다.
도 8은 UV 조사에 의해 유도된 피부염 유발 세포인 비만세포(mast cell)의 수가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며, (A)는 비만세포(mast cell)의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톨루이딘 블루 염색결과이다. #은 정상군 대비 UV 조사시 비만세포(mast cell)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며, **, ***는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 또는 양성대조구인 프리드니솔론(prednisolone)을 처리하여 비만세포(mast cell)의 수가 UV 조사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1이며, ***은 p<0.001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부염은 여드름, 알레르기, 두드러기, 아토피 및 습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은 35~45:35~45:30~1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35~40:35~40:30~2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며,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35:35:30, 40:40:20 또는 45:45:10의 중량비인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 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바람직한 추출방법은 1)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를 각각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37~40℃에서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건조된 옥수수 수염과 들깻잎은 분쇄하여 10~30배(부피비)의 증류수에 침지하고 1~3시간 동안 90~110℃에서 끓이며; 포도줄기는 분쇄하여 10~30배(부피비)의 50~85%(v/v)의 에탄올에 침지하여 1~3시간동안 초음파 추출한 후 3일간 상온에서 방치하는 단계, 3) 상기 각각의 추출액은 2,000~4,000rpm으로 15~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하지 않으며, 추출용매의 선택 및 필요에 따라 추출방법은 얼마든지 조절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피부염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파운데이션, 왁스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 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제,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혼합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 재료의 구입
본 발명에서 사용된 옥수수 수염과 들깻잎은 전라북도 김제시 지역특산 농산품 매장에서 구입하였고, 포도줄기는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포도농장에서 2015년 11월에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실험동물의 준비
무균환경에서 사육된 6주령의 수컷 C57/BL과 ICR 마우스는 오리엔트바이오사(익산,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고,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일간 순화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낮과 밤의 주기를 12시간씩 하였고, 온도(20~22℃)와 습도(50~60%)는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전주대학교 실험동물위원회의 규정에 준하여 실험하였다.
3. 통계처리
모든 실험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정상군(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에 대한 검증은 Microsoft excel program의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조사 항목들 간의 유의성 검정은 p<0.0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1. 옥수수 수염 추출물, 들깻잎 추출물 및 포도가지 추출물의 제조
상기 구입한 천연물(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을 수돗물로 잘 세척한 후 증류수로 침지하였다. 이후 물기를 제거하고 37~40℃가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하였다. 잘 건조된 옥수수 수염과 들깻잎은 분쇄하여 각각 100g으로 정량한 후 증류수 2,000㎖을 주입하고, 1시간 끓인 다음 0.45㎛의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또한, 포도줄기는 분쇄하여 100g으로 정량한 후 80%(v/v) 에탄올 용액 2,000㎖을 주입하여 1시간 초음파 추출한 후 3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추출용액은 3,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 후, 0.45㎛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기에서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세포독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40:40:2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RAW 274.7 세포에 100㎍/㎖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CCK-8 용액 10㎕를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인 세포생존율(% of control)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수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항염증 효능 평가
RAW 274.7 세포에 LPS를 처리하여 염증을 유도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옥수수 수염 추출물(Corn silk), 들깻잎 추출물(perilla leaf) 및 포도가지 추출물(GSE)과,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40:40:20(CPG mixture 1), 45:45:10(CPG mixture 2) 및 35:35:30(CPG mixture 3)의 중량비로 혼합한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을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취한 후 Griess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NO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LPS에 의해 증가된 NO 생성량이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NO 생성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하지만 이들을 단독으로 각각 처리한 경우, LPS에 의해 증가된 NO 생성량의 감소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단독처리에 비해 시너지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효과가 우수한 40:40:20의 중량비로 혼합한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CPG)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표피두께, 멜라닌 함량 및 홍반지수 측정
본 실시예 4에서는 UVB 조사에 따른 동물모델의 표피두께, 멜라닌 함량 및 홍반지수 변화와 UVB 조사 시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줄기 추출물의 혼합물 투여한 그룹에서 표피두께, 멜라닌 함량 및 홍반지수 변화를 확인하였다.
(1) UVB 에 의한 피부손상 동물모델
UVB에 의한 피부손상 동물모델은 (1) 정상군(UVB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 (2) UVB 조사군; (3) UVB 조사 + 50mg/kg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줄기 추출물의 복합물 투여군(CPG 50); (4) UVB 조사 + 100mg/kg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줄기 추출물 복합물 투여군(CPG 100); 및 (5) UVB 조사 + 10mg/kg의 아스코르브산 투여군(AA);으로 구별하였고, 난괴법에 따라 각 실험군 당 5마리씩 배정하였으며, 모든 실험동물은 전기면도기를 이용하여 등 쪽 부분을 면도한 후, 제모제를 도포하고 물로 깨끗하게 털을 제거하였다.
(2) 표피두께, 멜라닌 함량 및 홍반지수 측정
상기 확립한 동물모델군 중에서 정상군과 UVB 조사군은 생리식염수를 14일 동안 경구투여하였고, UVB 조사 + CPG 50 투여군, UVB 조사 + CPG 100 투여군 및 UVB 조사 + AA 투여군은 14일 동안 하루에 1회씩 각각의 유효성분을 경구투여하였다. 정상군(대조군)을 제외한 실험군은 경구투여 후 7일째, 10일째 및 13일째, 하루에 1회씩 gL20SE UVB 램프(emission peak 306nm; Sankyo Denki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UVB(300mJ/㎠)를 조사하였다.
24시간 후인 14일째, 각 동물모델군의 표피 두께, 멜라닌 함량 및 홍반지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피두께는 디지털 켈리퍼스(Mitutoyo, Kawasaki, Japan)로 측정하였고, 멜라닌 함량과 홍반지수는 Multiprobe MPA5(CK electronicgmbH, cologne,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UV 조사에 의해 표피가 손상되어 두꺼워지고, 멜리닌 지수 및 홍반지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본 발명의 CPG 50 및 CPG 100을 투여한 군은 정상군에 비해서는 약간 증가했으나 UV 조사군에 비해서는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염증성 세포의 침윤과 비만세포 및 피부두께에 대한 조직학적 평가
상기 실시예 4를 실시한 후,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피부조직을 절취하여 10% 중성 포르말린(pH 7.4)으로 24시간 고정한 후 50~10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탈수하고 자일렌(xylene)으로 세척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파라핀메몰 표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각 실험군의 파라핀메몰 표본은 5μm 두께로 절편한 후 실란-코팅된 마이크로 슬라이드(silane-coated micro slides)(Muto-glass, Tokyo, Japan)에 부착하여 H&E(hematoxylin & eosin)과 톨루이딘 블루(toluidine blue)로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Olympus, Tokyo, Japan)으로 100배 및 400배 시야에서 검경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UV 조사하여 피부염을 유발시킨 실험군의 경우, 정상 대조군에 비해 염증성 세포의 침윤과 비만세포 수 및 피부두께가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및 포도가지 추출물의 혼합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UV 조사군에 비해 염증성 세포의 침윤과 비만세포 수 및 피부두께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지질과산화 분석 및 글루타치온 ( GSH )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2의 동물모델에서 실험 최종일인 14일째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피부조직을 절취하여 차가운 식염수로 씻은 후 액체 질소에서 빠르게 얼려서 분석 전까지 -80℃에 보관하였다. 피부조직은 10㎖의 차가운 용해 완충액(50mM Tris, pH 7.4, 250mM NaCl, 5mM EDTA, 1mM Na3VO4, 1% NP40, 0.02% NaN3, 1mM PMSF+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으로 균질화시키고, 4℃에서 20분간 12,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깨끗한 튜브에 옮긴 후 사용하였다. 상기 준비한 피부 용해물(skin lysate)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 분석과 글루타치온(GSH)은 각각 MDA ELISA 키트(Cell Biolabs., 미국) 및 GSH 어세이 키트(Cayman Chemical., 미국)를 사용하여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및 포도가지 추출물의 혼합물을 처리함으로써 UV 조사에 의해 증가된 MDA가 감소되고, UV 조사에 의해 감소한 GSH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TNF -α 및 IL-6 수준 분석
또한, 상기 준비한 피부 용해물(skin lysate)을 이용하여, TNF-α와 IL-6 정량하였으며, TNF-α와 IL-6 정량은 ELISA 키트(eBioscience, 미국)를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및 포도가지 추출물의 혼합물을 처리함으로써 UV 조사에 의해 증가된 TNF-α 및 IL-6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가려움 억제 효능 평가
순화된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난괴법에 따라 군당 5마리씩 정상군, C48/80(Comound 48/80: Sigma-Aldrich, Louis, MO, USA) 처리 대조군, C48/80+ CPG (100 mg/kg) 처리군, C48/80 + 프레드니솔론(10 mg/kg) 처리군으로 4군을 설정하였다. 가려움증 유도 및 긁는 행동 측정은 스트레스가 해소된 ICR 마우스는 실험군당 5마리의 마우스를 각각 투명 아크릴 케이지(20×26×13 cm)에 한 마리씩 넣고, 안정을 위해 30분 동안 동일한 실험환경에 방치한 후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 하였다. 그 후 60분에 C48/80 (50㎍/site)의 농도로 100㎕씩 마우스 등의 양쪽 어깨 사이 높이에 피하주사 하여 가려움증 유발물질을 주사한 마우스는 곧바로 Mihara의 방법을 따라 마이크로-카메라(ONCCTV, 서울,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60분 동안 녹화하였으며, 뒷발로 가려움증 유발물질이 주입된 부위를 긁는 횟수를 이중맹검법으로 계수하여 평가하였다. 피부조직 염색은 H&E 염색(Hematoxylin & Eosin)과 톨루이딘 블루 염색으로 실시하였다. 피부조직 약 5×5 mm를 적출하여 4% 파라포름알데히드(pH 7.4)로 고정하고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파라핀 블록을 제작한 후, 5μm 두께로 절편하였고, 조직 절편은 탈파라핀과 함수 과정을 거친 후 H&E과 톨루이딘 블루로 염색하여 현미경(×100, Olympus, Japan)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UV 조사에 의해 긁는 횟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CPG (100 mg/kg) 처리군은 긁는 횟수가 UV 조사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도 7), UV 조사에 의해 증가된 염증성 세포가 CPG (100 mg/kg) 처리에 의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8).

Claims (9)

  1.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여드름, 알레르기, 두드러기, 아토피 및 습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은 35~45:35~45:30~1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파운데이션, 왁스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60150281A 2016-11-11 2016-11-11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101885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281A KR101885120B1 (ko) 2016-11-11 2016-11-11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281A KR101885120B1 (ko) 2016-11-11 2016-11-11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05A true KR20180053005A (ko) 2018-05-21
KR101885120B1 KR101885120B1 (ko) 2018-08-03

Family

ID=6245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281A KR101885120B1 (ko) 2016-11-11 2016-11-11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522A (ko) 2021-08-10 2023-02-17 박영경 옥수수 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633A (ko) 2018-12-10 2020-06-18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깻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0321A (ko) 2019-08-14 2021-02-24 지디앤와이 주식회사 잡곡과 쌀을 이용한 글루텐 프리 스낵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531A (ko) *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10027417A (ko) * 2009-09-10 2011-03-16 주식회사 파인엠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11256145A (ja) * 2010-06-10 2011-12-22 Kuwabara Masato Th3マーチ関連疾患の治療及び予防用医薬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531A (ko) *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10027417A (ko) * 2009-09-10 2011-03-16 주식회사 파인엠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11256145A (ja) * 2010-06-10 2011-12-22 Kuwabara Masato Th3マーチ関連疾患の治療及び予防用医薬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522A (ko) 2021-08-10 2023-02-17 박영경 옥수수 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120B1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20B1 (ko)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0821A (ko)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68361A (ko)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964249B1 (ko)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KR102371272B1 (ko)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1594034B1 (ko) 덤불쑥, 알꽈리 및 동백나무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항염증및 노인성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1813871B1 (ko) 피부에 대한 주름개선 및 항염증 기능을 갖는 복합 한약재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9458B1 (ko) 백기생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7533B1 (ko) 한방 식물약재를 이용한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604076B1 (ko) 수수꽃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7607B1 (ko)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815573B1 (ko) 채송화(Portulaca grandiflora Hook.)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0698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두산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40075316A (ko) 칠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506912B1 (ko) 모과, 레몬밤 또는 오렌지블러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6024A (ko) 사우로푸스 스파투리포리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80039390A (ko) 엘리오카르푸스 하이나넨시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80035575A (ko)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