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4754A -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4754A
KR20040024754A KR1020020056191A KR20020056191A KR20040024754A KR 20040024754 A KR20040024754 A KR 20040024754A KR 1020020056191 A KR1020020056191 A KR 1020020056191A KR 20020056191 A KR20020056191 A KR 20020056191A KR 20040024754 A KR20040024754 A KR 20040024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power
supplied
charg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4754A/ko
Priority to US10/404,038 priority patent/US6825638B2/en
Priority to JP2003124136A priority patent/JP2004112986A/ja
Publication of KR2004002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7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8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eparate charg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충전시스템은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충전전원감지부와; 상기 충전전원감지부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 충전 중 유휴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다른 배터리에 상기 유휴전력이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두개 이상 복수개의 배터리 충전 시,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충전 시 전력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BATTERY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개 이상 복수개의 배터리 충전 시,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충전 시 전력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트PC, PDA, Handheld PC 등의 휴대용 컴퓨터장치들의 전원공급시스템은 어댑터의 사용이 불가능한 장소에서 시스템을 구동시키기 위해 배터리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시스템 사용시간을 연장 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두개 이상 구비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장치에는 리튬이온 배터리(Li-Ion)나 폴리머 배터리(Polymer) 등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사용된다. 리튬이온 배터리나 폴리머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초기에는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를 정전류충전모드라 하며, 일정한 전류가 계속 공급되므로 배터리의 전압은 상승하게 된다. 배터리의 출력전압이 일정수준이 되면 배터리 내부 또는 외부의 충전제어부는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압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압이 일정한 상태에서 배터리의 용량이 증가되며, 이를 정전압충전모드라 한다.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의 충전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두개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경우 그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충전되는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두개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전원공급을 위한 어댑터입력이 감지되면(P10), 제1배터리의 충전이 개시된다(P12). 제1배터리의 충전 시 배터리로 입력되는 전류(i1) 및 전압(v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면, 먼저 일정한 크기의 전류(i1)가 공급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한다(t0~t1). 이와 같이 전류(i1)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t0~t1)를 정전류충전모드라 한다. 정전류충전모드에서, 배터리의 출력전압은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배터리의 출력전압이 일정수준이 되면, 배터리 내부 또는 외부의 충전제어부는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입력되는 전압(v1)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한다(t1~t2). 이에 따라, 전압(v1)이 일정한 상태(t1~t2)에서 배터리의 용량이 증가되며, 이를 정전압충전모드라 한다. 정전압충전모드 구간 (t1~t2)에서 배터리는 충전이 거의 완료되는 상태이므로, 배터리로 입력되는 전류(i1)는 서서히 감소된다.
여기서, 배터리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부(미도시)는 제1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여 배터리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P14). 제1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2배터리의 충전이 개시된다(P16). 제2배터리 또한 정전류충전모드(t2~t3) 및 정전압충전모드(t3~t4)를 거쳐 충전이 진행되며, 제2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다(P1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충전 기술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충전이 완료된 후 다른 배터리의 충전이 개시된다. 이러한 순차충전방식으로 복수의 배터리를 하나씩 충전하므로 배터리를 모두 충전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완충전상태에 가까워지는 정전압충전모드(t1~t2,t3~t4)일 경우, 배터리로 입력되는 전류(i1,i2)는 서서히 감소되므로, 실재 사용 가능은 전원 중 배터리로 입력되지 못한 전류만큼의 유휴전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 이상 복수개의 배터리 충전 시,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충전 시 전력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시스템의 제어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충전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배터리충전 시, 배터리로 입력되는 전압값 및 전류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장치에 두개의 배터리가 장착되어있는 경우 그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배터리충전 시, 배터리로 입력되는 전류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댑터 3 : 어댑터입력감지부
5 : 제1배터리 7 : 제2배터리
12 : 제1충전전원공급부14 : 충전전원감지부
16 : 제2충전전원공급부20 : 충전제어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충전전원감지부와; 상기 충전전원감지부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 충전 중 유휴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다른 배터리에 상기 유휴전력이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충전전원감지부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압값이 소정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유휴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른 배터리에 상기 유휴전력이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충전전원감지부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유휴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른 배터리에 상기 유휴전력이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적어도 둘 이상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시, 상기 배터리 중 어느 하나를 충전시키는 단계와; 충전중인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전원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 중 유휴전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휴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다른 배터리에 상기 유휴전력이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배터리 충전시스템은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입력되는 어댑터(1)와, 어댑터(1)를 통한 전원입력여부를 감지하는 어댑터입력감지부(3)와, 어댑터(1)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각 배터리(5, 7)에 공급하여 배터리(5, 7)를 각기 충전시키는 충전전원공급부(12, 16)를 포함한다. 또한, 본 충전시스템은 제1배터리(5)로 입력되는 충전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는 충전전원감지부(14)와, 어댑터입력감지부(3)를 통해 외부전원의 입력이 감지되면, 충전전원공급부(12, 16)가 각각의 배터리(5, 7)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충전제어부(20)를 포함한다.
어댑터(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소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충전전원공급부(12, 16)에 제공한다. 충전전원공급부(12, 16)는 충전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어댑터(1)로부터의 직류전원을 배터리(5, 7)의 충전용 충전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5, 7)를 충전시킨다.
충전전원공급부(12, 16)는 충전 초기에는 일정한 전류크기를 갖는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정전류충전모드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일정한 전압을 갖는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충전모드로 배터리(5, 7)를 충전한다.
충전전원감지부(14)는 제1충전전원공급부(12)로부터 제1배터리(5)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류값 내지는 전압값을 감지하여 충전제어부(20)에 감지결과를 제공한다.
충전제어부(20)는 어댑터입력감지부(3)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감지하면, 먼저 제1충전전원공급부(12)를 제어하여 제1배터리(5)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한다.
제1배터리(5)의 충전이 진행되면, 충전제어부(20)는 제1충전전원공급부(12)로부터 제1배터리(5)로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류값 내지는 전압값을 충전전원감지부(14)를 통해 감지하여 제1배터리(5)의 충전모드를 판단한다.
충전제어부(20)의 충전모드 판단결과, 제1배터리(5)의 충전모드가 일정한 전류값의 충전전원이 공급되는 정전류충전모드에서, 일정한 전압값의 충전전원이 공급되는 정전압충전모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제어부(20)는 제2충전전원공급부(16)를 제어하여 제2배터리(7)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함으로써, 제1배터리(5)로 유입되지 못한 유효전력이 제2배터리(7)의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배터리(5)의 충전상태가 완충전 상태에 가까워지면 제2배터리(7)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여 제1배터리(5)와 제2배터리(7)가 동시에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제2배터리(7)의 충전개시 시점을 앞당겨 전체 배터리 충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배터리충전 시, 배터리로 입력되는 전류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두개의 배터리(5, 7)를 충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본 충전방법에 따른 충전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어댑터입력감지부(3)를 통해 배터리전원공급을 위한 어댑터입력이 감지되면(S10), 충전제어부(20)는 먼저 제1충전전원공급부(12)를 제어하여 제1배터리(5)의 충전을 개시하며, 이때 충전모드는정전류충전모드이다(S12). 즉, 제1배터리(5)의 충전이 개시되는 경우, 제1충전전원공급부(12)로부터 제1배터리(5)로 입력되는 충전전류(I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T0~T1). 제1배터리(5)의 충전이 소정 시간 진행되면, 제1충전전원공급부(12)는 충전전원의 전압값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여 제1배터리(5)를 충전하는데, 이때 제1배터리(5)로 공급되는 전류값(I1)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T1~T2).
충전제어부(20)는 충전전원감지부(14)를 통해 감지된 제1배터리(5)로 입력되는 충전전원의 전류값 내지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제1배터리(5)의 충전모드가 정전압충전모드(T1~T2)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여기서, 충전전원감지부(14)는 제1충전전원공급부(12)로부터 제1배터리(5)로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압값 내지는 전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충전제어부(20)에 제공한다.
충전전원감지부(14)가 전압값을 감지하는 경우, 충전제어부(20)는 제1배터리(5)로 입력되는 충전전원의 전압값이 일정값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1배터리(5)의 충전모드를 정전압충전모드(T1~T2)로 판단한다.
한편, 충전전원감지부(14)가 전류값을 감지하는 경우, 충전제어부(20)는 제1배터리(5)로 입력되는 충전전원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1배터리(5)의 충전모드를 정전압충전모드(T1~T2)로 판단한다.
충전제어부(20)의 판단결과, 제1배터리(5)의 충전모드가정전압충전모드(T1~T2)로 판단된 경우, 충전제어부(20)는 제2배터리(7)에 충전전원이 공급되도록 제2충전전원공급부(16)를 제어한다(S16). 제1배터리(5) 및 제2배터리(7)가 동시에 충전되는 구간인 T1~T2에서, 제2배터리(7)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은 제1배터리(5)의 충전 중 발생하는 유휴전원이기 때문에, 제2배터리(7)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I2)는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제1배터리(5)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2충전원공급부는 충전전원의 전류값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여 제2배터리(7)를 충전하는 정전류충전모드로 전환되며(T2~T3). 제2배터리(7)의 충전이 소정 시간 진행되면, 제2충전전원공급부(16)는 정전압충전모드로 전환되어 충전전원의 전압값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여 제2배터리(7)를 충전하는데, 이때 제2배터리(7)로 공급되는 전류값(I2)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T3~T4).
이러한 수순으로 제2배터리(7)의 충전이 완료되면, 배터리(5, 7)의 충전이 완료된다(S18).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두개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두개 이상의 복수의 배터리를 충전함에 있어서도 본원발명의 충전방법을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충전되는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류값 내지는 전압값을 감지하여, 충전 중인 배터리의 충전모드를 확인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완충전 상태에 가까워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배터리가 완충전상태에 가까워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유휴전력이 또 다른 배터리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개시 시점을 앞당겨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단축시키는 한편, 충전 시 전력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개 이상 복수개의 배터리 충전 시,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충전 시 전력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8)

  1. 적어도 둘 이상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충전전원감지부와;
    상기 충전전원감지부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 충전 중 유휴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다른 배터리에 상기 유휴전력이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충전전원감지부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압값이 소정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유휴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른 배터리에 상기 유휴전력이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충전전원감지부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유휴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판단하여, 다른 배터리에 상기 유휴전력이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4. 적어도 둘 이상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충전전원감지부와;
    상기 충전전원감지부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압값이 소정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전압충전모드로 판단될 경우, 다른 배터리에 유휴전력이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5. 적어도 둘 이상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시, 상기 배터리 중 어느 하나를 충전시키는 단계와;
    충전중인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전원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 중 유휴전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휴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다른 배터리에 상기 유휴전력이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전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압값이 소정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유휴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전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유휴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방법.
  8. 적어도 둘 이상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시, 상기 배터리 중 어느 하나를 충전시키는 단계와;
    충전중인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전원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의 전압값이 소정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모드를 정전압충전모드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정전압충전모드로 판단된 경우, 다른 배터리에 유휴전력이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방법.
KR1020020056191A 2002-09-16 2002-09-16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 KR20040024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191A KR20040024754A (ko) 2002-09-16 2002-09-16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
US10/404,038 US6825638B2 (en) 2002-09-16 2003-04-02 Battery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thereof
JP2003124136A JP2004112986A (ja) 2002-09-16 2003-04-28 バッテリの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191A KR20040024754A (ko) 2002-09-16 2002-09-16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754A true KR20040024754A (ko) 2004-03-22

Family

ID=3198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191A KR20040024754A (ko) 2002-09-16 2002-09-16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25638B2 (ko)
JP (1) JP2004112986A (ko)
KR (1) KR200400247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541B1 (ko) * 2004-07-01 2013-09-09 엑슬런트 에너지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전력 추출기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8760B2 (en) * 2002-10-22 2004-1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that adjusts operation to accord with available power
US7816886B2 (en) 2006-03-08 2010-10-19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charger
KR20080081524A (ko) * 2007-03-05 2008-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및 그 배터리 충전방법
US7782013B2 (en) 2007-04-17 2010-08-24 Chun-Chieh Chang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and method for recharging same
US7888883B2 (en) * 2008-01-25 2011-02-15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Lighting device having cross-fade and method thereof
JP5127501B2 (ja) * 2008-02-22 2013-01-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用充電システム
WO2009119075A1 (ja) * 2008-03-25 2009-10-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充電方法、充電装置及び電池パック
JP2010011708A (ja) * 2008-06-30 2010-01-14 Panasonic Corp 電池パックの充電制御方法、放電制御方法および充放電システム
JP2010213499A (ja) * 2009-03-11 2010-09-24 Omron Corp 充電制御装置および方法、充電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20153900A1 (en) * 2010-12-20 2012-06-21 Nexergy, Inc. Two-way switching regulator
US9184605B2 (en) 2011-03-28 2015-11-10 Changs Ascending Enterprise Co., Ltd. High voltage battery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US9347997B2 (en) 2011-03-28 2016-05-24 Changs Ascending Enterprise Co., Ltd. State of charge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2736719A (zh) * 2011-04-07 2012-10-17 宏碁股份有限公司 笔记型计算机及其电力供应系统与方法
JP5291763B2 (ja) * 2011-06-24 2013-09-1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エネルギー蓄積部を有するモータ駆動装置
CN102496991B (zh) * 2011-12-28 2014-04-09 南京双登科技发展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后备式锂离子电池组管理方法及其管理系统
TWI515995B (zh) * 2012-01-06 2016-01-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池充電系統及方法
KR101466442B1 (ko) * 2012-07-23 2014-1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이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101962777B1 (ko) * 2012-12-20 2019-07-31 온세미컨덕터코리아 주식회사 부하/충전기 감지 회로,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JP6432132B2 (ja) * 2014-01-16 2018-12-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
CN105262178A (zh) * 2015-11-06 2016-01-20 来安县信隆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电源电路及电子设备
CN107487201B (zh) * 2016-12-15 2020-02-14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充电唤醒方法、电池管理系统及车辆
DE102017000714A1 (de) 2017-01-26 2018-07-26 Borgward Trademark Holdings Gmbh Verfahren, Batteriemanagementsystem und Fahrzeug für Auflade-Aufwachmodus
JP7247052B2 (ja) * 2019-08-02 2023-03-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充電装置および充電方法
TW202218278A (zh) * 2020-10-13 2022-05-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避免電動載具電池的過充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320A (ko) * 1997-05-31 1998-12-05 윤종용 배터리 충전제어장치
KR20000033015A (ko) * 1998-11-19 2000-06-15 전주범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회로
KR20020053963A (ko) * 2000-12-26 2002-07-06 김춘태 복수의 밧데리용 밧데리충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6312A (ja) 1989-09-29 1991-05-17 Toshiba Corp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US5646504A (en) * 1994-04-15 1997-07-08 Feldstein; Robert S. Magnetically balanced multi-output battery charging system
JPH09215215A (ja) 1996-01-31 1997-08-15 Sony Corp 電源装置
JP3297297B2 (ja) 1996-03-29 2002-07-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視煙予測装置
JPH1012281A (ja) 1996-06-19 1998-01-16 Hitachi Ltd 複数バッテリ管理システム
JPH10225004A (ja) 1997-02-12 1998-08-21 Canon Inc バッテリー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US5903764A (en) * 1997-05-02 1999-05-11 Micro International, Ltd. Smart battery selector offering power conversion internally within a portable device
KR100461098B1 (ko) 1997-06-02 2005-09-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창출추출물을함유하는비듬예방및치료용모발제품조성물
JPH11134070A (ja) 1997-10-28 1999-05-21 Nissin Electric Co Ltd 携帯パソコン用バッテリー装置
JP3045291B2 (ja) 1998-10-27 2000-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6043629A (en) * 1998-11-03 2000-03-28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odular control electronics for batteries
US6222344B1 (en) * 1999-12-06 2001-04-24 Bae Systems Controls, Inc. Magnetically coupled autonomous battery equalization circu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320A (ko) * 1997-05-31 1998-12-05 윤종용 배터리 충전제어장치
KR20000033015A (ko) * 1998-11-19 2000-06-15 전주범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회로
KR20020053963A (ko) * 2000-12-26 2002-07-06 김춘태 복수의 밧데리용 밧데리충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541B1 (ko) * 2004-07-01 2013-09-09 엑슬런트 에너지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전력 추출기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12986A (ja) 2004-04-08
US6825638B2 (en) 2004-11-30
US20040051498A1 (en)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4754A (ko)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
EP1225674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248032B2 (en) Charging system for prioritizing load consumption in a notebook computer
JP4805223B2 (ja)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JP3540848B2 (ja) 充電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US5963015A (en) External battery charger for use with a battery powered electronic device and an extra battery
KR100748311B1 (ko) 배터리 팩 및 전력 입력 장치
US20070224461A1 (en) Power management and control in electronic equipment
US20090153100A1 (en) Charging control apparatus controlling charging curr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e
US7952328B2 (en) Multi-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8022670B2 (en) Method for charging battery module
KR20120101699A (ko) 장치 충전 동안의 슬리프 모드와 정상 모드 간의 토글링 시에 감소된 전력 소모를 갖는 전력 컨버터
KR20070008048A (ko) 배터리의 충전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81524A (ko) 컴퓨터 및 그 배터리 충전방법
KR100683410B1 (ko) 전자기기 충전시스템, 충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322859B1 (ko) 복수개의 이차전지 고속충전 방법 및 장치
EP1416605A1 (en) Electronic device
KR100643228B1 (ko) 배터리 충전방법 및 충전시스템
KR10135909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70629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37018A (ko) 다중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40040845A (ko)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3143770A (ja) 2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KR20070065623A (ko) 배터리 충전 장치
KR20090009004A (ko)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