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531A -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531A
KR20100102531A KR1020100016939A KR20100016939A KR20100102531A KR 20100102531 A KR20100102531 A KR 20100102531A KR 1020100016939 A KR1020100016939 A KR 1020100016939A KR 20100016939 A KR20100016939 A KR 20100016939A KR 20100102531 A KR20100102531 A KR 20100102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il
resveratrol
montelukast
atopic derma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숙영
제훈성
박정규
최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ublication of KR2010010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5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알러지성 질환인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등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개선에 매우 우수한 약리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러지성 질환인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등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개선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아토피성 피부질환인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과 이에 따른 2차 감염으로 염증을 동반하는 만성적이고 고질적인 피부염으로, 서구인에게 많아 약 10%의 어린이가 이 병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근래에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아토피 피부염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그 치료가 쉽지 않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아, 대부분이 증상 치료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아토피 피부염이 면역학적 이상으로 유발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이에 따른 새로운 치료들이 시도되고 있다.
면역반응이 부적절하게 또는 과민하게 나타나는 것을 과민반응(Hypersensitivity)이라고 한다. 제1형 과민반응(Type1 Hypersensitivity)인 알러지성 질환은 항원특이적인 IgE급 항체에 의해 유도되는 반응으로, 같은 항원에 노출되더라도 사람에 따라 이 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고 잘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반응을 특이 체질반응이라는 뜻으로 아토피(Atopy)라고도 부른다. 아토피에는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Asthma), 음식 알러지(Food Allergy),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등이 있다.
인체에서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T-helper(Th) 세포에는 Th1과 Th2가 있는데, 이들은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의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한다. 그러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는 Th2 세포가 Th1에 비해 많아 이들간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즉, Th2 세포에서 알레르기에 관여하는 호산구와 IgE 항체를 증가시키는 interleukin(IL)-4, IL-5, IL-10 등의 분비가 많아지게 되고, 반면에 Th1 세포에서 IgE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의 분비가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증가된 IgE에 의해 호염구와 비만세포(Mast Cell)이 활성화된다. IgE 항체가 IgE 수용체(FcεRI)에 결합하고 알러젠이 두개의 FcεRI/IgE 결합체를 교차 연결하여 세포를 활성화하면, 세포내 과립의 방출(Degranulation)이 나타난다. 이때, 히스타민, 류코트리엔 등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세포밖으로 분비되어 강한 소양감, 홍반, 부종, 염증 등의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유발한다(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Abbas et al., 2nd Edition, Saunders, Phildelphia,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36, 1-9, 2004).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는 스테로이드제와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중증에는 면역 억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대부분 그 효과가 일시적이고, 골다공증, 무혈성괴사, 동맥경화, 녹내장, 발암 가능성 등의 부작용이 심하여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완화 및 치료를 위하여, 치료 효과가 좋고 부작용이 적으며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화장품, 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몬테루카스트는 시스테인 류코트리엔(cysteinyl leukotriene) CysLT1 수용체를 억제하는 류코트리엔 수용체 안타고니스트(Antagonist)이다. 류코트리엔은 기도 근육의 수축과 염증 및 폐 내의 유체 축적에 연관이 있다. 몬테루카스트의 염들 중에서 몬테루카스트 소듐은 천식 및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치료제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몬테루카스트는 화합물 자체로 포함될 수도 있고 염의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화합물과 염의 혼합물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은 상기의 경우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상기 몬테루카스트 염의 구체적인 예로는, 몬테루카스트 소듐염, 몬테루카스트 포타슘염, 몬테루카스트 암모늄염, 몬테루카스트 칼슘염, 몬테루카스트 마그네슘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몬테루카스트 염 역시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몬테루카스트 염 중에서도 몬테루카스트 소듐염이 특히 바람직한 바, 몬테루카스트 소듐의 화학명은 [R-(E)]-1-[[[1-3-2[-(7-클로로-2-퀴놀리놀)에테닐]페닐]-3-[2-(1-히드록시-1-메틸에틸)페닐]프로필]티오]메틸]시클로프로판아세트산 모노소듐 염이고, 이는 하기의 구조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레스베라트롤은 3,5,4-트리히드록시스틸벤 구조의 폴리페놀 항산화 물질로, 시스형과 트랜스형의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레스베라트롤은 나자 식물 및 쌍자엽 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식물체 중에서 유리상태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당류와 결합된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또한, 레스베라트롤은 자연계에서는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안정한 트랜스형 이성질체로 존재한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이 주요 발암 단계를 억제함으로써 항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면서(Science, 275, 218-220, 1997), 이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레스베라트롤은 항암 작용은 물론 항산화 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심혈관 질환 예방 등의 다양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레스베라트롤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트랜스-레스베라트롤(trans-3,5,4-트리히드록시스틸벤)으로서, 이를 함유하고 있는 식물종으로부터 수득된 레스베라트롤 함유 추출물 또는 레스베라트롤 자체일 수 있다.
상기의 식물종은 나자 식물 및 쌍자엽 식물로, 예를 들어, 포도, 폴리고넘 커스피다툼(Polygonum cuspidatum), 유칼립투스, 가문비 나무(Spruce), 스코틀랜드 소나무(Scottish pine), 땅콩, 백합 등을 들 수 있다.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은, 특히,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포도, 비티스 로툰디폴리아(rotundifolia) 포도, 비티스 라브루스카(labrusca) 포도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포도의 알맹이, 껍질, 씨, 줄기, 잎 등에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물종의 추출물을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레스베라트롤을 소량 함유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레스베라트롤이 90% 이상으로 고순도 정제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의 조합은, 이후의 실험예에서 입증되고 있는 바와 같이,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때 예기치 못한 향상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이후 설명하는 실험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4배 이상의 향상된 약리 효과를 발휘한다. 더욱이, 레스베라트롤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에는 소망하는 약리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와 같은 약리 효과의 상승률은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것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또한, 만성피부염에 대한 치료와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에 대한 우수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발암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면역 억제제인 타크로리무스(Tacrolimus)와 비교하였을 때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것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억제율을 보인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몬테루카스트나 레스베라트롤의 경우, 아토피 치료제로 사용되는 다른 면역 억제제나 스테로이드 제제에 비하여 인체에 가져오는 독성 및 자극이 훨씬 덜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본 발명이 기존 약물과 비교하였을 때 동등 이상의 효과가 있다는 점은 예기치 못한 놀라운 효과를 의미한다.
이러한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의 함량비는, 하기 실험예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레스베라트롤이 극히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도 몬테루카스트와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함량비(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레스베라트롤)는 중량비를 기준으로 1:0.001 ~ 1:3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를 기준으로 1:0.01 ~ 1:2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5 ~ 1: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 조성물, 식품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 조성물로 사용될 때,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은 약리학적 유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다.
용어 "약리학적 유효량(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투여되는 물질의 양이 치료를 요하는 장애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 경감 또는 줄이거나, 예방을 요하는 질병의 임상학적 마커 또는 증상의 개시를 지연시키는데 유효한 활성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약리학적 유효량은, (1) 질환의 진행 속도를 역전시키는 효과, (2) 질환의 그 이상의 진행을 어느 정도 금지시키는 효과, 및/또는 (3) 질환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 경감(바람직하게는,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는 양을 의미한다. 약리학적 유효량은 치료를 요하는 질병에 대한 공지된 생채내(in vivo) 및 생체외(in vitro) 모델 시스템에서 화합물을 실험함으로써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리학적 유효량의 예들은 이후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경구용, 비경구용의 다양한 형태의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등의 고형제제와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액상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비경구용 제제는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의 외용제 제형, 흡입제, 에어로졸제, 좌제 등으로 제형화 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용매 또는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로는 옥배유(corn oil), 호마유(sesame oil), 면실유(cotton seed oil), 대두유(soybean oil), 땅콩유(peanut oil), 모노(mono)-, 디(di)- 및 트리(tri)-글리세라이드(glyceride),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스쿠알렌(Squalene), 호호바 오일(Jojoba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erose oil), Borage 오일,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와 오일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것의 함량은 조성물의 양을 기준으로 10%(w/v)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로는 레시틴(Lecithin),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스테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물질들 역시 단독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것의 함량은 조성물의 양을 기준으로 5%(w/v) 미만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방부제, 보존재 등 기타 물질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리 활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종래에 사용되어온 다양한 활성물을 병용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종래 아토피 피부 치료제에 많이 사용되어온 세라마이드(ceramide) 등의 보습제 또는 지질 성분이나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s) 등의 스테로이드, 레티닐 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 A 유도체 및/또는 토코페롤 등을 병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조성물이 외용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등을 기재로 하여 적절한 피부 외용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실제 투여 내지 적용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이나 화장품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식품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적절히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건강 식품으로 사용되거나 그것에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식품"이란 일반 식품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첨가함으로써 일반 식품의 기능을 향상시킨 식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일반 식품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경우, 활성성분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화장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장품으로는 스킨, 로션, 크림, 팩 및 색조화장품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젤 타입, 크림 타입, 연고 타입 등의 조성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바, 상기 젤 타입, 크림 타입, 연고 타입 등의 조성물은 그것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통상의 연화제, 유화제, 증점제 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기타 물질들을 첨가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젤 타입 조성물은,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연화제, 프로필렌 글리콜, 에탄올, 이소세틱알콜 등의 용매 및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크림 타입 조성물은, 예를 들어, 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베헤닐 알콜, 아라키딕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및 이소세틸 알콜 등의 지방 알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등의 리피드, 이들의 유도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등의 유화제; 아보카도 오일, 살구 오일, 바바수(babassu) 오일, 유리지치(borage) 오일, 동백 오일 등의 천연 지방 또는 오일; 세라마이드, 콜레스트롤, 지방산, 피토스핀고신, 레시틴 등의 지질 조성물;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매; 및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고 타입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연화제, 유화제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파라핀, 세레신, 밀납, 경납, 바세린 등의 왁스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약제의 제조에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치료 또는 개선"이란, 발병 증상을 보이는 객체에 사용될 때 질병의 진행 또는 발병 증후를 중단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활성성분으로서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에 예기치 못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몬테루카스트 소듐의 함량에 따른 시료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시료를 에탄올:프로필렌 글리콜 = 7:3인 용액에 녹여 제조하였다.
참고로, 타크로리무스(Tacrolimus)는 면역 억제제로서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여 만성피부염에 대한 치료제와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면역 억제제가 발암 등의 부작용이 있다고 보고가 되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Cancer, Vol. 80, p.1141(1997)).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군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약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러한 타크로리무스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몬테루카스트 소듐은 테바(Teva)사 순도 99.5% 이상을 사용하였으며, 레스베라트롤은 Xi'an Tianxing Natural Bio-products사의 순도 99% 이상을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2
실험예 1: 마우스에서 귀 부종 억제 시험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동물 모델 중의 하나인 귀부종 모델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귀부종 모델은 합텐(Hapten, 분자량이 작은 화학물질로 단백질과 결합하여 알러젠이 된다)을 마우스의 귀에 감작(Sensitization)시켜 아토피를 유발(Induction)하고, 유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귀가 부어오르게 되며, 증가된 귀의 두께를 측정하여 귀부종 억제 정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동물 모델이다(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36, 1-9, 2004;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37, 159-167, 2005).
본 실험에서는 Balb/C 마우스(male, 8주령)와 합텐으로 TNCB(1-chloro-2,3,4-trinitro-benzene, Sigma)를 사용하였고, 각 군당 6 마리씩 시험을 실시하였다. 마우스의 배부위(abdomen)를 동물용 clipper와 일반 면도기를 사용하여 털을 완전히 깍고, 1일 후에 7% TNCB(Acetone:olive oil=4:1 에 녹였음) 용액 100 ㎕를 마우스의 배부위에 도포하였다. 5일 후에 마우스를 halothane 마취를 시키고, 양쪽 외이 두께를 thickness guage(Mitutoyo No.7309)로 측정한 후, 1% TNCB(Acetone:olive oil=4:1에 녹였음) 용액 10 ㎕를 양쪽 외이의 안쪽면에 도포하였다. 시료는 1% TNCB 용액 도포 후 즉시 10 ㎕씩을 마우스의 양쪽 외이에 도포하였다. 시료 도포 24시간 후에 thickness guage로 양쪽 외이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외이의 두께 증가는 부종 유발 후 외이 두께를 부종 유발전 외이 두께에서 뺀 값으로 나타내었다. 귀부종 억제율은 다음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표 2]
Figure pat00004
***: P<0.001, 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몬테루카스트를 단독으로 처치한 시험군들(시험군 1~시험군 3)에서는 몬테루카스트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귀부종을 14~36%로 억제하였다. 레스베라트롤은 단독으로 처치(시험군 4)했을 때에는 귀부종을 억제하는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몬테루카스트와 레스베라트롤을 함께 사용한 시험군들(시험군 5~시험군 8)의 귀부종 억제율은 49%~77%로서 각각 처치하였을 때보다 현저히 증가된 놀라운 결과를 얻었다.
시험군 1과 시험군 5를 보면, 몬테루카스트(용량 50 ㎍) 단독의 귀부종 억제율은 14%이나, 몬테루카스트와 레스베라트롤을 함께 사용하면 귀부종 억제율이 49%로서 4배 이상으로 급격하게 증가되었다.
상기의 결과로서,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몬테루카스트와 레스베라트롤은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각각이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보다 아토피 피부염이 현저히 개선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험군들(시험군 5~시험군 8)의 귀부종 억제율이 면역 억제제인 타크로리무스군(양성대조군 1~2)과 대등한 억제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에 따른 시료 제조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시료를 에탄올:프로필렌 글리콜 = 7:3인 용액에 녹여 제조하였다.
참고로, 피메크로리무스(Pimecrolimus)는 타크로리무스와 유사한 면역 억제제로서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여 만성피부염에 대한 치료제와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면역 억제제가 발암 등의 부작용을 있다고 보고가 되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Cancer, Vol. 80, p.1141(1997)).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군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약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러한 피메크로리무스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몬테루카스트 소듐은 테바(Teva)사 순도 99.5% 이상을 사용하였으며, 레스베라트롤은 Xi'an Tianxing Natural Bio-products사의 순도 99% 이상을 사용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5
실험예 2: 마우스에서 귀 부종 억제 시험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아토피 동물 모델 중의 하나인 귀부종 모델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2의 시료들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반복하여 귀부종 억제율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06
***: P<0.001, 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시험군 11과 시험군 13을 비교해 보면,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극히 소량 첨가되는 경우에도 동등한 수준의 억제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레스베라트롤이 극히 소량 첨가되는 경우에도 몬테루카스트와 레스베라트롤이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보다 아토피 피부염이 현저히 개선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험군들(시험군 11~시험군 13)의 귀부종 억제율이 면역 억제제인 피메크로리무스(양성대조군 3)과 동등한 수준의 억제율을 보였다.
이로써, 발암 등의 중대한 부작용이 아직까지 보고가 되지 않은 물질인 몬테루카스트와 레스베라트롤을 함께 사용하면 면역 억제제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어 아토피의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몬테루카스트의 염은 몬테루카스트 소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베라트롤은 트랜스-레스베라트롤(trans-3,5,4-트리히드록시스틸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베라트롤은 순도 90% 이상의 정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의 함량비는 중량비를 기준으로 1:0.001 ~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염과 레스베라트롤의 함량비는 중량비를 기준으로 1:0.01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는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용매 또는 오일이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옥배유(corn oil), 호마유(sesame oil), 면실유(cotton seed oil), 대두유(soybean oil), 땅콩유(peanut oil), 모노(mono)-, 디(di)- 및 트리(tri)-글리세라이드(glyceride),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스쿠알렌(Squalene), 호호바 오일(Jojoba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erose oil), Borage 오일 및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는 분산제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레시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 솔비탄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약제의 제조에 제 1 항에 따른 약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
KR1020100016939A 2009-03-11 2010-02-25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001025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0694 2009-03-11
KR1020090020694 2009-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531A true KR20100102531A (ko) 2010-09-24

Family

ID=4272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939A KR20100102531A (ko) 2009-03-11 2010-02-25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00102531A (ko)
AR (1) AR075809A1 (ko)
TW (1) TW201036947A (ko)
WO (1) WO201010428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005A (ko) * 2016-11-11 2018-05-2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8837B1 (en) 2016-05-04 2020-02-04 Tar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Topical montelukast f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BR112022015199A2 (pt) 2020-02-03 2022-10-11 Taro Pharma Ind Formulações tópicas de montelucaste
GB2599912B (en) * 2020-10-13 2023-04-19 Diomed Dev Ltd New form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579B1 (ko) * 2006-12-13 2009-11-23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히아루론산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005A (ko) * 2016-11-11 2018-05-2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4281A2 (ko) 2010-09-16
AR075809A1 (es) 2011-04-27
WO2010104281A3 (ko) 2010-12-23
TW201036947A (en) 201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579B1 (ko) 히아루론산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US2006028605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psoriasis
US2023005558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conditions and diseases of the skin
JP2022546928A (ja) カンナビジオールを含む局所製剤、組成物の調製方法およびその使用
JP2011012052A (ja) 海藻の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抗炎症組成物
TWI773676B (zh) 新穎之水飛薊(silybum marianum)瘦果萃取物以及其於皮膚科及皮膚化妝品的用途
KR20100102531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90098648A (ko) 칸나비디올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2861239A2 (en) Top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KR101226089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111069A1 (ja) 止痒剤
US8821904B2 (en) Top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for the prophylaxis and the treatment of defects connected to inflammatory dermopathies
US8383166B2 (en) Stable hydrophobic topical herbal formulationn
EP2983684A1 (en) Essential oil and aloe for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inflammations caused by demodex, especially marginal blepharit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essential oil and/or aloe and the use of essential oil and aloe and their compos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 preparation used in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the mentioned inflammations
TW201412324A (zh) 用於治療牛皮癬及皮脂溢出症之局部用組成物
KR20190093104A (ko) 염증성 피부 질환 개선을 위한 소듐서팩틴의 신규 용도
KR20240008375A (ko) 건선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망고스틴 과일 껍질 추출물의 용도
KR102097834B1 (ko) 7, 8, 4&#39;-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015909B1 (ko) 치아시드 오일 함유 피부외용 화장료조성물
US20230346806A1 (en) Combination cannabinoid-phenylethanoid formulation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U2014330796B2 (en) Extracts and compositions of Helichrysum odoratissimu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kin cancers
JP7153429B2 (ja) 活性酸素消去剤
KR101196331B1 (ko) 피부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외용제 조성물
EP2554179B1 (en) Composition based on a vegetable extract for the treatment of cutaneous inflammatory forms, in particular psoriasis.
WO2023247796A1 (en) A skin car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