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953A - 기록매체의 메모리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 및 기록매체드라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의 메모리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 및 기록매체드라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953A
KR20040029953A KR10-2003-7006037A KR20037006037A KR20040029953A KR 20040029953 A KR20040029953 A KR 20040029953A KR 20037006037 A KR20037006037 A KR 20037006037A KR 20040029953 A KR20040029953 A KR 20040029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tape
tap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사 다까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9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11B2220/652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said memory being attached to the recording medium
    • G11B2220/655Memory in cassette [M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4)를 구비한 테이프 카세트(1)를 기록매체에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이 시스템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1)에 설치한 메모리(4)에, 이 테이프 카세트(1)의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기억영역에 부가하여,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가 기억되는 기억영역을 설치한다. 정보처리장치(10, 40, 50)측에서는, 메모리(4)에 기억된 수속정보를 취득해서 처리를 행함으로써, 그 수속정보의 내용에 따른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테이프 카세트(1)에 대해서 어떠한 처치를 시행하기 위한 장치는, 보다 높은 조작성 및 확장성이 실현된다.

Description

기록매체의 메모리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 및 기록매체 드라이브 장치{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RECORDING MEDIUM MEMORY AND RECORDING MEDIUM DRIVE APPARATUS}
디지털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고, 다시 자기 테이프에 기록한 데이터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드라이브 장치로서, 이른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가 알려져 있다.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는, 기록매체로서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수납되는 자기 테이프의 테이프 길이에도 의하지만, 예를 들면 몇십 내지 몇백 기가바이트정도의 방대한 기록용량을 가지기 때문에, 컴퓨터 본체에 내장된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등의 용도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사이즈가 큰 화상 데이터 등의 보존에 이용할 경우에도 적합하다고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와 테이프 카세트로 이루어지는데이터 스토레이지 시스템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적절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가 기록 재생 동작 등의 관리에 이용하는 관리정보 등으로서, 자기 테이프상에 있어서의 각종 위치정보나 자기 테이프에 관한 사용이력 등에 관련되는 정보가 필요해진다.
그래서, 이러한 관리정보의 영역을, 자기 테이프상의 선두위치나, 자기 테이프에 대해서 형성한 각 파티션마다의 선두위치에 준비하도록 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측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관리정보의 영역에 액세스해서 필요한 관리정보를 판독하고, 이 관리정보에 근거해서 이후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적정하게 행하여지도록 각종 처리동작을 실행하고 있다.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종료된 후에는,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에 따라 변경이 필요하게 된 관리정보의 내용을 재기입하기 위해서, 다시, 관리정보의 영역에 액세스해서 정보내용의 재기입을 행하고, 다음 기록 또는 재생 동작에 대비한다. 이 다음,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의 앤로딩 및 이젝트 등이 행하여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관리정보에 근거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행하여질 경우,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는 기록 또는 재생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동작의 개시시에 자기 테이프의 선두 또는 파티션의 선두의 관리정보의 영역에 액세스하는 동시에, 종료시에 있어서도 이 관리정보의 영역에 액세스해서 정보의 기입 또는 판독을 행할 필요가 생긴다. 즉,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이 종료했다고 하는 자기 테이프상의 도중의 위치에서는, 로딩 및 앤로딩 할 수 없다.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의 경우, 액세스를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자기 테이프를 보낼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록 또는 재생의 종료시에 자기 테이프의 선두 또는 파티션의 선두의 관리정보의 영역에 액세스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자기 테이프상에 있어서 물리적으로 관리정보의 영역에서 상당히 벗어난 위치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이 종료한 경우에는, 그만큼 자기 테이프를 보내야 할 양이 많아져서 한층 더 시간도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매체에 이용하는 데이터 스토레이지 시스템에서는, 1회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완결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 즉, 자기 테이프가 로딩되고 나서, 최후에 앤로딩 될 때까지 행하여지는 액세스 동작에 비교적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액세스 동작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될 수 있는 한 단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본체내에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를 설치하고, 그 불휘발성 메모리에 관리정보를 기억시키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 카세트에 대응하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에서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기입 또는 판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함으로써, 불휘발성 메모리에 대해서 자기 테이프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재생에 관한 관리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로딩 또는 앤로딩시에 자기 테이프를 예를 들면 테이프 탑까지 되감을 필요는 없다. 즉 테이프상의 도중위치라도, 로딩 및 앤로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상술한 테이프 카세트에 대응한 시스템의 일례로서, 호스트 컴퓨터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데이터 스토레이지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스토레이지 시스템은, 통상, 테이프 카세트의 기록 재생이 가능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와, 이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와 소정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가 구비하는 하드 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로 대해서 백업하는데 있어서는, 호스트 컴퓨터상에서 기동된 백업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서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여진다. 즉, 백업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는, 하드 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에 대해서 전송한다. 이와 함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있어서는, 백업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를 구동하고, 이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해서,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기입한다. 이렇게 해서 백업을 행한다.
상술한 데이터 스토레이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백업동작을 예로 들더라도, 기록매체로서의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서, 어떤 처치를 설비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모두가 상위 시스템, 즉, 호스트 컴퓨터측에 의해 관리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테이프 카세트 그 자제가, 자신에게 주어진 용도 등에 따라, 처치의 방법을 상위 시스템에 대해서 지정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데이터 스토레이지 시스템의 경우, 테이프 카세트에는 관리정보가 기억된 메모리가 구비됨으로써, 데이터 스토레이지 시스템은, 이 메모리에 기억된 관리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하고, 기록 재생관리를 행하는 것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관리정보에 근거하는 기록 재생 동작은, 어디까지나 상위 시스템이 관리정보의 갱신 등을 관리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기능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테이프 카세트측은 어디까지나 수동적으로 관리정보에 의한 처치가 실시되는 것에 머무른다.
이렇게 해서, 예를 들면 테이프 카세트가 어디까지나 수동적으로 시스템 동작에 따라서 처치되는 현상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보다 하위의, 테이프 카세트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가, 테이프 카세트의 용도 등에 따라서 시스템 전체에 관한 동작을 컨트롤 할 수는 없게 된다.
그래서, 테이프 카세트를 이용하는 어떠한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테이프 카세트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 등이, 호스트 등의 상위 시스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동작을 컨트롤 할 수 있게 구축하면, 지금까지보다도 확장성이 높고, 또한, 조작성이 향상된 시스템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메모리를 구비한 기록매체 및 이 기록매체의 메모리와의 사이에서 통신가능하게 구성된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나아가서는 메모리를 구비한 기록매체를 이용하는 기록매체 드라이브 장치, 기록매체의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이용해서 제어처리를 실행가능한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일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다른 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수납된 리모트 메모리 칩의 구성 및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통신방식의 원리를 도시하는 원리도이다.
도 5A는, 통신 데이터를 도시하는 파형도이고, 도 5B는, 그 변조파를 도시하는 파형도이다.
도 6A는, 검파회로에서 포락선 검파된 반송파의 검파출력(V1)을 도시하고, 도 6B는, 복조 데이터(V2)의 파형도이고, 도 6C는, 실제의 수신 데이터(V2')를 복원한 파형도이고, 도 6D는, 송신 데이터(V4)의 파형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리모트 메모리 칩의 논리 포맷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리모트 메모리 칩의 매뉴팩쳐 퍼트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리모트 메모리 칩의 드라이브 이니셜라이즈 퍼트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리모트 메모리 칩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및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의 설명도이다.
도 11A는, 리모트 메모리 칩내의 제조업자 식별자의 설명도이고, 도 11B는, 2차 식별자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스트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라이브러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라이브러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라이브러리 장치를 구성하는 매거진을 테이프 카세트와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유닛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를 쥔 상태를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유닛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를 쥐고 매거진에 장탈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라이브러리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2B는, 그 측면도이고, 도 22C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리모트 메모리 칩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의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통신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25는,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와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 사이에서 통 신을 행하게 할 경우의, 양자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와 테이프 카세트내의 리모트 메모리 칩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게 할 경우의, 양자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A 및 도 27B는, 수속정보의 제1 이용예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A, 도 28B 및 도 28C는, 수속정보의 제2 이용예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수속정보의 제3 이용예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수속정보의 제1 이용예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드라이브의 처리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1은, 수속정보의 제1 이용예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호스트의 처리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2는, 수속정보의 제1 이용예에 있어서의 수속정보의 내용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3은, 수속정보의 제2 이용예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드라이브의 처리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4는, 수속정보의 제2 이용예에 있어서의 수속정보의 내용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5는, WRITE ATTRIBUTE command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6은, READ ATTRIBUTE command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7은, ATTRIBUTE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8은, ATTRIBUTE ID의 정의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9는, Medium Common Attributes에 속하는 ATTRIBUTE ID의 정의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0A 및 도 40B는, MEDIUM TYPE의 정의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1A 및 도 41B는, Host Common Attributes에 속하는 ATTRIBUTE ID의 정의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2는, Instruction for the cartridge로서의 ATTRIBUTE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통신장치는, 기록매체에 구비되어 이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관리정보 기억영역을 적어도 가지는 메모리 수단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수단과,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를, 통신수단에 의해, 메모리 수단의 수속정보 기억영역에 대해서 기입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관리정보 기억영역을 적어도 가지는 메모리 수단이 구비되는 기록매체가 장전 가능하게 되고, 이 기록매체에 대응한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기록매체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통신수단과,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를, 통신수단에 의해, 메모리 수단의 수속정보 기억영역에 대해서 기입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 수납장치로서, 해당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관리정보 기억영역을 적어도 가지는 메모리 수단이 구비되는 기록매체를 복수 수납 가능하게 하는 수납수단과, 이들 수납수단에 대한 기록매체의 수납, 취출을 행하기 위해서, 기록매체를 보유하고 반송할 수 있는 기구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기록매체 반송수단과, 수납수단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의 기록매체에 구비되는 메모리 수단, 또는 기록매체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되어 있는 상태의 기록매체에 구비되는 메모리 수단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통신수단과,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를, 통신수단에 의해, 메모리 수단의 수속정보 기억영역에 대해서 기입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로서, 기록매체에 구비되어 해당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관리정보 기억영역과,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가 기억되는 수속정보 기억영역을 적어도 가지는 메모리 수단과의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수단과, 이 통신수단에 통신을 실행시킴으로써,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수속정보를 판독하는 동시에, 이 판독된 수속정보로서 기술되는 수속에 따른 소요의 제어처리를 실행가능하게 하는 제어처리수단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정보처리장치는, 기록매체에 구비되어 해당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관리정보 기억영역과,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가 기억되는 수속정보 기억영역을 적어도 가지는 메모리 수단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적어도, 메모리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메모리 정보 판독장치와, 통신가능한 통신수단과, 통신수단을 통하여, 메모리 정보 판독장치에 의해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이 정보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수속정보로서 기술되는 수속에 따른 소요의 제어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하는 제어처리수단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서, 이 기록매체는, 적어도, 해당 기록매체에 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관리정보 기억영역에 부가하여,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가 기억되는 수속정보 기억영역을 가지는 메모리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구비되는 메모리에는, 이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뿐만 아니라,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가 기억되는 수속정보를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수속정보의 메모리에의 기입은, 메모리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통신수단을 구비한, 통신장치, 기록매체 드라이브 장치, 및 기록매체 수납장치에 의해 행하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메모리에 기억된 수속정보를 직접적으로 판독해서 취득하고, 또는, 메모리에 기억된 수속정보를 판독한 다른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취득한 수속 통보를 이용하여, 이 수속정보의 기술내용에 따른 소요의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즉, 본 발명은, 어떤 기록매체에 대해서 시스템이 해야 할 처치가 수속정보에 의해 지정된다. 이것은, 바꾸어 말하면, 기록매체측의 하위 시스템에 의해, 시스템 전체로서의 동작을 컨트롤 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되는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불휘발성 메모리가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매체로 하고, 이 메모리 부착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서 디지털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테이프 드라이브 장치, 즉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 다수의 테이프 카세트를 수납하고 선택적으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장전 가능하게 한 라이브러리 장치, 외부통신장치로서의 데이터 기입 및/또는 판독 장치, 및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스토레이지 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순서로 설명된다.
1.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2.리모트 메모리 칩의 구성 및 통신방식
3.MIC의 데이터 구조
4.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의 구성
5.호스트 컴퓨터의 구성
6.라이브러리 장치의 구성
7.데이터 기입/판독 장치
8.수속정보 이용예(제1 예)
8-1.동작개요
8-2.호스트 인터페이스 포맷
8-3.처리동작
9.수속정보 이용예(제2 예)
9-1.동작개요
9-2.처리동작
10.수속정보 이용예(제3 예)
11.기타의 수속정보 이용예
1.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A는, 리모트 메모리 칩이 배치된 테이프 카세트의 내부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이 도에 도시하는 테이프 카세트(1)의 내부에는 한 쌍의 릴(2A) 및 릴(2B)이 설치되고, 이들 릴(2A, 2B) 사이에 테이프 폭을 8㎜로 하는 자기 테이프(3)가 권장된다. 이 테이프 카세트(1)에는, 불휘발성 메모리 및 그 제어회로계 등을 내장한 리모트 메모리 칩(4)이 설치되어 있다. 리모트 메모리 칩(4)은, 후술하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있어서의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와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것이고, 이를 위한 안테나(5)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리모트 메모리 칩(4)에는, 테이프 카세트마다의 제조정보나 시리얼 번호 정보, 테이프의 두께나 길이, 재질, 각 파티션마다의 기록데이터의 사용이력 등에 관련되는 정보, 유저 정보 등이 기억된다.
또한, 본 설명에서는, 리모트 메모리 칩(4)에 저장되는 각종 정보는, 주로 자기 테이프(3)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의 각종 관리를 위해 이용되는 점에서, 이들을 일괄해서 「관리정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본체내에 불휘발성 메모리를 설치하고, 그 불휘발성 메모리에 관리정보를 기억시켜, 이 테이프 카세트가 이용되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에서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기입 또는 판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불휘발성 메모리에 대해서 자기 테이프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재생에 관한 관리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함으로써, 자기 테이프(3)에 대한 기록 재생 동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딩 또는 앤로딩시에 자기 테이프를 테이프 탑까지 되감을 필요는 없고, 즉 도중의 위치라도, 로딩 또는 앤로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편집 등도, 불휘발성 메모리상에서의 관리정보의 재기입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 테이프상에서 보다 다수의 파티션을 설정하고, 또한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도 1B는, 접촉형 메모리(104),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가 내장된 테이프 카세트(1)를 도시하고 있다. 이 테이프 카세트(1)는, 접촉형 메모리(104)의 모듈로부터 5개의 단자(105A, 105B, 105C, 105D, 105E)가 도출되고, 각각 전원단자, 데이터 입력단자, 클록 입력단자, 어스단자, 예비단자 등으로서 이용된다. 접촉형 메모리(104)안의 데이터로서는, 리모트 메모리 칩(4)과 동일한 관리정보가 기억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1)는, 리모트 메모리 칩(4), 접촉형 메모리(104)안에 저장되는 정보로서, 상술한 「관리정보」뿐만 아니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나 호스트 컴퓨터(40) 등이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수속정보에 의해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나 호스트 컴퓨터(40) 등의 상위 시스템에 대해서 지시를 주어, 시스템의 동작을 적극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관리정보와는 다른 의의를 가지는 것이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테이프 카세트에 구비되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대해서는, MIC(Memory In Cassette)라고도 하기로 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의 MIC로서는, 리모트 메모리 칩(4)과 접촉형 메모리(104)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에 있어서 리모트 메모리 칩(4) 또는 접촉형 메모리(104)에 대해서 특별히 구별하지 않을 경우는, 단순히 「MIC」라고도 기술할 경우가 있다.
도 2는,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하는 테이프 카세트(1)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으로, 카세트 본체는, 상측 케이스(6a), 하측 케이스(6b) 및 가드 패널(8)로 구성되어, 통상의 8밀리 VTR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과 기본적으로는 공통의 구성을 구비한다.
이 테이프 카세트(1)의 측면의 라벨면(9)의 근방에는, 단자부(106)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부(106)는, 도 1B에 도시하는 접촉형 메모리(104)를 내장한 타입의 테이프 카세트(1)에 있어서 전극단자가 배치되는 부분이 되는 것으로, 5개의 단자핀(106A 내지 106E)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단자 핀이, 도 1B에 도시한 각 단자 (105A 내지 105E)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접촉형 메모리(104)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1)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와의 사이에서, 단자 핀(106A, 106B, 106C, 106D, 106E)을 통해서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데이터 신호 등의 상호전송이 행하여진다.
또한, 도 1A에 도시하는 비접촉의 리모트 메모리 칩(4)을 내장하는 타입의 테이프 카세트(1)는, 당연하지만 단자 핀은 불필요해진다. 단, 외관형상으로서는도 2에 도시하게 된다. 즉 장치에 대해서, 도 1B에 도시하는 테이프 카세트(1)와 호환성을 가지고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도 1A에 도시하는 테이프 카세트(1)도 더미의 단자부(10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라벨상으로 형성된 비접촉형의 리모트 메모리 칩을 구비한 테이프 카세트도 알려져 있다. 이 테이프 카세트는, 리모트 메모리 칩이 형성되어 있는 라벨을 카세트 본체의 소요의 위치에 붙인 것이다. 리모트 메모리 칩을 준비한 테이프 카세트(1)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장전되었을 경우에, 리모트 메모리 칩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설치한 메모리 통신부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카세트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7)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라이브러리 장치(50)가 반송시에 테이프 카세트를 보유하는 부분이 된다.
2.리모트 메모리 칩의 구성 및 통신방식
테이프 카세트(1)에 설치한 리모트 메모리 칩(4)과, 이 리모트 메모리 칩(4)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나 라이브러리 장치에 설치되는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32)의 구성을 도 3에 도시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32)는,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블록도로서 도시하고 있고, 구체적인 구성예는, 도 21을 참조해서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2)의 구성으로서 설명한다.
리모트 메모리 칩(4)은, 반도체 IC로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4a), RF부(4b), 로직부(4c), EEP-ROM(4d), 레지스터(4e)를 가진다. 예를 들면,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리모트 메모리 칩(4)은, 테이프 카세트(1)의 내부에 배치된 프린트 기판 위에 마운트되고, 프린트 기판 위에 형성된 동박의 패턴부에서 안테나(5)를 형성한다. 이 리모트 메모리 칩(4)은, 비접촉으로 외부로부터 전력공급을 받는 구성이 된다. 후술하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나 라이브러리 장치(50)와의 사이의 통신은, 예를 들면 13.56MHz의 반송파(캐리어)를 이용하는데,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나 라이브러리 장치(50)로부터의 전자계를 안테나(5)로 수신함으로써, 레귤레이터(4a)가 13.56MHz의 반송파를 직류전력으로 변환한다. 그 직류전력을 동작전원으로 하고, 이 동작전원은, RF부(4b), 로직부(4c), 레지스터(4e)에 공급된다.
RF부(4b)는, 예를 들면 다이오드부(D1), 저항(R1, R2), 콘덴서(C1, C2), 스위칭 소자(Q1)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되고, 수신된 정보, 즉 유도전압(V2)을 로직부(4c)에 공급하는 동시에, 로직부(4c)로부터의 스위칭 제어전압(V4)에 의해 송신하는 정보의 변조를 행한다.
로직부(4c)는, RF부(4b)로부터의 수신신호의 디코드 및 디코드 된 정보(커맨드)에 따른 처리, 예를 들면 EEP-ROM(4d)에 대한 기입 및 판독 처리 등을 실행제어한다.
레지스터(4e)는, EEP-ROM(4d)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예를 들면 후술하는 세션 식별자 등이 로드되어, 그 값이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에의 송신 데이터내에 가해진다.
또한, 도 3은, 설명상, 로직부(4c)와 레지스터(4e)를 다른 블록으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레지스터(4e)는 로직부(4c)로서의 칩내에 갖추어지면 좋다.
한편,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는, 변조기(100M)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에 의해 13.56MHz의 반송파(캐리어)를 변조하고, 안테나(31)(33)를 통해서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송신을 행한다.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는, 복조기(100D)로 복조를 해서 데이터를 얻는다.
다음에, 리모트 메모리 칩(4)과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 사이의 통신동작에 대해서 말한다.
리모트 메모리 칩(4)과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의 통신은, 기본적으로 전자유도의 원리에 근거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에 접속되는 안테나(31)(33)는, 루프 코일(Lrw)에 의해 형성되고, 이 안테나(31)(33)에 전류(Irw)를 흐르게 함으로써 루프 코일(Lrw)의 주변에 자계를 발생시킨다. 한편,리모트 메모리 칩(4)에 접속되는 안테나(5)도 루프 코일(Ltag)로 하고, 루프 코일(Ltag)의 단부에는 루프 코일(Lrw)로부터 방사된 전계에 의한 유도전압이 생기고, 이것이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서의 IC에 입력된다.
안테나(31)(33)와 안테나(5)는, 그 결합도가 서로의 위치관계로 변화하는데, 코일이 자속결합한 트랜스를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델화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신거리를 늘리기 위해서, 안테나(5, 31)(33)에 공진용 콘덴서를 접속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통신거리가 길어져서 루프 코일(Lrw)과 루프 코일(Ltag)이 결합하는 자계가 작아졌을 때에, 공진에 의해 이것을 보충할 수 있다. 즉, 루프 코일(Ltag)에 발생하는 전압이 공진에 의해 커지므로, 리모트 메모리 칩(4)이 필요로 하는 전원을 얻어지는 한계거리가 늘어난다. 또한, 공진회로의, 임피던스가 높아지므로, 송신에 있어서는, 루프 코일(Lrw)의 진폭변동이 루프 코일(Ltag)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수신에 있어서는, 리모트 메모리 칩(4)의 임피던스 변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또, 임피던스 변동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안테나(31)(33)가 방사하는 자계 및 리모트 메모리 칩(4)에서의 유도전압은, 안테나(31)(33)를 흐르는 전류에 따라서 변화된다. 따라서,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에서는 변조기(100M)가 안테나(31)(33)의 전류에 변조를 가함으로써, 리모트 메모리 칩(4)에의 데이터 송신을 행할 수 있다. 즉,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는 자계를 송신 데이터로 변조하고, 리모트 메모리 칩(4)은 입력된 유도전압에 대해서, 다이오드(D1), 콘덴서(C2)를 통한 성분, 즉 정류후에 나타나는교류성분(V2)으로부터 데이터를 복조하게 된다.
리모트 메모리 칩(4)은,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로 데이터를 반송할 경우는, 그 송신 데이터에 따라서 입력 임피던스를 변동시키는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리모트 메모리 칩(4)측에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발진기는 설치되지 않는다. 즉, 로직부(4c)는 송신 데이터(V4)를 스위칭 소자(Q1)의 게이트에 공급해서 스위칭 소자(Q1)를 스위칭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입력 임피던스에의 저항(R2)의 영향이 온/오프되어, 입력 임피던스가 변화된다. 리모트 메모리 칩(4)의 안테나(5)의 단자에서 본 임피던스가 변화되면, 자속결합한 안테나(31)(33)의 임피던스도 변화되고, 그것에 의해 안테나(31)(33)의 단자간의 전류(Irw) 및 전압(Vrw)의 변동이 되어 나타난다.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의 복조기(100D)에서는, 그 변동분을 복조함으로써,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리모트 메모리 칩(4) 자신은 전지를 가지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4a)가, 안테나(5)에 기전된 유도전압(V0)을 검파한 후의 전압(V1)의 직류성분으로부터 전원전압을 얻도록 하고 있다.
유도전압(V0)은 리모트 메모리 칩(4)의 움직임 및 송수신 데이터에 따라서 변동을 받으므로, 리모트 메모리 칩(4)이 안정되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레귤레이터(4a)로 전압을 안정화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는,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통신을 행할 때에는, 우선 미리 안테나(31)(33)로부터 반송파를 출력함으로써 리모트 메모리 칩(4)을 파워 온으로한다. 그 파워 온 상태를 일련의 통신 액세스(기입이나 판독)를 종료할 때까지 유지시킨다. 이 동안, 기입이나 판독을 위한 커맨드 송신시에는,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가 반송파를 ASK변조해서 리모트 메모리 칩(4)에 커맨드 데이터를 송신한다.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는, 송신한 커맨드에 대한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의 애크널리지를 수신할 때에는, 반송파로부터 ASK복조해서 수신 데이터를 얻는다.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한 액세스가 반복되는 기간은,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는 반송파를 출력한 채로 함으로써, 리모트 메모리 칩(4)의 파워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리모트 메모리 칩(4)에 있어서,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 클록은,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의 반송파 주파수 13.56MHz를 분주함으로써, 로직부(4c)에서 생성된다.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로부터 리모트 메모리 칩(4)에 송신되는 신호는, 13.56MHz의 캐리어가 송신 데이터에 의해 ASK변조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ASK변조 신호를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데이터(Vs)에 의해 캐리어(A0)가 변조됨으로써,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ASK변조 신호(V3)가 얻어진다. 이 변조파(V3)는, V3=A0(1+k*Vs(t))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ASK변조도는, 예를 들면 15%가 된다.
도 6A 내지 도 6D에, 리모트 메모리 칩(4)의 송수신 신호를 도시한다.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로 생성된 상술의 ASK변조파(V3)는, 리모트 메모리 칩(4)의 안테나(5)에서 유도전압(V0)으로서 나타난다. 검파회로(다이오드(D1))에서 포락선 검파된 반송파는, 도 6A에 도시하는 검파출력(V1)으로서 얻어진다. 이 검파출력(V1)은,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로부터의 송신 데이터 외에, 리모트 메모리 칩(4) 자신이 전송하는 데이터도 포함된다.
콘덴서(C2)에 의해 DC성분이 컷되고,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복조 데이터(V2)가 로직부(4c)에 입력된다. 로직부(4c)에서는, 입력된 복조 데이터(V2)와 수신 윈도우(t1)에서 논리합을 빼고,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제의 수신 데이터(V2')를 복원한다. 이렇게 해서, 리모트 메모리 칩(4)측에서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로부터의 송신 데이터가 얻어진다.
데이터를 수신한 리모트 메모리 칩(4)은, t1 내지 t2 기간의 데이터 처리 후,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에 대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도 6D에 송신 데이터(V4)를 도시하는데, 이 송신 데이터(V4)에 의해 스위칭 소자(Q1)가 온/오프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임피던스 변화가 행하여지고, 그것에 의해서 데이터가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측에 전송된다. 이 경우, 임피던스 변동율은, 예를 들면 50%이상이 된다.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측에서는, 리모트 메모리 칩(4)측의 임피던스 변동이 자속결합에 의해 결합한 안테나(31)(33)의 전류(Irw) 및 전압(Vrw)을 변동시키기 위해서, 그 변동을 복조기(100D)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복조한다. 이 때의 변조파(V3)는, V3=A0*(1+m*V4(t))으로 나타내어진다.자속결합의 결합도는, 리모트 메모리 칩(4)과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 사이의 거리에 크게 의존하므로, 리모트 메모리 칩(4)측의 임피던스 변동율을 크게 취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측에서도, 도 6A와 마찬가지로 검파출력을 얻고, 도 6B에 도시하는 신호에 대해서 2값화를 행함으로써,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수신 데이터가 얻어진다.
이상이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와 리모트 메모리 칩(4)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된다.
3.MIC의 데이터 구조
다음에, MIC(리모트 메모리 칩(4), 비접촉형 메모리(104))의 EEP-ROM(4d)에 기억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확인을 위해 기술하면, 이하의 각 도 및 설명에서 말하는 「MIC」란, 「Memory in Cassette」이고, 리모트 메모리 칩(4) 및 비접촉형 메모리(104)의 의미이다.
도 7은, EEP-ROM(4d)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구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이다. 이 EEP-ROM(4d)의 기억영역에 있어서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MIC 헤더와 메모리 프리 풀이 설정되어 있다. 이들 MIC 헤더와 메모리 프리 풀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의 제조시의 각종 정보, 초기화시의 테이프 정보, 파티션마다의 정보 등의 각종 관리정보가 기입된다.
MIC 헤더에는, 우선 96바이트가 매뉴팩쳐 퍼트(Manufacture Part)가 되고, 주로 테이프 카세트의 제조시의 각종 정보가 기억된다.
계속해서, 64바이트로 시그네이쳐가 기술되고, 다시 32바이트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16바이트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CRC, 16바이트의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의 영역이 준비되어 있다.
또한, 16바이트의 메커니즘 에러로그, 16바이트의 메커니즘 카운터, 48바이트의 라스트 11 드라이브 리스트가 기억되는 영역이 준비된다.
16바이트의 드라이브 이니셜라이즈 퍼트(Drive Initialize Part)는, 주로 초기화시의 정보 등이 기억된다.
또한, 112바이트의 볼륨·인포메이션(Volume Information)으로서 테이프 카세트 전체의 기본적인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영역이 준비된다. 또 64바이트의 어큐뮬레이티브 시스템 로그(A㏄umulative System Log)로서, 테이프 카세트 제조시부터의 이력정보가 기억되는 영역이 준비된다. MIC 헤더의 최후에는, 528바이트의 볼륨 태그로서의 영역이 준비된다.
메모리·프리·풀은, 관리정보의 추가기억이 가능한 영역이 된다. 이 메모리·프리·풀에는, 기록 재생 동작의 경과나 필요에 따라 각종 정보가 기억/갱신된다. 또한, 메모리·프리·풀에 기억되는 1단위의 데이터군을 「셀」이라고 한다.
우선, 자기 테이프(3)에 형성되는 파티션에 따라, 각 파티션에 대응하는 관리정보가 되는 파티션·인포메이션·셀(Partition INFORMATION Cell)#0, #1…가 메모리·프리·풀의 선두측에서 순차 기입된다. 즉 자기 테이프(3)위에 형성된 파티션과 동수의 셀로서 파티션·인포메이션·셀이 형성된다.
메모리·프리·풀의 후단측에서는, 고속 서치용의 맵정보로서의 슈퍼·하이·스피드·서치·맵·셀(Super High Speed Search Map Cell)이 기입된다.
계속해서 후단측에서 유저·볼륨·노트·셀이나, 유저·파티션·노트·셀이 기입된다. 유저·볼륨·노트·셀은 테이프 카세트 전체에 관해서 유저가 입력한 코멘트 등의 정보이고, 유저·파티션·노트·셀은 각 파티션에 관해서 유저가 입력한 코멘트 등의 정보이다. 따라서, 이들은 유저가 기입을 지시했을 때에 기억되는 것이고, 이들 정보가 반드시 모두 기술되는 것이 아니다. 이들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중간의 영역은, 그대로 메모리·프리·풀로서 뒤의 기입을 위해 남겨진다.
MIC 헤더에 있어서의 매뉴팩쳐 퍼트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조로 한다. 또한, 각 데이터의 사이즈(바이트 수)를 오른쪽에 도시하고 있다. 매뉴팩쳐·퍼트에는, 우선 선두 1바이트에 매뉴팩쳐·퍼트·체크섬(manufacture part checksum)으로서, 이 매뉴팩쳐·퍼트의 데이터에 대한 체크섬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 매뉴팩쳐·퍼트·체크섬의 정보는, 카세트 제조시에 주어진다.
매뉴팩쳐·퍼트를 구성하는 실 데이터로서 MIC 타입(MIC type)으로부터 오프셋(Offset)까지가 기술된다. 또한 리저브(reserved)란, 장래적인 데이터 기억을 위한 예비로 되어 있는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이후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MIC 타입(MIC type)은, 해당 테이프 카세트에 실제로 구비되는 MIC(리모트 메모리 칩(4), 비접촉형 메모리(104))의 타입을 도시하는 데이터이다.
MIC 매뉴팩쳐·데이트(mic mamufacture date)는, 해당 MIC의 제조연월일(및시간)이 표시된다.
MIC 매뉴팩쳐·라인 네임(mic mamufacture line name)은, MIC를 제조한 라인명의 정보가 나타내어진다.
MIC 매뉴팩쳐·플랜트 네임(mic mamufacture plant name)은, MIC를 제조한 공장명의 정보가 나타내어진다.
MIC 매뉴팩튜어러·네임(mic mamufacturer name)은, MIC의 제조회사명의 정보가 나타내어진다.
MIC 네임(MIC name)은, MIC의 벤더명의 정보가 나타내어진다.
카세트 매뉴팩쳐·데이트(cassette manufacture date), 카세트 매뉴팩쳐·라인 네임(cassette manufacture line name), 카세트 매뉴팩쳐·플랜트 네임(cassette manufacture plant name), 카세트 매튜팩튜어러·네임(cassette manufacturer name), 카세트 네임(cassette name)은, 각각 상술한 MIC에 관한 정보 와 동일한 카세트 자체의 정보가 기술된다.
OEM 커스터머·네임(OEM customer name)으로서는, OEM(0riginal Equipment Manufactures)의 상대편의 회사명의 정보가 저장된다.
피지컬·테이프·캐릭터리스틱 ID(Physical tape characteristic ID)로서는, 예를 들면, 테이프의 재질, 테이프 두께, 테이프 길이 등의, 물리적인 자기 테이프의 특성의 정보가 나타내어진다.
맥시멈·클록·프리퀸시(maximum clock frequency)로서는, 해당 MIC가 대응하는 최대 클록 주파수를 도시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블록 사이즈(Block Size)에서는, 예를 들면 MIC(리모트 메모리 칩(4), 비접촉형 메모리(104))의 특성으로서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와의 1회의 통신에 의해 몇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냐 하는 데이터 길이 단위정보가 나타내어진다.
MIC 캐퍼시티(mic capacity)로서는, 해당 MIC(리모트 메모리 칩(4), 비접촉형형 메모리(104))의 EEP-ROM(4d)의 기억용량 정보가 나타내어진다.
라이트 프로텍트·톱 어드레스(write protect top address)는, MIC의 소요의 일부의 영역을 기입 금지로 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기입 금지영역의 개시 어드레스를 도시한다.
라이트 프로텍트 카운트(write protected count)는 기입 금지영역의 바이트 수가 표시된다. 즉, 상기 라이트 프로텍트·스타트 어드레스에서 지정된 어드레스로부터, 이 라이트 프로텍트 카운트의 영역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바이트 수에 의해 차지할 수 있는 영역이 기입 금지영역으로서 설정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ID(Application ID)로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가 표시된다. 또 오프셋(Offset)이 표시된다.
계속해서, MIC 헤더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이니셜라이즈 퍼트의 구조를,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각 데이터의 사이즈(바이트 수)를 오른쪽에 도시한다.
드라이브 이니셜라이즈 퍼트에는, 우선 드라이브 이니셜라이즈 퍼트·체크섬(drive Initialize part checksum)으로서, 이 드라이브 이니셜라이즈 퍼트의 데이터에 대한 체크섬의 정보가 저장된다.
드라이브 이니셜라이즈 퍼트를 구성하는 실 데이터로서 MIC 로지컬 포맷 타입(mic logical format type)으로부터 프리 풀 보텀 어드레스(Free Pool Bottom Address)까지의 정보가 기술된다.
우선, MIC 로지컬·포맷·타입(mic logical format type)으로서, MIC(리모트 메모리 칩(4), 비접촉형 메모리(104))의 논리 포맷의 ID넘버가 저장된다. MIC 포맷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본 MIC, 포맷 외에, 펌웨어 갱신 테이프 MIC 포맷, 리퍼런스 테이프 MIC 포맷, 클리닝 카세트 MIC 포맷 등에 관련되는 포맷이 각종 존재하는 것이 되고, 해당 테이프 카세트의 MIC 포맷에 따른 ID넘버가 표시된다.
슈퍼·하이·스피드·서치·맵·포인터(super high speed search map pointer)에는 도 7의 슈퍼·하이·스피드·서치·맵·셀의 영역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포인터가 배치된다.
유저·볼륨·노트·셀·포인터(user volume note cell pointer)는,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서 유저가 SCSI 경유로 자유롭게 데이터의 판독 기입이 가능한 기억영역, 즉 도 7에 도시한 유저·볼륨·노트·셀의 개시 어드레스를 도시한다.
유저·파티션·노트·셀·포인터(user partition note cell pointer)는, 각파티션에 대해서 유저가 SCSI 경유로 자유롭게 데이터의 판독 기입이 가능한 기억영역, 즉 도 7의 유저·파티션·노트·셀의 개시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유저·파티션·노트·셀은 복수개 기억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 유저·파티션·노트·셀·포인터는, 복수의 유저·파티션·노트·셀 중의 선두의 셀의 개시 어드레스를 도시한다.
파티션·인포메이션·셀·포인터(partition information cell pointer)는, 도 7의 파티션·인포메이션·셀 #0의 개시 어드레스를 도시한다.
메모리·프리·풀에 기입되어 가는 파티션·인포메이션은, 자기 테이프(3)에 형성되는 파티션의 수만큼 형성되게 되지만, 모든 파티션·인포메이션·셀 #0 내지 #N은 링크 구조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파티션·인포메이션·셀·포인터가 파티션 #0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루트가 되고, 그 이후의 파티션·인포메이션·셀의 포인터는, 직전의 파티션·인포메이션·셀내에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각 포인터(슈퍼·하이·스피드·맵·포인터·유저·볼륨·노트·셀·포인터, 유저·파티션·노트·셀·포인터, 파티션·인포메이션·셀·포인터)에 의해, 필드(FL4)내의 각 데이터 위치가 관리된다.
볼륨, 애트리뷰트, 플래그(Volume Attribute Flags)는, MIC4에 대한 논리적인 기입 금지 탭을 제공하기 위해서 1바이트의 플래그로 되어 있다.
프리·풀·톱·어드레스(Free Pool Top Address) 및 프리·풀·보텀·어드레스(Free Pool Bottom Address)는, 필드(FL4)에 있어서의 그 시점에서의 메모리·프리·풀의 개시 어드레스와 종료 어드레스를 도시한다. 메모리·프리·풀로서의 영역은, 파티션·인포메이션이나 유저·파티션·노트 등의 기입이나 소거에 따라서 변화되기 때문에, 그것에 따라서 프리 풀·톱·어드레스나 프리·풀·보텀·어드레스가 갱신된다.
도 7에 도시하는 MIC 헤더에 있어서 도시한,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CRC, 및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의 영역을 도 10에 자세하게 도시한다.
우선, 32바이트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Cartridge Serial Number)로서는, 예를 들면 ASCII코드에 근거한 32문자의 문자정보가 되는 시리얼 넘버가 저장된다. 이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는, 16바이트의 상위넘버(Cartridge Serial Number High)와 16바이트의 하위넘버(Cartridge Serial Number Low)로 구성된다.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CRC로서의 16바이트는, 1바이트의 매뉴팩쳐 ID(Manufacturer ID), 1바이트의 세컨더리 ID(Secondary ID), 1바이트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체크섬(Cartridge Serial Number Checksum), 2바이트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CRC, 11바이트의 리저브로 구성되어 있다.
매뉴팩쳐 ID(Manufacturer ID)는, 예를 들면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조업자 식별자로서 테이프 카세트(1)의 제조업자의 코드 넘버가 저장된다.
세컨더리 ID(Secondary ID)는, 예를 들면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1)의 타입에 따른 2차 식별자가 되고, 예를 들면 1바이트의 코드 값으로서 테이프의 속성정보가 저장된다.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체크섬(Cartridge Serial Number Checksum)은, 상기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매뉴팩쳐 ID, 세컨더리 ID의 체크섬 정보가 된다.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CRC는, 상기 2바이트의 카트리지·시리얼·넘버의 C RC가 된다.
32바이트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와 16바이트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CRC를 합친 48바이트는, 출하시에 기술되는 데이터로서 테이프 카세트의 각각에 고유의넘버가 된다.
즉 이 48바이트가 동일한 테이프 카세트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48바이트의 시리얼 넘버를, 테이프 카세트의 리모트 메모리 칩(4)과의 사이의 인증을 위해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와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CRC를 합한 48바이트를, 설명의 편의상, 단순히 「시리얼 넘버」라고도 하기로 한다. 인증처리에 대해서는, 자세하게는 후술하는데, 그 때, 리모트 메모리 칩(4)과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 사이의 통신에서는, 48바이트의 시리얼 넘버가 16바이트씩 3개의 블록으로 나뉘어서 통신된다. 제1 블록은 16바이트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상위(Cartridge Serial Number High), 제2 블록는 16바이트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 하위(Cartridge Serial Number Low), 제3 블록는 매뉴팩쳐 ID 등을 포함하는, 16바이트의 커트리지 시리얼 넘버 CRC 전체가 된다.
합계 16바이트의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Scratch Pad Memory)의 영역은, 1바이트의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 체크섬, 1바이트의 세션 식별자(Session ID:설명상 또는 도면상, 「세션 ID」, 「SID」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14바이트의 리저브에 의해 구성된다.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 체크섬(Scratch Pad Memory Checksum)은,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의 체크섬 정보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 장치(50)와 테이프 카세트내의 MIC(리모트 메모리 칩(4))가 비접촉, 예를 들면 무선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데, 세션 식별자는, 이 무선 통신시에 있어서 인증처리가 행하여진 결과, MIC(리모트 메모리 칩(4))에 주어지는 통신용 식별자이다.
본 발명에서는,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32)가 통신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라이브러리 장치(50)측에서 리모트 메모리 칩(4)의 인증을 행하고, 그것에 따라 세션 식별자를 부여한다.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액세스할 때에는, 그 1바이트의 세션 식별자를 커맨드에 함유시킴으로써, 특정한 테이프 카세트, 구체적으로는 특정한 테이프 카세트에 설치한 리모트 메모리 칩(4)을 특정하여, 정확한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이브러리 장치(50) 등으로부터 부여된 세션 식별자는, EEP-ROM(4d)에 있어서 이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의 영역에 기억된다.
또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지만, 인증후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서 나누어 주어져야 할 세션 식별자로서는, 예를 들면 라이브러리 장치(50)내의 테이프 카세트끼리 중복되지 않는 값이 선택되게 된다. 라이브러리 장치(50)와 특정한 테이프 카세트의 리모트 메모리 칩(4)과 통신할 때에는, 그 세션 식별자가 사용된다.
접촉형 메모리(104)에 있어서의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의 영역은, 예를 들면 미정의(reserved)의 영역으로서 확보해 두면 좋다. 접촉형 메모리(104)에 대해서도, 세션 식별자를 사용한 어떠한 시스템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이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의 영역을 정의해서 이용하도록 하면 좋다.
그런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MIC에 대해서 수속정보가 기억된다.
MIC의 데이터 구조내에 있어서 이 수속정보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는, 본 예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볼륨·인포메이션내의 소정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볼륨·인포메이션은, 본래, 테이프 카세트 전체의 기본적인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영역이지만, 예를 들면 여기에서는, 볼륨·인포메이션의 영역이, 관리정보에 한하지 않고, 테이프 카세트 전체의 기본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이라고 정의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볼륨·인포메이션의 사이즈는, 112바이트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어떤 소정 사이즈의 수속정보의 기억영역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112바이트에서는 충분하지 않을 것 같으면, 112바이트 이상의 소정 사이즈로 확장해도 좋다.
4.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의 구성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테이프 카세트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는, 상술한 테이프 카세트(1)의 자기 테이프(3)에 대해서 기록 재생을 행하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와, 테이프 카세트(1)를 다수 수납하고, 선택적으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장전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장치(50)와, 이들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40)가 준비된다. 나아가서는, 테이프 카세트의 리모트 메모리 칩(4)과 통신가능한 휴대형 기기인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가 준비된다. 이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는, 리모트 메모리 칩(4)과 통신 가능하게 하기 위한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를 구비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이면, 이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은, 상술한 각 장치를, 용도 등에 따라서 적당히 사용해서 구축된다.
우선, 여기에서는, 도 12에 의해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는, 상술한 테이프 카세트(1)의 자기 테이프(3)에 대해서, 헬리컬 스캔방식에 의해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한다.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회전 드럼(11)에는,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개의 기록 헤드(12A, 12B) 및 3개의 재생 헤드(13A, 13B, 13C)가 설치된다.
기록 헤드(12A, 12B)는, 서로 아지머스각이 다른 2개의 갭이 극히 근접해서 배치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헤드(13A, 13B, 13C)는, 서로 아지머스각이 다른 헤드가 되는데, 예를 들면 90도 떨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재생 헤드 13B와 13C는 동일 아지머스각이 되어 있다. 이들 재생 헤드(13A, 13B, 13C)는, 자기 테이프에 기록한 직후의 데이터의 판독인 이른바 리드 애프터 라이트에도 이용할 수 있다.
회전 드럼(11)은, 드럼 모터(14A)에 의해 회전되는 동시에, 테이프 카세트(1)로부터 인출된 자기 테이프(3)가 둘러 감긴다. 자기 테이프(3)는, 캡스턴 모터(14B) 및 도시하지 않은 핀치 롤러에 의해 정속으로 주행된다. 자기 테이프(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릴(2A, 2B)사이에 권장되어 있는데, 한 쌍의 릴(2A, 2B)은, 각각 릴 모터(14C, 14D)에 의해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드럼 모터(14A), 캡스턴 모터(14B), 릴 모터(14C, 14D)는, 각각 메카 드라이버(17)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회전구동된다. 메카 드라이버(17)는, 서보 컨트롤러(16)로부터의 제어에 근거해서 각 모터를 구동한다. 서보 컨트롤러(16)는, 각 모터의 회전속도제어를 해서 통상의 기록 재생시의 주행이나 고속재생시의 테이프 주행, 빨리 감기, 되감기 시의 테이프 주행 등을 실행시킨다.
또한, EEP-ROM(18)에는, 서보 컨트롤러(16)가 각 모터의 서보제어에 이용하는 정수 등이 저장되어 있다.
서보 컨트롤러(16)는, 인터페이스 컨트롤러/ECC포매터(22)(이하, IF/ECC컨트롤러라고 한다.)를 통해서 시스템 전체의 제어처리를 실행하는 시스템 컨트롤러(15)와 쌍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는, 데이터의 입출력에 SCSI 인터페이스(20)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기록시에는 호스트 컴퓨터(40)로부터, 고정 길이의 레코드(record)라고 하는 전송 데이터 단위에 의해 SCSI 인터페이스(20)를 통해서 점차 데이터가 입력되어, 압축/신장회로(21)에 공급된다. 이러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 시스템에 있어서는, 가변 길이의 데이터의 집합단위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40)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모드도 존재한다.
압축/신장회로(21)는,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서 필요하면, 소정방식에 의해 압축 처리를 실시한다. 압축방식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LZ부호에 의한 압축방식을 채용하는 것이라면, 이 방식에서는 과거에 처리한 문자열에 대해서 전용의 코드가 나누어 주어져서 사전의 형태로 저장된다. 이후에 입력되는 문자열과 사전의 내용이 비교되어, 입력 데이터의 문자열이 사전의 코드와 일치하면, 이 문자열 데이터를 사전의 코드로 치환하도록 해 간다. 사전과 일치하지 않는 입력 문자열의 데이터는, 점차 새로운 코드가 주어져서 사전에 등록되어 간다. 이렇게 해서 입력 문자열의 데이터를 사전에 등록하고, 문자열 데이터를 사전의 코드로 치환해 가는 것에 의해 데이터 압축이 행하여지게 된다.
압축/신장회로(21)의 출력은, IF/ECC 컨트롤러(22)에 공급되는데, IF/ECC 컨트롤러(22)에 있어서는 그 제어동작에 의해 압축/신장회로(21)의 출력을 버퍼 메모리(23)에 일단 축적한다. 이 버퍼 메모리(23)에 축적된 데이터는 IF/ECC 컨트롤러(22)의 제어에 의해, 최종적으로 그룹(Group)이라고 하는 자기 테이프의 40트랙 분에 상당하는 고정 길이의 단위로서 데이터를 취급하게 되고, 이 데이터에 대해서 ECC 포맷처리가 행하여진다.
ECC 포맷처리로서는, 기록 데이터에 대해서 오류 정정 코드를 부가하는 동시에, 자기기록에 적합하도록 데이터에 대해서 변조처리를 행하여 RF처리부(19)에 공급한다.
RF처리부(19)에서는 공급된 기록 데이터에 대해서 증폭, 기록 이코라이징 등의 처리를 해서 기록신호를 생성하고, 기록 헤드(12A, 12B)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기록 헤드(12A, 12B)로부터 자기 테이프(3)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데이터 재생 동작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자기 테이프(3)의 기록 데이터가 재생 헤드(13A, 13B)에 의해 RF재생신호로서 판독되고, 그 재생출력은 RF처리부(19)에서 재생 이콜라이징, 재생 클록 생성, 샘플링, 디코드, 예를 들면비터비 복호 등이 행하여진다. 이렇게 해서 판독된 신호는, IF/ECC 컨트롤러(22)에 공급되고, 우선 오류 정정처리 등이 실시된다. 그리고, 버퍼 메모리(23)에 일시 축적되어, 소정 시점에서 판독되어 압축/신장회로(21)에 공급된다.
압축/신장회로(21)에서는, 시스템 컨트롤러(15)의 판단에 근거하여, 기록시에 압축/신장회로(21)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이면, 여기에서 데이터 신장처리를 행하고, 비압축 데이터이면 데이터 신장처리를 행하지 않고 그대로 패스해서 출력된다.
압축/신장회로(21)의 출력 데이터는, SCSI 인터페이스(20)를 통해서 재생 데이터로서 호스트 컴퓨터(40)에 출력된다.
도 12에는, 테이프 카세트(1)내의 리모트 메모리 칩(4)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는, 테이프 카세트(1)가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에 장전됨으로써,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를 통해서 비접촉상태로 시스템 컨트롤러(15)와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 안테나(31)에 의해, 리모트 메모리 칩(4)과의 사이에서 상술한 통신동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컨트롤러(15)는,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기입 또는 판독을 위한 액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한 데이터 전송은, 기기측으로부터의 커맨드와 그것에 대응하는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의 애크널리지라고 하는 형태로 행하여지는데, 시스템 컨트롤러(15)가 리모트 메모리 칩(4)에 커맨드를 발행하면, 그 커맨드 데이터가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에 있어서 소정의 데이터 구조에 인코드되어, 전술도 한 바와 같이 ASK변조되어 송신된다.
테이프 카세트(1)측에서는, 송신 데이터를 안테나(5)로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커맨드)로 지시된 내용에 따라서 로직부(4c)가 동작을 행한다. 예를 들면, 기입 커맨드와 함께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EEP-ROM(4d)에 기입한다.
이렇게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로부터 커맨드이 발생했을 때에는, 리모트 메모리 칩(4)은 그것에 대응한 애크널리지를 발하게 된다. 한다. 즉, 리모트 메모리 칩(4)의 로직부(4c)는, 애크널리지로서의 데이터를 RF부(4b)에서 변조시켜, 안테나(5)로부터 송신출력한다. 이러한 애크널리지가 안테나(31)로 수신되었을 경우는, 그 수신신호는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로 복조되어, 시스템 컨트롤러(15)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15)로부터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판독 커맨드를 발했을 경우는, 리모트 메모리 칩(4)은 그것에 따른 애크널리지로서의 코드와 함께 EEP-ROM(4d)으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송신해 온다. 그러면, 그 애크널리지 및 판독한 데이터가,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로 수신복조되어, 시스템 컨트롤러(15)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는,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를 가짐으로써, 테이프 카세트(1)내의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액세스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비접촉으로의 데이터 교환은, 데이터를 13MHz대의 반송파에 의해 ASK변조로 중첩하는데, 원래의 데이터는 패키트화 된 데이터가 된다. 즉, 커맨드나 애크널리지로서의 데이터에 대해서 헤더나 패리티, 그 밖에 필요한 정보를 부가해서 패키트화를 행하고, 그 패키트를 코드 변환하고 나서 변조함으로써, 안정된 RF신호로서 송수신할 수 있다.
S-RAM(24), 플래시 ROM(25)은, 시스템 컨트롤러(15)가 각종 처리에 이용하는 데이터가 기억된다. 예를 들면, 플래시 ROM(25)에는 제어에 이용하는 정수 등이 기억된다. S-RAM(24)은, 워크 메모리로서 이용되거나,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리모트 메모리 칩(4)에 기입하는 데이터, 테이프 카세트 단위로 설정되는 모드 데이터, 각종 플래그 데이터 등의 기억이나 연산처리 등에 이용하는 메모리가 된다.
또한, S-RAM(24), 플래시 ROM(25)은, 시스템 컨트롤러(15)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내부 메모리로서 구성해도 좋고, 버퍼 메모리(23) 영역의 일부를 워크 메모리(24)로서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와 호스트 컴퓨터(40)간은 상기한 바와 같이 SCSI 인터페이스(20)를 이용해서 정보의 상호전송이 행하여지는데, 시스템 컨트롤러(15)에 대해서는 호스트 컴퓨터(40)가 SCSI 커맨드를 이용해서 각종의 통신을 행하게 된다.
또한, 도 1B에 도시한 접촉형 메모리(104)를 탑재한 테이프 카세트를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테이프 카세트(1)내의 접촉형 메모리(104)에 대해서 데이터의 기입 또는 판독을 행하기 위해서 커넥터부(45)가 설치된다. 이 커넥터부(45)는, 도 5에 도시한 단자부(106)에 적합한 형상이 되고, 단자부(106)에 접속됨으로써 접촉형 메모리(104)의 5개의 단자(105A 내지 105E)와 시스템 컨트롤러(15), 즉, 시스템 컨트롤러의 메모리 접속용의 포트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컨트롤러(15)는,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1)의 접촉형 메모리(104)에 대해서, 커넥터부(45), 단자부(106)를 통해서 액세스할 수 있다.
커넥터부(45)와 단자부(106)의 접속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는, 예를 들면 로딩 모터(14E)에 의해 로딩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1)의 착석상태를 약간 변이시켜, 물리적으로 접점을 다시 취하는 것이 행하여진다.
이젝트 키(205)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본체 패널에 표출해서 설치되고, 유저가,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장전되어 있는 테이프 카세트(1)를 배출시키고 싶을 때에 조작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이 이젝트 키(205)에 대한 조작정보는, 시스템 컨트롤러(15)에 대해서 입력된다.
5.호스트 컴퓨터의 구성
다음에, 본 발명을 구성하는 호스트 컴퓨터(40)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호스트 컴퓨터(40)는,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301)가, 예를 들면 ROM(302)에 보유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303)에는 CPU(30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이 적당히 보유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4)는, 키보드(305)와 마우스(306)가 접속되어 있고, 이들로부터 공급된 조작신호를 CPU(301)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4)에는, 기억매체로서 하드 디스크을 구비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308)가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04)를 통하여, HDD(308)의 하드 디스크에 대해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기록 또는 판독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출력 인터페이스(304)에는, 또한, 화상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니터(307)가 접속되어 있다.
미디어 드라이버(309)는, 예를 들면 현상이면, CD-ROM나 DVD 등의 특정 종별의 기록매체로서의 미디어를 각각 이용하는 드라이브이고, 장착되는 미디어에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고, 미디어에 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통신망(4)을 통해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예를 들면, 통신망(4)이 전화회선을 이용한 것이면, 하드웨어로서는 모뎀 등이 구비되고, 또한, 네트워크 등을 통한 것이면 Ethernet 등의 인터페이스가 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311)는, 예를 들면 SCSI, USB, IEEE 1394 등으로 대표되는, 외부 주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는, 예를 들면 SCSI으로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311)에 의해 접속되는 외부 주변기기가 된다.
내부 패스(312)는, 예를 들면,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또는 로컬 패스 등에 의해 구성되어, 내부에 있어서의 각 기능회로부 사이를 서로 접속하고 있다.
6.라이브러리 장치의 구성
다음에, 라이브러리 장치(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라이브러리 장치(50)의 외본체 박스의 외관을 도시하고, 도 14는 외본체 박스내에 배치되는 라이브러리 장치(50)의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14를 참조해서 라이브러리 장치(50)의 기구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라이브러리 장치(50)는, 컨트롤러 박스(15)위에, 예를 들면 15권 정도의 테이프 카세트(1)를 수납할 수 있는 매거진(52)을, 예를 들면 4단위 부착된 카루젤(51)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카루젤(51)의 회전에 의해 매거진(52)이 선택된다.
매거진(52)에 대해서 테이프 카세트(1)의 수납 또는 취출을 행하는 핸드 유닛(60)이 Z축(54)에 따라 상하방향(Z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Z축(54)에 기어 홈가 형성되어 있고, 또 핸드 유닛(60)은 축받이부(62)가 기어 홈에 걸어 맞춰진 상태가 되어 있음으로써, Z모터(73)에 의해 Z축(54)이 회전됨으로써, 핸드 유닛(60)이 상하로 이동된다. 핸드 유닛(60)은, 기대(61)에 대해서 핸드 테이블(63)이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핸드 테이블(63)의 선단에는 한 쌍의 핸드(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핸드(64)는, X방향으로 개폐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1)를 보유하거나 떼어 놓을 수 있다. 카루젤(51)의 하부에는, 복수대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가 배치된다. 각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는, 상술한 도 15에 도시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이러한 기구에 의해, 핸드 유닛은, 카루젤(51)위의 원하는 매거진(51)으로부터 테이프 카세트(1)를 꺼내어, 원하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반송해서 장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어떤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로부터 꺼낸테이프 카세트(1)를 원하는 매거진의 원하는 위치에 수납할 수 있다.
이 기구를 수납하는 외본체 박스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의 거의 전체가 앞문(55)이 되고, 손잡이(58)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 열쇠(59)에 의해 앞문(55)을 자물쇠를 채울 수 있다. 또한 앞문(55)에는 투명 패널(55a)로서의 부위가 설치되고, 내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앞문(55)의 상부측에는 조작 패널(57)이나 포스트(56)가 형성된다. 포스트(56)는 앞문(55)을 닫은 채 테이프 카세트(1)의 추가나 취출을 행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포스트(56)로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1)는, 핸드 유닛(60)에 의해 매거진(52)내의 소요의 위치에 반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핸드 유닛(60)은 반송하고 있는 테이프 카세트(1)를 포스트(56)로 배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조작 패널(57)에는, 유저가 조작하기 위한 각종 키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57)의 키 조작정보는 후술하는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에 입력되어,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의 제어에 의해 조작에 따른 동작이 실행된다. 이 조작 패널(57)에 의한 유저의 조작으로서는, 포스트(56)로의 테이프 카세트(1)의 삽입/배출이나, 라이브러리 장치(50)의 조정동작의 지시 등이 된다.
매거진(52)의 구조를 도 16에 도시한다.
각 매거진(52)은, 각각 15단위 정도의 수납부(52a)가 형성되어 있고, 각 수납부(52a)에 테이프 카세트(1)를 수납할 수 있다. 수납부(52a)는, 테이프 카세트(1)를 넣기 쉽고, 게다가 카루젤(51)의 회전시 등에 테이프 카세트(1)가 탈락하지 않도록 어느 정도 누르는 힘이 있도록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다. 게다가,핸드(64)에 의해 취출하기 쉬운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각 수납부(52a)의 높이 사이즈(a)는, 테이프 카세트(1)의 두께(D1)가 약 15mm인 점에서 a=16㎜정도가 된다. 수납부(52a)의 칸막이 사이즈(b)는, 될 수 있는 한 얇게 해서 다수의 수납부(52a)를 형성할 수 있게 하고, 어느 정도 두께를 가져서 강도를 가지는 것을 감안하여, 예를 들면 b=3mm정도가 된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1)의 길이 방향의 폭(W1)을 약 95mm로 하고, 전면측에서 배면측에 이르는 측면측의 폭(W2)을 약 62mm로 하고 있다.
테이프 카세트(1)가 수납부(52a)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는, 테이프 카세트(1)의 배면측이 다소 돌출한 상태가 되도록 안 깊이 사이즈를 설정하고 있다. 즉 도 17에는 평면방향으로 본 매거진(52)내의 테이프 카세트(1)를 도시하고 있다. 도중 d의 부분으로서 테이프 카세트(1)의 배면측이 돌출한 상태로 수납되도록 한다. 이 때 예를 들면 d=20mm정도가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1)의 양측면의 오목부(7, 7)에 대해서 핸드(64)의 선단을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17, 도18 및 도 19를 참조해서 핸드 유닛(60)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7은 핸드 유닛(60)이 어떤 테이프 카세트(1)에 상대한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18은 핸드 유닛(60)이 테이프 카세트(1)를 쥐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19는 도 18의 상태를 측면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핸드 유닛(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대(61)에 대해서 핸드 테이블(63)이 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다시 핸드 테이블(63)에 핸드(64, 64)가 부착된다.
우선, 기대(61)에 설치된 축받이부(62)가 Z축(54)과 걸어 맞춰진 상태로, 핸드 유닛(60)의 전체가 Z축(54)에 의해 보유됨으로써, Z축(54)의 회전에 의해 핸드 유닛(60)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시점에서 매거진(52)의 어떤 수납부(52a), 또는 어떤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축받이부(62)는, 앞문(55)의 방향에서 봐서 매거진(52)에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앞문(55)을 열어서 매거진(52)에 테이프 카세트(1)를 수납하거나 꺼내거나 할 때에, Z축(54)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핸드 테이블(63)은, 기대(61)위의 가이드 레일(68)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기어 홈을 가지는 Y축(71)이 핸드 테이블(63)에 걸어 맞춤되어 있고, Y모터(69)에 의해 Y축(71)이 정역 회전됨으로써, 핸드 테이블(63)이 매거진(52)에 접근하는 방향 및 멀어져 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핸드 테이블(63)에는, 각각 지지축(67)을 회전 운동 지점으로 하는 한 쌍의 핸드(64, 64)가 부착되어 있다. 각 핸드는 후단부측이 플랜저(65)에 의해 견인되는 상태가 되어 있는 동시에, 선단부에 가까운 위치가 핸드 테이블(63)로부터 스프링(66)에 의해 인장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플랜저(65)가 오프로 되어 있는 기간은, 도 18과 같이 스프링(66)의 압박에 의해 양쪽 핸드(64)가 닫히는 상태가 되어 있고, 플랜저(65)가 온이 되어 핸드 후단부가 견인됨으로써, 도 17의 상태, 즉 양쪽 핸드(64)가 스프링(66)의 압박에 반항해서 열린 상태가 된다.
매거진(52)으로부터 어떤 테이프 카세트(1)를 꺼내는 동작을 실행할 때에는, 우선 Z축(54)이 구동됨으로써, 핸드 유닛(60)이, 그 목적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1)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부(52a)의 높이 위치까지 이동된다. 계속해서, 플랜저(65)에 의해 도 17와 같이 양쪽 핸드(64, 64)가 열린 상태가 되고, 그 상태로 Y모터(69)에 의해 핸드 테이블(63)이 매거진(5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다.
도18의 상태까지 핸드 테이블(63)이 이동되면, 그 시점에서 플랜저(65)가 오프가 되고, 따라서 양쪽 핸드(64)는 스프링(66)의 압박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드(64, 64)가 테이프 카세트(1)의 양측부에 설치한 오목부(7)를 쥐는 상태가 된다. 그 상태인 채로 Y모터(69)에 의해 핸드 유닛(64)이 매거진(52)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1)가 꺼내진다. 꺼내진 테이프 카세트(1)는, 핸드 유닛(60)에 의해 소정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나, 또는 포스트(56), 또는 매거진의 다른 수납부(52a) 등에 반송된다. 매거진(52)에 테이프 카세트(1)를 수납할 때에는, 이상의 반대 수순의 동작이 행하여지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1) 내부에는, 리모트 메모리 칩(4)이 탑재되어 있지만, 이 라이브러리 장치(50)도,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와 마찬가지로,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한 액세스를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드 테이블(63)에는 리모트 메모리 드라이브(70)가 배치되고, 여기에는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2)로서의 회로부가내장된다.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2)의 구성에 대해서 후술한다.
테이프 카세트(1)의 배면으로서 리모트 메모리 칩(4)이 배치된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안테나(33)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8의 상태에서는, 안테나(33)와 테이프 카세트(1)내의 리모트 메모리 칩(4)은 상당히 근접하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 있어서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무선 통신에 의한 액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7의 상태에서는 안테나(33)와 리모트 메모리 칩(4)이 거리(e) 정도 멀어진 상태가 되지만, 거리(e)가 몇 센티 정도라면 액세스가능하다.
또한, 도 17, 도 18 및 도 19에는, 기대(61)의 하부에 바 코드 리더(72)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바 코드 리더(72)를 설치함으로써, 바 코드 라벨이 첩부된 테이프 카세트(1)가 수납되어 있었던 경우에, 그 바 코드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 코드 리더(72)를 설치할 경우에, 그 바 코드 리더(72)의 배치위치와 안테나(33)의 배치위치관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핸드 테이블 위에 바 코드 리더(72)를 배치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기구를 가지는 라이브러리 장치(50)의 내부 구성을 도 20에 도시한다.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는, 라이브러리 장치(50)의 전체를 제어하는 부위가 된다. 그리고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는 SCSI 인터페이스(87)를 통하여,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나 호스트 컴퓨터(40)와 통신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40)로부터의 SCSI 커맨드를 따라서, 매거진(52),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 포스트(56)의 사이에서의 테이프 카세트(1)의 반송이나, 수납되어 있는 테이프 카세트(1)에 대한 관리동작, 예를 들면, 테이프 카세트(1)내의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한 액세스를 실행한다.
메모리(81)는,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가 처리에 이용하는 워크 메모리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57)로부터의 조작정보는,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에 공급되고,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는 조작에 따른 필요한 동작제어를 실행한다.
카루젤 컨트롤러(83)는,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의 지시에 따라서 회전제어 모터(84)를 구동하고, 카루젤(51)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행한다. 즉 핸드 유닛(60)에 대향시키는 매거진(52)의 선택동작을 실행시킨다. 카루젤 위치 센서(85)는, 카루젤(51)의 회전위치인 핸드 유닛(60)이 어느 매거진(52)에 대향해서 선택되어 있는지, 즉 핸드 유닛(60)에 어느 매거진(52)에 대향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검출한다. 카루젤 컨트롤러(83)는, 카루젤 위치 센서(85)로부터의 정보를 받아 들이면서 카루젤(51)을 회전구동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매거진(52)이 선택되도록 한다.
핸드 유닛 컨트롤러(82)는,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의 지시에 근거해서 핸드 유닛(60)을 구동한다. 즉, Z모터(73)를 구동해서 핸드 유닛(60)을 Z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핸드 유닛(60)의 Z방향의 위치는 핸드 위치 검출부(86)에 의해 검출되기 때문에, 핸드 유닛 컨트롤러(82)는, 핸드 위치 검출부(86)로부터의 위치검출정보를 확인하면서 Z모터(73)를 구동함으로써, 핸드 유닛(60)을, 라이브러리컨트롤러(80)에 지시된 소정의 높이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핸드 유닛 컨트롤러(82)는, Y모터(69) 및 플랜저(65)를 각각 소정 타이밍으로 구동함으로써, 상술한 핸드(64)에 의한 테이프 카세트(1)의 취출, 수납동작을 실행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 유닛(60)에 설치되는 리모트 메모리 드라이브 박스(70)에는,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2)로서의 회로부가 수납되어 있다. 이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2)의 구성은 도 21에서 후술하는데, 원리적으로는 상기도 15로 설명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내의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와 같이, 도 3에 도시한 구성을 구비한다. 이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2)는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에 접속된다. 따라서, 이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2)를 통함으로써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는, 매거진(52)내에서 안테나(33)에 접근되어 있는 테이프 카세트(1), 또는 핸드 유닛(60)이 보유하고 있는 테이프 카세트(1)내의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커맨드를 발해서 기입/판독 액세스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액세스는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측에서의 커맨드와,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의 애크널리지에 의해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바 코드 리더(72)를 설치할 경우에는, 바 코드 리더(72)의 구동회로계가 설치되는 동시에, 판독된 정보가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에 공급되는 구성을 취한다.
이상과 같은 라이브러리 장치(50)에 탑재되는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2)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에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2)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2)는, 범용 마이크로컴퓨터로서의 CPU(110)와, RF부(120)와, 수정 발진기에 의한 클록 발생부(130)를 구비한다. RF부(120)는, 아날로그계 회로가 되고, 안테나(33)로부터의 송신 및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행한다. 송신 데이터의 인코드, 수신 데이터의 디코드로서의 처리는, CPU(110)에 있어서 소프트웨어로 행하여진다.
RF부(120)에는, 송신계로서 ASK/드라이브 앰프(124)가 설치되고, 송신시에 CPU(110)로부터 송신 데이터(WD)가 공급된다. RF부(120)에는, 수신계로서 엔벨로프 검파부(121), 앰프(122), 컴퍼레이터(123)가 설치된다.
CPU(110)에 있어서 도시하는 RAM(111)은, 이른바 마이크로컴퓨터 내장 RAM이고, 예를 들면 4K바이트의 것이다. 즉 범용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일반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용량의 RAM이다. 또한, 시리얼 포트(112)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내장 RAM의 예를 들고 있지만, CPU(110)에 접속되는 외부 메모리 칩으로서의 RAM이여도 좋다.
CPU(110)는,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로부터의 커맨드 등의 지시에 따라,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한 통신 액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동작을 행한다. 즉,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리모트 메모리 칩(4)에의 송신 데이터를 인코드(생성)하는 처리나,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 및 수신 데이터로서 디코드된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의 판독 데이터나 애크널리지를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에 전송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CPU(110)의 동작 클록는, 클록 발생기(130)로부터 공급된다. 클록발생기(130)는, 예를 들면 13.56MHz의 클록을 출력한다. 따라서, CPU(110)의 동작 클록 주파수는, 13.56MHz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트 메모리 칩(4)과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2) 사이의 통신을 위한 캐리어 주파수는 13.56MHz이다. 따라서, 클록 발생기(130)로부터의 13.56MHz의 클록은, ASK/드라이브 앰프(124)에 있어서, 그대로 캐리어 주파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CPU(110)에 있어서는 클록 발생기(130)로부터의 13.56MHz의 클록을 예를 들면 n체배하여, 13.56×n(MHz)의 클록을 동작 클록 주파수로 해도 좋다. 결국, 본 실시 형태에서는 CPU(110)의 동작 클록 주파수는, 클록 발생기(130)로부터의 클록 주파수로부터 생성되는 것, 즉 캐리어 주파수와 공통의 기본이 되는 클록 으로 생성되는 것이면 좋다. 본 예에서는 클록 발생기(130)로부터 13.56MHz의 클록을 출력하는 것으로 하고 있는데, CPU(110)의 동작 클록 주파수는, 13.56MHz의 x배이거나 1/x배여도 좋고, 이 때문에 분주기나 체배기가 어떻게 갗추어져 있어도 좋다. 또 체배나 분주는, 정수가 아닌 값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2)에 있어서의 송수신 동작은, 다음과 같이 된다.
송신시, 즉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로부터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송신해야 할 커맨드 데이터가 공급된 경우, CPU(110)는, 커맨드 데이터에 프리엄블, 싱크를 전치하고, CRC를 후치한다. 즉 무선송신에 적합한 소정포맷에 따른 데이터의 인코드를 행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는, 여기에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맨체스터 부호화된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포맷에 의한 데이터 구조가 되고, 또한, 맨체스터 부호화된 송신 데이터는 RAM(111)에 축적되고, 이 축적된 송신데이터(WD)는, 시리얼 포트(112)로부터 106kbps의 2배의 송신속도로, RF부(120)에 출력된다.
RF부(120)에서는, ASK/드라이브 앰프(124)에 있어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3.56MHz의 캐리어를 송신 데이터(WD)에 의해 ASK변조한다. 그 변조파가 안테나(33)로부터 리모트 메모리 칩(4)측에 전송된다.
수신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트 메모리 칩(4)측에서의 송신 데이터는, 임피던스 변화에 의한 정보로서 RF부(120)에 검출된다. RF부(120)에서는 엔벨로프 검파부(121)로 도 5B에서 설명한 변조파에 대해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엔벨로프 검파를 행한다. 그리고 컴퍼레이터(123)에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데이터를 2값화 함으로써,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수신 데이터를 얻는다.
이러한 수신 데이터(RD)는, 시리얼 포트(112)로부터 CPU(110)에 입력된다.
CPU(110)에서는,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의 스트림을 일정기간 8배 오버 샘플링해서 RAM(111)에 축적한다. 또한, 일정시간과는 고정적인 것으로 해도 좋고, 예를 들면 9.67ms로 충분하다. 따라서, RAM(111)으로서 축적에 필요한 용량은 1KByte가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CPU에 내장되는 4K바이트의 RAM으로 충분한 것이 된다.
RAM(111)에 축적한 수신 데이터에 대해서는, 최적 샘플링 위상의 결정, 프리엄블 검출, 싱크 검출 등을 행하고,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 회신되어 온 데이터를 꺼내는 처리를 행한다. 또 CRC 체크도 행한다.
이러한 디코드 처리로 얻어진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의 패키트 데이터는,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에 전송되게 된다.
7.데이터 기입/판독 장치
다음에, 본 발명이 적용된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는, 테이프 카세트(1)의 리모트 메모리 칩(4)과 서로 무선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와도 무선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와 통신을 행하게 된다. 즉,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는,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1)의 리모트 메모리 칩(4)과의 통신에 부가하여,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와의 통신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외관을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한다. 도 22A는,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평면도이고, 도 22B는 그 측면도이고, 도 22C는 정면도이다.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는, 예를 들면 유저가 한쪽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상면부에 있어서의 상측에는, 조작 키로서, 리드 키(151), 라이트 키(152), 드라이브 선택 키(153), 카세트 선택 키(154)가 설치되어 있다. 리드 키(151)는, 예를 들면 리드 모드로 하기 위한 키가 된다. 리드 모드는, 통신 상대, 즉, 리모트 메모리 칩(4) 또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해당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가 판독하기 위한 동작 모드이다.
리드 모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로부터 스테이터스 정보를 판독할 필요가 있을 때에 설정된다. 또한, 리모트 메모리 칩(4)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정보에 관한 판독을 행할 때에도 리드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라이트 키(152)는, 라이트 모드로 하기 위한 키이고, 라이트 모드에서는, 통신 상대에 대해서, 해당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행하여진다. 라이트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소요의 데이터를 기입하는 필요가 있을 때이다. 이 라이트 키(152)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있어서의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위해,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로부터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대해서 업데이트를 전송할 때 등에도 라이트 모드를 설정한다.
드라이브 선택 키(153)는, 통신 상대로서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를 선택할 때에 사용되는 키이고, 이 키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상대인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가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중에서 임의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를 통신 상대로서 선택 지정할 수 있다.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에서는, 선택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와의 통신이 정상으로 실행되도록, 그 통신 상대에게 적합한 통신동작을 실행한다.
카세트 선택 키(154)는, 예를 들면 통신 상대가 되는 테이프 카세트(1)가 복수 있을 때에, 이들 테이프 카세트(1)로부터 1개의 테이프 카세트(1)를 통신 상대로서 선택할 때에 사용하는 키이다. 예를 들면, 테이프 카세트(1)가 복수 있고, 또한, 이들이 적재되어 있는 등 해서 서로의 리모트 메모리 칩(4) 끼리의 위치가 근접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가 어떤 특정한 리모트 메모리 칩(4)과 통신을 행할 때에, 다른 리모트 메모리 칩(4)과 혼신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카세트 선택 키(154)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는, 이러한 상태라도 통신 상대로서 선택한 테이프 카세트(1)의 리모트 메모리 칩(4)과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각 키가 배치된 부위의 하측에는, 표시부(155)가 설치된다. 이 표시부(155)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에 의해 구성되어,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동작에 따라서 적당히 필요한 내용에 관한 표시를 행한다.
표시부(155)의 하측에는, 파워 키(156), 및 선택/결정 키(157)가 설치되어 있다. 파워 키(156)는, 전원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고, 선택/결정 키(157)는, 표시부(155)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에 관한 선택을 행하는 동시에, 결정조작을 행하기 위한 키가 된다. 파워 키(156)는, 상하 좌우방향에 대응한 키 조작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키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면 표시부(155)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 또는 항목의 강조 표시 등을 이동시키고, 항목선택을 해 갈 수 있다. 그리고, 중앙의 결정을 위한 키 조작부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현재의 선택항목에 관한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정면측의 측면부에는,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부(15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테나부(158) 내부에는, 자속결합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170)가 배치되어 있다.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측면부에는,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단자(159, 160)가 설치된다. 한쪽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단자(159)는, USB(universal Serial Bus)에 대응하고 있고, 다른 쪽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단자(160)는, RS232C에 대응하고 있다. 이들 데이터 인터페이스 단자(159, 160)는, 예를 들면 해당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로서의 퍼스널 컴퓨터에 받아들이고 싶은 경우에, 또는 반대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에 정보를 받아들이고 싶은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도 23의 블록도는,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170)는, 예를 들면 인덕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 것과 같은 원리에 의해, 자속결합에 의한 송수신을 통신 상대가 송신하는 반송파를 검지함으로써 수신을 행하고, 반송파의 공급에 의해 송신을 행하기 위한 부위가 된다.
안테나(170)에 의한 수신에 의해 얻어진 신호는, RF앰프(171)에 입력된다. RF앰프에서는 예를 들면 RF신호로서 입력된 수신신호를 증폭해서 신호처리부(172)에 대해서 출력한다. 신호처리부(172)에서는 입력신호에 대해서 소요의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입력신호로부터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고, 증폭변조에 대응한 복조처리를 행하여, 데이터로서의 신호성분을 얻는다. 이 데이터 신호를 정보처리부(173)에 대해서 출력한다.
정보처리부(173)에서는, 입력신호에 대해서, 예를 들면 패키트로부터의 데이터의 추출, 오류 정정처리 등을 실행하여, 시스템 컨트롤러(181)에 의해 처리가능한 형식의 데이터를 얻는다. 시스템 컨트롤러(181)에서는, 정보처리부(173)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받아 들임으로써, 전송된 데이터에 관한 인식을 행하고, 그 데이터 내용에 따른 소요의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181)에서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예를 들면 ROM(178)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 데이터를 판독하는 등 하고, 이렇게 해서 얻은 데이터를 정보처리부(174)에 전송한다. 정보처리부(174)에서는, 전송되어 온 데이터에 대해서 필요가 있으면 에러 정정 부호의 부가를 하고, 최종적으로는, 패키트화 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해서 변조처리부(175)에 대해서 출력한다. 변조처리부(175)에서는,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반송파에 대해서 증폭변조를 실시하고, 송신신호를 생성해서 RF앰프(176)에 출력한다. RF앰프(176)에서는, 입력된 데이터를 RF신호화해서 안테나(170)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이 행하여진다.
ROM(178)에는, 해당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가 실행해야 할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소요의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에서는, 무선 통신기능 또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단자(159, 160)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해서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다운로드 된 데이터는,이 ROM(178)에 대해서 기입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ROM(178)에는, 예를 들면 EEPROM 등의 재기입 가능한 메모리 소자가 채용된다. RAM(179)은, 시스템 컨트롤러(181)가 각종 제어처리를 실행할 때에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업영역으로서 이용된다.
인터페이스 회로(180)는, 유선에 의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회로가 된다. 여기에서는 1개의 기능회로부로서 생략해서 도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한 외관구성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USB와 RS232C의 각각에 대응한 인터페이스 회로가 구비되게 된다.
여기에서, 안테나(170)-RF앰프(171)으로 이루어지는 수신회로계와, RF앰프(176)-안테나(170)로 이루어지는 송신회로계는, 통신 상대가 테이프 카세트(1)의 리모트 메모리 칩(4)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 중 어느 것인지에 따라, 그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도 2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4에는, 리모트 메모리 칩(4)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측의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의 통신동작을, 수동 통신회로와 능동 통신회로로서의 기능의 관점에서 등화 회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수동 통신회로는, 리모트 메모리 칩(4)측의 통신동작에 대응하는 등가회로이고, 능동 통신회로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측의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의 통신동작에 대응하는 등가회로이다.
수동 통신회로는, 인덕터(L1)//콘덴서(C1)의 병렬접속에 의해 공진회로를 형성하고, 이 공진회로에 대해서 가변저항(VR)이 접속되어 있다.
능동 통신회로도, 인덕터(L2)//콘덴서(C2)의 병렬접속에 의해 공진회로를 형성한 후에, 이 공진회로에 대해서 신호원(I)이 접속되어 있다.
수동 통신회로와 능동 통신회로는, 인덕터(L1)과 인덕터(L2)에 의해 자속결합을 얻는다. 능동 통신회로의 신호원(I)으로부터 반송파를 출력함으로써, 이 반송파는, 자속결합을 통해서 인덕터(L2)로부터 인덕터(L1)에 대해서 전송된다. 이 전송된 반송파로서의 교번출력은, 콘덴서(C2)에 충전됨으로써, 그 양단에 전압이 생긴다. 이 콘덴서(C2)에 얻어진 양단 전압에 의해, 해당 수동 통신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얻는다. 즉, 수동 통신회로에 대해서는, 전송되어 온 반송파에 의해 전력전송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능동 통신회로로부터 수동 통신회로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에는, 신호원(I)에서는, 반송파에 대해서 예를 들면 10%의 진폭변조(ASK)에 의해 데이터를 중첩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발생된 신호가,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수동 통신회로에 대해서 자속결합을 통해서 전달됨으로써, 데이터의 송신이 행하여진다.
수동 통신회로로부터 능동 통신회로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한다.
여기에서, 능동 통신회로측에서는 데이터 송신을 행하지 않고 있는 수신 기다림의 상태에 있어도, 정상적으로 변조가 되지 않은 반송파를 출력하고 있는 것 이 된다. 따라서, 반송파가 출력되고 있는 한, 수동 통신회로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해서 전력공급을 받고 있는 온 상태에 있고, 따라서 공진회로(L1//C11)도 공진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 상태 하에서, 수동 통신회로측에서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에 의해 변조를 행하도록 하고, 가변저항(VR)의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공진회로(L1//C11)의 임피던스는 변화되고, 인덕터(L1)에 얻어지는 출력 레벨도 변화된다.
이러한 인덕터(L1)에 있어서의, 출력의 변화는, 자기결합을 통해서 능동 통신회로의 인덕터(L2)에 전달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어떤 일정 레벨일 것인 반송파의 전류 레벨이 변동한다. 그래서, 능동 통신회로에서는, 이 전류 레벨의 변화를 검출해서 2값화 함으로써, 수동 통신회로측에서 가변저항(VR)의 저항값을 가변변조시켜 있던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수동 통신회로로부터 능동 통신회로에 대해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외관상의 데이터 송신동작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비접촉 인터페이스로서의 데이터의 수수가 실현된다. 이러한 동작이면, 수동 통신회로 자체가 자신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능동 통신회로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은 문제 없이 실행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서는, 배터리 등의 전원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안테나(170)-RF앰프(171)로 이루어지는 수신회로계와, RF앰프(176)-안테나(170)로 이루어지는 송신회로계는, 도 24에 도시한 수동 통신회로와 능동 통신회로의 원리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해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통신상대가 리모트 메모리 칩(4)인 경우에는, 리모트 메모리 칩(4)이 수동 통신회로이기 때문에,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송수신회로계는, 능동 통신회로로서 동작하는 모드가 된다. 이것에 대해서, 통신 상대가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인 경우에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는 능동 통신회로의 동작을 하므로, 이것에 따라,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송수신회로계는 수동 통신회로로서 동작하는 모드가 된다.
이러한 동작 모드의 전환 제어는, 시스템 컨트롤러(181)가 행하고, 유저의 조작부(177)의 드라이브 선택 키(53), 카세트 선택 키(54) 등의 어느 것인가를 조작함으로써, 현재,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어 있는 것이 리모트 메모리 칩(4)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 중 어느 것인가에 따라, 그 전환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조작부(177)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되는 각종 키 등의 조작자를 구비한다. 이 조작부(177)의 조작에 따라서 얻어지는 커맨드는, 시스템 컨트롤러(181)에 대해서 출력된다. 시스템 컨트롤러(181)는, 입력된 커맨드의 내용에 따라서 적당히 소요의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표시부(155)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의 표면에 설치되는 화상표시부와, 이것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부 등에 의해 구성되어, 시스템 컨트롤러(181)의 표시제어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적당히 소요의 내용 표시를 행한다.
계속해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을 구비한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를 사용하여,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 또는 테이프 카세트(1)의 리모트 메모리 칩(4)과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는,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를 조작하는 경우로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와의 통신을 행하게 할 경우에 있어서의,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와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위치관계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의 안테나(33)는, 이 경우에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본체의 프론트 패널(201)에 설치된 가이드부(204)의 뒷편에 대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된다. 이 가이드부(204)는, 유저가 안테나부(58)의 부위를 가까이 해야 할 프론트 패널(201)위의 위치를 유저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유저가,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와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통신을 실행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안테나부(158)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프론트 패널(201)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204)에 대해서 가까이 하도록 한다.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안테나부(158)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프론트 패널의 소정부위에 대해서 가까이 함으로써,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측의 안테나(33)와,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안테나(170)의 자속결합을 얻을 수 있고, 상호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프론트 패널(201)에 있어서는, 파워 키(202), 카세트 삽탈구(203) 및 이젝트 키(205)가 도시된다. 파워 키(202)는, 메인 전원의 온/오프 조작을 위해 사용된다. 카세트 삽탈구(203)는, 테이프 카세트(1)가 삽입/배출되기 위한 부위이다. 이젝트 키(205)는, 해당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를 카세트 삽탈구(203)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해서, 유저가 직접 조작하기 위한 키이다.
도 26은, 리모트 메모리 칩(4) 내장의 테이프 카세트(1)와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에 의해 통신을 행하게 할 경우에 있어서의, 양자의 위치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리모트 메모리 칩(4)에 설치되는 안테나(5)는, 테이프 카세트(1)의 본체의 단자부(106) 부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와 테이프 카세트(1)의 리모트 메모리 칩(4)의 통신을 실행시킬 경우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안테나부(158)를, 테이프 카세트(1)의 라벨면측에 있는 단자부(106)로서의 부분에 가까이 한다. 리모트 메모리 칩(4)의 안테나(5)와,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안테나(170)의 자속결합을 얻을 수 있을 정도의 거리가 유지되기만 하면, 상호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8.수속정보 이용예(제1 예)
8-1.동작개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1)의 MIC(리모트 메모리 칩(4), 접촉형 메모리(104))에 대해서는, 테이프 카세트(1)에 대응하는 소정의 시스템 기기에 대해서, 어떠한 명령순서 등의 수속을 지시하는 「수속정보」를 기억시켜 놓을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1)의 MIC로부터 판독된 수속정보를 해석하고, 시스템 기기가 그 수속 내용에 따라서 소정의 제어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지금까지의 시스템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시스템 동작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수속정보를 이용한 시스템 동작으로서는, 각종 생각되는 것이지만, 이후에 있어서는, 몇개의 예를 들어 가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후의 수속정보 이용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수속정보의 기입/판독이 행하여지는 MIC로서는, 리모트 메모리 칩(4)인 것으로 한다. 즉, 리모트 메모리 칩(4)을 구비함으로써 비접촉통신에 대응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는 것이다.
수속정보를 이용한 시스템 동작으로서의 제1 예로서는, 호스트 컴퓨터(40)의 HDD(308)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백업 및 리스토어에 관한 것이 된다.
도 27A 및 도 27B는, 이러한 백업/리스토어에 대응하는 시스템의 이용 양태예를, 유저의 작업 순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도 27A에 도시하는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ROM(178) 또는 RAM(179)에는, 데이터의 백업/리스토어에 관한 수속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도 27A에 도시하는 테이프 카세트(1)는, 유저가 백업 용도로 이용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와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를 RS232C, USB 등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하고, 퍼스널 컴퓨터측에서 작성, 또는 취득 보유한 수속정보를,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에 전송하게 된다. 또는,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의해, 이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에서 수속정보가 작성되도록 해도 좋다.
나아가서는,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를 사용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와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를 접속한 시스템에 의해, MIC에 대한 수속정보의 기입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측에서 수속정보를 작성, 또는 외부에서 취득하는 등 하여, HDD 등에 보유해 두게 된다. 그리고,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테이프 카세트(1)를 장전한 후에,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대해서 수속정보를 송신하고,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의해 장전되어 있는 테이프 카세트(1)의 MIC에 기입하도록 하면 좋다.
그 구체적인 기술예는 후술하지만, 이 경우의 수속정보의 내용으로서는, 「이젝트 키가 조작되지 않고서 해당 테이프 카세트가 장전되었을 경우에는, 특정 디렉토리에 놓여지는 데이터를 백업한다. 이젝트 키가 조작되면서 해당 테이프 카세트가 장전된 경우에는, 같은 디렉토리에 놓여지는 데이터를 리스토어한다. 」라고 하는 명령내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백업이란, 호스트 컴퓨터측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카피하도록 해서 기입하여 보존하는 것이다. 또한, 「리스토어」는,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측에서 현재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 덮어 쓰도록 해서 그 내용을 갱신하는 것을 말한다.
도 2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기입, 판독 장치(150)를 테이프 카세트(1)의 단자부(106)에 가까이 하여, 테이프 카세트(1)내의 리모트 메모리 칩(4)과의 통신을 행하게 하고,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로부터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백업/리스토어의 수속정보를 기입한다. 이 때, 유저의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라이트 키(152)를 조작해서 라이트 모드로한 후에, 송신 데이터로서, ROM(178) 또는 RAM(179)에 보유되어 있는 백업/리스토어의 수속정보를 선택하고, 이것을 송신 출력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의 송신회로계가 능동 통신회로로서의 동작을 행해서, 수동 통신회로인 리모트 메모리 칩(4)과 통신을 행하고, 상술한 백업/리스토어의 수속정보를 송신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송신된 백업/리스토어의 수속정보는,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 수신되어, 소정 영역, 예를 들면 MIC 헤더의 볼륨·인포메이션내에 기입된다.
도 27B에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와, 호스트 컴퓨터(40)를 소정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한 데이터 스토레이지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유저는, 도 2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업/리스토어의 수속정보를 테이프 카세트(1)의 리모트 메모리 칩(4)에 기입한 후, 데이터의 백업 또는 리스토어를 행해야 할 임의의 기회로써, 도 2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업/리스토어의 수속정보가 기입된 테이프 카세트(1)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대해서 장전한다. 이 때, 유저는, 통상에 데이터의 백업을 실행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이젝트 키(205)를 조작하지 않고서, 단순히 테이프 카세트(1)를 카세트 삽탈구(203)에 삽입한다. 이것에 대해서, 리스토어를 실행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이젝트 키(205)를 조작하면서 카세트 삽탈구(203)에 삽입한다.
상술과 같이 테이프 카세트(1)가 장전되면,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는, 자기 테이프(3)의 로딩을 행하면서 리모트 메모리 칩(4)에 기억되어 있는 수속정보를 판독한다. 이렇게 해서 판독된 수속정보는, 호스트 컴퓨터(40)가 테이프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액세스해서 취득하게도 된다.
호스트 컴퓨터(40) 및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취득한 수속정보에 기술된 내용인 수속 명령에 따른 소요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이젝트 키(205)가 조작되지 않고서 테이프 카세트(1)가 장전된 경우에는, 시스템의 동작으로서 호스트 컴퓨터(40)의 HDD(308)에 있어서, 수속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디렉토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테이프 카세트(1)에 백업하는 동작이 행하여지도록 하기 위한 소요의 제어 및 처리동작을 실행한다. 이때의 동작으로서는, 호스트 컴퓨터(40)측에서는, HDD(308)에 있어서의 지정의 디렉토리에 있는 것으로서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대해서 전송한다.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측에서는,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40)의 제어를 따라, 이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테이프 카세트(1)의 자기 테이프(3)에 기입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대해서, 이젝트 키(205)가 조작되면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테이프 카세트(1)가 장전되었을 경우에는, 시스템 동작으로서,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40)의 HDD(308)의 지정의 디렉토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덮어 쓰기(리스토어)하기 위한 동작이 실행되도록 소요의 제어 및 처리동작을 실행한다. 즉, 호스트 컴퓨터(40)는, 수속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디렉토리의 백업 데이터를, 테이프 카세트(1)로부터 판독시키도록,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로부터 판독되어, 전송되어 온 백업 데이터에 의해, 자신의 HDD(308)에 있어서의 지정의 디렉토리의 데이터를 덮어 쓰도록 해서 갱신한다. 이렇게 해서 리스토어가 실행되게 된다.
8-2.호스트 인터페이스 포맷
다음에, 상술한 본 발명이 적용된 백업/리스토어의 동작이 실현되기 위한 처리동작을 설명한다.
상술한 백업/리스토어의 동작을 실현하는데 있어서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와 호스트 컴퓨터 사이에서, 수속정보의 수수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MIC에 저장된 정보의 송수신이 행하여질 필요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와 호스트 컴퓨터(40) 사이에서의 MIC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포맷으로서는, SCSI 호스트 인터페이스의 커맨드가 되고, ANSI의 AM사양에 준거한 것이 존재한다. 종래에 있어서는, 이 ANSI의 AM사양의 SCSI 호스트 인터페이스에 의해, MIC에 저장된 정보인 부분의 관리정보의 송수신을 하고 있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이 ANSI-AM사양의 SCSI 호스트 인터페이스에 의해, MIC의 수속정보도 다룰 수 있도록 규정했다.
우선, ANSI-AM사양의 SCSI 호스트 인터페이스 포맷에 대해서 설명한다.
ANSI-AM사양 SCSI 호스트 인터페이스에서는, MIC에의 데이터의 기입 커맨드로서, WRITE ATTRIBUTE command가 규정되고, MIC로부터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커맨드로서, READ ATTRIVUTE command가 규정된다.
도 35는, WRITE ATTRIBUTE command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WRITE ATTRIBUTE command는 15바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되고, OPCODE=8Dh이라고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바이트 위치에 대해서 소정의 바이트 수에 의해, VOLUME NUMBER, PARTITION NUMBER, 및 PARAMETER LIST LENGTH, CONTROL 등의 각 영역이 배치된다.
VOLUME NUMBER는, MIC에 있어서의 볼륨을 특정하는 정보이고, PARTITI0N NUMBER는, MIC의 볼륨내에 있어서의 파티션을 특정한다.
PARAMETER LIST LENGTH는, 해당 WRITE ATTRIBUTE command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로서 데이터 출력에 저장되는 파라미터 리스트(PARAMETER LIST)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낸다.
도 36은, READ ATTRIBUTE command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READ ATTRIBUTE command도 합계 15바이트로 이루어지고, OPCODE=8Ch라고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의 바이트 위치에 대해서 소정의 바이트 수에 따라, VOLUME NUMBER, PARTITION NUMBER, HIRST ATTRIBUTE ID, ALLOCATION LENGTH, CONTROL 등의 각 영역이 배치된다.
VOLUME NUMBER, PARTITION NUMBER에 대해서는, 상술한 WRITE ATTRIBUTE com mand의 VOLUME NUMBER, PARTITION NUMBER와 동일한 정의내용이 된다.
FIRST ATTRIBUTE ID는, READ ATTRIBUTE command에 의해 반송된다고 하는 최초의 ATTRIBUTE를 특정하기 위한 ID(식별자)가 저장된다.
ALLOCATION LENGTH는, 반송해야 할 파라미터 리스트를 위해 나누어 주어진 영역 사이즈를 나타낸다.
도 37은, ATTRIBUTE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ATTRIBUTE 데이터는, 도 35에 도시한 WRITE ATTRIBUTE command와 함께 송신되는 데이터이고, WRITE ATTRIBUTE command에 대한 리스폰스로서, READ ATTRIBUTE command와 함께 반송되는 데이터이다.
ATTRIBUTE 데이터는,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바이트 위치에 대해서, ATTRIBUTE ID(2Bytes), READ ONLY(1bit), FORMAT(2bit), ATTRIBUTE LENGTH(2Bytes), ATTRIBUTE VALUE가 배치된다.
ATTRIBUTE ID는, ATTRIBUTE 데이터(커맨드)의 종류를 특정하는 것이고, 변경, 갱신이 행하여지는 정보원에 따라, 예를 들면 도 38에 도시하는 바돠 같이 해서 그 값이 할당되게 되어 있다.
즉, 0000h 내지 03FFh는, [Device command Attributes]로서의 ATTRIBUTE 데이터에 대해서 할당된다. 또한, 0400h 내지 07FFh는, [Medium Common Attribu tes], 0800h 내지 0BFFh는, [Host command Attributes], OCOOh-OFFFh는, [Device Vendor Unique Attributes], 1OOOh-13FFh는, [Medium Vendor Unique Attributes], 1400h-17FFh는, [Host Vendor Unique Attributes] 로서의 ATTRIBUTE 데이터에 대해서 할당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1800h-FFFFh는 미정의 영역(Reserved)이 된다.
여기에서, ATTRIBUTE ID=0400h 내지 07FFh의 값이 나뉘어 주어지는 Medium Common Attributes는, 예를 들면 MIC에 기입지는 정보(ATTRIBUTE) 중, 제조시에 MIC에 기입되고, 이후에는 재기입 불가가 되는 정보가 된다. 이들 ATTRIBUTE ID=0400h 내지 07FFh는, 도 39에 도시하도록 해서 정의되어 할당이 행하여져 있다.
즉, ATTRIBUTE ID=0400h는, MEDIUM MANUFACTURFR(8Bytes, ASCII)에 대해서할당되어 있고, ATTRIBUTE ID=0401h는, MEDIUM SERIAL NUMBER(32Bytes, ASCII)에 대해서 할당된다.
ATTRIBUTE ID=0402h 내지 0405h는, SSC를 위해 미정의로 되어 있다.
ATTRIBUTE ID=0406h는, MEDIUM MANUFACTURE DATE(8Bytes, ASCII)에 대해서 할당되고, ATTRIBUTE ID=0407h는, MAM(MIC) CAPACITY(8Bytes, Binary), ATTRIBUTE ID=0408h는, MEDIUM TYPE(1Byte, Binary), ATTRIBUTE ID=0409h는, MEDIUM TYPE INFORMATION(2Bytes, Binary)에 대해서, 각각 할당된다.
ATTRIBUTE ID=040Ah 내지 07FFh는, 미정의로 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정의되는 Medium Common Attribute에 있어서, ATTRIBUTE ID=0408h가 할당되는 MEDIUM TYPE(1Byte, Binary)은, 테이프 카세트의 종별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또한, MEDIUM TYPE INFORMATION(2Bytes, Binary)은, MEDIUM TYPE에 의해 규정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종별마다에 따른, 소요의 정보내용이 저장된다.
이들 MEDIUM TYPE과, MEDIUM TYPE INFORMATION은, 현상에 있어서는 도 4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 이 도에 따르면, MEDIUM TYPE=00h는, Data Medium이 되고, 통상의 데이터가 기록 재생되는 테이프 카세트를 도시한다. 이 Data Medium에 대응하는 MEDIUM TYPE INFORMATION은 미정의가 된다.
MEDIUM TYPF=01h는, Cleaning medium이 되고, 클리닝 카세트인 것을 도시한다. 이것에 대응하는 MEDIUM TYPE INFORMATION으로서는, Maximum number of cleaning cycles permitted가 된다. 즉, 클리닝 카세트로서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는 최대 사용회수가 도시된다.
MEDIUM TYPE=80h는, Write-once medium이 되고, 이른바 재기입 불가의 추기형으로서 이용되어야 할 테이프 카세트인 것을 도시한다. 이것에 대응하는 MEDIUM TYPE INFORMATION은, 미정의로 되어 있다.
남는 MEDIUM TYPE=02h 내지 7Fh, 및 MEDIUM TYPE=81h 내지 FFh는 미정의로 되어 있다.
특히, MIC에 대해서 수속정보가 기억가능한 것에 대응시키고, 새롭게, 지금까지 미정의로 되어 있었던 MEDIUM TYPE=81h 내지 FFh 중, MEDIUM TYPE=91h, 92h에 대해서, 도 4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서 정의한다.
즉, MEDIUM TYPE=91h는, 「Date Medium에 대한 수속정보 저장 있음」으로서, 데이터가 기록 재생되는 테이프 카세트이고, 그 내부의 MIC에 수속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MEDIUM TYPE=92h는, 「Cleaning Medium에 대한 수속정보 저장 있음」으로서, 그 내부의 MIC에 수속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클리닝 카세트인 것을 도시한다.
MEDIUM TYPE=91h, 92h의 각각에 대응하는 MEDIUM TYPE INFORMATION으로서는,모두, 수속정보의 전 바이트 길이를 도시한다.
ATTRIBUTE ID=0800h 내지 0BFFh의 값이 나뉘어 주어지는 Host Common Attributes는, 예를 들면, 백업용의 어플리케이션 등, 호스트 컴퓨터(40)에 인스톨되어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서 어떠한 처치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된다.
이 Host Common Attributes가 되는 ATTRIBUTE ID=0800h 내지 0BFFh의 값은, 현상에 있어서는, 도 4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서 정의되어 할당이 행하여져 있다. 즉, ATTRIBUTE ID=0800h는, APPLICATION VENDOR(8Bytes, ASCII)가 된다.
ATTRIBUTE ID=0801h는 APPLICATION NAME(32Bytes, ASCII)이 되고, ATTRIBUTE ID=0802h는, APPLICATION VERSION(8Bytes, ASCII)이 된다. ATTRIBUTE ID=0803h는, USER MEDIUM TEXT LABEL(160Bytes, Text)이 되고, ATTRIBUTE ID=0804h는, DATE & TIME LAST WRITTEN()12Bytes, ASCII)가 되고, ATTRIBUTE ID=0805h는, TEXT LOCALISATION IDENTIFIER(1bytes, Binary)가 되고, ATTRIBUTE ID=0806h는, BARCODE(32Bytes, ASCII)가 되고, ATTRIBUTE ID=0807h는, OWNING H0ST EXTUAL NAME()80Bytes, Text)이 된다.
또한, ATTRIBUTE ID=0808h는, MEDIA POOL(160Bytes, Texy)이 되고, ATTRIBUTE ID=0809h는, PARTITIONN USER TEXT LABEL(16Bytes, ASCII)이 되고, ATTRIBUTE ID=080Ah는, L0AD/UNLOAD AT PARTITI0N(1Byte, Binary)이 된다.
남는 ATTRIBUTE ID=080Bh 내지 BFFh는, 미정의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IC로부터 판독한 수속정보에 따른 시스템 동작을 실현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지금까지는 미정의로 되어 있던, Host Common Attributes의 ATTRIBUTE ID=080Bh 내지 BFFh 중, ATTRIBUTE ID=O80Bh, 080Ch에 대해서, 도 41B에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의한다.
여기에서, ATTRIBUTE ID=080Bh는, [Instruction for the cartridge(2048Bytes, Binary)]라고 정의하고, ATTRIBUTE 데이터가 수속정보인 것을 도시한다.
ATTRIBUTE ID=080Ch는, [Request for the host(2048Bytes, Binary)]라고 정의한다. Request for the host는,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측의 어플리케이션이 발행하는 것으로, 수속정보에 근거해서 드라이브(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측에서 발생된 메시지를 드라이브측에서 판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 42에는, Instruction for the cartridge로서의 ATTRIBUTE 데이터의 구조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2에 도시하는 ATTRIBUTE 데이터의 구조 그 자체가, MIC에 저장되는 수속정보의 구조와 같다.
제1, 제2 바이트의 합계 2바이트의 영역은, [Size of valid data out of 2048 bytes]로서 정의되고, 전 2048 바이트가 되는 [Instruction for the cartridge]의 영역내에 있어서 유효하게 되는 데이터 사이즈가 도시된다. 이 영역에 'O'(ZER0)이 세트되어 있으면,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제3 바이트의 1바이트의 영역은, [Responsibility]의 영역이 되고, 수속을 처리해야 할 디바이스를 지정한다. 여기에서는, '0'이 세트되어 있으면 수속정보(Instruction/0bject)의 처리를 호스트측이 실행하고, '1'이 세트되어 있으면 드라이브측이 실행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4 바이트의 1바이트의 영역은, [Data Type Number]가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서 제6 바이트 이후에 저장되는 수속정보의 실체에 관한 데이터 타입이 지정된다.
여기에서는, Data Type Number=0은, [Vendor Unique]가 되고, 벤더(메이커)에 고유의 수속정보인 것이 표시된다.
Data Type Number=1은, [Standard Instructions that is defined in this document.]가 되고, 수속정보의 실체가, 표준규격에 의한 명령순서(Standard Instructions)를 기술한 자인 것으로 하고 있다.
Data Type Number=2는, [XML Object.]가 되고, 수속정보의 실체가, XML로서의 콘텐츠를 형성하는 오브젝트의 데이터인 것이 나타내어진다.
이 포맷에 따르면, 본 예의 수속정보의 실체의 종류로서는, 명령순서를 기술한 것과, 오브젝트 데이터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속정보인 오브젝트 데이터로서는, XML의 규격에 따른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5 바이트에 의한 1바이트의 영역은, [Data Type Format]이 되고, 수속정보의 실체의 형식이 나타내어진다.
여기서는, Data Type Format=O이면, [Vendor Unique]라고 해서, 벤더가 독자적으로 규정한 포맷인 것이 나타내어진다.
Data Type format=1에 의해서는, [ASCII Text]인 것을 나타내게 된다. Data Type Fornat=2에 의해서는, [By the Standard Instructions compiler rules that is defined in this document.]라고 해서, 컴파일러의 규칙에 따른 표준규격의 명령순서인 것을 나타낸다.
남는 제6 바이트로부터 제2048 바이트까지의 2043바이트의 영역이, 명령순서(Instruction), 또는 오브젝트(0bject)로서의 수속정보의 실체로서의 기술내용이 저장되는 영역이 된다.
수속정보로서는, 그 내용에 따라서 사이즈가 다른 가변 길이의 정보가 되지만, 이 경우에는, 최대 2043바이트가 되게 된다. 그리고, 수속정보는, 예를 들면 제6 바이트 이후부터 채워 가도록 해서 저장해 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Standard Instructions을 하기와 같이 규정한다. 또한, Standard Instructions을 ASCII Text로 저장할 때의 개행 데리미터는, UNIX환경에서 표준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LF(Line Feed)코드로 한다.
드라이브측의 시기를 규정하는 명령:
NOW_LOADING, AFTER_LOADING, BEFORE_EJECT
드라이브측에서의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
REWIND, EJECT
CHANGE_PARTITION, SPACE_EOD, SPACE_FILE_MARK, SPACE_SET_MARK,
GET_DRIVE_SERIAL_NUMBER, GET_CARTRIDE_SERIAL_NUMBER,
GET_DRIVE_TYPE,
GENERATE_CHECK_CONDITION,
SENSE_EJECT_BUTTON
명령을 제어하는 지시:
SWITCH, CASE, IF, THEN, ELSE
호스트에의 메시지 전달:
PUT_MESSAGE, GENERATE_CHECK_CONDITION
또한, 드라이브측이 CHECK_CONDITION(99)을 반송해 왔을 때, 호스트는 ANSIAM사양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ID=080Ch Request for the host를 발행해서 판독을 행하여, 드라이브측에서 발생되어 있는 사태를 파악하지 않으면 안된다.
8-3.처리동작
상술한 호스트 인터페이스 포맷에 입각하여, 먼저 도 27A 및 도 27B를 참조해서 설명한 수속정보에 따른 백업/리스토어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동작을 도 30,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0은, 드라이브, 예를 들면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측의 처리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고, 여기에서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시스템 컨트롤러(15)가 실행한다. 도 31은, 호스트,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40)측이 실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고, 여기에서는, 호스트 컴퓨터(40)의 CPU(301)가 실행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가 실행되기 위해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플래시 ROM(25)에는, 수속정보를 처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보유되어 있고, 시스템 컨트롤러(15)는, 이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호스트 컴퓨터(40)측에 있어서는, HDD(308)에 수속정보를 처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RAM(303)에 전개하고, 그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301)가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 및 호스트 컴퓨터(40)는, SCSI 인터페이스 기능으로서, 상술한 ANSI-AM사양의 SCSI 호스트 인터페이스 에 의해 커맨드의 송수신을 서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동작은, MIC가 접촉형 메모리(104)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테이프 카세트(1)에 구비되는 MIC는, 리모트 메모리 칩(4)인 것을 전제로 한다.
우선,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측에 있어서, 시스템 컨트롤러(15)는, 도 30에 도시하는 스텝 S101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1)가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 본체의 카세트 삽탈구(203)에 대해서 삽입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카세트 삽탈구(203)에 테이프 카세트(1)가 삽입된 것을 검출하면, 스텝 S102로 진행된다.
스텝 S102에 있어서는, 카세트 삽탈구(203)에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1)에 관한 로딩을 개시한다. 즉, 내부의 로딩 기구를 제어하여, 테이프 카세트(1) 본체를 적정한 기록 재생 가능 위치까지 반송하는 동시에, 자기 테이프(3)를 인출하여 로딩하는 동작을 개시한다.
이 경우, 스텝 S102에 이어지는 스텝 S103에 있어서는, 테이프 카세트 삽입시에 있어서, 이젝트 키(205)가 조작되어 있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고, 이젝트 키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하는 경우에는, 스텝 S104에 있어서, 플래그(f)에 대해서 '1'을 세트하고, 스텝 S104로 진행된다. 이것에 대해서, 이젝트 키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하는 경우에는, 스텝 S105에 있어서, 플래그(f)에 대해서 '0'을 세트하고, 스텝 S106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이 플래그(f)는, 예를 들면 S-RAM(24), 또는, 시스템 컨트롤러(15) 내부의 레지스터 등에 대해서 보유해 둔다.
여기까지의 처리가 실행되어 있는 단계에서는, 테이프 카세트(1)를 로딩중인상태가 되는데, 자기 테이프(3)가 로딩중이여도, 테이프 카세트(1)의 안테나(5)와,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측의 안테나(31)가 자속결합에 의해 통신가능할 정도의 거리만 확보되면,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15)는, 이 도에 있어서의 처리로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테이프 카세트(1)가 삽입된 후에 있어서는, 리모트 메모리 인터페이스(30)를 제어하여,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한 액세스를 개시하도록 하고 있다. 리모트 메모리 칩(4)과의 통신이 확보된 상태가 되면, 여기에서는, 스텝 S106으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속정보의 판독을 행한다. 즉, 리모트 메모리 칩(4)에 액세스해서 각각에 기억되어 있는 수속정보를 판독하고, S-RAM(24) 또는 플래시 ROM(25)에 대해서 기입하여 보유하게 된다. 그리고, 이 판독을 한 수속정보에 관한 처리를 개시한다.
이 경우의 수속정보는, 도 27A 및 도 27B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젝트 키가 조작되지 않고서 해당 테이프 카세트가 장전되었을 경우에는, 특정 디렉토리에 두어지는 데이터를 백업한다. 이젝트 키가 조작되면서 해당 테이프 카세트가 장전되었을 경우에는, 동일한 디렉토리에 놓여지는 데이터를 리스토어한다.」
고 하는 취지가 기술되는 백업/리스토어에 관한 명령순서로 하고 있다.
스텝 S107 이후의 처리는, 앞의 스텝 S106에 의해 수속 처리가 개시되었다고 하는, 상기한 명령순서에 따른 처리가 되는 것이다. 이 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텝 S106에 의해 처리를 개시한 수속정보가 다른 내용의 것인 경우에는, 이 수속정보에 따른 처리를 실행해 간다.
스텝 S107 이후의 처리를 설명하는데 앞서서, 리모트 메모리 칩(4)에 기억되고,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판독된다고 하는, 백업/리스토어의 명령순서로서의 수속정보의 기술예를, 도 32에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이 도 32에 도시하는 수속정보는,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도 42에 도시한 Instruction for the cartridge로서의 ATTRIBUTE 데이터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Responsibility에 대해서는 '0'이 되고, 호스트인 것이 나타내어진다.
Data Type Number=1, Data Type Format=1이 되고, 이 수속정보의 실체는, Standard Instructions에 의한 ASCII Text인 것이 나타내어진다.
지금부터 이후의 SWITCH로부터 시작되는 내용이, 수속정보의 실체인 명령순서(Standard Instructions)이고, ASCII Text에 의해 기술되어 있다.
도 32에 도시되는 명령순서의 기술내용에 따른,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시스템 컨트롤러(15)의 처리로서는,
CASE:NOW_LOADING{
IF SENSE_EJECT_BUTTON_THEN PUT_MESSAGE{EJECT_BUTTON_REQUESTED}
}
의 기술부분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즉, 스텝 S107에 있어서, 우선, 현재의 플래그(f)에 대해서, f=1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한다. 즉, 로딩중에 이젝트 키 조작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플래그(f)=1이라고 해서 이젝트 키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하는 경우에는, 스텝 S108로 진행되고, MIC에 대해서, 메시지 [EJECT_BUTTON_REQUSTED]를 기입한다.
MIC에 있어서는, 수속정보를 저장하는 영역내에 있어서, 메시지를 기입하기 위한 PUT_MASSAGE용 워크 메모리로서의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메시지는, 스텝 S108에 의해 기입되어야 할 메시지는, 이 MIC내의 PUT_MASSAGE용 워크 메모리에 대해서 기입이 행하여진다.
한편, 스텝 S107에 있어서 플래그(f)=O이라고 해서, 이젝트 키 조작은 없었다고 할 경우에는, 스텝 S108의 처리를 스킵해서 스텝 S109로 진행된다.
스텝 S109에 있어서는, 현재 실행중에 있다고 하는 로딩 동작이 종료하는 것을 대기하고 있고, 로딩이 종료한 것이 판별되면 스텝 S110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로딩 종료후에는,
CASE:AFTER_LOADING{
REWIND
IF GET_MESSAGE="EJECT_BUTTON_REQUESTED"THEN{
PUT_MASSAGE{FULL_RESOTRE "C:¥My Document"}
GENERATE_CHECK_CONDITION(99)
}ELSE
PUT_MESSAGE{FULL_BACKUP "C:¥My Document"}
GENERATE_CHECK_CONDITION(99)
의 기술내용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된다.
즉, 스텝 S110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3)를 테이프 개시위치에까지 되감기(REWIND)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스텝 S111에 있어서, 현재의 PUT_MASSAGE용 워크 메모리를 참조하여, 그 결과로서, 스텝 S112에 있어서, 메시지 [EJECT_BUTT0N_REQUESTED]를 취득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S112에 있어서 메시지 [EJECT_BUTTON_REQUESTED]가 취득되지 않는다고 해서 부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11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13에서는, PUT_MASSAGE용 워크 메모리에 대해서 [FULL_BACKUP "C:¥Mt Document"]라고 하는 메시지를 기입하게 된다. 스텝 S115로 진행하여, CHECK_CONDITION(99)을 발생시키고, 호스트 컴퓨터(40)에 대해서 송신한다.
이것에 대해서, 스텝 S112에 있어서 메시지 [EJECT_BUTTON_REQUESTED]가 취득되었다고 해서 긍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114로 진행된다. 스텝 S114에 있어서는, PUT_MASSAGE용 워크 메모리에 대해서 [FULL_RESTORE "C:¥My Document"]라고 하는 메시지를 기입한다. 이 다음, 스텝 S115로 진행되어, CHECK_CONDITION(99)을 발생시켜, 호스트 컴퓨터(40)에 대해서 송신한다.
여기까지의 수속정보의 명령순서에 따른 처리에 의하면, 이젝트 키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고서 테이프 카세트(1)가 장전되었을 경우에는, PUT_MASSAGE용 워크 메모리에 대해서 메시지 [FULL_BACKUP "C:¥My Document"]가 기입되게 된다. 또한, 이젝트 키 조작이 행하여지면서 테이프 카세트(1)가 장전되었을 경우에는, PUT_MASSAGE용 워크 메모리에 대해서 메시지 [FULL_RESTORE "C:¥My Document"]가기입되게 된다. 이 메시지를 호스트측에 판독시키기 위해서, CHECK_CONDITION(99)을 발생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송신되는 CHECK_CONDITION(99)을 수신한 호스트 컴퓨터(40)의 처리동작은, 도 31에 도시하는 것이 된다.
호스트 컴퓨터(40)의 CPU(301)는, 스텝 S201에 있어서, SCSI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드라이브측에서 송신된 CHECK_CONDITION(99)이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CHECK_CONDITION(99)을 수신한 것을 판별하면 스텝 S202로 진행된다.
스텝 S202에 있어서는, CHECK_CONDITION(99)의 수신에 응답한 처리로서, 도 4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의된, Request for the host의 READ ATTRIBUTE command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대해서 발행한다.
Request for the host의 발행에 따른 트랜잭션으로서, Request for the host를 수신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측에서는, 그 처리동작은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MIC의 PUT_MASSAGE용 워크 메모리에 대해서 메시지가 기입되어 있으면, 리스폰스로서 이 메시지를 반송하게 된다.
호스트 컴퓨터(40)의 CPU(301)는, 스텝 S203에 있어서, Request for the host의 발행에 따라서 실행된 트랜잭션이 성공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어떠한 장해 등에 의해, 트랜잭션이 실패로 끝난 경우에는, 스텝 S206으로 진행되어, 소요의 에러 대응처리를 실행하고 스텝 S201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대해서, 트랜잭션이 성공했다고 하여, 어떠한 메시지가 반송되어 왔다고 하는 경우에는, 스텝 S204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204에 있어서는, 취득한 메시지를 해석하여, 메시지가 지시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 스텝 S204의 처리로서는,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서 적당히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1에 도시하는 처리가 스텝 S113의 처리를 거침으로써, 메시지 [FULL_BACKUP "C:¥My Document"]를 처리한 경우이면, 스텝 S204의 처리에 의해서는, HDD(308)의 "C:¥My Document"의 디렉토리에 있는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한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즉, 호스트 컴퓨터(40)의 CPU(301)는, HDD(308)의 "C:¥My Document"에 두어져 있는 데이터의 판독을 하고, SCSI를 통하여,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대해서 전송한다. 이것과 함께, 이 전송하는 데이터가,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측에서 테이프 카세트(1)의 자기 테이프(3)에 기록되도록, SCSI를 통해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기록동작을 제어한다.
도 31에 도시하는 처리가 스텝 S114의 처리를 거침으로써, 메시지 [FULL_RESTORE "C:¥My Document"]를 처리한 것이면, 스텝 S204의 처리에 의해서는, HDD(308)의 "C:¥My Document"의 디렉토리에 있는 데이터를 리스토어하기 위한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의 CPU(301)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여, 테이프 카세트(1)의 자기 테이프(3)로부터 리스토어용의 데이터를 재생시키고, 이 재생된 리스토어용 데이터를 SCSI를 통하여, 호스트컴퓨터(40)측에 전송시킨다. 그리고, 수신취득한 리스토어용의 데이터를, "C:¥My Document"의 데이터로서 덮어 쓰도록 해서 HDD(308)에 대해서 기입한다.
또한, 백업, 또는 리스토어시에 사용해야 할 커맨드로서는, 예를 들면 tar커맨드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tar커맨드를 사용한다고 하면, 메시지 [FULL_RESTORE "C:¥My Document"]에 대응해서는, [tar xf/dev/st0]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스텝 S204의 처리가 실행되는 것인데, 실제로는, 계속되는 스텝 S205의 처리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텝 S204로서 실행한 처리가 성공했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별을 행한다.
여기에서, 스텝 S204의 처리가 성공한 것이라고 판별되면, 이대로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하고, 이 처리를 빠져 나와, 예를 들면 사이드 스텝 S201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예를 들면, 어떠한 장해에 의해 스텝 S204의 처리가 실패로 끝났을 때에는, 스텝 S206에 있어서 소요의 에러 대응처리를 실행한 후, 스텝 S201의 처리로 되돌아오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해서, MIC에 기입한 수속정보의 명령순서에 근거하여, 백업/리스토어의 동작이 실행됨으로써, 예를 들면 유저는, 수속정보를 MIC에 기입했다고 하는, 백업 용도의 테이프 카세트(1)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대해서 장전하는 것만으로, 이후에는, 특별히 조작을 행하지 않고서, 자동적으로 원하는 디렉토리의 데이터의 백업을 실행시킬 수 있다. 리스토어를 실행시키고 싶을 때에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백업 용도의 테이프 카세트(1)를 장전할 때에 있어서, 이젝트 키를 누름 조작하는 것만으로, 이후에는 자동적으로 리스토어가 실행된다.
이러한 시스템 동작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40)에 대해서 인스톨해야 할 프로그램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으면 좋다고 한다.
1)SCSI 버스로부터 송신되는 CHECK_CONDITION(99)의 체크 기능
2)CHECK_CONDITION(99)을 검지하면, ANSI 확장사양의 ATTRIBUTE ID=080Ch는, [Request for the host(2048Bytes, Binary)]를 판독하는 기능
3)판독한 수속정보로서의 문자열을 해석하고, FULL_BACKUP, FULL_RESTORE를 실행하는 기능. 또한, FULL_BACKUP, FULL_RESTORE의 실행에 있어서는, tar커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이 tar커맨드를 불러내도록 하면 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의 백업 소프트웨어보다도 간단하고, 가벼운 것으로 끝나게 된다.
9.수속정보 이용예(제2 예)
9-1.동작개요
계속해서, 수속정보를 이용한 시스템 동작의 제2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영화를 상영하는 극장에서 이용되고 있는 디지털 영화 시스템에서는, 종래 이용되고 있던 필름을 지정 극장에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데이터로서의 영화의 콘텐츠를 기록한 소정의 기록매체를, 지정 극장에 배포하게 된다. 극장이 가지는 디지털 영화 시스템에 의해 배포된 기록매체의 재생을 행함으로써,영화가 상영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은 테이프상 기록매체를 미디어로 하는 재생 시스템은, 이러한 디지털 영화 시스템에도 적용하여, 각종의 기능을 줄 수 있다. 여기에서는, 그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8A에 도시하는 테이프 카세트(1A)는, 디지털 상영 시스템의 용도로 한정된 것이 되어, 상영되어야 할 영화의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다. 이 테이프 카세트(1A)가, 미리 결정된 디지털 상영 시스템을 가지는 극장에 배포된다.
이 테이프 카세트(1A)의 MIC에 있어서, 예를 들면 MIC 헤더의 매뉴팩쳐·퍼트내의 어플리케이션 ID(Application ID)에는, 어떤 특정한 디지털 상영 시스템에 대응한 테이프 카세트인 것을 도시하는 ID가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Application ID=e-cinema라고 기술되어 있다.
MIC내의 합계 32바이트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Cartridge Serial Number)에는, 영화의 콘텐츠가 기록되는 카세트로서, 오리지날인 것을 나타내는(즉, 카피가 아닌 것을 나타낸다) 값이 저장되어 있다.
이 테이프 카세트(1A)의 MIC에는, 수속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특정의 디지털 상영 시스템에 있어서만 재생이 행하여지도록 하는 내용의 명령순서를 기술한 것이 기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미리 결정된 것 이외의 상영 시스템에 의해 부정하게 상영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복사품의 부정사용도 방지한다. 또한, 이 수속정보의 구체적 내용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수속정보의 MIC에의 기입은, 도 28A에도 도시하고 있지만, 도 27A 및 도 27B에 도시한 제1 예의 경우와 같아도 좋다. 즉,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에 의해, 기입이 행하여지도록 하면 된다.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전송한 수속정보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가 수신하고, 그 때 장전되어 있는 테이프 카세트(1A)의 MIC에 대해서 기입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에서, 도 28B에는,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로서의 호스트 컴퓨터(40)와, 범용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 시스템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대해서, 상영 시스템 대응의 테이프 카세트(1A)를 장전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카세트 삽탈구(203)에 테이프 카세트(1A)가 장전되면, 이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의 펌웨어가 MIC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고, MIC 헤더의 매뉴팩쳐·퍼트내의 어플리케이션 ID를 취득한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ID는, 전술도 한 바와 같이, Application ID=e-cinema로 되어 있고, 특정한 디지털 상영 시스템에 대응한 테이프 카세트인 것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 범용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의해서는, 이 테이프 카세트(1A)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이렇게 해서, 우선은, 특정한 디지털 상영 시스템에 대응한 테이프 카세트(1A)가, 부정한 디지털 상영 시스템에 의해 재생되어 상영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8C에는, 테이프 카세트(1A)에 대응한 디지털 상영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 디지털 상영 시스템은, 예를 들면 디지털 상영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이 주어진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호스트 컴퓨터(40A)와, 디지털 상영 시스템 대응에 특화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A)를 구비한다. 이 경우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A)에는, MIC의 Application ID가, [e-cinema]인 경우에 대응한 동작이실행되도록 펌웨어가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펌웨어내에, Drive_TYPE=E-CINEMA라고 하는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정보의 펌웨어에 대한 기입은, 예를 들면, 영화를 배급하고 있는 측에서 정규로 주어진 업데이트 프로그램 등을 이용해서 행하게 된다.
또한, 이 점 이외에 대해서는, 특히 범용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와 다른 곳은 없다.
도 28C에 도시하는 디지털 영화 시스템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A)에 대해서, 테이프 카세트(1A)가 장전된다. 그러면,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A)는, 이 테이프 카세트(1A)의 MIC의 정보를 판독하여, 예를 들면 우선, Application ID를 참조한다. 그리고, Application ID가, [e-cinema]이면, 디지털 영화 시스템에 대응하는 동작을 행하게 된다.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A)의 디지털 영화 시스템에 대응하는 동작으로서는, 우선, MIC내의 수속정보를 판독하여, 이것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이 수속정보에 따른 처리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가, 영화의 콘텐츠를 기록한 테이프 카세트로서 오리지날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또한, 자신이 DRIVE_TYPE=E-CINEMA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만,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의 데이터, 예를 들면 영화의 콘텐츠의 판독을 허가한다. 즉,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가 정규의 오리지널의 것로서 부정품이 아니고, 또한, 이것을 재생하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도 또, 영화배급측이 준 업데이트 프로그램에 있어서 펌웨어가 적정하게 구축된, 정규의 것인 경우에만,이 디지털 영화 시스템에 의해 영화의 콘텐츠를 상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 동작이면, 테이프 카세트(1)에 수속정보를 기입한다고 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부정한 영화 시스템의 운영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한 동작은,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A)에서 거의 완결시킬 수 있다. 즉, 상위가 관리하지 않더라도, 시스템에 있어서의 하위의 디바이스에 의해, 적절한 테이프 카세트에의 처치가 실현된다.
9-2.처리동작
계속해서, 도 28C에 도시하는 디지털 영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A)가 실행하는 처리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A)의 처리동작은, 디지털 영화 시스템에 대응한 수속정보에 근거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앞서, 이 수속정보의 구체적 기록 내용예를 도 34에 도시해 둔다.
도 34에 도시하는 수속정보도 또, 도 42에 도시하는 Instruction for the cartridge로서의 ATTRIBUTE 데이터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Responsibility에 대해서는, '1'이 되고, 드라이브인 것이 나타내어진다.
Data Type Number=1, Data Type Fomat=1이 되고, 이 수속정보의 실체는, Standard Instructions에 의한 ASCII Text인 것이 나타내어진다.
이제부터 이후의 SWITCH로부터 시작되는 내용이, 수속정보의 실체인 명령순서(Standard Instruction)가 되고, 이 경우에도, ASCII Text에 의해 기술되어 있는것이다.
도 33은, 디지털 영화 시스템의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가,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에 대응해서 실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에 도시하는 처리는,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내의 시스템 컨트롤러(15)가 실행한다.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5)의 시스템 컨트롤러(15)는, 우선, 스텝 S301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삽탈구(203)에 삽입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고,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된 것을 판별하면, 스텝 S302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302에 있어서는,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서 로딩하기 위한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이 경우에는, 로딩이 종료했다고 하면, 스텝 S303에 의해,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에 구비된 MIC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행한다. 이렇게 해서 MIC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S-RAM(24) 또는 플래시 ROM(25)에 보유된다.
계속되는 스텝 S304에 있어서는, MIC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중, MIC 헤더의 매뉴팩쳐·퍼트내의 어플리케이션 ID를 참조하여, 이 어플리케이션 ID가, [e-cinema]라고 기술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을 행한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ID가 [e-cinema]가 아니라고 해서, 부정결과가 얻어진 경우란,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가, 예를 들면 통상의 데이터 기록을 위한 테이프 카세트이거나, 또는 클리닝 카세트 등이라고 되어 있게 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 도에 도시하는 처리를 빠져 나와, 실제로 기술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 ID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대해서, 어플리케이션 ID가 [e-cinema]라고 해서 긍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305 이후의 디지털 영화 시스템에 대응하는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305에 있어서는, 수속정보의 판독을 해서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이 때에 있어서의 수속정보의 판독은, MIC로부터 판독하도록 해도 좋지만, 지금까지의 처리에 따르면, MIC로부터 판독했다고 하는 데이터가 S-RAM(24)(또는 플래시 ROM(25))에 보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메모리에 보유되어 있는 MIC의 데이터를 판독해서 처리하도록 해도 좋다.
도 34에 도시한 수속정보의 명령순서에 있어서는, 우선,
IF GET_CARTRIDGE_SERIAL-NUMBER=20000000000000000000000000034621 THEN{…
라고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하여, 스텝 S306에 있어서, 판독을 한 MIC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를 참조한다. 그리고, 다음 스텝 S307에 있어서, 참조한 MIC의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와, 명령순서에 따라 기술된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20000000000000000000000000034621)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을 행하게 된다.
스텝 S307에 있어서 긍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는, 해당 영화 시스템에 대응한 정규의 오리지날의 것이 되는데, 이 경우에는, 스텝 S308로 진행된다.
스텝 S307에 있어서 카트리지 시리얼 넘버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해서 부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 테이프 카세트는, 복사품이라고 간주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스텝 S310으로 진행되게 된다.
스텝 S308의 처리는, 명령순서에 있어서의
IF GET_DRIVE_TYPE=E-CINEMA THEN…
의 기술내용에 대응한 처리가 된다. 즉,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A) 자신의 펌웨어에 기입져 있다고 하는 DRIVE_TYPE를 참조한다. 다음 스텝 S309에 있어서, 이 참조한 DRIVE_TYPE=E-CINEMA라고 기술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을 행한다.
여기에서, 스텝 S309에 있어서 DRIVE_TYPE=E-CINEMA라고 해서 긍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명령순서에 있어서,
IF GET_DRIVE_TYPE=E-CINEMA THEN EXIT
라고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이 명령에 따라, 이 처리 루틴을 빠져나오게 된다. 스텝 S309에 있어서 긍정결과가 얻어진 경우란, 즉,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는 해당 영화 시스템에 대응한 정규의 오리지널품인 동시에,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도 정규의 것이라고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게 된다. 스텝 S309에 있어서 긍정결과가 얻어짐으로써, 이 루틴을 이대로 빠져나간다고 하는 것은, 이 테이프 카세트에 대한 재생금지가 설정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 이후에 있어서는, 이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를 재생해서 상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명령순서로서는,
IF GET_DRIVE_TYPE=E-CINEMA THEN EXIT
}ELSE{
REWIND
EJECT
EXIT
라고 하는 기술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 명령순서에 따라, 스텝 S309에 있어서 부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310으로 진행되어, 자기 테이프(3)를 선두까지 되감기(REWIND) 위한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명령순서에 따르면, 스텝 S310에 의한 되감기가 종료하면 테이프 카세트(1)를 이젝트(EJECT) 하게 되는데, 명령순서에는,
CASE:BEFORE_EJECT{
PUT_MESSAGE{
THE CARTRIDGE IS UNUSABLE IN THIS SYSTEM.
}
GENERATE_CHECK_CONDITION(99)
}
라고 기술되어, 이젝트(EJECT)의 전단계에서 실행해야 할 명령이 나타내어져 있다.
그래서, 시스템 컨트롤러(15)는, 스텝 S310의 처리에 의해 되감기를 한 후에는, 상기 기술에 따라, 스텝 S311의 처리에 의해, MIC의 PUT_MASSAGE용 워크 메모리에 대해서, 메시지 [THE CARTRIDGE IS UNUSABLE IN THIS SYSTEM.]을 기입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스텝 S312의 처리에 의해, CHECK_CONDITION(99)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다음 스텝 S313에 있어서 되감기가 종료하는 것을 대기해서, 되감기가 종료되면, 스텝 S314에 의해, 지금까지 장전되어 있던 테이프 카세트를 이젝트해서 카세트 삽탈구(203)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312의 처리에 의해 발생된 CHECK_CONDITION(99)을 수신한 호스트 컴퓨터(40)는, 예를 들면 도 31에 도시한 처리에 따라서, Request for the host를 발행한다. 그리고, MIC의 PUT_MASSAGE용 워크 메모리에 기입되어 있는 메시지를 취득한다. 이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 [THE CARTRIDGE IS UNUSABLE IN THIS SYSTEM.]이 취득되기 때문에, 이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재생금지를 설정한다. 또한, 이 경우이면, 스텝 S312의 처리에 의해 발생된 CHECK_CONDITION(99)에 대응한 처리는, 동일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A)의 펌웨어가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즉,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A)의 펌웨어는, CHECK_CONDITION(99)을 검지하면, MIC의 PUT_MASSAGE용 워크 메모리에 기입되어 있는 메시지 [THE CARTRIDGE IS UNUSABLE IN THIS SYSTEM.]을 취득하고, 예를 들면 재생금지 모드를 설정한다.
10.수속정보 이용예(제3 예)
다음에, 수속정보를 이용한 동작으로서의 제3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9에는, 제3 예로서의 이용 양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3 예는, 테이프 카세트(1)를 라이브러리 장치(50)에 대해서 저장하는 경우에 대응하고 있다.
전술도 한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 장치(50)는, 복수의 테이프 카세트(1)를 수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소정수의 수납부(52a)가 형성된 매거진(52)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 제3 예로서는, 도 2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서 MIC에 대해서 기입해야 할 수속정보로서, 테이프 카세트(1)가, 지정의 수납부(52a)에 수납되도록하기 위한 명령순서를 기술하게 된다. 이것을 위해서는, 예를 들면, 라이브러리 장치(50)에 있어서는, 수납부(52a)에 대해서 각각 넘버를 주어서 관리하도록 해 두고, 그리고 나서, 수속정보에 따라서는, 지정의 수납부 넘버의 수납부(52a)에 대해서 테이프 카세트(1)를 수납하는 것을 명령한 기술을 한다.
이렇게 해서 수속정보가 기입된 테이프 카세트(1)를 도 29B에 도시하도록 해서 포스트(56)에 삽입했다고 하면, 라이브러리 장치(50)의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의 제어에 의해, 핸드 유닛(60)이 이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1)를 쥔다. 이 상태 하에서, MIC의 수속정보를 판독해서 해석한다. 이 해석결과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결과,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는, 수속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수납부 넘버의 수납부(52a)에 대해서, 현재 핸드 유닛(60)이 쥐고 있는 테이프 카세트(1)를 수납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의해,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에 의한 제어처리의 설명을 했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플로우 챠트 등의 도시에 의한 라이브러리 컨트롤러(80)의 처리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라이브러리 장치(50)는, MIC로서, 리모트 메모리 칩(4)과 통신가능한 구성을 취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 수속정보 및 관리정보 등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뿐만 아니라, 리모트 메모리 칩(4)에 대해서 수속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수납부(52a)의 넘버를 지정해서 테이프 카세트(1)를 수납시키는 명령순서 외에, 라이브러리 장치(50)가 테이프 카세트를 관리하는데 필요시 되는 소정 내용의 수속정보를 기술하도록 하면, 예를 들면 유저가 목적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관리를 위한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시키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11.다른 수속정보 이용예
지금까지의 이용예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속정보는, 다른 시스템 기기에 대해서 어떠한 리퀘스트를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현가능한 기능도, 그 기술내용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래서, 다른 수속정보의 이용예에 대해서, 몇개의 예를 올려 둔다.
예를 들면, 먼저 제1 예로서, 테이프 카세트(1)를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장전할 때마다, 백업/리스토어를 실행시키는 동작예를 제시했지만, 이것에 준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백업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속정보로서, 「매일 지정 시각에 이르면 백업을 행한다」라고 하는 명령순서를, 테이프 카세트(1)의 MIC에 기입해 두게 된다. 이 명령순서에 대해서 판독을 한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 및 호스트 컴퓨터(4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은, 이 테이프 카세트(1)가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10)에 장전되어 있는 한은, 명령순서에 의해 지정되는 시간에 이르면, 백업을 위한 시스템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즉, 자동적으로, 매일 지정 시각에 백업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백업동작의 응용으로서, 예를 들면, 테이프 카세트(1A)에 대응한 시스템이, 장래적으로 VTR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생각한 경우에는, 녹화예약을 위한 명령순서를 기술한 수속정보를 테이프 카세트(1)의 MIC에 기억시켜, 시스템에 장전해 둔다. 이렇게 하면, 지금까지의 VTR에 있었던 것 같은 녹화예약기능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28A 내지 도 2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디지털 영화 시스템에서는, 배급 등의 형편상, 배포한 오리지날의 테이프 카세트(1A)에 기록되는 콘텐츠를, 다른 기록매체에 카피할 필요가 있는 것도 상정된다. 이 때문에, 콘텐츠의 배급측에서는,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하는 범위내에서 콘텐츠의 카피를 허가할 필요도 생기게 된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오리지날의 테이프 카세트(1A)의 MIC에 대해서, 「콘텐츠를 1회 재생하면, 테이프 선두위치까지 되감아서, 테이프 선두위치부터 데이터를 소거한다」라고 하는 명령순서를 기입두도록 한다. 이러한 명령순서가 MIC에 기록된 테이프 카세트(1A)를 입수하여, 다른 기록매체에 카피를 행하기 위해서 재생한다. 그러면, 이 카피를 위한 재생이 종료되면, 시스템은, 테이프 카세트(1A)를 테이프 선두까지 되감고, 이 다음, 데이터의 소거를 행하도록 동작한다. 이렇게 하면, 데이터의 카피는 실질적으로 1회밖에 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운용기준으로서 콘텐츠의 카피를 1회만 허가한다고 한 후에, 이 운용기준에 따른 카피 제한을, 본 발명에 따른 수속정보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다.
나아가서는, 인터넷상의 파일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 파일 등을 다운로드하여, 본 발명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1)에 대해서 기록하는 경우에도, 수속정보로서, 기록해야 할 파일을 지정한 후에, 그 파일의 기록을 실행시키는 명령순서를 기입하도록 하면, 예를 들면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파일을 기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예를 들면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는, 수속정보에 관해서는 기입을 행하는 용도만을 기술했지만,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로서는 MIC(리모트 메모리 칩(4))에 액세스해서 데이터의 판독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가 MIC로부터 수속정보를 판독하고, 그 기술내용에 근거하여,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 자신이 소요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특정한 기능이 주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면, 지금까지는, 유저가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150)에 대해서 어떤 번잡한 조작 순서를 밟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던 기능을, 테이프 카세트(1)의 리모트 메모리 칩(4)으로부터 수속정보를 판독시키기 위한 조작만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속정보의 이용 양태로서는, 지금까지 든 것 이외에도, 많은 이용 양태를 제안할 수 있다. 시스템 구성으로서도, 여기에서는, 호스트 컴퓨터,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 데이터 기입/판독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를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으로서는, 테이프상 기록매체에 대해서 수속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한 메모리를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메모리가 구비되는 본 발명의 기록매체로서는, 테이프상 기록매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수속정보의 데이터 구조, 형식도 상기 실시 형태로서 나타낸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또한, 수속정보의 송수신 등에 관한 기기사이에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도, 상술한 SCSI이외에, 예를 들면 IEEE 1394 등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이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기억영역에 부가하여,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가 기억되는 기억영역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메모리와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수단을 구비한, 통신장치, 기록매체 드라이브 장치 및 기록매체 수납장치 등에 의해, 메모리에 대해서 수속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메모리에 수속정보가 기입되어 기억되어 있는 기록매체는, 해당 기록매체를 대상으로 해서 어떠한 처치를 하는 특정한 시스템 기기의 동작을 적극적으로 제어 가능한 정보를 가지게 된다.
정보처리장치인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 라이브러리 장치 및 호스트 컴퓨터 등의 측에서는, 메모리에 기억된 수속정보를 직접 판독해서 취득하고, 또는 메모리 정보 판독장치인 테이프 스트리머 드라이브, 라이브러리 장치 등에 의해 판독된 수속정보를 취득해서 처리를 행함으로써, 그 수속정보의 내용에 따른 제어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기록매체의 용도에 따라 실행시키고 싶다고 하는 소요의 시스템 동작을, 테이프 카세트를 장전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실행시키는 것등이 가능해진다.
기록매체에 수속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으로써, 호스트 등의 상위 시스템이 상태파악해서 제어를 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던 동작을, 예를 들면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직접 판독에 관계되는 기록매체 드라이브 장치 등의 하위의 시스템측에서 완결적으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위 호환성은 따라 유연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대해서 어떠한 처치를 시행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에 대해서, 보다 높은 조작성, 및 확장성을 줄 수 있고, 그 부가가치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Claims (16)

  1. 기록매체에 구비되어 해당 기록매체에 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관리정보 기억영역을 적어도 가지는 메모리 수단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수단과,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메모리 수단의 수속정보 기억영역에 대해서 기입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자기 테이프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 해당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관리정보 기억영역을 적어도 가지는 메모리 수단이 구비되는 기록매체가 장전 가능하게 되고, 이 기록매체에 대응한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기록매체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통신수단과,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메모리 수단의 수속정보 기억영역에 대해서 기입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드라이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자기 테이프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이고,
    상기 기록매체 드라이브 장치는 테이프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드라이브 장치.
  5. 해당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관리정보 기억영역을 적어도 가지는 메모리 수단이 구비되는 기록매체를 복수 수납 가능한 수납수단과,
    상기 수납수단에 대한 기록매체의 수납, 취출을 행하기 위해서, 상기 기록매체를 보유하고 반송할 수 있는 기구부로 이루어지는 기록매체 반송수단과,
    상기 수납수단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의 기록매체에 구비되는 상기 메모리 수단, 또는 상기 기록매체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되어 있는 상태의 기록매체에 구비되는 상기 메모리 수단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통신수단과,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메모리 수단의 수속정보 기억영역에 대해서 기입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수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자기 테이프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이고,
    상기 기록매체 수납장치는, 테이프 라이브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수납장치.
  7. 기록매체에 구비되어 해당 기록매체에 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관리정보 기억영역과,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가 기억되는 수속정보 기억영역을 적어도 가지는 메모리 수단과의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통신을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속정보를 판독하는 동시에, 이 판독된 수속정보로서 기술되는 수속에 따른 소요의 제어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하는 제어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자기 테이프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테이프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테이프 라이브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1. 기록매체에 구비되어 해당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관리정보 기억영역과,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가 기억되는 수속정보 기억영역을 적어도 가지는 메모리 수단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적어도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이 가능한 메모리 정보 판독장치와,
    통신가능한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메모리 정보 판독장치에 의해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정보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수속정보로서 기술되는 수속에 따른 소요의 제어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하는 제어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자기 테이프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테이프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테이프 라이브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5. 적어도, 해당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기억되는 관리정보 기억영역에 부가하여, 소요의 장치가 실행해야 할 수속을 기술한 수속정보가 기억되는 수속정보 기억영역을 가지는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자기 테이프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3-7006037A 2001-08-30 2002-08-28 기록매체의 메모리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 및 기록매체드라이브 장치 KR200400299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61358A JP2003068052A (ja) 2001-08-30 2001-08-30 通信装置、記録媒体ドライブ装置、記録媒体収納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記録媒体
JPJP-P-2001-00261358 2001-08-30
PCT/JP2002/008679 WO2003021595A1 (fr) 2001-08-30 2002-08-28 Appareil de communication communiquant avec une memoire de support d'enregistrement et appareil de lecture de support d'enregistr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953A true KR20040029953A (ko) 2004-04-08

Family

ID=1908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037A KR20040029953A (ko) 2001-08-30 2002-08-28 기록매체의 메모리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 및 기록매체드라이브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09308B2 (ko)
EP (1) EP1422715A4 (ko)
JP (1) JP2003068052A (ko)
KR (1) KR20040029953A (ko)
CN (1) CN100370551C (ko)
WO (1) WO2003021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65182A1 (en) * 2003-04-04 2004-10-06 Sony DADC Austria AG Optical media protection driver
US20050013218A1 (en) * 2003-05-19 2005-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a plurality of data storing unit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US20080043366A1 (en) * 2003-06-26 2008-02-21 Spectra Logic Corporation Tape cartridge auxiliary memeory based library
US7337246B2 (en) * 2004-07-22 2008-0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quick access grid bus connection of storage cells in automated storage libraries
GB2419026B (en) * 2004-10-08 2009-05-0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Tape drive apparatus
CN1315131C (zh) * 2004-10-15 2007-05-09 中央电视台 机械手磁带库装置及运行控制方法
JP4281687B2 (ja) * 2005-01-06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20080188981A1 (en) * 2007-02-04 2008-08-07 Roland Herbert Sautner Cell Auditing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Library Systems
JP5000632B2 (ja) 2008-12-26 2012-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再生装置、連携システム、これらの装置又は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8122300B2 (en) * 2010-02-10 2012-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volatile redundant verifiable indication of data storage status
US8612709B2 (en) 2010-04-29 2013-1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 of logical write protection of rewritable data storage cartridge
US9773059B2 (en) * 2010-11-09 2017-09-26 Storagedna, Inc. Tape data management
JP7396273B2 (ja) * 2018-10-24 2023-12-1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メモリおよびその制御方法、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記録再生システム
US11398249B2 (en) 2020-02-04 2022-07-26 Fujifilm Corporation Noncontact communication medium, magnetic tape cartridge, operation method of noncontact communication medium,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9960A (ja) * 1984-04-03 1985-10-22 Sony Corp テ−プカセツト自動供給選択再生装置
JP2764926B2 (ja) * 1988-07-15 1998-06-11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ット自動供給選択再生装置
JP2940696B2 (ja) 1990-05-29 1999-08-25 澤藤電機株式会社 エマージェンシ・リレー回路装置
WO1993010536A1 (en) * 1991-11-22 1993-05-27 Irving Tsai Tape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JPH06215543A (ja) 1992-11-30 1994-08-05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US6570728B2 (en) * 1992-12-28 2003-05-27 Sony Corporation Tape cassette including memory unit storing reproduction control instructions
US6034828A (en) * 1994-04-11 2000-03-07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of reproducing apparatus
JPH09127961A (ja) 1995-10-31 1997-05-16 Taito Corp カラオケ装置
JPH10177779A (ja) * 1996-12-16 1998-06-30 Sony Corp カセット管理システム
WO1999027535A1 (fr) 1997-11-20 1999-06-03 Sony Precision Technology Inc. Enregistreur/lecteur magnetique et procede d'enregistrement et de lecture magnetique
JPH11341404A (ja) 1998-05-25 1999-12-10 Canon Inc 磁気再生装置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並びに画像検索制御方法
JP2000082277A (ja) 1998-09-04 2000-03-21 Sony Corp 記録媒体対応装置
US6201474B1 (en) * 1998-10-21 2001-03-13 Intermec Ip Corp. Magnetic tape storage media having RFID transponders
WO2000038188A1 (fr) 1998-12-18 2000-06-29 Sony Corporation Support d'enregistrement, lecteur de bande et procede d'identification du type de support d'enregistrement
JP2001135023A (ja) 1999-11-02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vd貸与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222395A (ja) 2001-01-25 2002-08-09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icラベルを用いたメディア管理方法
US6674603B2 (en) * 2001-05-09 2004-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oin Decreased load time by storing cassette initialization information
US6947237B2 (en) * 2001-10-09 2005-09-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ORM magnetic tape with cartridge memory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68052A (ja) 2003-03-07
WO2003021595A1 (fr) 2003-03-13
EP1422715A1 (en) 2004-05-26
US20030235000A1 (en) 2003-12-25
US7209308B2 (en) 2007-04-24
CN100370551C (zh) 2008-02-20
EP1422715A4 (en) 2007-10-24
CN1486495A (zh)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5007B1 (en) Recording medium handling apparatus
US64211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ording medium
JP4672824B2 (ja) テープドライブ装置、記録媒体
KR20040029953A (ko) 기록매체의 메모리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 및 기록매체드라이브 장치
WO2002073512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with removable media
JP3767405B2 (ja) 記録媒体制御方法、記録媒体対応装置
US20210241793A1 (en) Recording medium cartridge and drive device
US20030067702A1 (en) Display on cartridge for storage medium
JP2003271903A (ja)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方法、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JP4158258B2 (ja) テープドライブ装置、記録媒体
JP2004213823A (ja) テープドライブ装置、記録再生方法
JP2002189994A (ja) 非接触式半導体メモリに対する通信装置、テープドライブ装置、ライブラリ装置、オートローダー装置、リーダー装置
US7212118B1 (en) Pluggable cartridge memory chip and memory access
JP3841050B2 (ja) テープドライブ装置、記録再生方法
JP2002203210A (ja) 非接触式半導体メモリに対する通信装置
JP3894315B2 (ja) テープドライブ装置、記録再生方法
JP4617556B2 (ja) 通信装置
JP4547779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173237A (ja) 記録媒体、記録媒体対応装置
JP4766085B2 (ja) テープドライブ装置、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方法
JP4269872B2 (ja) 記録再生装置
JPH1083657A (ja) 磁気テープ及び磁気テープの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2050093A (ja) メモリ付カセット及びその記録再生装置
JP2002050094A (ja) テープカセットの識別方法
JP2002216456A (ja) メモリ付きテープカセット及び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