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723A - 탑승자 보호장치를 위한 작동제어유닛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탑승자 보호장치를 위한 작동제어유닛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723A
KR20040023723A KR10-2004-7001882A KR20047001882A KR20040023723A KR 20040023723 A KR20040023723 A KR 20040023723A KR 20047001882 A KR20047001882 A KR 20047001882A KR 20040023723 A KR20040023723 A KR 20040023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deceleration
threshold
threshold valu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1856B1 (ko
Inventor
미야타유지로
이요다모토미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3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1/013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by integrating the amplitude of the input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60R2021/01027Safing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021/0132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comprising variable thresholds, e.g. depending from other collis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체(10)의 중앙부에는 플로어센서(14)가 배치되고 차체(10)의 전방부에는 전방센서(16,18)가 배치된다. 플로어센서(14)에 의하여 검출된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플로어 속도의 높은 쪽을 향하여 High Map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어백장치(30)가 항시 작동한다. 또한, 에어백장치(30)는 상기 플로어 센서(14)에 의하여 검출되는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플로어 속도의 높은 쪽을 향하여 Low Map은 초과하나 High Map은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전방센서(16,18)에 의하여 검출되는 전방 감속(Gs*)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Front Map을 초과하는 조건에서 작동한다.

Description

탑승자 보호장치를 위한 작동제어유닛 및 그것의 제어방법{ACTIVATION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종래기술의 일 예시로는 일본 특개평 제10-15201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탑승자 보호장치용 작동제어유닛이 있다. 상기 유닛은 충돌시 차체가 받는 충격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차체의 중앙부에 제공되는 플로어센서(floor sensor)를 포함한다. 플로어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는 매개변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닛이 탑승자 보호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또한, 상기 유닛은 상기 차체의 부분이 받는 충격을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차체의 전방부에 제공되는 전방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유닛은 전방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충돌시 차체의 전방부가 받는 충격이 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임계값을 작은 값으로 변경시킨다. 이러한 구조는 큰 충격이 충돌시 차체의 전방부에 가해질 경우에 에어백의 전개를 용이하게한다. 따라서, 상기 유닛에 의하면, 차체의 중앙부상의 충격이 크지 않더라도 에어백이 전개되어야 하는 충돌에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에어백장치를 적절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충돌의 형태에 따라, 차체의 중앙부상의 충격이 크지 않더라도, 차체의 전방부상의 충격이 크다면 에어백을 전개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들이 있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차체의 전방부가 큰 충격을 받더라도 에어백을 전개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들도 있다. 하지만, 상술한 유닛에서는, 충돌시 차체의 전방부상의 충격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에어백장치를 작동시키는 임계값이 항상 작은 값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에어백이 우발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충돌 형태에 따라 에어백을 적절하게 전개시킴에 있어, 충돌시 차체의 전방부상의 충격이 상술된 유닛과 마찬가지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에어백장치를 작동시키는 임계값을 항상 적절히 변경시킬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탑승자 보호장치를 위한 작동제어유닛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차량이 충돌에 연루될 때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탑승자 보호장치를 작동시키는 탑승자 보호장치를 위한 바람직한 작동제어유닛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보호장치용 작동제어유닛의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보호장치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맵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상이한 충돌 형태들에 대한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와 플로어 감속(GF)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나타낸 판정 맵에서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Low Map을 채택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차체 전방부에서의 감속에 대한 임계값 변경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건들의 블록도이다.
상기 단점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 보호장치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탑승자 보호장치를 위한 작동제어유닛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1이상의 형태에 따르면, 탑승자 보호장치용 작동제어유닛은 i) 차량의 미리설정된 장소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에 작용하는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1센서, ⅱ) 상기 차량에서 상기 제1센서가 배치되는 장소보다 더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에 작용하는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검출하는 제2센서; ⅲ)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상기 탑승자 보호장치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작동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제어수단은 상기 제1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감속이 제1임계값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제1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상기 감속이 상기 제1임계값보다 작은 제3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2센서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기초로 하여 얻어진 감속이 미리설정된 패턴에 따라 제2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탑승자 보호장치를 작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1이상의 형태에 따르면, 탑승자 보호장치용 작동제어유닛은, i) 차량의 미리설정된 장소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에 작용하는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1센서, ⅱ) 상기 차량에서 상기 제1센서가 배치되는 장소보다 더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에 작용하는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검출하는 제2센서, 및 ⅲ)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탑승자 보호장치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작동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제어수단은 상기 제1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감속이 제2센서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감속이 미리설정된 패턴에 따라 변하는 제2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설정되는 제1임계값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탑승자 보호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판정을 내린다.
또한, 본 발명의 1이상의 형태에 따르면, 탑승자 보호장치용 작동제어유닛은 차량의 미리설정된 위치에 작용하는 제1감속을 검출하고, 상기 미리설정된 장소보다 더 앞의 장소에 작용하는 제2감속을 검출하며, 제1감속이 제1임계값을 초과하는경우나 제1감속은 상기 제1임계값보다 작은 제2임계값을 초과하고, 제2감속은 미리설정된 패턴에 따라 변하는 제3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탑승자 보호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판정을 내린다.
또한, 본 발명의 1이상의 형태에 따르면, 탑승자 보호장치용 작동제어유닛은 차량의 미리설정된 장소에 작용하는 제1감속을 검출하고, 상기 미리설정된 장소보다 더 앞쪽의 장소에 작용하는 제2감속을 검출하며, 제1감속이, 제2감속이 미리설정된 패턴에 따라 변하는 제2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설정되는 제2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탑승자 보호장치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따라서, 임계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조와 비교하면 탑승자 보호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임계값이 제1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감속 및 제2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감속을 기초로 하여 변경되기 때문에, 탑승자 보호장치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으며, 작동 판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보호장치의 작동제어유닛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10)에 장착되는 전자제어유닛(이후 "ECU"라 칭함)이 제공되며 그것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는 차체 중앙부의 플로어 터널 부근에 배치되는 플로어센서(14), 차체 좌측 전방부의 측부재에 장착되는 전방센서(16) 및 차체 우측 전방부의 측부재에 장착되는 전방센서(18)가 제공된다. 플로어센서 14, 전방센서 16 및 전방센서 18은 출력신호들이 충격량, 즉 차량의 선체(fore-aft)와 평행한 방향으로 센서들이 장착되는 각 부분상에 작용하는 차량의 감속률을 나타내는 전자감속센서로서의 역할을 한다.
ECU(12)는 입력/출력 회로(I/O)(20), 중앙처리유닛(이후 "CPU"라 칭함)(22), 읽기 전용 기억장치(이후 "ROM"이라 칭함)(24), 임의 액세스 기억장치(이후 "RAM"이라 칭함)(26) 및 이들 모두를 함께 연결해주는 단방향 버스를 포함한다. 연산에 필요한 처리 프로그램 및 테이블은 ROM(24)에 저장되어 있다. RAM(26)은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된다.
플로어센서 14, 전방센서 16 및 전방센서 18은 모두 ECU(12)의 입력/출력 회로(20)에 연결된다. 플로어센서 14, 전방센서 16 및 전방센서 18로부터의 출력신호들은 입력/출력 회로(20)으로 출력되고 CPU(2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RAM(26)내에 적절히 저장된다. ECU(12)는 플로어센서(14)로부터의 출력신호들을 기초로 하여 차체의 중앙부상에 작용하는 감속률(이후 "플로어 감속"이라 칭함)(GF)을 검출한다. 또한, ECU(12)는 전방센서(16)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체의 좌측 전방부상에 작용하는 감속률(이후 "전방 감속"이라 칭함)(GSL) 및 전방센서(18)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체의 우측 전방부상에 작용하는 감속률(이후 "전방 감속"이라 칭함)(GSR)을 검출한다. 전방 감속 GSL 및 전방 감속 GSR은 함께 전방 감속 Gs*라 칭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는 차량(10)에 장착되고 탑승자 보호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에어백장치(30)가 제공되어 차량 충돌에 연루된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작동한다. 에어백장치(30)는 구동회로(32), 팽창기(34) 및 에어백(36)을 포함한다. 팽창기(34)는 구동회로(32)에 연결되는 점화장치(38) 및 점화장치(38)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많은 양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장치(도시 안됨)를 수용한다. 입력/출력 회로(20)는 구동샤프트(32)로 구동신호를 보낸 후 점화장치(38)로 명령을 전달하여 가스가 생성되는 열을 발생시킨다. 그 다음, 팽창기(34)는 상기 가스를 사용하여 전개시, 탑승자와 차량(10)의 내장 부품(onboard part)들 사이의 장소에 있는 에어백(36)을 전개시킨다.
에어백장치(30)의 작동제어부(40)는 ECU(12)의 입력/출력 회로(20)에 연결된다. ECU(12)의 CPU(22)에는 작동제어부(40)와 임계값 변경 패턴 변경부(42)가 제공된다.
CPU(22)의 작동제어부(40)는 먼저 ROM(24)내에 저장된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플로어센서(14)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사용하여 검출되는 플로어 감속(GF)을 기초로 하여 에어백장치(30)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한 다음, 상기 판정을 기초로 하여 그에 따라 에어백장치(30)의 구동 회로(32)로 입력/출력 회로(20)로부터의 구동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임계값 변경 패턴 변경부(42)는, 플로어 감속(GF), 전방 감속(GSL) 및 전방 감속(GSR)을 기초로 하여 작동제어부(40)를 사용해 에어백장치(30)의 작동을 판정하는 판정 맵내의 그것의 복수의 임계값 변경 패턴 중에 어떤 임계값 변경 패턴(이후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이라 칭함)이 채택되는지를 판정한다. 상기 일련의 작동들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CPU(22)에 의하여 수행되는 처리의 특정 콘텐트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30)를 활성화시킬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맵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2개의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 즉 High Map 및 Low Map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High Map은 차량(10)이 충격을 받을 때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 윗쪽 경계부 및 차량(10)이 충격을 받을 때 에어백장치(30)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는 아랫쪽 경계부로서 설정된다. Low Map은 차량(10)이 충격을 받을 때 미리설정된 조건하에서 에어백장치(30)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는 윗쪽 경계부 및 차량(10)이 충격을 받을 때 에어백장치(30)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는 아랫쪽 경계부로서 설정된다. High Map과Low Map 둘 모두는 사전에 ROM(24)내에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제어부(40)는 플로어센서(14)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검출된 플로어 감속(GF)에 대한 시간의 정기적인 간격(예를 들어, 10msec)으로 시 적분(time integration)을 수행하고 단위 시간 당 플로어 속도 Vn의 변화를 얻는다. 차량 운행 동안 차량(10)에 플로어 감속(GF)이 가해지면, 차량내의 물체(예를 들어, 탑승자)가 관성력으로 인해 차량에 대해 앞쪽으로 가속화된다. 따라서, 플로어 감속(GF)을 시적분함으로써 차량(10)내의 물체의 플로어 속도 Vn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변화가 얻어진다. 그 다음, 플로어 속도 Vn의 변화를 얻은 후에, 작동제어부(40)는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판정 맵의 High Map 및 Low Map의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에 의하여 분할되는 영역들 중 하나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작동제어부(40)가,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High Map 위에 있는 플로어 감속(GF)의 높은 쪽을 향하는 영역(도 2에서 점묘 처리된 영역)에 속한다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작동제어부(40)는 차체의 중앙부로 큰 충격이 가해지고 있다는 것을 판정한다. 이 경우에, 작동제어부(40)는 항시 에어백(36)을 전개시키기 위하여 입력/출력 회로(20)로부터 에어백장치(30)의 구동회로(32)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그 다음, 에어백장치(30)가 에어백(36)을 작동 및 전개시킨다. 다시 말해,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도 2의 점묘 처리된 영역에 속할 경우에는 항상 에어백(36)이 전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High Map은 차량(10)이 충격을 받을 때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 윗쪽 경계 및 차량(10)이 충격을 받을 때 에어백장치(30)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는 아랫쪽 경계로 설정된다. 그러나, 연루된 차량의 충돌 형태에 따라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될 필요가 없는 영역(도 2에서 비점묘 처리된 영역)내에 있는 경우라도, 상기 에어백장치(30)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10)이 중속(예를 들어, 32km/h)로 주행하는 중에 장애물과의 비스듬한 충돌에 연루될 경우,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High Map 윗쪽에 있지 않다하더라도,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될 필요가 있다.
한편, 차량(10)이 중속에서 비스듬한 충돌에 연루될 경우, 차체의 전방부로 큰 충격이 가해진다. 큰 충격의 힘이 차체의 전방부상에 가해질 경우, 즉 차체의 좌측 전방부 또는 우측 전방부에서 큰 감속이 발생될 경우,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Low Map 위의 영역내에 있지만, High Map 위에는 속하지 않는 영역(도 2에서 대각선으로 예시된 영역)내에 있다면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에어백(36)은 차량의 중앙부가 큰 충격을 받지 않는 경우라도 차량(10)이 중속에서 비스듬한 충돌에 연루될 경우 적절하게 에어백(36)을 전개시킨다. 결과적으로, 탑승자가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도 3은 다양한 형태의 충돌에 대한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대해 보다 상세히 하면, 실선은 차량(10)이 중속으로 주행중에 비스듬한 충돌에 연루된 경우를, 일점쇄선은 차량(10)이 저속(예를 들어, 18km/h)으로 주행중에 정면 충돌에 연루된 경우를, 이점쇄선은 차량(10)이 장애물의 하부 아래를 지나가나 아래에서 올라가는 방식으로 상기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 즉 언더라이드(underride) 충돌의 경우를 나타낸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몇몇 형태의 충돌에 의하면 차량의 전방부가 큰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에어백장치(30)가 작동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차량(10)이 저속 주행중에 장애물과의 정면 충돌에 연루되는 경우, 또는 차량(10)이 저속 주행중에 언더라이드 충돌에 연루되는 경우에는,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충돌 모두에 있어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정 맵상의 Low Map과 High Map 사이의 영역(도 2 및 3에서 대각선으로 예시된 영역)내에 있으며, 이는 차체의 전방부에 중속에서의 비스듬한 충돌에서 발생되는 것 이상의 감속이 발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도 2 및 3에서 대각선으로 예시된 영역내에 있다하더라도, 에어백장치(30)를 작동시키는 임계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불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에어백장치(30)가 우발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임계값은 차체 전방부의 감속에 대한 임계값으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판정 맵상에서 Low Map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충돌 형태에 따라 에어백장치(30)를 적절하게 작동시키기 위하여 차체 전방부의 감속에 대한 임계값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은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미리설정된 패턴에 따라 차체의 전방부상에 작용하는 감속에 대한 임계값을 변경함으로써 충돌 형태에 따라 에어백장치(30)의 작동 판정이 정확하고 적절하게 내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에는, 도 4 및 5를 참조로 본 실시예의 이러한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차체 전방부의 감속에 대한 전방 임계값 변경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전방 임계 변경 패턴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 2 및 3에 나타낸 판정 맵의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Low Map을 채택할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4의 점선은 전방 임계값 변경 패턴인 Front Map을 나타낸다. 상기 Front Map은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Low Map이 채택되는 윗쪽 경계와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Low Map이 채택되지 않는 아랫쪽 경계로 설정된다. 또한, 도 4에서, 실선은 차량(10)이 중속 주행중에 비스듬한 충돌에 연루된 경우를, 일점쇄선은 차량(10)이 저속으로 주행중에 정면 충돌에 연루된 경우를, 이점쇄선은 차량(10)이 저속 주행중에 언더라이드 충돌과 연루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도 3에 나타낸 판정 맵에서 Low Map과 High Map 사이의 영역에 있는 상황에서는, 차량(10)이 중속에서의 비스듬한 충돌, 저속에서의 정면 충돌 또는 저속에서의 언더라이드 충돌 중 어디에 연루되는지에 따라 차체의 전방부상에 작용하는 전방 감속 Gs*가 그것의 정점에 도달하는 기간이 상이해진다. 여기서, 차량(10)이 중속에서 비스듬한 충돌에 연루되는 경우에는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될 필요가 있으나, 차량(10)이 저속에서의 정면 충돌이나 저속에서의 언더라이드 충돌 중 어느 하나에 연루된 경우에는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될 필요가 없다. 도 4에는, 차체의 중앙부상에 작용하는 플로어 감속(GF)에 대한 단위 시간 당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와 각 전방 감속(Gs*)간의 관계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10)이 중속에서의 비스듬한 충돌에 연루될 경우에는 Low Map이 채택되고, 차량(10)이 저속에서의 정면 충돌이나 언더라이드 충돌 중 어느 하나에 연루된 경우에는 Low Map이 채택되지 않도록 전방 감속(Gs*)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간의 관계에 의하여 전방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 Front Map이 설정된다. 이는, 에어백장치(30)가 충돌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차량 중앙부의 플로어 감속(GF)를 시적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Low Map을 채택하기 위하여 전방 감속(Gs*)와 관련된 임계값이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속에서의 비스듬한 충돌의 경우에는 Low Map이 채택되지만 저속에서의 정명 충돌이나 언더라이드 충돌의 경우에는 채택되지 않는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와 전방 감속(Gs*)간의 관계에 따라 전방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Front Map이 ROM(24)내에 사전 기록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어 속도(Vn)의 변화가 제2값(Vn2) 이하일 경우에는, Front Map상의 전방 감속(Gs*)과 관련된 임계값이 큰 값(Gs3)으로 설정되어 저속의 언더라이드 충돌에 있어 Low Map이 채택되지 않는다. 플로어 속도(Vn)의 변화가 제2값(Vn2)을 초과하거나 제2값(Vn2)보다 큰제1값(Vn1) 이하일 경우, 저속에서의 정면 출돌시 Low Map이 채택되지 않도록 Front Map상의 전방 감속(Gs*)와 관련된 임계값은 Gs3와 Gs1 사이인 Gs2로 설정된다.
작동제어부(40)와 같이, 임계값 변경 패턴 변경부(42)는 플로어센서(14)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검출된 플로어 감속(GF)에 대한 정기적인 시간의 간격으로 시적분을 수행하고 단위 시간 당 플로어 속도(Vn)의 변화를 얻는다. 그 다음, 임계값 변경 패턴 변경부(42)는 플로어 감속(GF)에 대한 전방 감속(GSL)과 플로어 속도(Vn)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와 전방 감속(GSR)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들 중 어느 하나가 도 4의 판정 맵상의 Front Map의 전방 임계값 변경 패턴에 의하여 분할되는 영역들 중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판정한다. 전방 감속(GSL)은 전방센서(16)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검출되고, 전방 감속(GSR)은 전방센서(18)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검출된다.
임계값 변경 패턴 변경부(42)가 전방 감속(Gs*)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Front Map 위의 전방 감속(Gs*)의 높은 쪽 영역(도 4에서 점묘처리된 영역)내에 있을 경우, 임계값 변경 패턴 변경부(42)는 작동제어부(40)로 미리설정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Low Map을 채택하며, 이후 "Low Map 채택 신호"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임계값 변경 패턴 변경부(42)는 전방 감속(Gs*)과 플로어 속도(Vn)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도 4의 점묘처리된 영역내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임계값 변경 패턴변경부(42)는 작동제어부(40)로 Low Map 채택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30)를 작동시키는 조건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제어부(40)가 임계값 변경 패턴 변경부(42)로부터 출력된 Low Map 채택 신호를 수신하고,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Low Map 위에 있으나 High Map의 위에는 있지 않은 플로어 감속(GF)의 높은 쪽 영역(도 2에 대각선으로 예시된 영역)내에 있다는 것이 판정되면, 작동제어부(40)는 입력/구동 회로(20)로부터 에어백장치(30)의 구동 회로(32)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작동제어부(40)가 상기 값이 High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한다고 판정하는 바로 그 때에 에어백(36)을 전개시킨다. 또한 본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36)은 에어백장치(30)의 작동에 의하여 전개된다. 따라서, 플로어 감속(GF)와 플로어 속도(Vn)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되는 값이 도 2의 점묘처리된 영역내에 있지 않고 대각선으로 나타낸 영역내에 있을 경우, 에어백(36)은 전방 감속(Gs*)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간의 관계에 의하여 판정된 값이 도 4의 점묘처리된 영역내에 있다는 조건하에서 전개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따르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어 감속(GF)이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High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플로어 감속(GF)이 플로어 감속(Vn)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Low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전방 감속(Gs*)이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Front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플로어 감속(GF)이 LowMap상의 임계값은 초과하지만, High Map상의 임계값은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방 감속(Gs*)이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Front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조건하에서만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Front Map상의 전방 감속(Gs*)에 대한 임계값은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변한다. 결과적으로, 임계값이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지 않도록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조와 비교하여, 에어백장치(30)에 대한 작동 판정은 플로어센서(14)로부터 얻어진 플로어 감속(GF)과 전방센서 16 및 전방센서 18로부터 얻어진 전방 감속(Gs*)을 조합함으로써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10)이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될 필요가 있는 중속에서의 비스듬한 충돌에 연루되는 경우, 차량(10)이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될 필요가 없는 저속에서의 정면충돌에 연루되는 경우 및 차량(10)이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될 필요가 없는 저속에서의 언더라이드 충돌에 연루되는 경우에 있어, 플로어 감속(GF)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의하여 판정되는 관계들은 모두가 유사하며, 전방 감속(Gs*)의 양 또한 모두가 유사하다. 하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감속(Gs*)이 그들의 정점에 도달하는 기간들은 모두가 상이하기 때문에, 전방 감속(Gs*)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은 서로 닮아 있지 않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Front Map상의 전방 감속(Gs*)에 대한 임계값은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중속에서의 비스듬한 충돌시에는 에어백장치(30)를 작동시키고 저속에서의 정면 충돌이나 저속에서의 언더라이드 충돌에서는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장치(30)가 중속에서의 비스듬한 충돌, 저속에서의 정면 충돌, 저속에서의 언더라이드 충돌을 포함하는 충돌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작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따르면, 에어백장치(30)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는데 있어서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충돌의 형태에 따라 탑승자를 적절히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따르면, 플로어 감속(GF)이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High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나 상기 플로어 감속(GF)이 플로어 속도(Vn)에 따라 변하는 Low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전방 감속(Gs*)이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Front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에어백장치(30)가 작동된다.
이는, 전방 감속(Gs*)이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Front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에어백장치(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임계값이 High Map상의 임계값으로부터 Low Map상의 임계값으로 변화되는 구조와 동등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센서 16 및 전방센서 18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는 전방 감속(Gs*)이 도 4의 Front Map상의 임계값(Gs1)을 초과하는지의 여부가 1차적으로 판정된다. 그 다음으로, 전방 감속(Gs*)이 임계값(Gs1)을 초과하였다면, 작동 임계값은 도 3의 판정 맵상에서 High Map으로부터 Low Map으로 변화된다.
또한 동시에, 전방 감속(Gs*)이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Front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3의 판정 맵상의 작동 임계값이 High Map상의 임계값으로서 설정되고, 전방 감속(Gs*)이 Low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3의 판정 맵상의 작동 임계값이 Low Map상의 임계값으로서 설정되는 구조와 동등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센서 16 및 전방 센서 18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는 전방 감속(Gs*)이 도 4의 Front Map상의 임계값(Gs1)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가 1차적으로 판정된다. 그 다음, 전방 감속(Gs*)이 임계값(Gs1)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작동 임계값은 도 3의 판정 맵상의 High Map으로서 설정된다. 또한, 전방 감속(Gs*)이 임계값(Gs1)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작동 임계값은 도 3의 판정 맵상의 Low Map으로서 설정된다.
즉, 본 구조에 따르면, 전방 감속(Gs*)이 플로어 속도(Vn)의 변화에 따라 Front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High Map상의 임계값이 에어백장치(30)의 작동 임계값으로서 사용된다. 한편, 전방 감속(Gs*)이 플로어 속도(Vn)에 따라 Front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Low Map상의 임계값이 에어백장치(30)에 대한 작동 임계값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백장치(30)는 "탑승자 보호장치"에 해당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플로어 센서 14는 "제1센서"에, 전방 센서 16 및 전방 센서 18은 "제2센서"에 해당된다. 또한, 청구항 제1, 4 내지 7, 13 및 16 내지 19항에 있어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인 High Map상의 임계값은 "제1임계값"에,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인 Low Map상의 임계값은 청구항 제1항에서는 "제2임계값"에 청구항 제4 내지 7 및 16 내지 19항에서는 "제1임계값"에 해당되며, 전방 임계값 변경 패턴인 Front Map상의 임계값은 청구항 제1 내지 3 및 13 내지 15항에서는 "제3임계값"으로 청구항 제4 내지 9 및 16 내지 21항에서는 "제2임계값"에 해당된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값 Vn1은 "제1값"에, 제2값 Vn2는 "제2값"에, 전방 감속(Gs*)에 대한 임계값 Gs2은 "미리설정된 값"에, 임계값 Gs3는 "상기 미리설정된 값보다 큰 값"에, 그리고 임계값 Gs1은 "상기 미리설정된 값보다 작은 값"에 해당된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플로어 감속(GF)이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High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나, 플로어 감속(GF)이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Low Map상의 임계값은 초과하나 High Map상의 임계값은 초과하지 않고 전방 감속(Gs*)이 전방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Front Map상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력/출력 회로(20)로부터 에어백장치(30)의 구동회로(32)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ECU(12)의 작동제어부(40)에 의하여 "작동제어수단"이 실현된다. 또한, 플로어 감속(GF)이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High Map이나 Low Map 중 어느 하나상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를 기초로 하여 입력/출력 회로(20)로부터 에어백장치(30)의 구동회로(32)로 구동신호를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작동판정수단"이 실현된다.
또한, 전방 감속(Gs*)과 플로어 속도(Vn)의 변화간의 관계에 따라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Low Map을 채택하는 임계값 변경 패턴 변경부(42)에 의하여 "임계값 변경수단" 및 "임계값 설정수단"이 실현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임계값 변경 패턴으로서 Low Map을 채택할지의 여부는 전방 감속(Gs*)과 플로어 감속(GF)에 대한 단위 시간 당 플로어 속도(Vn)의변화간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판정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가령 전방 감속(Gs*)와 플로어 센서 14에 의하여 검출되는 플로어 감속 GF 그 자체 또는 전방 감속(Gs*)과 플로어 감속 GF에 대하여 두번 적분한 값간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판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센서, 즉 차체 전방부로 가해지는 충격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출력하는 전방 센서 16과 전방 센서 18가 차체의 전방부에 제공된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 하나의 전방 센서가 차체의 전방부에 제공될 수도 있고, Low Map이 채택될지의 여부가 출력 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전방 감속을 기초로 하여 판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장치는 탑승자 보호장치로서 사용된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좌석벨트 예비인장기(seatbelt pretensioner)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탑승자 보호장치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1)

  1. 탑승자 보호장치(30)용 작동제어유닛(12)에 있어서,
    차량(10)의 미리설정된 장소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10)에 작용하는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14);
    상기 차량(14)에서 상기 제1센서(14)가 배치되는 장소보다 더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10)에 작용하는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2센서(16,18); 및
    상기 차량(10)에 장착되는 상기 탑승자 보호장치(30)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작동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제어수단은,
    i) 상기 제1센서(1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감속(GF)이 제1임계값(High)를 초과하거나, 또는
    ⅱ) 상기 제1센서(14)로부터의 상기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상기 감속(GF)이 상기 제1임계값(High)보다 작은 제2임계값(Low)을 초과하고 상기 제2센서(16,18)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기초로 하여 얻어진 감속(Gs*)이 미리설정된 패턴에 따라 변하는 제3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탑승자 보호장치(30)를 작동시키기 위한 판정을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제어유닛(1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임계값(Gs1,Gs2,Gs3)은 상기 제1센서(14)로부터의 상기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상기 감속(GF)의 적분 값(Vn)에 따라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제어유닛(12).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 값(Vn)이 제1값(Vn1)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제3임계값(Gs1,Gs2,Gs3)이 미리설정된 값(Gs2)으로 설정되고;
    상기 적분 값(Vn)이 상기 제1값(Vn1)보다 작은 제2값(Vn2)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3임계값(Gs1,Gs2,Gs3)이 미리설정된 값(Gs2)보다 큰 값(Gs3)으로 설정되며;
    상기 적분 값(Vn)이 상기 제2값(Vn2)을 초과하고 상기 제1값(Vn1)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3임계값(Gs1,Gs2,Gs3)이 상기 미리설정된 값(Gs2)보다 작은 값(Gs1)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제어유닛(12).
  4. 탑승자 보호장치(30)용 작동제어유닛(12)에 있어서,
    차량(10)의 미리설정된 장소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10)에 작용하는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1센서(14);
    상기 차량(10)에서 상기 제1센서(14)가 배치되는 장소보다 더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10)에 작용하는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검출하는 제2센서(16,18) 및;
    상기 제1센서(1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상기 감속(GF)이상기 제1임계값(High,Low)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상기 탑승자 보호장치(30)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작동판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센서(16,18)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기초로 하여 얻어진 감속(Gs*)이 미리설정된 패턴으로 변하는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임계값(High,Low)를 변경하는 임계값 변경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제어유닛(12).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변경수단은 제1임계값(High,Low)이, 상기 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보다 상기 제2센서(16,18)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는 경우에 더 작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제어유닛(12).
  6. 탑승자 보호장치(30)용 작동제어유닛(12)에 있어서,
    차량(10)의 미리설정된 장소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10)에 작용하는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1센서(14);
    상기 차량(14)에서 상기 제1센서(14)가 배치되는 장소보다 더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10)에 작용하는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검출하는 제2센서(16,18); 및
    상기 제2센서(16,18)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기초로 하여 2이상의값들(High,Low)들 중 한 값을 제1임계값으로서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수단; 및
    상기 제1센서(1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감속(GF)이 상기 임계값 설정수단들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제1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상기 탑승자 보호장치(30)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작동판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임계값 설정수단은, 상기 제2센서(16,18)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기초로 하여 얻어진 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2이상의 값들(High,Low) 중 한 값을 제1임계값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임계값 설정수단은, 상기 제2센서(16,18)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기초로 하여 얻어진 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2이상의 값들(High,Low) 중 다른 값을 제1임계값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제어유닛(12).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설정수단은, 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보다 상기 제2센서(16,18)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기초로 하여 얻어진 상기 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1임계값(High/Low)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제어유닛(12).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은 상기 제1센서(1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상기 감속(GF)의 적분 값(Vn)에 따라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제어유닛(12).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은 상기 적분 값(Vn)이 제2값(Vn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리설정된 값 Gs2로 설정되고;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은 상기 적분 값(Vn)이 상기 제1값(Vn1)보다 작은 제2값(Vn2) 이하인 경우에는 값 Gs3로 설정되며;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은 상기 적분 값(Vn)이 상기 제2값(Vn2)을 초과하고 상기 제1값(Vn1)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미리설정된 값 Gs2보다 작은 값(Gs1)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제어유닛(12).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16,18)들 중 하나는 상기 차량(1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센서(16,18)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차량(10)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제어유닛(12).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보호장치(30)는 에어백(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작동제어유닛(12).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보호장치(30)는 좌석벨트 예비인장기(seatbelt pretension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제어유닛(12).
  13. 탑승자 보호장치(30)용 작동제어유닛(12)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미리설정된 장소에 작용하는 상기 제1감속(GF)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미리설정된 장소보다 더 전방의 장소에 작용하는 상기 제2감속(Gs*)을 검출하는 단계; 및
    i) 제1감속(GF)이 제1임계값(High)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ⅱ) 상기 제1감속(GF)이 제1임계값(High)보다는 작고 제2감속(Gs*)이 미리설정된 패턴에 따라 변하는 제3임계값(Gs1,Gs2,Gs3)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탑승자 보호장치(30)를 작동시키기 위한 판정을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임계값(Gs1,Gs2,Gs3)을 상기 제1감속(GF)의 적분 값(Vn)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 값(Vn)이 제1값(Vn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임계값(Gs1,Gs2,Gs3)을 미리설정된 값 Gs2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적분 값(Vn)이 상기 제1값(Vn1)보다 작은 제2값(Vn2)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3임계값(Gs1,Gs2,Gs3)을 미리설정된 값보다 큰 값 Gs3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분 값(Vn)이 상기 제2값(Vn2)은 초과하고 상기 제1값(Vn1)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3임계값(Gs1,Gs2,Gs3)을 미리설정된 값(Gs2)보다 작은 값 Gs1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6. 탑승자 보호장치(30)용 작동제어유닛(12)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10)의 미리설정된 장소에 작용하는 제1감속(GF)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10)의 미리설정된 장소보다 더 전방의 장소에 작용하는 제2감속(Gs*)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감속(GF)이, 상기 제2감속(Gs*)이 미리설정된 패턴으로 변하는 제2임계값(Gs1,Gs2,Gs)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설정되는 제1임계값(High,Low)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상기 탑승자 보호장치(30)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임계값(High,Low)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보다 상기 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1임계값(High,Low)이 더 작아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8. 탑승자 보호장치(30)용 작동제어유닛(12)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미리설정된 장소에 작용하는 제1감속(GF)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미리설정된 장소보다 더 전방의 장소에 작용하는 제2감속(Gs*)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감속(Gs*)을 기초로 하여 2이상의 값(High,Low) 중의 한 값을 제1임계값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감속(GF)이 상기 설정된 제1임계값(High,Low)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상기 탑승자 보호장치(30)를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2이상의 값들(High,Low) 중 한 값을 상기 제1임계값(High)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제2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2이상의 값들(High,Low) 중 다른 값(Low)을 제1임계값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보다 상기 제2감속(Gs*)이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임계값(Low)을 더 작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속(GF)의 적분 값에 따라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 값(Vn)이 제1값(Vn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미리설정된 값 Gs2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적분 값(Vn)이 상기 제1값(Vn1)보다 작은 제2값(Vn2)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미리설정된 값(Gs2)보다 큰 값 Gs3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분 값(Vn)이 상기 제2값(Vn2)은 초과하고 상기 제1값(Vn1)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2임계값(Gs1,Gs2,Gs3)을 미리설정된 값(Gs2)보다 작은 값 Gs1으로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04-7001882A 2001-08-09 2002-08-08 탑승자 보호장치를 위한 작동제어유닛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0521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2553A JP3608052B2 (ja) 2001-08-09 2001-08-09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JP-P-2001-00242553 2001-08-09
PCT/IB2002/003101 WO2003013911A1 (en) 2001-08-09 2002-08-08 Activation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723A true KR20040023723A (ko) 2004-03-18
KR100521856B1 KR100521856B1 (ko) 2005-10-14

Family

ID=1907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882A KR100521856B1 (ko) 2001-08-09 2002-08-08 탑승자 보호장치를 위한 작동제어유닛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50808B2 (ko)
EP (1) EP1417116B1 (ko)
JP (1) JP3608052B2 (ko)
KR (1) KR100521856B1 (ko)
CN (1) CN1280135C (ko)
AU (1) AU2002355370B2 (ko)
DE (1) DE60216605T2 (ko)
ES (1) ES2276944T3 (ko)
WO (1) WO20030139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0864A (zh) * 2017-01-25 2018-07-3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乘员保护装置和用于车辆的乘员保护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8870B2 (ja) * 2003-08-05 2006-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4131403B2 (ja) * 2003-09-05 2008-08-13 株式会社デンソー 衝突判定装置
EP1678014B1 (de) * 2003-10-17 2012-04-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ussgänger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7207410B2 (en) * 2004-04-29 2007-04-24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ed impact sensing
US7448251B2 (en) * 2005-01-06 2008-11-11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preparing a motor vehicle for a crash test
DE102005024319B3 (de) * 2005-05-27 2006-12-14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Personenschutzsystems eines Fahrzeugs
DE102006026239B4 (de) * 2005-06-07 2008-04-17 Denso Corp., Kariya Insassenschut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ützen eines Insassen
WO2007044997A2 (en) * 2005-10-13 2007-04-19 Trw Automotive U.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afing function in a restraining system
JP4586705B2 (ja) * 2005-10-28 2010-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衝突判定システム
JP4438873B2 (ja) 2008-02-15 2010-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制御装置
US8374751B2 (en) * 2008-06-06 2013-02-12 Chrysler Group Llc Automotive impact sensing system
DE102008002429B4 (de) * 2008-06-13 2019-06-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r Ansteuerung von Personenschutzmitteln für ein Fahrzeug
JP5637709B2 (ja) * 2010-03-23 2014-12-1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制御装置
US20130030674A1 (en) * 2010-04-07 2013-01-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ontrol apparatus
WO2011125125A1 (ja) * 2010-04-07 2011-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EP2674341B1 (en) 2011-02-10 2016-02-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ybri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brid vehicle
JP5792030B2 (ja) * 2011-11-11 2015-10-0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エアバッグ制御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制御方法
US9409535B2 (en) * 2012-10-24 2016-08-09 Autoliv Development Ab Control device for occupant protection device
CN103057506B (zh) * 2013-01-09 2017-01-18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保护汽车乘员脚部的气囊装置
JP6620773B2 (ja) * 2017-02-13 2019-1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衝突検出システム
CN114750802B (zh) * 2022-03-18 2024-04-23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激活控制电路、方法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3813B2 (ja) 1996-11-20 2002-10-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3044709B2 (ja) * 1997-09-19 2000-05-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3063731B2 (ja) * 1998-04-02 2000-07-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US6186539B1 (en) * 1998-07-01 2001-02-13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restraint device using crash severity indexing and crush zone sensor
JP3346472B2 (ja) * 1999-02-01 2002-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3436185B2 (ja) * 1999-02-09 2003-08-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2000344046A (ja) 1999-06-03 2000-12-12 Asuko Kk 乗員保護装置用制御システム
JP3487279B2 (ja) 2000-10-02 2004-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3620466B2 (ja) * 2001-05-14 2005-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ビアリティ判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0864A (zh) * 2017-01-25 2018-07-3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乘员保护装置和用于车辆的乘员保护方法
KR20180087843A (ko) * 2017-01-25 2018-08-02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 및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US11338751B2 (en) 2017-01-25 2022-05-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Occupant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and occupant protection method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54359A (ja) 2003-02-26
JP3608052B2 (ja) 2005-01-05
DE60216605T2 (de) 2007-09-27
ES2276944T3 (es) 2007-07-01
KR100521856B1 (ko) 2005-10-14
DE60216605D1 (de) 2007-01-18
CN1547535A (zh) 2004-11-17
WO2003013911A1 (en) 2003-02-20
US20040243294A1 (en) 2004-12-02
US7350808B2 (en) 2008-04-01
EP1417116A1 (en) 2004-05-12
AU2002355370B2 (en) 2005-07-28
CN1280135C (zh) 2006-10-18
EP1417116B1 (en)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1856B1 (ko) 탑승자 보호장치를 위한 작동제어유닛 및 그것의 제어방법
EP0734921B1 (en) Air bag apparatus for passenger seat
US5748477A (en) Vehicle collision control system
US691519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crash safety system in a vehicle having a pre-crash sensing system and countermeasure systems
AU2002355370A1 (en) Activation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78902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and deployment control supervision of a safety device
US6804595B1 (en) Controller for occupant restraint system
EP1754634B1 (en) Activation control apparatus for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EP1208021B1 (en) Controller for occupant restraint system
JP2008514496A (ja) 乗員保護手段の駆動制御方法および乗員保護手段の駆動制御装置
KR100581044B1 (ko) 승원 구속 시스템
JPH10287203A (ja) 乗員保護装置の制御装置
JPH11208413A (ja) 衝突規模検知方法、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0150801B1 (ko) 차량용 에어백 구속 시스템
JPH06107116A (ja) 乗員拘束装置の制御装置
KR100227908B1 (ko) 상하 충격에 의한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003054358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19990052068A (ko) 차량용 에어 백 오동작 방지 장치
JPH1159322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20010100606A (ko) 에어백 전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5319200A (ja) 乗員拘束装置の制御装置
KR19980044091A (ko) 차량용 에어 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