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795A -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795A
KR20040029795A KR1020020060209A KR20020060209A KR20040029795A KR 20040029795 A KR20040029795 A KR 20040029795A KR 1020020060209 A KR1020020060209 A KR 1020020060209A KR 20020060209 A KR20020060209 A KR 20020060209A KR 20040029795 A KR20040029795 A KR 20040029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uel
sliding door
latch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9795A/ko
Publication of KR2004002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79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46Arrangements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연료필라도어가 열려 있을 때 그 연료필라도어와 같은 측면에 있는 슬라이딩도어의 개방을 제한하여 연료필라도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의 어느 일 측면에 위치된 연료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그 연료주입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료필라도어와, 상기 연료필라도어와 동일한 차체 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료필라도어 쪽을 향하여 개방되는 슬라이딩도어와,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차체에 록킹되도록 하는 래치레버와 그 록킹된 래치레버를 해제시키도록 도어핸들과 연결된 해제레버를 갖는 도어래치가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연료필라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상기 연료주입구의 일측에는 연료필라도어와 접촉됨에 의하여 연료필라도어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개방감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래치에는 상기 개방감지수단과 커넥팅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래치레버를 구속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설치된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clash of sliding door and fuel filler door in vehicle}
본 발명은 연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연료필라도어가 열려 있을 때 그 연료필라도어와 같은 측면에 있는 슬라이딩도어의 개방을 제한하여 연료필라도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는 승용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인원이 탑승하게 되어 있으므로 승하차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리어도어는 뒤로 미끄러지는 슬라이딩도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딩도어는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의 한쪽 면에 설치되는데, 이때 통상적으로 연료주입구를 개폐하는 연료필라도어는 슬라이딩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쪽에 설치된다.
그러나, 요즘에는 차량의 양 측면에 모두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한 승합차가 생산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차량의 양쪽에 슬라이딩도어를 모두 설치하게 되면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어느 한 쪽 측면에는 슬라이딩도어(10)가 연료주입구(20) 및 연료필라도어(21)가 함께 설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슬라이딩도어(10)와 연료필라도어(21)가 함께 설치되는 구조를 갖게 되면 주유소에서 차량에 연료를 주유하기 위하여 주유원이 연료주입구를 열고서 오일건(oil gun)을 집어넣은 상태로 주유를 하고 있는 사이에 갑자기 차안에 있던 탑승자가 나오기 위하여 연료필라도어 측의 슬라이딩도어를 열게 되면,슬라이딩도어가 오일건과 부딪치게 되면서 오일건이 파손되거나 연료주입구로부터 이탈되면서 사방으로 연료가 분출되어 대형폭발 및 화재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슬라이딩도어와의 충돌에 의해 연료필라도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오일건이 연료를 분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연료주입구로부터 빠져 나가게 되면 연료의 유압에 의하여 오일건 호스가 이리저리 요동치게 됨으로써 주유원이 오일건을 붙잡아 휘발유 분출을 차단하는 일이 매우 어려우므로 아주 위험한 상황이 전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료주입구에 연료를 주입하는 도중에 슬라이딩도어가 열림으로써 연료필라도어와 슬라이딩도어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료필라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도어가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일반적인 차량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연료필라도어와 도어래치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필라도어의 개방감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4는 도어래치 록킹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라이딩도어10a : 도어핸들
10b: 커넥팅로드11 : 도어래치
12 : 래치레버13 : 해제레버
20 : 연료주입구21 : 연료필라도어
30 : 개방감지수단31 : 작동로드
32 : 스프링40 : 록킹수단
41 : 록킹암41a : 걸고리
42 : 스프링w : 커넥팅와이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어느 일 측면에 위치된 연료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그 연료주입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료필라도어와, 상기 연료필라도어와 동일한 차체 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료필라도어 쪽을 향하여 개방되는 슬라이딩도어와,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차체에 록킹되도록 하는 래치레버와 그 록킹된 래치레버를 해제시키도록 도어핸들과 연결된 해제레버를 갖는 도어래치가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연료필라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상기 연료주입구의 일측에는 연료필라도어와 접촉됨에 의하여 연료필라도어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개방감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래치에는 상기 개방감지수단과 커넥팅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래치레버를 구속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설치된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서 연료필라도어와 도어래치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필라도어의 개방감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4는 도어래치 록킹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연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연료필라도어(21)가 개방되면 그 연료필라도어(21)와 동일한 차체 면에 설치된 슬라이딩도어(10)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의 어느 일 측면에는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주입구(20)가 마련되고, 그 연료주입구(20)를 개폐하기 위하여 연료필라도어(2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료필라도어(21)와 동일한 차체 면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도어(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슬라이딩도어(10)는 개방될 때 상기 연료주입구(20)가 형성된 차체 면을 덮으면서 열린다. 그래서 연료필라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도어(10)를 열면 슬라이딩도어(10)가 상기연료필라도어(21)와 충돌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도어(1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도어가 차체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도록 하는 도어래치(11)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래치(11)는 도면에 표현되지 않은 스트라이커와 맞물려 슬라이딩도어(10)의 록킹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도어래치(11)에는 스트라이커에 걸리도록 된 래치레버(12)와, 그 래치레버를 해제시키는 해제레버(13)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 구체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슬라이딩도어(10)를 닫게 되면 차체 일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상기 래치레버(12)가 맞물려 걸리게 되므로 슬라이딩도어(10)는 열리지 않는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도어(10)를 열고자 하면 슬라이딩도어(10) 일측에 마련된 도어핸들(10a)을 잡아 당겨야 하는데, 상기 도어핸들(10a)은 커넥팅로드(10b)를 매개로 상기 래치레버(12)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레버(13)와 연결된다. 즉, 도어핸들(10a)이 작동되면 상기 해제레버(13)가 래치레버(12)를 회동시켜 상기 래치레버(12)가 스트라이커로부터 구속 해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래치의 래치레버(12)가 상기 연료필라도어(21)와 연동하여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연료필라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어핸들(10a)을 작동시켜도 상기 래치레버(12)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주입구(20)의 일측에는 상기 연료필라도어(21)의 개방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방감지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래치(11)에는 상기 개방감지수단(30)과 연결부재(w)를 통해 연결되어래치레버(12)를 구속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수단(40)이 설치된다.
상기 개방감지수단(30)은 연료필라도어(21)의 내측면과 일측단이 접촉되고 타측단은 상기 연결부재(w)와 연결되는 작동로드(31)와, 상기 작동로드(31)가 연료필라도어(21) 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2)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w)는 통상의 커넥팅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로드(31)는 연료필라도어(2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하여 항상 연료필라도어(21)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힘을 보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31)와 커넥팅와이어(w)를 통해 연결된 도어래치의 록킹수단(40)은 힌지 회동되는 록킹암(41)과, 상기 록킹암(41)이 상기 래치레버(12)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록킹암(41)은 일측단이 상기 커넥팅와이어(w)와 연결되고, 중심에는 힌지(h)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단은 상기 래치레버(12)에 걸리도록 걸고리(4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록킹암(41)의 일측단이 커넥팅와이어(w)에 의해 당겨지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록킹암(41)의 타측단이 상기 래치레버(12)에 걸리게 되므로 슬라이딩도어(10)를 열기 위해 도어핸들(10a)을 잡아 당겨도 상기 래치레버(12)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의 스프링(42)은 상기 록킹암(41)의 타측단이 평상시에는 래치레버(12)로부터 해제되어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록킹암(41)의 타측단을잡아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도2와 같이 연료필라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팅와이어(w)가 느슨해져서 상기 록킹암(41)에 외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록킹수단의 스프링(42) 힘에 의하여 상기 록킹암(41)은 래치레버(12)로부터 해제되어 있게 되지만, 도3과 같이 연료필라도어(21)가 열리게 되면 개방감지수단의 스프링(32) 힘에 의하여 상기 작동로드(31)가 연료필라도어(21) 쪽으로 돌출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커넥팅와이어(w)가 팽팽하게 당겨져 도4와 같이 상기 록킹암(41)의 일측단을 잡아당기므로 상기 록킹암(41)의 타측단에 형성된 걸고리(41a)는 록킹수단의 스프링(42) 힘을 극복하고 상기 래치레버(12) 쪽으로 회전되어 래치레버(1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연료필라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도어(10)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핸들(10a)을 작동시켜도 상기 도어핸들(10a)과 연결된 해제레버(13)가 록킹암(41)에 걸린 래치레버(12)를 움직이지 못하므로 슬라이딩도어(10)는 개방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에 의하면, 연료를 주입할 때 개방되는 연료필라도어의 개방상태를 기구적으로 감지하여 슬라이딩도어가 열리지 못하도록 도어래치를 록킹시킴으로써 연료주입시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연료필라도어 파손 문제가 미연에 방지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체의 어느 일 측면에 위치된 연료주입구(20)를 개폐하기 위하여 그 연료주입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료필라도어(21)와, 상기 연료필라도어와 동일한 차체 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료필라도어 쪽을 향하여 개방되는 슬라이딩도어(10)와,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차체에 록킹되도록 하는 래치레버(12)와 그 록킹된 래치레버를 해제시키도록 도어핸들(10a)과 연결된 해제레버(13)를 갖는 도어래치(11)가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연료필라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상기 연료주입구(20)의 일측에는 연료필라도어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개방감지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래치(11)에는 상기 개방감지수단(30)과 연결부재(w)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래치레버(12)를 구속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수단(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감지수단(30)은 일측단이 상기 연료필라도어(21)의 내면과 접촉되고 타측단이 상기 연결부재(w)와 연결되어 연료필라도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작동로드(31)와, 상기 작동로드(31)가 연료필라도어(21) 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40)은 일측단이 상기 커넥팅와이어(w)에 의해 당겨지면 타측단이 상기 래치레버(12)에 걸리도록 힌지 설치된 록킹암(41)과, 상기 록킹암(41)의 타측단이 상기 래치레버(12)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20020060209A 2002-10-02 2002-10-02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 KR20040029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209A KR20040029795A (ko) 2002-10-02 2002-10-02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209A KR20040029795A (ko) 2002-10-02 2002-10-02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795A true KR20040029795A (ko) 2004-04-08

Family

ID=3733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209A KR20040029795A (ko) 2002-10-02 2002-10-02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97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636B1 (ko) * 2006-11-27 2008-12-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연료도어 개폐장치
CN109080450A (zh) * 2017-06-14 2018-12-25 丰田自动车工程及制造北美公司 具有燃料喷嘴罩偏转器组件的燃料外壳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763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승합차용 휴엘 리드 안전 록 시스템
KR19990059581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슬라이딩도어 차량의 연료 필러도어 잠금장치
JP2000064700A (ja) * 1998-08-18 2000-02-29 Honda Motor Co Ltd 給油扉開時のスライドドア干渉防止装置
KR20010005170A (ko) * 1999-06-30 2001-01-15 류정열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장치
JP2001241239A (ja) * 2000-02-29 2001-09-04 Aisin Seiki Co Ltd フューエルリッド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763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승합차용 휴엘 리드 안전 록 시스템
KR19990059581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슬라이딩도어 차량의 연료 필러도어 잠금장치
JP2000064700A (ja) * 1998-08-18 2000-02-29 Honda Motor Co Ltd 給油扉開時のスライドドア干渉防止装置
KR20010005170A (ko) * 1999-06-30 2001-01-15 류정열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장치
JP2001241239A (ja) * 2000-02-29 2001-09-04 Aisin Seiki Co Ltd フューエルリッド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636B1 (ko) * 2006-11-27 2008-12-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연료도어 개폐장치
CN109080450A (zh) * 2017-06-14 2018-12-25 丰田自动车工程及制造北美公司 具有燃料喷嘴罩偏转器组件的燃料外壳组件
CN109080450B (zh) * 2017-06-14 2022-01-18 丰田自动车工程及制造北美公司 具有燃料喷嘴罩偏转器组件的燃料外壳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81999B (zh) 用于主动式行人安全闩锁的相对移位机构
US7059654B2 (en) Door system
US6971688B2 (en) Inertia locking mechanism
US20080258552A1 (en) Fuel Filler Door Interlock Assembly
JPH08230464A (ja) 車両用のドア・インターロック機構
JP4597688B2 (ja) スライドドア車のフラップオープナシステム
JP3447528B2 (ja) 車両における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装置
JP4042954B2 (ja) 車両における開閉リッドロック装置
KR20040029795A (ko)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
US20050236866A1 (en) Sliding door and vehicle with a sliding door
KR100380349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CN115199158A (zh) 用于车门的机械紧急闩锁释放系统和方法
KR10113438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료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0756944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0535008B1 (ko) 이동구속장치를 갖춘 승합 차량의 슬라이딩도어
JP4145774B2 (ja) ドア開閉装置
KR101964243B1 (ko)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열림 방지 장치
KR100410848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장치
JP4109610B2 (ja) ドア開閉装置
JPH11115496A (ja) スライドドアのストッパ装置
JPS5938471A (ja) ロツク装置
KR20040016737A (ko)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안전장치
KR0122038Y1 (ko) 연료 주입구 도어의 안전장치
JPH11115495A (ja) スライドドアのストッ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