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163B1 - 액체 용기용 캡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163B1
KR101486163B1 KR1020130111933A KR20130111933A KR101486163B1 KR 101486163 B1 KR101486163 B1 KR 101486163B1 KR 1020130111933 A KR1020130111933 A KR 1020130111933A KR 20130111933 A KR20130111933 A KR 20130111933A KR 101486163 B1 KR101486163 B1 KR 101486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wall
discharge
opening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형근
김찬우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3011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65D41/265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가 담긴 용기본체의 배출 넥부에 결합되는 하캡과, 이 하캡을 개폐하면서 계량 컵으로 사용 가능한 상캡이 테어 테이프(tear tape)로 일체로 성형 연결되는 액체 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용기용 캡{cap for 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가 담긴 용기본체의 배출 넥부에 결합되는 하캡과, 이 하캡을 개폐하면서 계량 컵으로 사용 가능한 상캡이 테어 테이프(tear tape)로 일체로 성형 연결되는 액체 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체 세제 용기용 캡으로서, 예컨대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평3-111965호)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체 용기용 캡은 용기본체(28)의 배출 넥부(32)에 나사 결합되는 하캡(30)과, 하캡(30)에 나사 결합을 통해 개폐하는 상캡(2)으로 이루어진다.
상캡(2)은 원형 천면벽(4) 및 이 천면벽(4)의 바깥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측벽(6)을 구비하고 있다.
상캡(2)에는 상부 측벽(6)의 하단으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에 실질상 수평에 연재하고 있는 원형 팽출벽(8), 팽출벽(8)의 바깥 둘레로부터 하부로 연직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하부 측벽(10), 천면벽(4)의 내면에서 하부로 실질상 연직하게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계량통벽(12) 및 상부 측벽(6)의 하단으로부터 이어서 팽출벽(8)의 내주연으로부터 하부에 실질상 연직하게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격벽(14)도 배치 설치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상캡(2)은 하캡(30)에 적용된다. 용기 본체(28)는 원통 형상의 배출 넥부(32)를 가져, 배출 넥부(32)의 외면에는 수나사(34)가 형성되고 있다. 하캡(30)은 저벽(36), 이 저벽(36)의 바깥 둘레로부터 위쪽에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내측 통벽(38), 내측 통벽(38)의 상단으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에 늘어나는 팽출벽(40), 팽출벽(40)의 바깥 둘레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외측통벽(42) 및 팽출벽(40)으로부터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장착벽(43)을 구비하고 있다. 저벽(36)은 특정 방향으로 경사, 즉 도 7에 대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경사 하게 할 수 있고 있다. 저벽(36)의 최하 부위, 즉 도 7에 대해 우단부에는 드립백용 회수홀(44)이 형성되고 있다. 저벽(36)의 중앙부에는 배출노즐인 배출 통로(46)가 형성되고 있다. 저벽(36)에는, 배출 통로(46)의 가장자리로부터 위쪽에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배출통벽(48)이 형성되고 있다. 이 배출통벽(48)에는, 상기 회수홀(44)이 형성되는 각도 위치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절취한 절취홈(50)이 형성되고 있다. 외측통벽(42)의 내면에는 암나사(52)가 형성되고 있어 장착벽(43)의 외면에는 수나사(54)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캡에 의하면, 상캡(30)은 하캡(2)에 나사(22)(54)로 체결되기 때문에 하캡(2)을 계량컵으로도 사용이 편리하다.
그러나, 상캡(30)과 하캡(2)이 분할되어 있어서, 하나의 금형으로 상캡과 하캡을 성형할 수 없어 생산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열악하다.
또한, 상캡(30)은 하캡(2)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나사 체결이 어긋날 경우 나사 체결이 불량하여 사용의 사용 불편과 그 사이로 액체가 누수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배출개구(46)와 회수홀(44)이 개방된 상태로 제품이 출시되기 때문에, 용기(26)가 세워져 있지 않은 경우 액체가 이들을 통해 나와 상캡(2)에 묻게 되어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3-11196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금형으로 상하캡의 일체 사출 성형이 가능하여 생산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액체 용기용 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캡에서의 분리가 용이한 상캡을 계량컵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액체 용기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을 최초 사용하기 전까지 용기 내부의 액체가 흘러나와 상캡에 묻는 것을 방지하고 누액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액체 용기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액체 용기용 캡은, 용기본체의 배출 넥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 내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노즐이 돌출 형성된 하캡; 상기 하캡을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하는 상캡; 상기 하캡과 상기 상캡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편은 절취선이 형성된 테어 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금형으로 상하캡의 일체 사출 성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액체 용기용 캡은, 상기 상캡에는 계량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테어 테이프를 절취하면 상캡을 계량컵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액체 용기용 캡은, 상기 하캡에는 상기 배출노즐의 최하단을 지지하는 저벽이 기울어진 채 형성되고, 상기 배출노즐의 최하단부에는 배출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개구의 일측에는 드립백용 회수홀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개구와 상기 드립백용 회수홀에는 절취 가능한 개봉 실링부가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제품을 최초 사용하기 전까지 용기 내부의 액체가 흘러나와 상캡에 묻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캡과 상캡을 테어 테이프로 연결 지지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하캡과 상캡 및 테어 테이프를 일체로 사출 성형 가능하여, 공정수나 금형 개수 등이 낮아져 생산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테어 테이프를 절취하면, 상캡이 하캡으로부터 분리되어 계량컵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배출개구와 드립백용 회수홀에 절취 가능한 개봉 실링부가 형성됨으로써, 제품을 최초 사용하기 전까지 용기 내부의 액체가 흘러오는 것을 원천 봉쇄하여,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상캡을 열었을 때 액체가 묻어있지 않아 소비자에게 청결감과 신제품이란 느낌을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의 하캡에 상캡이 테어 테이프에 연결된 열린 상태의 단면도.
도 2의 도 1의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중요한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서 개봉 실링부를 제거하는 과정을 보여준 단면도.
도 5는 도 4b에서 중요한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테어 테이프를 제거한 상태의 하캡에서 상캡이 분리된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액체 용기의 캡을 부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캡과 하캡이 분리한 상태.
도 8은 도 7의 상캡이 하캡에 체결된 상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에서 상캡이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의 도 1의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중요한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서 개봉 실링부를 제거하는 과정을 보여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b에서 중요한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테어 테이프를 제거한 상태의 하캡에서 상캡이 분리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100)는 크게 외형을 이루는 용기본체(200)와, 용기본체(200)의 배출 넥부(210)에 결합되는 캡(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캡(300)은 배출 넥부(210)에 결합되는 하캡(310)과, 하캡(310)을 개폐하는 상캡(330)과, 하캡(310)과 상캡(330)을 연결하는 연결편(350)으로 이루어진다.
상캡(330)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 수지로 사출 혹은 압축 성형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상캡(330)은 천정(331)과, 천정(331)의 바깥 둘레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상부 측벽(333)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측벽(333)은 하부로 향해 지름이 점점 커지게 경사지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상부 측벽(333)에는 단부(3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334)는 이를 중심으로 위쪽 상부 측벽(333a)과 아래쪽 상부 측벽(333b)으로 구획한다.
이러한 구획으로 인해, 계량하는 용량을 단부(334)를 기준으로 2개 부분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캡(330)에는 상부 측벽(333)의 하단으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원추 팽출벽(335)과, 팽출벽(335)의 바깥 둘레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측벽(337)과, 상부 측벽(333)의 끝단에서 하부로 수직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격벽(339)으로 구성하여 있다.
격벽(339)의 최하단은 하부 측벽(337)의 최하단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는 것이 후술되는 하캡(310)의 팽출벽(315)의 상단(315a) 아래에 놓여(도 2 참조), 액체가 외측으로 넘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캡(330)은 용기 본체(200)의 배출 넥부(210)에 결합된 하캡(310)에 적용된다.
용기 본체(200)의 배출 넥부(210)의 외주면에는 외주턱(230)이 형성되어 있다.
하캡(310)은 저벽(311)과, 저벽(311)의 바깥 둘레로부터 위쪽에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내측 통벽(313)과, 내측 통벽(313)의 상단으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팽출벽(315)과, 팽출벽(315)의 바깥 둘레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측 통벽(317)과, 팽출벽(315)의 상단(315a)으로부터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장착벽(319)을 구비하고 있다.
저벽(311)은 특정 방향으로 경사, 도 1에 대해 왼쪽에서 우측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져 있다.
저벽(311)의 최하단부, 즉 도 4b 및 도 5에 대해 우측 단부에는 액체를 드립백하는 회수홀(411)이 형성되고 있다.
저벽(311)의 중앙부에는 배출 개구(413)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저벽(311)에는 배출 개구(413)의 가장자리로부터 위쪽에 돌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배출 노즐인 배출 통벽(415)이 형성되고 있다.
배출 통벽(415)에는 회수홀(411)이 형성되어 있는 각도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절취된 절취홈(417)이 형성되고 있다.
외측 통벽(317)의 내면에는 내면 걸림턱(418)이 형성되고, 장착벽(319)에는 걸림돌기(4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돌기(419)는 상캡(330)의 하부 측벽(337)의 하단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421)에 걸려, 상캡(330)이 하캡(310)에 닫히게 된다.
따라서, 상캡(330)은 하캡(310)에 대해 원터치 방식 즉, 닫을 때 상캡(330)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고, 열 땐 상캡(330)을 들어서 하는 조작으로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캡(310)의 내측 통벽(313)과 외측 통벽(317) 사이에 용기본체(200)의 배출 넥부(210)를 진입시키면, 배출 넥부(210)의 외주턱(230)에 하캡(310)의 외측 통벽(317)의 내면 걸림턱(418)이 걸려(일방향 체결), 용기 본체(200)에서 하캡(310)이 위로 빠지지 않게 장착된다.
이러한 일방향 체결구조로 인해, 배출 넥부(210)의 상단측은 하단측에 비해 그 두께가 얇으면서 어느 정도 아래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변형여유홈(2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캡(330)의 팽출벽(315)의 하면에는 점과 같은 돌기(316)가 형성되어, 배출 넥부(210)의 상단면에 접촉한다.
또한, 상캡(330)은 하캡(310)에 연결편(35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 연결되어 있다. 특히 연결편(350)은 절취 가능한 테어 테이프(350)로 구현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테어 테이프(350)는 상캡(330)과 하캡(310)을 연결하는 테어부(351)와, 이 테어부(351)를 잡아당길 수 있는 파지부(353)로 구성되어 있다.
파지부(353)에는 손가락으로 잡고 당길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미세한 돌기 또는 엠보싱을 두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캡(330)을 계량컵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테어 테이프(350)를 그대로 둔 채 사용하고, 계량컵으로 사용할 때는 테어 테이프(350)를 잡아당겨 떼어낸 후 도 6과 같이 하캡(310)에서 분리해서 뚜껑과 계량컵으로 사용하면 된다.
한편, 액체를 배출하는 경우, 배출 노즐(415)에서 액체가 외벽을 타고 저벽(311)으로 낙하하면, 회수홀(411) 쪽으로 흘려 내려 용기 본체(200) 내에 모아진다.
한편, 하캡(310)의 배출 개구(413)와 회수홀(411)에는 절취 가능한 개봉 실링부(37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개봉 실링부(370)는 배출 개구(413)와 회수홀(411)을 막고 있는 개봉막(371)과, 고리부(373)와, 개봉막(371)과 고리부(373)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띠(375)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손가락을 고리부(373)에 건 후, 위로 잡아당기면 개봉막(371)의 가장자리의 절취선을 따라 뜯겨져 나가면서 제거되면, 도 4b와 같이 배출 개구(413)와 회수홀(411)이 완전히 오픈된다.
이와 같이, 제품 판매시 개봉 실링부(370)가 하캡(310)에 절취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액체가 배출노즐(415)로부터 배출되어 상캡(330)에 묻는 경우를 원천 봉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액체 용기 200 : 용기본체
210 : 배출 넥부 230 : 외주턱
240 : 탄성변형여유홈 300 : 캡
310 : 하캡 311 : 저벽
313 : 내측 통벽 315 : 팽출벽
315a : 팽출벽의 상단 316 : 돌기
317 : 외측 통벽 319 : 장착벽
330 : 상캡 331 : 천정
333 : 상부 측벽 333a : 위쪽 상부 측벽
333b : 아래쪽 상부 측벽 334 : 단부
335 : 팽출벽 337 : 하부 측벽
339 : 격벽 350 : 연결편(테어 테이프)
351 : 테어부 353 : 파지부
370 : 개봉 실링부 371 : 개봉막
373 : 고리부 375 : 연결띠
411 : 회수홀 413 : 배출 개구
415 : 배출 노즐(배출 통벽) 417 : 절취홈
418 : 내면 걸림턱 419 : 걸림돌기
421 ; 하부 측벽의 걸림홈

Claims (3)

  1. 삭제
  2. 용기본체(200)의 배출 넥부(210)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200) 내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노즐(415)이 돌출 형성된 하캡(310);
    상기 하캡(310)을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하는 상캡(330);
    상기 하캡(310)과 상기 상캡(330)을 연결하는 연결편(350);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편(350)은 절취선이 형성된 테어 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상캡(330)에는 계량 눈금이 형성된 액체 용기용 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캡(310)에는 상기 배출노즐(415)의 최하단을 지지하는 저벽(311)이 기울어진 채 형성되고,
    상기 배출노즐(415)의 최하단부에는 배출개구(413)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개구(413)의 일측에는 드립백용 회수홀(411)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개구(413)와 상기 드립백용 회수홀(411)에는 절취 가능한 개봉 실링부(370)가 형성되는 액체 용기용 캡.
KR1020130111933A 2013-09-17 2013-09-17 액체 용기용 캡 KR101486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933A KR101486163B1 (ko) 2013-09-17 2013-09-17 액체 용기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933A KR101486163B1 (ko) 2013-09-17 2013-09-17 액체 용기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163B1 true KR101486163B1 (ko) 2015-01-26

Family

ID=5259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933A KR101486163B1 (ko) 2013-09-17 2013-09-17 액체 용기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261B1 (ko) * 2015-08-21 2016-11-24 이희재 계량이 가능한 이중 덮개를 포함하는 조미료 계량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6420A (ja) * 2000-01-24 2001-07-31 Yoshino Kogyosho Co Ltd ヒンジキャップ
KR20030015167A (ko) * 2002-10-21 2003-02-20 주식회사 대륙제관 액체용기 마개
KR20040023480A (ko) * 2002-09-11 2004-03-1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정량 캡
KR20090024761A (ko) * 2009-01-28 2009-03-09 삼화왕관주식회사 힌지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6420A (ja) * 2000-01-24 2001-07-31 Yoshino Kogyosho Co Ltd ヒンジキャップ
KR20040023480A (ko) * 2002-09-11 2004-03-1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정량 캡
KR20030015167A (ko) * 2002-10-21 2003-02-20 주식회사 대륙제관 액체용기 마개
KR20090024761A (ko) * 2009-01-28 2009-03-09 삼화왕관주식회사 힌지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261B1 (ko) * 2015-08-21 2016-11-24 이희재 계량이 가능한 이중 덮개를 포함하는 조미료 계량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63402A (en) Adapter
US3239112A (en) Dispensing closure with removable diaphragm
US9371165B2 (en) Two-piece child-resistant dispensing closure
US3113693A (en) Multi-position snap cap for containers
US2990077A (en) Closures
JP6084542B2 (ja) 中栓付きキャップ
US9382045B2 (en) Dispensing closure
JPS5938143B2 (ja) 嵌め込み式注ぎ口アツセンブリ
JPH0454113Y2 (ko)
CA2482461A1 (en) Improved container for holding a product
JP6166948B2 (ja) キャップ
US3149763A (en) Container closure member having a liner and pourer
US4572399A (en) Plastic container having inwardly formed flange
KR101486163B1 (ko) 액체 용기용 캡
US4019646A (en) Cap with inside stopper for receptacle
US2790475A (en) Plastic container
US3029988A (en) Pouring spout for a container
US2882947A (en) Plastic container
JPH0741028A (ja) 容器の蓋体
JP6377977B2 (ja) 紙製容器用の注出装置
JP2013075690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130026299A (ko) 밀폐뚜껑이 구비된 용기
KR200459905Y1 (ko) 밀폐가 우수하고 탈,부착이 용이한 용기마개
KR20160002482U (ko) 액체 용기용 뚜껑
JP5912661B2 (ja) 合成樹脂製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