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480A - 정량 캡 - Google Patents

정량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480A
KR20040023480A KR1020030024321A KR20030024321A KR20040023480A KR 20040023480 A KR20040023480 A KR 20040023480A KR 1020030024321 A KR1020030024321 A KR 1020030024321A KR 20030024321 A KR20030024321 A KR 20030024321A KR 20040023480 A KR20040023480 A KR 20040023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ver
cap
cover par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라시마히토시
세토야스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4002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48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2Spiral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03B2011/002Rotary feeding devic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덮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간단히 계량 조작할 수 있는 정량 캡을 얻는다.
(해결수단) 덮개부(14)에 외주면에서 신장된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편(36)을 형성함과 아울러, 캡 본체(12)에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신장되는 피걸어맞춤부(28)를 형성하고 있다. 이 피걸어맞춤부(28)에 의해서 형성된 관통구멍(42)에 걸림편(36)을 관통하게 하고, 피걸어맞춤부(28)의 선단부 하측 가장자리부에 걸림편(36)이 걸려지게 하여 덮개부(14)와 캡 본체(12)를 일체로 함으로써, 덮개부(14)를 개방시키더라도 덮개부(14)가 캡 본체(12)에서 떨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덮개부(14)를 분실할 염려는 없다. 또 토출구(48)의 중심선(P2)을 노즐부(20)의 축심선(Pl)에 대해서 어긋난 상태로 배치하고, 토출구(48)의 중심선(P2)상에 덮개부(14)의 저면(14A)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덮개부(14)로 옮길 때 확실히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량 캡{QUANTITATIVE CAP}
본 발명은 용기내에 수용된 액체 또는 고체 등의 내용물을 계량하는 정량 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 등을 수용하는 용기(100)의 개구에 형성된 입구부(도시생략)에 나사부(102A)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캡(102)이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캡(102)에는 눈금(104)이 형성되어 있어 캡(102)을 입구부에서 떼어낸 후, 용기(100)내의 내용물을 눈금(104)에 맞춰 계량하면서 캡(102)으로 옮겨 계량된 내용물을 사용한다(특허문헌 1).
여기서는 용기(100)의 개구를 폐색시키는 캡(102)이 계량기능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지만, 캡(102)은 용기(100)와 별개체로서 캡(102)을 입구부에서 떼어낸 후 캡(102)을 분실할 염려도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캡 본체(106)와 덮개부(108)를 힌지부(110)로 연결하여 캡 본체(106)와 덮개부(108)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캡 본체(106)에는 용기(112)의 개구(112A)와 연통되는 노즐(116)과 용기(112)를 도립하게 한 상태에서 노즐(116)에서 유출된 내용물(114)을 용기(112)의 기립시에 저류(貯留)하는 내용물 저류부(118)와 내용물 저류부(118)에 형성되고 내용물 유통관(120)을 통해서 내용물 저류부(118)와 연통되는 계량부(1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캡 본체(106)는 용기(112)에 형성된 입구부(112B)에 장착된다(특허문헌 2).
여기서는 덮개부(108)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용기(112)를 도립하게 하면 내용물(114)은 용기(112)의 입구부(112B)에서 노즐(116)을 통과하여 내용물 저류부(118)에 저류된다. 이와 같이 내용물 저류부(118)에 저류된 내용물(114)에 의해서 노즐(116)의 선단부가 막히면, 내용물 저류부(118)의 내압과 용기(112)의 내압이 같은 시점에서 내용물(114)의 유동은 멈추기 때문에, 내용물(114)이 내용물 유통관(120)을 통과하는 일은 없고, 덮개부(108)가 개방된 상태라도 내용물(114)이 밖으로 튀는 일은 없다.
이 상태에서 용기(112)를 기립시키면 내용물 저류부(118)에는 내용물(114)이 저류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용기(112)의 몸통부를 압압하면 내용물(114)은 내용물 저류부(118)로부터 내용물 유통관(120)을 통과하여 계량부(122)에 저류된다. 이와 같이 계량부(122)에 의해서 계량된 내용물(114)을 사용한다.
여기서 덮개부(108)는 캡 본체(106)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108)를 분실할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내용물(114)을 계량할 때에 용기(112)를 도립하게 하거나 기립시키거나 할 필요가 있어 불편하다.
또 캡 본체(106) 내에 계량부(122)와는 별도로 내용물 저류부(118)를 형성함과 아울러, 노즐(116)과는 별도로 내용물 저류부(118)와 계량부(122)를 연통하는 내용물 유통관(120)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금형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높아진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9-267857호 공보(제 2 페이지, 도 1)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9-2509호 공보(제 3 페이지, 도 1)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덮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간단하게 계량 조작할 수 있는 정량 캡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량 캡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량 캡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량 캡이 부착된 용기가 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량 캡이 부착된 용기를 기울어지게 하여 덮개부에 내용물을 옮기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정량 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다른 정량 캡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정량 캡) 12 - 캡 본체
14 - 덮개부 20 - 노즐부
30 - 피걸어맞춤편 44 - 걸어맞춤편
46 - 맞닿음편(걸어맞춤편) 48 - 토출구
50 - 폐색편(폐색부)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의 특징은,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에 장착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에 형성된 입구부와 연통되는 노즐부와 상기 캡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기 노즐부를 덮음과 아울러 개방상태에서 계량부가 되는 덮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의 특징에 있어서는, 덮개부가 캡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를 개방시키더라도 덮개부가 캡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으므로 덮개부를 분실할 염려는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의 특징은, 덮개부가 폐쇄되었을 때 노즐부의 토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를 덮개부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덮개부의 저면에 토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를 형성함으로써 덮개부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용기내로의 공기의 진입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함과 아울러 외기에의한 오염, 또는 품질열악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3의 특징은, 노즐부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노즐부의 축심과 토출구의 중심을 어긋나게 하고 토출구의 중심선상에 개방된 덮개부의 저면이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노즐부의 축심과 토출구의 중심이 일치하게 한 경우 내용물을 덮개부에 옮길 때 덮개부의 개방각도에 따라서 토출구의 중심선상에 덮개부의 저면이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용기내의 내용물이 기세좋게 토출된 경우에 내용물이 덮개부에 수용되지 않아 밖으로 튀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노즐부의 축심과 토출구의 중심을 어긋나게 함과 아울러 토출구의 중심선상에 개방된 덮개부의 저면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덮개부로 옮길 때 덮개부내에 확실히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4의 특징은, 캡 본체에는 덮개부의 회동중심측에 피걸어맞춤편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덮개부에는 덮개부의 회동에 따라서 피걸어맞춤편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편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편은 소정 각도에서 로킹된다.
이와 같이 소정 각도에서 로킹되는 걸어맞춤편을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을 덮개부에 옮길 때 덮개부가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한 손에 의한 계량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5의 특징은, 소정 각도를 덮개부의 개방각도 45도 내지 80도의 범위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6의 특징은, 덮개부를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덮개부내에 옮겨진 내용물의 양을 보기 쉽게 하여 내용물의 계량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7의 특징은, 덮개부가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덮개부의 저면에서 가장자리부에 걸쳐 덮개부의 주벽(周壁)을 외측으로 경사지게 하고, 덮개부의 회동중심의 반대측 주벽의 경사각도를 다른 부분보다 크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덮개부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 등으로 옮길 때 따르기 쉽게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량 캡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0)은 대략 원통형상의 캡 본체(12)와 캡 본체(12)의 상면부(12A)를 덮는 덮개부(14)로 대별되고 있다. 캡 본체(12)의 내주면측에는 암나사부(12B)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16)의 입구부(18)에 형성된 수나사부(18A)와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캡 본체(12)의 상면부(12A)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노즐부(20)가 형성되고 용기(16)의 개구(16A)와 연통되어 있다.
또 캡 본체(12)의 상면부(12A)의 주연부(周緣部)에는 캡 본체(12)의 외주벽에서 연장되는 고리형상 리브(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리형상 리브(22)의 내주 상부 가장자리에는 고리형상 리브(22)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돌기부(24)가 고리형상 리브(22)의 축심측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고리형상 리브(22)의 내주면에는 캡 본체(12)의 상면부(12A)의 외측 가장자리와 고리형상 리브(22)의 기부측을 가로지르는 고리형상의 소경(小徑) 단턱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리형상 리브(22)의 외주면에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신장된 피걸어맞춤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걸어맞춤부(28)의 고리형상 리브(22)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선단부벽 중앙부에는 피걸어맞춤편(30)이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고, 피걸어맞춤편(30)의 선단부에는 돌조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부(14)는 투명색으로 성형되어 있고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며 주벽의 일부에는 평면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34)의 외주연부에는 평면부(34)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신장되는 걸림편(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편(36)의 기부에는 힌지부(38)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부(38)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걸림편(36)이 덮개부(14)에 대해서 요동가능하게 된다.
또 걸림편(36)은 대략 T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부를 폭넓게 하고 있으며 선단부의 상면측에는 걸림부(4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40)는 캡 본체(12)의 피걸어맞춤부(28)에 의해서 형성된 관통구멍(42)을 관통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관통구멍(42)을 관통한 후 피걸어맞춤부(28)의 하측에 위치하며 캡 본체(12)의 외주면에서 신장된 스토퍼(37)에 맞닿음한 상태에서 피걸어맞춤부(28)의 선단부벽 하측 가장자리부에 걸림된다.
이에 의해서 덮개부(14)가 캡 본체(12)와 일체가 되는 동시에 힌지부(38)를 중심으로 캡 본체(12)에 대해서 덮개부(14)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 평면부(34)에는 걸림편(36)의 상측에 걸림편(44)이 신장되어 있고 선단부에는 돌조부(32)와 걸어맞춤 가능한 돌조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편(44)은 덮개부(14)의 걸림편(36)이 캡 본체(12)의 피걸어맞춤부(28)의 선단부 하측 가장자리부에 걸려진 상태로 걸어맞춤편(44)의 이동궤적상에는 캡 본체(12)의 피걸어맞춤편(3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편(44)에는 걸어맞춤편(44)과 평면부(34)의 외면을 가로지르는 맞닿음편(4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14)의 개방각도가 45도가 된 상태에서 걸어맞춤편(44)의 돌조부(45)가 피걸어맞춤편(30)의 돌조부(32)와 걸어맞춤한다. 이 때, 맞닿음편(46)이 피걸어맞춤편(30)의 선단부에 맞닿음하고 이에 의해서 덮개부(14)가 로킹되어 개방각도가 유지된다.
그런데, 노즐부(20)는 캡 본체(12)의 축심에서 덮개부(14)의 회동중심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노즐부(20)의 토출구(48)는 노즐부(20)의 선단부면(20A)의 덮개부(14)의 회동중심측에서 주벽(20B)에 걸쳐 형성되고, 토출구(48)의 중심선(P2)은 노즐부(20)의 축심선(Pl)에 대해서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며, 덮개부(14)가 개방된 상태에서 토출구(48)의 중심선(P2)상에 덮개부(14)의 저면(14A)이 배치된다.
한편, 평면부(34)의 내면측에는 덮개부(14)의 저면(14A)을 가로지른 상태로 대략 직사각형상의 폐색편(50)이 신장되어 있다. 이 폐색편(50)의 모서리부는 덮개부(14)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캡 본체(12)의 노즐부(20)의 토출구(48) 주연부와 맞닿아서 토출구(48)를 폐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14)의 평면부(34)의 반대측 주벽에는 덮개부(14)의 저면(14A)에서 내주연부에 걸쳐 덮개부(14)의 다른 주벽보다도 외측으로 크게 경사진따름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덮개부(14)의 외주연부는 캡 본체(12)의 고리형상 리브(22)보다도 소경이 되어 있고, 고리형상 리브(22)에 형성된 돌기부(24)에 걸림가능한 돌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14)를 폐쇄시킬 때, 덮개부(14)의 외주연부를 고리형상 리브(22)내로 삽입하고 돌조부(54)의 선단부가 소경 단턱부(26)에 맞닿아진 상태로 돌조부(54)가 돌기부(24)에 걸려지게 된다. 이에 의해서 덮개부(14)가 완전히 폐쇄된다.
여기서, 덮개부(14)의 주벽에는 덮개부(14)의 회동중심의 반대측에 설부(舌部)(56)가 신장되어 있고, 덮개부(14)를 완전히 폐쇄시킨 상태에서 캡 본체(12)의 외주면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 설부(56)의 하면에 손을 걸어서 덮개부(14)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덮개부(14)가 힌지부(38)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덮개부(14)의 외주면에는 눈금(58)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16)내에 수용된 내용물(62)(액체 또는 분말 등의 고체)을 눈금(58)의 양에 맞춰서 덮개부(14)내에 따름으로써 정량의 내용물(62)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형태에 관한 정량 캡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14)를 폐쇄상태에서 45도 개방시키면 걸어맞춤편(44)이 피걸어맞춤편(30)과 걸어맞춤함과 아울러 맞닿음편(46)이 피걸어맞춤편(30)의 선단부에 맞닿게 되어 덮개부(14)가 로킹되고 덮개부(14)의 개방각도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16)를 기울어지게 함과 아울러 덮개부(14)의 상면을 받침대(60)에 면접촉하게 한다. 그리고, 용기(16)의 측부를압압한다. 이에 의해서 용기(16)내에 수용된 내용물(62)은 토출구(48)에서 덮개부(14)로 토출된다. 이 때, 덮개부(14)의 눈금(58)에 따라서 내용물(62)을 토출시켜 소망하는 양의 내용물(62)을 얻을 수 있다.
또 캡 본체(12)에 덮개부(14)의 회동중심측에 피걸어맞춤편(30)을 형성하고 덮개부(14)에는 덮개부(14)의 회동에 따라서 피걸어맞춤편(30)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편(44) 및 걸어맞춤편(44)과 평면부(34)의 외면을 가로지르는 맞닿음편(46)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덮개부(14)의 개방각도가 45도가 된 상태에서 걸어맞춤편(44)과 피걸어맞춤편(30)을 걸어맞춰지게 함과 아울러 맞닿음편(46)을 피걸어맞춤편(30)의 선단부에 맞닿게 해서 덮개부(14)를 로킹하고, 개방각도를 유지함으로써 내용물(62)을 덮개부(14)에 옮길 때 덮개부(14)가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한 손에 의한 계량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여기서는 덮개부(14)의 개방각도가 45도가 된 상태에서 덮개부(14)가 로킹되고 개방각도가 유지되도록 하였으나 덮개부(14)의 개방각도가 80도까지의 범위이면 되고, 45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덮개부(14)에 외주면에서 신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편(36)을 형성함과 아울러 캡 본체(12)에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신장되는 피걸어맞춤부(28)를 형성하고 있다. 이 피걸어맞춤부(28)에 의해서 형성된 관통구멍(42)에 걸림편(36)을 관통하게 하고 피걸어맞춤부(28)의 선단부 하측 가장자리부에 걸림편(36)을 걸려지게 해서 덮개부(14)와 캡 본체(12)를 일체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덮개부(14)와 캡 본체(12)를 일체로 함으로써 덮개부(14)를 개방시키더라도 덮개부(14)가 캡 본체(12)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덮개부(14)를 분실할 염려는 없다.
또 조립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14) 및 캡 본체(12)의 금형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가공비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4)와 캡 본체(12)를 서로 연설되게 해서 일체로 한 형상이라도 물론 된다.
또 덮개부(14)의 저면(14A)에 토출구(48)를 폐색하는 폐색편(50)을 형성함으로써 덮개부(14)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용기(16)내로의 공기의 진입을 방지하여 내용물(62)의 산화를 방지함과 아울러 외기에 의한 오염, 또는 품질 열악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부(20)의 토출구(48)를 노즐부(20)의 선단부면(20A)의 덮개부(14)의 회동 중심측에서 주벽(20B)에 걸쳐 형성하고, 토출구(48)의 중심선(P2)을 노즐부(20)의 축심선(Pl)에 대해 어긋나게 한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덮개부(14)가 개방된 상태에서 토출구(48)의 중심선(P2)상에 덮개부(14)의 저면(14A)이 배치되게 된다.
예를 들면, 노즐부(20)의 축심선(Pl)과 토출구(48)의 중심선(P2)이 일치하도록 한 경우 내용물(62)을 덮개부(14)에 옮길 때 덮개부(14)의 개방각도에 따라서는 토출구(48)의 중심선(P2)상에 덮개부(14)의 저면(14A)이 배치되지 않을 경우가 있어, 용기(16)내의 내용물(62)이 기세좋게 토출된 경우에 내용물(62)이 덮개부(14)에 수용되지 않고 밖으로 튀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토출구(48)의 중심선(P2)을 노즐부(20)의 축심선(Pl)에 대해서 어긋나게 한 상태로 배치하고 토출구(48)의 중심선(P2)상에 덮개부(14)의 저면(14A)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62)을 덮개부(14)로 옮길 때 덮개부(14)내에 확실히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덮개부(14)를 투명색으로 성형함으로써 덮개부(14)내에 옮겨진 내용물(62)의 양을 보기 쉽게 하여 내용물(62)의 계량을 확실히 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14)는 투명색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PE, PP 등과 같이 성형재료의 종류에 따라서는 투명색이 없는 경우도 있으며, 적어도 반투명이면 된다.
또한, 덮개부(14)의 평면부(34)의 반대측 주벽에 덮개부(14)의 저면(14A)에서 내주연부에 걸쳐 덮개부(14)의 다른 주벽보다도 외측으로 크게 경사진 따름부(52)를 형성함으로써 덮개부(14)내의 내용물(62)을 다른 용기 등으로 옮길 때 따르기 쉽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제 1의 발명은 덮개부가 캡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를 개방시키더라도 덮개부가 캡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덮개부를 분실할 염려는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제 2의 발명은 덮개부의 저면에 토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를형성함으로써 덮개부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용기내로의 공기의 진입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함과 아울러 외기에 의한 오염, 또는 품질 열악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3의 발명은 노즐부의 축심과 토출구의 중심을 어긋나게 함과 아울러 토출구의 중심선상에 개방된 덮개부의 저면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덮개부로 옮길 때 덮개부내에 확실히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4 및 제 5의 발명은 소정 각도에 있어서 로킹되는 걸어맞춤편을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을 덮개부에 옮길 때 덮개부가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한 손에 의한 계량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제 6의 발명은 덮개부내에 옮겨진 내용물의 양을 보기 쉽게 하여 내용물의 계량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7의 발명은 덮개부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 등에 옮길 때 따르기 쉽게 하고 있다.

Claims (13)

  1.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에 장착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에 형성된 입구부와 연통되는 노즐부와,
    상기 캡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기 노즐부를 덮는 동시에 개방상태에서 계량부가 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고 덮개부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노즐부의 토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노즐부의 토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가 덮개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노즐부의 축심선과 상기 토출구의 중심선을 어긋나게 하고, 토출구의 중심선상에 개방된 덮개부의 저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노즐부의 축심선과 상기 토출구의 중심선을 어긋나게 하고, 토출구의 중심선상에 개방된 덮개부의 저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회동 중심측에 위치하는 피걸어맞춤편과,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며 덮개부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피걸어맞춤편과 걸어맞춤하고 소정 각도에 있어서 로킹되는 걸어맞춤편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회동 중심측에 위치하는 피걸어맞춤편과,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며 덮개부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피걸어맞춤편과 걸어맞춤하고 소정 각도에 있어서 로킹되는 걸어맞춤편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회동 중심측에 위치하는 피걸어맞춤편과,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며 덮개부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피걸어맞춤편과 걸어맞춤하고 소정 각도에 있어서 로킹되는 걸어맞춤편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가 상기 덮개부의 개방각도 45도 내지 80도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가 상기 덮개부의 개방각도 45도 내지 80도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가 상기 덮개부의 개방각도 45도 내지 80도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원통형상이고 덮개부의 저면에서 가장자리부에 걸쳐 덮개부의 주벽을 외측으로 경사지게 하고, 덮개부의 회동 중심의 반대측 주벽의 경사각도를 다른 부분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원통형상이고 덮개부의 저면에서 가장자리부에 걸쳐 덮개부의 주벽을 외측으로 경사지게 하고, 덮개부의 회동 중심의 반대측 주벽의 경사각도를 다른 부분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캡.
KR1020030024321A 2002-09-11 2003-04-17 정량 캡 KR200400234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5155A JP2004099126A (ja) 2002-09-11 2002-09-11 定量キャップ
JPJP-P-2002-00265155 2002-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480A true KR20040023480A (ko) 2004-03-18

Family

ID=3226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321A KR20040023480A (ko) 2002-09-11 2003-04-17 정량 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099126A (ko)
KR (1) KR2004002348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163B1 (ko) * 2013-09-17 2015-01-26 애경산업(주) 액체 용기용 캡
KR20160133801A (ko) 2015-05-13 2016-11-23 임효빈 2웨이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마개
KR20190107084A (ko) * 2017-02-08 2019-09-18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원터치 개봉 캡
KR20190121495A (ko) 2018-04-18 2019-10-28 김명호 압력 개폐식 정량캡
KR20230169532A (ko) 2022-06-08 2023-12-18 주식회사 비투에스컴퍼니 분말 정량토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9220B2 (ja) * 2014-01-14 2017-12-20 株式会社型システム 流量調整でき、液垂れしない注出ノズル付き容器
US9579262B2 (en) * 2015-07-04 2017-02-28 Colgate-Palmolive Company Cap and bottle
KR101855954B1 (ko) * 2017-07-10 2018-05-09 김명호 2웨이 덕빌밸브를 구비한 용기마개
JP7126239B2 (ja) * 2018-04-03 2022-08-26 河淳株式会社 蓋付き容器
JP2020158161A (ja) * 2019-03-26 2020-10-01 花王株式会社 計量キャップ付き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163B1 (ko) * 2013-09-17 2015-01-26 애경산업(주) 액체 용기용 캡
KR20160133801A (ko) 2015-05-13 2016-11-23 임효빈 2웨이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마개
KR20190107084A (ko) * 2017-02-08 2019-09-18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원터치 개봉 캡
KR20190121495A (ko) 2018-04-18 2019-10-28 김명호 압력 개폐식 정량캡
KR20230169532A (ko) 2022-06-08 2023-12-18 주식회사 비투에스컴퍼니 분말 정량토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99126A (ja) 200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2476B1 (en) Single axis dual dispensing closure
AU2008292545B2 (en) Discharge cap for bottle-like container
KR20040023480A (ko) 정량 캡
US4632266A (en) Container cap
AU2002259111A1 (en) Single axis dual dispensing closure
US4832219A (en) Dual dispensing hinged closure
CZ20001609A3 (cs) Bajonetový přední konec nádobky
US6135318A (en) Variable rate closure for dispensers having fluid contents
US7051894B2 (en) Circular dispensing container with a hinged lid
JP2002505416A (ja) 容器用計量装置
US6783031B2 (en) Two-piece measuring dispensing cap
JP5286051B2 (ja) 計量キャップ
US11634255B1 (en) Condiment bottle
JP2004512234A (ja) 蓋部および容器のための確実位置決めシステム
JP2005047567A (ja) キャップ
US20040238539A1 (en) Hinged dispensing closure with child-resistant interlock
JP4036505B2 (ja) 定量排出キャップ
JP7451052B2 (ja) 定量吐出容器
JP4738117B2 (ja) 計量カップ付きキャップ
JP2002114250A (ja) 振出口付き容器
JP6283975B2 (ja) 計量器付き注出ノズル
JP2006117262A (ja) 定量排出用キャップ
JP2014166859A (ja) 計量器付き注出ノズル
JPH08502010A (ja) 流体収納容器
AU5930999A (en) A 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