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579B1 - 히아루론산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아루론산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579B1
KR100927579B1 KR1020060127123A KR20060127123A KR100927579B1 KR 100927579 B1 KR100927579 B1 KR 100927579B1 KR 1020060127123 A KR1020060127123 A KR 1020060127123A KR 20060127123 A KR20060127123 A KR 20060127123A KR 100927579 B1 KR100927579 B1 KR 100927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yaluronic acid
atopic dermatitis
resveratrol
hyalur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4627A (ko
Inventor
최숙영
엄수정
제훈성
이희구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060127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579B1/ko
Priority to CN2007800410606A priority patent/CN101534842B/zh
Priority to PCT/KR2007/006486 priority patent/WO2008072905A1/en
Publication of KR2008005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과, 바람직하게는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조성물은 알러지성 질환인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을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히아루론산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Hyalruronic Acid and/or their Salt f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그것을 약리학적 유효량으로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과 이에 따른 2차 감염으로 염증을 동반하는 만성적이고 고질적인 피부염으로 서구인에게 많아 약 10%의 어린이가 이 병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근래에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아토피 피부염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그 치료가 쉽지 않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아 대부분이 증상 치료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아토피 피부염이 면역학적 이상으로 유발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이에 따른 새로운 치료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면역학적 이상은 과민반응의 형태로 나타나는 바, 면역반응이 부적절하게 또는 과민하게 나타나는 것을 과민반응(Hypersensitivity)이라고 한다. 제1 형 과민반응(Type1 Hypersensitivity)인 알러지성 질환은 항원특이적인 IgE급 항체에 의해 유도되는 반응으로 같은 항원에 노출되더라도 사람에 따라 이 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고 잘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반응을 특이 체질반응이라는 뜻으로 아토피(Atopy)라고도 부른다. 아토피에는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Asthma), 음식 알러지(Food Allergy),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등이 있다.
알러지성 질환을 유발하는 항원특이적인 IgE급 항체의 구체적인 작용기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체에서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T-helper(Th) 세포에는 Th1과 Th2가 있는데, 이들은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의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한다. 그러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는 Th2 세포가 Th1에 비해 많아 이들간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즉, Th2 세포에서 알레르기에 관여하는 호산구와 IgE 항체를 증가시키는 interleukin(IL)-4, IL-5, IL-10 등의 분비가 많아지게 되고, 반면에 Th1 세포에서 IgE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의 분비가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증가된 IgE에 의해 호염구와 비만세포(Mast Cell)이 활성화된다. IgE 항체는 IgE 수용체(FcεRI)에 결합하고 알러젠은 두 개의 FcεRI/IgE 결합체를 교차 연결하여, 세포를 활성화하면 세포내 과립의 방출(Degranulation)이 나타난다. 이 때, 히스타민 등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세포밖으로 분비되어 강한 소양감, 홍반, 부종, 염증 등의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유발한다. 실제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80~90%에서 혈청 IgE가 증가되어 있으며, 혈청 IgE가 증가된 경우, 알러지성 질환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Abbas et al., 2nd Edition, Saunders, Phildelphia,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36, 1-9, 2004).
한편, 알러지성 질환의 일종으로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는 현재 스테로이드제와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중증에는 면역억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대부분 그 효과가 일시적이고, 골다공증, 무혈성괴사, 동맥경화, 녹내장, 발암 가능성 등의 부작용이 심하여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완화 및 치료를 위하여, 치료 효과가 좋고 부작용이 적으며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주요 매개 인자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IgE급 항체이므로, 이러한 IgE의 과도한 분비를 억제하면 항소양 작용과 항염증 작용이 나타나며,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IgE 억제 효과가 있는 물질은 상기에 언급한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면역억제제가 지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 더욱 근본적으로 접근하여, 탁월한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과, 바람직하게는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히아루론산은 HeteroPolysaccharide로서 D-glucronic acid와 D-N- acetylglucosamine의 복합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균 분자량이 20만 Da 이상인 고분자 물질이다. 히아루론산은 인체의 많은 조직, 체액, 소의 안구, 닭벼슬, 동물의 완충조직, 태반 등에서 발견되는 생체 구성물질로, 특히 관절의 연골, 안구에 고농도로 존재하므로 관절염 치료용 주사제, 안과 수술 보조용 주사제, 안구 건조증 치료제 등의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히아루론산은 체내에 분해효소가 존재하고, 수백 배의 수분을 흡수하여 젤을 형성하며, 히아루론산 젤은 점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약물이 방출되는 속도를 늦추는 효과가 있어서, 약물 전달 시스템(DDS, Drug Delivery System) 분야에서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JP 1989-280741, USP 5416071, US2003/0064105). 히아루론산은 수분을 끌어당겨 젤을 형성하는 특징으로 인해, 화장품에서는 보습 성분과 주름 개선 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다(2005-004827, 2004-0024004, 2003-0061447).
그러나, 현재까지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및 치료 효과에 대해 보고된 바는 없으며, 더욱이, 상기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과 레스베라트롤을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을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에 시도한 예도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 실험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토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귀 부종 실험 및 혈중 IgE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 조성물이 탁월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D-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진 반복 단위가 선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체 고분자 물질로서, 분자량이 5만 내지 1,300만 달톤(Dalton)에 이르는 무색 투명한 고점도의 선형 다당류이며, 안구의 유리액, 관절의 활액, 닭벼슬 등 다양한 생물종과 조직으로부터 산 가용화법, 알칼리 가용화법, 중성 가용화법, 효소 가용화법 등으로 추출 및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에는 히아루론산 뿐만 아니라 히아루론산 염이 사용될 수도 있는 바, 상기 히아루론산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포타슘 히알루로네이트, 암모늄 히알루로네이트, 칼슘 히알루로네이트, 마그네슘 히알루로네이트, 아연 히알루로네이트, 코발트 히알루로네이트 등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들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히아루론산 또는 히아루론산 염은 추출 및 정제방법, 정량(determination)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분자량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분자량이 클수록 소량으로도 젤을 형성하는 특성이 있다. 일 예로, 히아루론산 조성물에서 히알루론산의 바람직한 함량은 분자량이 100만 Da일 때 2 중량% 이상이며, 300만 Da일 때 0.5 중량% 이상이다.
한편, 상기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의 조성물에서 이들의 분자량과 함량은 히아루론산 젤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분자량 및 함량이어야 하는 바, 바람직한 분자량은 20만 Da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만 Da 내지 1000만 Da이고, 바람직한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50 중량%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 외에도 레스베라트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과 레스베라트롤이 각각 단독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보다 예기치 못한 향상된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과 레스베라트롤의 특정한 조합이 상호 경쟁 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상호 보완 작용을 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 러한 사실들은 추후 설명하는 실시예와 실험예에서 실험적으로 입증된다.
상기 레스베라트롤은 3,5,4-트리히드록시스틸벤 구조의 폴리페놀 항산화 물질로서, 나자식물 및 쌍자엽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식물체 중에서 유리상태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당류와 결합된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J. Prog. Phytochem., 6, 203-209, 1980). 레스베라트롤은 항암 작용은 물론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심혈관 질환 예방 등의 다양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Mol. Nutr.Food Res., 49, 405-430,2005 ;Biomed Pharmacother., 56, 84-87, 2002 ; AJH, 18, 864-870, 2005 ; Food Chemistry, 101, 449-457, 2007). 따라서, 인플루엔자 치료 물질(KR 2005-0071627), 화장품의 노화방지 및 피부 미백 성분(KR 2004-0101665, KR 2005-0039927), 건강 기능성 식품(KR 2006-0015735)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레스베라트롤은 cis형과 trans형이 있으며, 자연계에서는 몇몇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안정한 trans 이성질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trans-레스베라트롤은 주요 발암 단계를 억제하며, 항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Science, 275, 218-220, 1997) 이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is 형과 trans 형 가운데, 자연계에 존재하는 트랜스-레스베라트롤(trans-3,5,4-트리히드록시스틸벤)이 바람직하며, 임의의 적절한 식물종으로부터 수득된 레스베라트롤 함유 추출물 또는 레스베라트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물종의 대표적인 예로는 나자 식물과 쌍자엽 식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포도 열매, 포도 껍질, 씨, 줄기 및 포도 잎, 특히, 비티스 비니페 라(Vitis vinifera), 비티스 로툰디폴리아(rotundifolia) 및 비티스 라브루스카(labrusca) 포도, 폴리고넘 커피스다툼(Polygonun cuspidatum), 유칼립투스, 가문비 나무(Spruce), 스코틀랜드 소나무(Scottish pine), 땅콩, 백합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레스베라트롤로서 상기 식물종의 추출물을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레스베라트롤을 소량 함유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레스베라트롤이 90% 이상으로 고순도 정제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가 바람직하며, 0.01 내지 1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용매, 오일, 유화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바, 이러한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두 성분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조성물 제조시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로는, 예를 들어, 옥배유(corn oil), 호마유(sesame oil), 면실유(cotton seed oil), 대두유(soybean oil), 땅콩유(peanut oil), 모노(mono)-, 디(di) 및 트리(tri)-글리세라이드(glyceride),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스쿠알 렌(squalene), 호호바 오일(jojoba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rose oil), 유리지치(borage) 오일,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예를 들어, 레시틴(Lecithin),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스테아레이트 등의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물질들은 일부 예시에 불과하며, 기타 균등한(equivalent)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화장품 또는 화장품 첨가제 형태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는,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화장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장품으로는 스킨, 로션, 크림, 팩 및 색조화장품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젤 타입, 크림 타입, 연고 타입 등의 조성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바, 상기 젤 타입, 크림 타입, 연고 타입 등의 조성물은 그것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통상의 연화제, 유화제, 증점제 또는 당업계에 공지 되어 있는 기타 물질들을 첨가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젤 타입 조성물은,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연화제, 프로필렌 글리콜, 에탄올, 이소세틱알콜 등의 용매 및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크림 타입 조성물은, 예를 들어, 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베헤닐 알콜, 아라키딕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및 이소세틸 알콜 등의 지방 알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등의 리피드, 이들의 유도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등의 유화제; 아보카도 오일, 살구 오일, 바바수(babassu) 오일, 유리지치(borage) 오일, 동백 오일 등의 천연 지방 또는 오일; 세라마이드, 콜레스트롤, 지방산, 피토스핀고신, 레시틴 등의 지질 조성물;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매; 및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고 타입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연화제, 유화제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파라핀, 세레신, 밀납, 경납, 바세린 등의 왁스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과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또는 치료용 약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제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생물체내로 활성 성분의 투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부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상기 담체는 제형에 따라 통상 사용되는 종류에서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분, 젖당, 만니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콘스타치, 및 무기염 등의 고형 담체; 증류수, 생리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에탄올 등의 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액체담체; 및 각종 동식물유, 백색바셀린, 파라핀 및 왁스 등의 유성담체;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예를 들어, 락토스, 수크로즈,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필러 옥수수 녹말, 밀 녹말, 쌀 녹말, 감자 녹말, 겔라틴, 검 트래거켄스, 메틸 셀룰로우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와 같은 셀룰루오즈계 물질 등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약학적 제제는 외용제일 수 있는 바, 이러한 외용제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등을 기재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약학적 제제는 경구형 제제일 수 있는 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외에 좌약제 등 기타 제제들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히아루론산 젤의 제조
분자량이 300만 Da인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1 g에 잔량의 정제수를 넣어 1%(w/w)의 농도로 용해시켜 히아루론산 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레스베라트롤 용액의 제조
레스베라트롤(Sigma, 순도 99% 이상)은 0.1%(w/w)의 농도로 에탄올에 용해시켰다.
실험예 1: 마우스에서 귀 부종 시험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동물 모델 중의 하나인 귀부종 모델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귀부종 모델은 합텐(Hapten, 분자량이 작은 화학물질로 단백질과 결합하여 알러젠이 된다)을 마우스의 귀에 감작(Sensitization)시켜 아토피를 유발(Induction)하고 유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귀가 부어오르게 되며 증가된 귀의 두께를 측정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동물 모델이다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36, 1-9, 2004 ;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37, 159-167, 2005).
본 실험에서는 Balb/C 마우스(male, 5주령)와 합텐으로 DNCB(2,4-dinitro-1-chloro-benzene, Sigma)를 사용하였고 각 군 당 5 마리씩 시험을 실시하였다. DNCB를 아세톤에 1%의 농도로 용해한 용액 30 ㎕를 마우스의 오른쪽 귀에 도포하여 귀를 감작시키고 일주일 지난 후에 1% DNCB 용액 30 ㎕를 매일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켰다. 동시에, 실시예 1의 히아루론산 젤과 비교예 1의 레스베라트롤 용액을 각각 매일 2 번 30 ㎕씩 오른쪽 귀에 도포하였으며, DNCB 감작전과 아토피 유발 1 일째와 3 일째에 디지털 마이크로미터(Digitrix, 일본측정공구㈜)로 귀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아토피 유발 후 증가된 귀두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Increased ear thickness (㎛)
Figure 112006092321030-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토피 유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군(무처치군)은 현저하게 귀의 두께가 증가되었으며, 3 일째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아토피 유발 마우스의 증가된 귀 두께는 대조군(무처치군)의 아토피 유발 마우스의 증가된 귀 두께 보다 현저히 작은 바, 귀부종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에서 증가된 귀 두께는 대조군의 그것에 비해 무려 40 ㎛ 이상의 현저한 차이가 나는 바,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레스베라트롤을 처리한 비교예 1에 비해서도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히아루론산과 레스베라트롤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히아루론산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히아루론산 젤의 제조
분자량이 300만 Da인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1 g에 잔량의 정제수를 넣어 1%(w/w)의 농도로 용해시켜 히아루론산 젤을 제조한 후, 레스베라트롤(Sigma, 순도 99%이상)을 0.1%(w/w)의 농도로 히아루론산 젤에 넣어 섞어 주어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히아루론산 젤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마우스 등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유발 시험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히아루론산 젤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동물 모델 중의 하나인 마우스 등 피부염 유발 시험을 실시하였다. 마우스 등 피부염 유발 모델은, 제모한 마우스의 등에 합텐을 감작시키고, 4 주 내지 5 주 동안 아토피를 유발(Induction)한 후, 수 일 동안 치료약물을 등에 도포하여, 혈액내의 IgE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동물 모델이다(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36, 1-9, 2004). 상기 동물 모델은 혈액내 IgE 양을 측정하여 약물의 IgE 수준의 억제 효과를 보기 때문에, 보다 직접적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동물 모델이다.
본 실험에서는 Balb/C 마우스(male, 5주령)와 합텐으로 DNCB(2,4-dinitro-1-chloro-benzene, Sigma)를 사용하였고 각 군 당 5 마리씩 시험을 실시하였다. DNCB를 아세톤(아세톤:olive oil=3:1)에 1%의 농도로 용해한 용액 200 ㎕를 제모한 마우스의 등에 도포하여 감작시키고, 일주일이 지난 후에 0.5% DNCB 용액 200 ㎕를 이틀에 한 번씩 5 주 동안 도포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시켰다. 유발을 마친 후에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히아루론산 젤, 및 양성 대조군으로 스테로이드 제제인 리도멕스 크림 (성분:Prednisolone Valerate Acetate, 삼아약품)을 매일 2 번 200 ㎕씩 5 일 동안 피부염이 유발된 등에 도포하였으며, 대조군은 무처치하였다. 약물을 도포하기 전과 도포 후 2 일 및 5 일째에 마우스의 꼬리에서 채혈하였다. 혈청을 분리하여 효소면역분석법(Mouse IgE ELISA, Alpha Diagnostic International)으로 혈중 IgE 농도를 측정하였다. 약물 치료전의 IgE 혈중 농도를 기준으로, 치료 후 IgE 농도 감소율(%)을 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6092321030-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스테로이드 제제인 리도멕스, 실시예 1 및 2의 젤에서 아토피 유발 마우스의 IgE 수준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IgE 수준을 억제하는 효과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히아루론산 젤과 실시예 2의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히아루론산 젤이 현재 아토피 치료에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제제보다 월등히 우수하다는 점이다. 상기에서 언급했듯이 IgE 수준의 억제 정도로 아토피성 피부염의 직접적인 치료 효 과를 알 수 있으므로, 실시예 1 및 2의 약제 모두 스테로이드 제제보다 뛰어난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의 젤은 치료 2 일째에서 대조군보다는 약 20% 이상, 리도멕스보다는 약 10% 이상 IgE 수준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 월등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앞서의 실험예 1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레스베라트롤은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히아루론산보다 아토피 치료 효과가 다소 미비했지만,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히아루론산과 함께 사용하였을 때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보다 현저히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히아루론산을 함유한 약학적 제제는 스테로이드 제제보다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 효과적이며, 특히, 히아루론산 및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3: 레스베라트롤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젤의 제조
분자량이 300만 Da인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1%(w/w), 레스베라트롤 0.1%(w/w), 글리세린5%(w/w), 프로필렌 글리콜 3%(w/w), 잔량은 정제수를 넣어 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레스베라트롤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크림의 제조
분자량이 300만 Da인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1%(w/w), 레스베라트롤 0.1%(w/w), 스테아릴알콜 2.5%(w/w), 솔비탄스테아레이트 2.5%(w/w), 동백오일 5%(w/w), 세라마이드 0.1%(w/w), 프로필렌 글리콜 3%(w/w), 잔량은 정제수를 넣어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레스베라트롤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연고의 제조
분자량이 300만 Da인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1%(w/w) 젤 50%, 레스베라트롤 0.1%(w/w), 글리세린 5%(w/w), 솔비탄스테아레이트1%(w/w), 잔량은 바세린을 넣어 연고를 제조하였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히아루론산 및/또는 히아루론산 염을 포함한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제제 등으로 제조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상기 조성물에 레스베라트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현저히 탁월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주성분으로서 (i) 히아루론산, 또는 (ii) 히아루론산 염, 또는 (iii) 히알루론산 및 히알루론산 염을 포함하고,
    레스베라트롤을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히아루론산 염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포타슘 히알루로네이트, 암모늄 히알루로네이트, 칼슘 히알루로네이트, 마그네슘 히알루로네이트, 아연 히알루로네이트 및 코발트 히알루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아루론산 염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아루론산 또는 히아루론산 염의 분자량은 20만 Da 이상 내지 1000만 D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아루론산 또는 히아루론산 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베라트롤은 트랜스-레스베라트롤(trans-3,5,4-트리히드록시스틸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베라트롤은 순도 90% 이상의 정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젤 타입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타입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연고 타입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활성 성분으로서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과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용 약학적 제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외용제 또는 경구형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제제.
KR1020060127123A 2006-12-13 2006-12-13 히아루론산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927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123A KR100927579B1 (ko) 2006-12-13 2006-12-13 히아루론산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2007800410606A CN101534842B (zh) 2006-12-13 2007-12-12 用于治疗特应性皮炎的包含透明质酸和/或其盐的组合物
PCT/KR2007/006486 WO2008072905A1 (en) 2006-12-13 2007-12-12 Composi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or its salts f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123A KR100927579B1 (ko) 2006-12-13 2006-12-13 히아루론산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627A KR20080054627A (ko) 2008-06-18
KR100927579B1 true KR100927579B1 (ko) 2009-11-23

Family

ID=3951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123A KR100927579B1 (ko) 2006-12-13 2006-12-13 히아루론산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27579B1 (ko)
CN (1) CN101534842B (ko)
WO (1) WO2008072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4910A2 (en) * 2007-01-30 2008-08-07 Cypress Pharmaceutical, Inc. Hyaluronate compositions
KR20100102531A (ko) *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AU2012222850B2 (en) 2011-02-09 2015-06-04 Forward Scout Enterprises Pty Ltd Cosmetic or pharmaceutical formulation
ES2665254T3 (es) 2011-07-12 2018-04-25 Holy Stone Healthcare Co., Ltd.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ácido hialurónico para tratamiento y prevención de enfermedades relacionadas con las mucosas
TWI446915B (zh) * 2011-07-12 2014-08-01 Holy Stone Healthcare Co Ltd 玻尿酸混合物用於製造治療或預防黏膜相關病變或疾病之組成物的用途
CN108289809B (zh) * 2015-06-05 2021-12-03 汤姆卡特国际有限公司 刺激透明质酸合成的方法
FR3036956B1 (fr) * 2015-06-05 2019-12-20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e de stimulation de la synthese de l'acide hyaluronique
CA2896038C (en) * 2015-07-03 2022-08-09 Glycobiosciences Inc. Polymer matrix compositions comprising a high concentration of bio-fermented sodium hyaluronate and uses thereof
KR20180030721A (ko) 2015-08-10 2018-03-23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국소 조성물들
CN110123795A (zh) * 2018-02-09 2019-08-16 上海睿泰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负载白藜芦醇的人多能干细胞外泌体在制备治疗皮肤病用药物上的用途
WO2019202015A1 (en) * 2018-04-18 2019-10-24 i.com medical GmbH High 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 for enhancing epithelial survival and reconstitution of body surfaces
CN109045279B (zh) * 2018-09-10 2020-01-21 因之彩生物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外用组合物及其应用以及外用治疗剂
KR102289551B1 (ko) 2019-07-17 2021-08-13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복합 히아루론산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CN110237091A (zh) * 2019-07-27 2019-09-17 海南希睿达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可用于儿童的透明质酸修护生物膜
RU2710074C1 (ru) * 2019-10-02 2019-12-2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едикалСайнс" Гидрогелевая водорастворим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гиалуроновой кислоты и ионов поливалентных металлов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DE102022202547A1 (de) 2021-12-09 2023-06-15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Topisch applizierbare Zubereitung zur Verbesserung des Hautzustandes
WO2023104843A1 (de) 2021-12-09 2023-06-15 Beiersdorf Ag Topisch applizierbare zubereitung zur verbesserung des hautzustand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2109A (en) * 1995-02-07 1999-02-16 Shiseido Company, Ltd. Anti-inflammatory ag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7550A (ja) * 1997-04-10 1998-10-27 Nippon Rideia Oririi Kyokai 皮膚外用剤
US6414037B1 (en) * 1998-01-09 2002-07-02 Pharmascienc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resveratrol and methods of use thereof
DE10161110A1 (de) * 2001-12-12 2003-06-26 Ursapharm Arzneimittel Gmbh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zur ophthalmologischen und rhinologischen Anwend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2109A (en) * 1995-02-07 1999-02-16 Shiseido Company, Ltd. Anti-inflammatory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72905A1 (en) 2008-06-19
CN101534842A (zh) 2009-09-16
CN101534842B (zh) 2013-07-03
KR20080054627A (ko)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579B1 (ko) 히아루론산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US20200113963A1 (en) Aloe Preparation For Skin Enhancement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20180008557A (ko) 칠엽담으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8503B1 (ko) 녹차 잎의 열수추출물 및 녹차 잎의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90048202A (ko)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소듐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나노 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9659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EP2306999B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rosacea comprising chitosan and a dicarboxylic acid amide
KR20090079468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극완화 또는 항소양효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EP3042651B1 (en) Composition containing monoacetyldiacylglycero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20100102531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WO2017069793A1 (en) Vaginal ge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181893B1 (ko) 알로에 추출물, 밭벼 추출물 및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101926439B1 (ko) 단당류를 이용한 피부 보습 개선용 조성물
KR101656322B1 (ko) 가르데노시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2204367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6573B1 (ko)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열매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30076873A (ko) 쑥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16997348A (zh) 使用包含冰岛苔提取物的组合物的方法
KR101747699B1 (ko) 세포간 간극 결합 차단 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 또는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77432A (ko) 히아루론산 및/또는 그것의 염과 ppar 항진제를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80063025A (ko)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열매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60026452A (ko) 브레비스카핀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60054675A (ko) 상심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