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864A -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 - Google Patents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864A
KR20040025864A KR1020030065263A KR20030065263A KR20040025864A KR 20040025864 A KR20040025864 A KR 20040025864A KR 1020030065263 A KR1020030065263 A KR 1020030065263A KR 20030065263 A KR20030065263 A KR 20030065263A KR 20040025864 A KR20040025864 A KR 20040025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tring member
string
cylinder
ty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6591B1 (ko
Inventor
이토키이치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04002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7/00Piston-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piston rod protruding from the closer housing; Telescoping clo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18Mono-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27Telescopic characterised by the piston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10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 F16J1/12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with piston-rods, e.g. rigi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쪽 단부에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실린더의 타단부로 바이어스시키는 헬리컬 스프링: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부터 안내홀을 통해 외측으로 안내되는 스트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과 스트링 부재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트링 부재는 피스톤과 일체적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종래의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와는 달리, 상기 스트링 부재의 베이스 단부에 복잡한 공정을 거쳐 루프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안내캡의 후크에 상기 스트링 부재의 루프 형상의 베이스 단부를 거어야 할 필요도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매우 쉽게 조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String type air dampe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차량의 글러브 박스(glove box)에 사용되는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관련 분야에 따른 이러한 형태의 에어 댐퍼의 특정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에어 댐퍼는, 양쪽 단부가 개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는 피스톤과, 베이스 단부가 상기 피스톤과 연결된 스트링 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한쪽 단부에 부착되어 밸브를 통과하는 공기의 부피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 장치와,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스트링 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캡 및 상기 가이드 캡과 상기 실린더 내의 피스톤 사이에 개재되어 피스톤을 상기 실린더의 한쪽 단부로 밀기 위한 헬리컬 압축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가,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등록 번호 제255706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가 차량의 글러브 박스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작동이 이루어 진다. 먼저, 상기 실린더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측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의 가이드 캡을 통해 외측으로 안내되는 상기 스트링 부재의 전방 단부가 상기 글러브 박스 측에 고정되며, 상기 슬러브 박스가 개방되도록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스트링 부재가 실린더로부터 점차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이 헬리컬 압축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저항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공기가 밸브장치를 통해 실린더 내로 흘러들어가, 댐핑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함과 더불어 상기 글러브 박스가 점차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글러브 박스가 폐쇄되도록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스트링 부재와 함께 동반되는 피스톤이 상기 헬리컬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밀리게 되며, 따라서, 상기 실린더 내에 축적된 공기는 밸브장치를 통해 외측으로 풀려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서 빠르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글러브 박스의 폐쇄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문제에 직면하게 될 수도 있다. 상기 스트링 부재와 피스톤은 서로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트링 부재와 관련하여, 상기 스트링 부재의 베이스 단부에는 복잡한 작업이 수반되는 루프(loop)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과 관련해서는 후크(hook)가형성되고, 상기 스트링 부재의 루프 형상의 베이스 단부는 상기 피스톤의 후크부에 걸려야만 하며, 따라서, 이러한 후킹 작업이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에서 발생되는 상술된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의 분해 사시도.
도 2A 및 2B는 피스톤과 스트링 부재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스트링 부재를 길게 연장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3A 및 3B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를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4B 및 4C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스트링 부재와 피스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6b는 상기 피스톤과 스트링 부재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음 상기 스트링 부재가 길게 늘어나게 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의 분해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b는 상기 실린더의 안내홀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의 분해 사시도.
도 11a는 작동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b는 작동이 일어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안내캡과 스트링 부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실린더, 피스톤, 헬리컬 스프링 및 스트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한쪽 단부에서 안내홀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서 이동된다. 상기 헬리컬 스프링은 피스톤을 실린더의 타단부를 향해 바이어스시키며, 상기 스트링 부재는 실린더의 내부로부터 상기 안내홀을 통해 외부로 안내되고, 상기 피스톤과 스트링 부재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스트링 부재는 다수의 부분으로 갈라지며 베이스 단부에서 피스톤과 연결된다. 상기 갈라진 부분들은 스트링 부재의 전방 단부에서 합쳐진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스트링 부재는 벨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의 안내홀은 평평한 개구와 상기 개구의 넓은 엣지부까지 연속된 완만한 아치형의 면을 갖는다. 상기 벨트 형상을 갖는 스트링 부재는 구부러져 상기 안내홀의 아치형 면을 따라 안내된다.
본 발명의 제4측면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과 스트링 부재는 제1물질로 형성되고, 강화 플레이트가 상기 제1물질보다 단단한 제2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헬리컬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마운트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제5측면에 따르면,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실린더, 피스톤, 헬리컬 스프링 및 스트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서 이동된다. 상기 헬리컬 스프링은 피스톤을 실린더의 한쪽 단부를 향해 바이어스시키며, 상기 안내캡은 실린더의 타단부에 부착되며 안내홀을 구성하고, 상기 스트링 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부터 안내홀을 통해 외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안내캡 및 스트링 부재는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 부재는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에 걸려있는 상태로 실린더의 외부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제6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5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스트링 부재는 다수의 부분으로 갈라지며, 상기 스트링 부재의 베이스 단부는 상기 안내캡에 연결되고, 상기 갈라진 다수의 부분들은 스트링 부재의 전방 단부에서 합쳐지며, 상기 갈라진 부분들은 피스톤에 걸려있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부재와 피스톤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종래의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와는 달리, 복잡한 작업을 통해 상기 스트링 부재의 베이스 단부에 루프를 형성하할 필요가 없으로 또한, 피스톤에는 후크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스트링 부재의 루프 형상 베이스 단부를 피스톤의 후크부에 걸도록 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써, 상기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에 있어서, 다수의 부분으로 갈라진 스트링 부재는 피스톤을 지지하며, 따라서, 상기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보장된다. 상기 제3측면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부재가 벨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써 스트링 부재 자체가 강화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스트링 부재는 가요적으로 구부러져 상기 안내홀의 아치형 면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4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보다 단단한 제2물질로 형성된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제1물질로 형성된 피스톤의 상면상에 제공되며, 따라서, 상기 헬리컬 스프링의 단부가 확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5측면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부재와 안내캡이 일체적으로 성형되며, 상기 스트링 부재의 전방 단부가 피스톤에 걸리게 된 다음 외측으로 도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링 부재의 베이스 단부에 루프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루프 형상의 베이스 단부를 복잡한 작업에 의해 피스톤에 형성된 후크부에 걸어야 하는 종래의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제6측면에 있어서, 다수의 갈라진 스트링 형상 부분들은 결과적으로 피스톤을 지지하게 되므로써, 상기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보장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실신더(1), 피스톤(2), 헬리컬 압축 스프링(3), 단부 캡(4) 및 스트링 부재(5)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1)에는 그 한쪽 단부에서 안내 홀(1a)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2)은 실린더(1) 내에서 이동한다. 상기 헬리컬 압축 스프링(3)은 피스톤(2)을 실린더(1)의 타단부 쪽으로 바이어스(bias)시킨다. 상기 단부 캡(4)은 실린더(1)의 타단부측ㅇ0ㅔ 부착되며, 상기 스트링 부재(5)는 피스톤(2)과 연결되어 상기 안내 홀(1a)을 통해 외측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결합에 있어서, 도면번호 7은 피스톤(2) 내에 제공된 헬리컬 압측 스프링(3)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마운트(mount)를 나타낸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큰 직경과 짧은 길이를 갖는 스트링 부재(5)와 피스톤(2)은 스트링 부재(5)의 전방 단부를 성형하기 위한 금속 몰드(9)와 피스톤을 성형하기 위한 금속 몰드(8)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스트링 부재(5)의 전방 단부를 성형하기 위한 금속 몰드(9)가 상기 피스톤을 성형하기 위한 금속 몰드(8)로부터 분리될 때, 큰 직경과 짧은 길이를 갖는 스트링 부재(5)가 작은 직경과 긴 길이를 갖는 스트링 부재(5)로 형성되도록 길게 늘어나게 된다. 도면번호 10은 각각의 금속 몰드(8, 9)에 제공되는 냉각 서킷(cooling circuit)이다. 이러한 냉각 서킷(10)은 상기 스트링 부재(5)의 전방 단부(5a)와 피스톤(2) 만을 냉각시킨다. 즉, 상기 냉각 서킷(10)은 스트링 부재(5)의 중간 부분은 냉각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스트링 부재(5)가 충분하게 늘어나게 되는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다음과 같이 단순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2)과 스트링 부재(5)가 이며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헬리컬 압축 스프링(3)과 피스톤(2)은 실린더(1)내에 삽입되며, 상기 스트링 부재(5)의 전방 단부(5a)는 안내홀(1a)을 통해 외측으로 안내된다. 그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 캡(4)이 실린더(1)의 타단부에 부착된다. 상기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이러한 방식으로 쉽게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와는 다르게, 복잡한 작업을 통해 상기 스트링 부재의 베이스 단부에 루프를 형성하고, 피스톤에는 후크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스트링 부재의 루프 형상 베이스 단부를 피스톤의 후크부에 걸도록 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변화를 임의대로 이룰 수 있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과 스트링 부재(5)는 연질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헬리컬 압출 스프링(3)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마운트의 기능을 하는 경질 합성수지로 구성된 강화 플레이트(reinforcing plate:11)가 상기 피스톤(2)의 상부면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은 삽입 성형(insert-molding) 또는 이색 성형(bicolor-molding)에 의해 연질부(2a)와 경질부(2b)를 포함하고, 스트링 부재(5)는 상기 경질부(2b)로부터 늘어나게 되며, 또한 상기 경질부(2b)는 압축 코일 스트링(3)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마운트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과 스트링 부재(5)는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2)의 외 주변부에는 O-링(12)이 부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가 아래에 설명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본질적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 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봐 같이, 작은 직경을 가지며 길게 늘여진 스트링 부재(5)는 그 기단부측 상에서 2개의 부분으로 갈라지며, 피스톤(2)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트링 부재(5)의 갈라진 2개의 부분은 전방 단부(5a)에서 합쳐진다. 따라서, 이 경우, 2개의 부분으로 갈라지는 상기 스트링 부재(5)는 피스톤(2)을 지지하게 되므로써, 상기 피스톤(2)이 실린더(1)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과 스트링 부재(5)가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경우, 큰 직경과 짧은 길이를 갖는 스트링 부재(5)와 피스톤(2)은, 피스톤을 성형하기 위한 금속 몰드(8)와 스트링 부재(5)의 전방 단부를 성형하기 위한 금속 몰드(9)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성형이 완료된 이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링 부재(5)의 전방 단부를 성형하기 위한 금속 몰드(9)가 피스톤을 성형하기 위한 금속 몰드(8)로부터 선형적으로 이동하여 멀어지게 되면, 큰 직경과 짧은 길이를 갖는 스트링 부재(5)는 길게 늘어나게 되어 작은 직경과 긴 길이를 갖게 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링 부재(5)는 2개의 부분으로 갈라지지만, 본 발명이 상술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링 부재(5)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갈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부분으로 갈라진 스트링 부재(5)는 피스톤(2)을 지지하게 되므로써, 상기 피스톤(2)이 실린더(1)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는 것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가 아래에 설명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 역시 제1실시예와 와 동일하나, 상기 제1 및 제3실시예 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길게 늘여진 스트링 부재(5)는 벨트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벨트 형상의 스트링 부재(5)는 피스톤(2)과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의 안내홀(1a)은 평평한 개구(13)과 상기 개구(13)의 넓은 엣지부까지 연속되는 완만한 아치형의 면(14)을 구비하여, 상기 벨트 형상의 스트링 부재(5)가 구부러져 상기 아치형의 면(14)을 따라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피스톤(2)과 스트링 부재(5)는 전술될 제조 공정을 적용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스트링 부재(5)가 벨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써 스트링 부재(5) 자체가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링 부재(5)는 가요적으로 구부러져 상기 안내홀(1a)의 아치형 면(14)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가 설명되며, 이러한 제4실시예와 이전의 실시예들 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별도로 성형되어 안내홀(6a)을 형성하는 안내 캡(6)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캡(6)은 실린더(1)의 한쪽 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스트링 부재(5)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피스톤(2)은 외측 직경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에어 댐퍼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실린더(1)의 내면과 피스톤(2)의 회면은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링 부재(5)가 안내캡(6)의 안내홀(6a)로부터 끌려 나오게 되는 방식으로 상기 에어 댐퍼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피스톤(2)은 헬리컬 압축 스프링(3)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확장되며, 상기 피스톤(2)의 회면은 실린더(1)의 내면과 접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가 아래에 설명된다. 상기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2)과 스트링 부재(5)가 일체적으로 성형되지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캡(6)과 스트링 부재(5)는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상기 피스톤(2)에 제공되는 후크부(15)에 걸리게된 다음, 전방 단부(5a)가 상기 안내캡(6)의 안내홀(6a)을 통해 외측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 특정한 구조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큰 직경 및 짧은 길이를 갖는 스트링 부재(5)와 안내캡(6)이, 안내캡을 성형하기 위한 금속 몰드와 스트링 부재(5)의 전방 단부를 성형하기 위한 금속 몰드(9)를 사용하는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사출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스트링 부재(5)의 전방 단부를 성형하기 위한 금속 몰드(9)가 상기 안내캡을 성형하기 위한 금속 몰드로 부터 선형적으로 이동하여 멀어지게 되면, 큰 직경 및 짧은 길이를갖는 스트링 부재(5)가 길게 늘어나게 되어 작은 직경 및 긴 길이를 갖게 된다. 이러한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부재는 그 베이스 탄부측 상에서 2개의 부분으로 갈라지며, 상기 안내캡(6)의 안내홀(6a)의 엣지부와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5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분으로 갈라진 상기 스트링 부재(5)의 중간 부분이 피스톤(2)의 후크부(15)의 양측에 걸리게 되며, 상기 스트링 부재(5)가 합쳐지는 전방 단부(5a)는 안내캡(6)의 안내홀(6a)을 통해 외측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조건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압측 스프링(3)과 피스톤(2)은 실린더(1) 내로 삽입된다. 그런 다음, 상기 안내캡(6)은 실린더(1)의 한쪽 단부에 부착된다. 동시에, 상기 단부캡(4)은 실린더(1)의 타단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2) 상에 후크부를 부착시키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와는 달리, 상기 스트링 부재의 베이스 탄부에 복잡한 작업을 거쳐 루프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안내캡의 후크부에 상기 스트링 부재의 루프 형상의 베이스 단부를 거는 작업 역시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써, 상기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트링 부재는 피스톤과 일체적으로 성형되므로써, 종래의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와는 달리, 상기 스트링 부재의베이스 단부에 복잡한 공정을 거쳐 루프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안내캡의 후크에 상기 스트링 부재의 루프 형상의 베이스 단부를 거어야 할 필요도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는 매우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링 부재와 안내캡이 일체적으로 성형되며, 상기 스트링 부재의 전방 단부가 피스톤에 걸리게 된 다음 외측으로 도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링 부재의 베이스 단부에 루프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루프 형상의 베이스 단부를 복잡한 작업에 의해 피스톤에 형성된 후크부에 걸어야 하는 종래의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Claims (6)

  1.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로서,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쪽 단부에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실린더의 타단부로 바이어스시키는 헬리컬 스프링: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부터 안내홀을 통해 외측으로 안내되는 스트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과 스트링 부재는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부재는 다수의 부분으로 갈라지며, 그 베이스 단부에서 피스톤과 연결되고, 상기 갈라진 부분들은 스트링 부재의 전방 단부에서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부재는 벨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안내홀은 평평한 개구와 상기 개구의 넓은 엣지까지 연속되는 완만한 아치형의 면을 가지며, 상기 벨트 형상을 갖는 스트링 부재는 구부러져 상기 안내홀의 아치형 면을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스트링 부재는 제1물질로 형성되고, 강화플레이트가 상기 제1물질보다 단단한 제2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헬리컬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마운트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
  5.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로서,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실린더의 한 쪽 단부로 바이어스시키는 헬리컬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에 부착되며 안내홀을 구성하는 안내캡;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부터 안내홀을 통해 외측으로 안내되는 스트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캡 및 스트링 부재는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 부재는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에 걸려있는 상태로 실린더의 외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부재는 다수의 부분으로 갈라지며, 상기 스트링 부재의 베이스 단부는 상기 안내캡에 연결되고, 상기 갈라진 다수의 부분들은 스트링 부재의 전방 단부에서 합쳐지며, 상기 갈라진 부분들은 피스톤에 걸려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
KR1020030065263A 2002-09-20 2003-09-19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 KR100716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75134 2002-09-20
JP2002275134A JP3994042B2 (ja) 2002-09-20 2002-09-20 紐式エアダンパ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864A true KR20040025864A (ko) 2004-03-26
KR100716591B1 KR100716591B1 (ko) 2007-05-09

Family

ID=3197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263A KR100716591B1 (ko) 2002-09-20 2003-09-19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67086B2 (ko)
JP (1) JP3994042B2 (ko)
KR (1) KR100716591B1 (ko)
DE (1) DE103435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807A (ko) 2015-02-13 2016-08-23 (주) 알티솔루션 도로교통안전 서비스를 위한 제한차량 검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4042B2 (ja) * 2002-09-20 2007-10-1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紐式エアダンパー
KR20050041521A (ko) * 2003-10-31 2005-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글로브 박스의 일체형 에어댐퍼
US7621374B2 (en) * 2005-08-10 2009-11-24 Precision Ladders, Llc Sectional overhead ladder with a fold assist feature
JP4636987B2 (ja) * 2005-10-04 2011-02-2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エアダンパ
DE102005057772B4 (de) * 2005-12-02 2013-05-29 Lisa Dräxlmaier GmbH Abdeckung für eine Öffnung eines Kraftfahrzeugs mit Faltverdeck
US20100162522A1 (en) * 2007-08-31 2010-07-01 Piolax Inc. Damper device
US20090106934A1 (en) * 2007-10-31 2009-04-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Closure Check Link
US7956297B2 (en) * 2008-10-01 2011-06-07 Rubbermaid Incorporated Water resistant quick stop scale damper
JP2011127648A (ja) * 2009-12-16 2011-06-30 Nifco Inc ダンパー装置
DE102011002117A1 (de) * 2011-04-15 2012-10-18 Horst Lautenschläger Möbelscharnier
US8356386B2 (en) * 2011-05-11 2013-01-22 Nan Juen International Co., Ltd. Door closer
US9475421B2 (en) 2013-10-23 2016-10-25 Burton Technologies, Llc Reflector damper bracket
KR101769698B1 (ko) 2016-01-25 2017-08-21 최창림 공압 완충기
US11719381B2 (en) 2020-10-05 2023-08-08 Asyst Technologies L.L.C. Adjustable linkage ar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1567B2 (ja) * 1987-03-13 1998-10-15 株式会社 ニフコ 車室内物品収納筐の開閉緩衝装置
JPH0576894A (ja) * 1991-09-20 1993-03-30 Hitachi Kiden Kogyo Ltd 排水の処理方法
JP2557064Y2 (ja) * 1992-03-25 1997-12-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収納箱等のダンパ−装置の構造
US5697477A (en) * 1994-10-07 1997-12-16 Nifco Inc. Air damper
US5845749A (en) * 1995-10-11 1998-12-08 Tmj Properties, L.L.C. Linear motion absorber with synthetic components
US5613665A (en) * 1995-11-09 1997-03-25 Lund; Ronn A. Vehicle suspension component
DE29610915U1 (de) 1996-06-21 1996-08-29 Hoerauf & Kohler Kg Pneumatischer Bewegungsdämpfer
US6269919B1 (en) 1998-09-14 2001-08-07 Illinois Tool Works Inc. Plastic strand damper
US6189662B1 (en) * 1998-09-14 2001-02-20 Illinois Tool Works Inc. Adjustable damper
US6199673B1 (en) * 1998-10-22 2001-03-13 Illinois Tool Works Inc. Silent damper with anti-rattle shaft
JP3625665B2 (ja) * 1998-11-06 2005-03-0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エアダンパー
JP3321665B2 (ja) * 1998-11-06 2002-09-0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エアダンパー
US6726219B2 (en) * 1999-09-02 2004-04-27 Illinois Tool Works Inc. Air damper with graphite coated lip seal
JP3475327B2 (ja) 1999-10-08 2003-12-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エアダンパー
US6578833B2 (en) * 1999-12-10 2003-06-17 Piolax, Inc. String pull-in device
JP3513650B2 (ja) * 2000-01-07 2004-03-3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エアダンパー
JP3768061B2 (ja) * 2000-03-17 2006-04-1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エアダンパー
DE10021762B4 (de) * 2000-05-04 2006-03-16 Itw-Ateco Gmbh Luftdämpfer für ein beweglich gelagertes Bauteil, insbesondere in Automobilen
US6345583B1 (en) * 2000-07-11 2002-02-12 Willie L. Thackston Bi-directional dampen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3912966B2 (ja) * 2000-08-25 2007-05-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エアダンパー
JP3994042B2 (ja) * 2002-09-20 2007-10-1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紐式エアダンパ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807A (ko) 2015-02-13 2016-08-23 (주) 알티솔루션 도로교통안전 서비스를 위한 제한차량 검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55109A1 (en) 2004-03-25
DE10343518A1 (de) 2004-04-01
KR100716591B1 (ko) 2007-05-09
US7367086B2 (en) 2008-05-06
JP2004108543A (ja) 2004-04-08
JP3994042B2 (ja)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591B1 (ko) 스트링 타입 에어 댐퍼
CA2599779C (en) Seat block and valve device
US6062352A (en) Air damper
US8528708B2 (en) Air damper
US6578832B2 (en) Air damper used in glove box of automobile
ATE498784T1 (de) Luftfeder
KR101232844B1 (ko) 에어 댐퍼
EP1734275A3 (de) Stossdämpfer sowie Federelement für einen Stossdämpfer
GB2350876A (en) Plastics air damper
JP2000088028A (ja) エアダンパー
JP4484745B2 (ja) エアダンパ
JP3625665B2 (ja) エアダンパー
KR100516724B1 (ko) 냉장고 도어 가스켓
JPS6233127Y2 (ko)
KR200190482Y1 (ko) 냉장고 기압평형장치
JPH09196035A (ja) 二部材の連結構造
KR100311378B1 (ko) 토출밸브조립체
JPH1044195A (ja) 連結構成体の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KR100686365B1 (ko) 슬라이드식 휴대폰의 슬라이드 구동용 포고 핀
JPH10141302A (ja) アキュムレータ
KR200177575Y1 (ko) 서보실린더
US20050069428A1 (en) Actuating rod in a diaphragm pump
JP3728259B2 (ja) エアダンパー
JPH10299716A (ja) 流体圧シリンダ
JP2000145271A (ja) 自動閉鎖引き戸用エア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