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372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372A
KR20040022372A KR1020030013227A KR20030013227A KR20040022372A KR 20040022372 A KR20040022372 A KR 20040022372A KR 1020030013227 A KR1020030013227 A KR 1020030013227A KR 20030013227 A KR20030013227 A KR 20030013227A KR 20040022372 A KR20040022372 A KR 20040022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main body
roll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8995B1 (ko
Inventor
도루 오자와
마나부 사이토
미치아키 요시다
미노루 사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19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0175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750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07070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92Manual input t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Separation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Detachable element of feed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Manual Feeding Of Sheets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서, 급지 카세트와 용지 반송 유니트가 교체 가능하다. 용지 반송 유니트에는 수동 급지 유니트가 접속된다. 수동 급지 유니트로부터 보내진 기록 매체는 용지 반송 유니트를 지나,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주반송로에 도달된다. 화상은 주반송로에 설치된 화상 형성부에 의해 기록 매체에 화상 형성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급지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자동 급지 장치로서는 급지 카세트, 수동 급지 유니트, 멀티 시트 인서터 등의 여러가지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자동 급지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급지 카세트와 멀티 시트 인서터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 것이 있다(일본 특개2001-2282호 공보 및 도2 참조). 화상 형성 장치에는, 급지 카세트에 정형사이즈의 용지가 적재된다. 멀티 시트 인서터에는 임의 사이즈의 용지가 적재된다. 적재된 용지는 이어서 화상 형성부의 적절한타이밍을 맞추어 공급되고,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고,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급지 카세트와 멀티 시트 인서터는 각각 다른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멀티 시트 인서터가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그 전용의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급지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급지 카세트를 장착하는 부분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급지 카세트를 용지 반송 유니트로 교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용지 반송 유니트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급지 카세트를 장착하고, 급지 카세트로부터 기록 매체를 보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급지 카세트를 장착하고, 반전로로부터 기록 매체를 보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 반송 유니트를 장착하고, 급지 카세트로부터 기록 매체를 보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 반송 유니트를 장착하고, 반전로로부터 용지 반송 유니트에 기록 매체를 보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1은 수동 급지 유니트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는 수동 급지 유니트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수동 급지 유니트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수동 급지 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동 급지 유니트를 삽입하기 전 a 및 후 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은 제1 검지 수단의 주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은 제2 검지 수단의 주변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17a은 급지 카세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7b은 수동 급지 유니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수동 급지 유니트를 나타내고, 수동 급지 유니트의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수동 급지 유니트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수동 급지 유니트에 있어서, 가동 캠과 고정 캠의 주변을 나타내고, 도20a은 급지 트레이가 급지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0b은 급지 트레이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수동 급지용 피드 롤과 반송 롤의 구동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수동 급지용 피드 롤과 반송 롤의 구동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화상 형성 장치
12화상 형성 장치 본체
14화상 형성부
16배출부
18a∼18d급지 유니트
22급지 카세트
32반송로
36정착 장치
38레지스터 롤
42 전사 장치
44화상 캐리어
46 제1 셀렉터
48반전로
56대전 장치
58광학 기입 장치
60현상기
62클리닝 장치
64프로세스 카트리지
66화상 캐리어 유니트
68현상기 유니트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급지 카세트와, 상기 급지 카세트의 대신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지 반송 유니트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급지 카세트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빼내고, 대신에 용지 반송 유니트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용지 반송 유니트와, 이 용지 반송 유니트의 대신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 카세트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용지 반송 유니트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빼내고, 대신에 급지 카세트를 장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서, 급지 카세트와 용지 반송 유니트는 교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급지 카세트와 용지 반송 유니트를 임의로 바꿔 넣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용지 반송 유니트는 기록 매체를 단순히 통과하는 반송로를 구성하고 있으면 충분하다. 그러나, 용지 반송 유니트는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지 반송 유니트에는 여러가지 용지 공급 수단을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지 반송 유니트에 수동 급지 유니트를 접속할 수 있다. 이 수동 급지 유니트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동 급지 유니트를 설치한 경우는 수동 급지 유니트로부터의 기록 매체를 용지 반송 유니트를 거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지 반송 유니트의 반송 롤은 수동 급지 유니트에 설치된 구동원에 의해 구동해도 좋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구동원에 의해 구동해도 좋다.
여기서, 수동 급지 유니트는 기록 매체를 적재하는 용지 적재 트레이와, 상기 용지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기록 매체를 보내는 피드 롤을 갖는다. 상기 피드 롤을 회전함으로써 상기 용지 반송 유니트에 기록 매체를 피드할 수 있다. 용지 적재 트레이는 용지 피드 롤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록 매체의 사이즈에 따라서 신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용지 반송 유니트에는 대용량 트레이를 접속한다. 이 대용량 트레이로부터 공급된 기록 매체를 용지 반송 유니트를 거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용지 반송 유니트에는 소터(sorter) 등의 후처리 장치를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지 반송 유니트는 기록 매체 배출용의 반송 유니트로서 기능한다. 양면용의 반전로를 거쳐서 복귀된 기록 매체는 이 용지 반송 유니트에 유도되어, 이 용지 반송 유니트로부터 후처리 장치에 보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서, 급지 카세트와 특수 용지 급지 유니트를 교체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특수 용지 급지 유니트란, 봉투 등의 특수 사이즈의 용지를 공급하는 봉투 피더 등을 말한다. 교체 위치는 특정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급지 카세트의 임의 위치이면 된다. 최상부 스테이지의 급지 카세트가 조작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하면, 급지 유니트 본체와, 이 급지 유니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급지 카세트와, 상기 급지 카세트의 대신에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동 급지 유니트를 포함하는 급지 유니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의하면, 급지 유니트 본체와, 이 급지 유니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수동 급지 유니트와, 이 수동 급지 유니트의 대신에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 카세트를 갖는 급지 유니트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의하면, 급지 유니트 본체를 갖는 급지 유니트가 제공된다. 이 급지 유니트 본체에 대해서, 급지 카세트와 수동 급지 유니트는 교체 가능하다.
따라서, 수동 급지 유니트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급지 카세트의 대신에 수동 급지 유니트를 장착한다. 수동 급지 유니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는 수동 급지 유니트의 대신에 급지 카세트를 장착하면 좋다. 이로써 무의미한 스페이스가 필요없어,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연결된 반송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송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지 카세트의 대신에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본체부는 기록 매체를 적재하는 급지 트레이와, 이 급지 트레이에 적재된 기록 매체를 상기 반송부에 보내는 수동 급지용 피드 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동 급지용 피드 롤은 상기 반송부의 인출 궤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급지 트레이는 적재된 기록 매체를 보내는 급지 위치와, 상기 반송부의 인출 궤적선으로부터 벗어난 퇴피 위치에 퇴피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부에 페이퍼 잼이 발생한 경우는 반송부를 인출하면 되어, 용이하게 막힌 종이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부가 장착될 때까지는, 상기 반송부의 인출을 금지하는 록 수단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반송부를 잘못해 인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착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급지 트레이는 요동 가능한 바닥판과, 이 바닥판을 상기 수동 급지용 피드 롤측에 가압하는 탄성체와, 상기 급지 트레이가 급지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바닥판을 상기 탄성체에 저항해 가압하는 가동 캠과, 상기 급지 트레이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바닥판을 상기 탄성체에 저항해 가압하는 고정 캠을 가져서 이루어진 바람직하다. 따라서, 급지 트레이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도 바닥판을 가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러 기록 매체를 없애, 급지 트레이를 퇴피 위치로 이동하지 않고도, 그대로 기록 매체를 세트한 상태로 급지 트레이를 퇴피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동 급지용 피드 롤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에 구동원을 설치함으로써, 구동계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상기 반송부는 상하에 배치되어 수동 급지 시트 반송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본체부에서의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적어도 한쌍의 반송 롤을 갖고, 상기 가이드부의 적어도 한쪽이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시트 반송로에 막힌 기록 매체를 용이하게 없앨 수 있다.
또, 상기 반송 롤은 마찬가지로 본체부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구동력 전달 수단은 타이밍 벨트를 포함함으로써, 구동 하중을 경감한다.여기서, 구동원과 상기 수동 급지용 피드 롤은 제1 구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연결한다. 상기 수동 급지용 피드 롤과 상기 반송 롤은, 제2 구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연결한다. 이 제2 구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반송부를 인출했을 때에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 해제 수단을 갖는다. 제2 구동 연결 수단이 기어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이 연결 해제 수단은 진자 기어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구동력 전달 수단은 타이밍 벨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급지 유니트 본체는 본체측 피드 롤을 갖는다. 급지 카세트는 본체측 피드 롤과 협력해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기록 매체를 처리하는 리타드 롤을 갖는다.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는 상기 본체측 피드 롤에 접촉하는 핀치 롤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체측의 피드 롤을 급지 카세트와 수동 급지 유니트에서 공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 점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내릴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반송부와 일체로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급지 유니트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반송부를 일체로 인출하기 위한 핸들부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수동 급지 유니트 전체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급지 카세트와 교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급지 유니트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에 홀드하는 홀드 수단과, 이 홀드 수단의 홀드를 해제하는 홀드 해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홀드 해제 수단은 사용자의 눈에 안 띄는 곳, 예를 들면 유니트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동 급지 시트 반송로에 기록 매체가 막힌 경우, 반송부를 대신에 본체부를 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는 상기 급지 카세트의 기록 매체를 보내는 너저 롤과, 이 너저 롤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지지 부재와,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를 삽입했을 때에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의 삽입에 연동해 상기 롤 지지 부재를이동하는 이동 수단을 갖는다. 이에 따라, 수동 급지 유니트가 삽입되기 전에는 너저 롤을 요동 가능하게 해서 막힌 기록 매체의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수동 급지 유니트가 삽입된 경우에는 롤 지지 부재를 고정해 안정된 반송로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한다.
급지 유니트는 상기 급지 카세트가 장착되었는지의 여부 및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가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제1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여도 좋다. 이 제1 검지 수단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급지 카세트용과 수동 급지 유니트용에서 공용할 수 있다.
급지 유니트는 상기 급지 카세트에 기록 매체가 있는지의 여부 및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가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제2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여도 좋다. 이 제2 검지 수단도,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급지 카세트용과 수동 급지 유니트용으로 공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급지 유니트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요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2)(이하 장치 본체라 칭함)를 갖는다.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 화상 형성부(14)가 탑재된다.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 후술하는 배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 예를 들면 2단의 급지 유니트(18a, 18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본체(12)의 하방에는 옵션으로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2단의 급지 유니트(18c, 18d)가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급지 유니트(18a∼18d)는 급지 유니트 본체(20)와, 용지가 수납되는 급지 카세트(22)를 갖는다. 급지 카세트(22)는 급지 유니트 본체(20)에 대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정면 방향(도1의 우측)으로 인출된다. 또, 급지 카세트(22)의 가장 안쪽에 가까운 측의 상부에는 급지 롤(24)이 배치된다. 이 급지 롤(24)의 전방에 리타드 롤(26) 및 너저 롤(28)이 배치되어 있다. 옵션의 급지 유니트(18c, 18d)에는 각각 쌍을 이루는 피드 롤(30)이 설치되어 있다. 급지 롤(24) 및 리타드 롤(26)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또는 상방에 위치하는 급지 유니트(18c)에서 각각 지지되고, 리타드 롤(26)은 급지 카세트(22)에 지지되어 있다.
주반송로(32)는 최하단의 급지 유니트(18d)의 피드 롤(30)로부터 배출구(34)까지의 용지 통로이다. 이 주반송로(32)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이면(도1의 좌측면) 근방에 있고, 최하단의 급지 유니트(18d)의 피드 롤(30)로부터 후술하는 정착 장치(36)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갖는다. 이 주반송로(32)의 정착 장치(36)의 상류측에 후술하는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가 배치된다.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의 상류측에 레지스터 롤(3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반송로(32)의 배출구(34)의 근방에는 배출 롤(4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급지 유니트(18a∼18d)의 급지 카세트(22)로부터 피드 롤(24)에 의해 보내진 기록 매체는 리타드 롤(26), 너저 롤(28)에 의해 안내되어 반송로(32)에유도된다. 레지스터 롤(38)은 기록 매체를 일시 정지한다. 기록 매체는 적절한 타이밍을 취해 후술하는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와의 사이를 지나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다. 기록 매체에 전사된 현상제 화상이 정착 장치(36)에 의해 정착된다. 기록 매체는 배출 롤(40)에 의해 배출구(34)로부터 배출부(16)에 배출된다.
단, 양면 인쇄의 경우는 반전로에 복귀된다. 즉, 주반송로(32)의 배출 롤(40)의 앞은 2갈래로 분리된다. 그 갈라진 부분에 제1 셀렉터(46)가 설치되어 있다. 갈라진 부분에서 레지스터 롤(38)까지 돌아오는 반전로(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전로(48)에는 반송 롤(50a∼50c)이 설치되어 있다. 양면 인쇄의 경우에는 제1 셀렉터(46)가 반전로(48)를 개방하는 측으로 전환되고, 배출 롤(40)에 기록 매체의 후단 앞이 걸리는 시점에서 배출 롤(40)이 반전하여, 기록 매체가 반전로(48)에 유도된다. 기록 매체는 레지스터 롤(38),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 및 정착 장치(36)를 통해 배출구(34)로부터 배출부(16)에 배출된다.
배출부(16)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한 경사부(52)를 갖는다. 이 경사부(52)는 배출구 부분이 낮고, 정면 방향(도1의 우측)을 향해 서서히 높아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즉, 배출구(34) 근처의 경사부를 하단으로 하고, 높아진 선단을 상단으로 하고 있다. 이 경사부(52)는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지지되어 있다. 도1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52)를 상방에 회전시켜 열었을 때에는 개방부(54)가 형성된다. 이 개방부(54)를 거쳐서 사용자는 후술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64)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14)는 화상 캐리어(44)와, 대전 장치(56)와, 광학 기입 장치(58)와, 현상기(60)와, 전사 장치(42)와, 클리닝 장치(62)와, 정착 장치(36)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캐리어(44)는 예를 들어 전사 사진 방식의 감광체로 이루어진다. 대전 장치(56)는, 예를 들면 화상 캐리어(44)를 균일하게 대전할 수 있는 대전 롤이다. 광학 기입 장치(58)는 이 대전 장치(56)에 의해 대전된 화상 캐리어(44)에, 광학적으로 잠상을 기입한다. 현상기(60)는 광학 기입 장치(58)에 의해 형성된 화상 캐리어(44)의 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가시화한다. 전사 장치(42)는 이 현상기(60)에 의한 현상제 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 롤로 이루어진다. 클리닝 장치(62)는 화상 캐리어(44)에 잔존하는 현상제를 클리닝하는, 예를 들면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정착 장치(36)는 전사 장치(42)에 의해 전사된 용지상의 현상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가압 롤과 가열 롤로 이루어진다. 광학 기입 장치(58)는, 예를 들면 주사형의 레이저 노광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급지 유니트(18a∼18d)와 평행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정면 근방에 배치된다. 광학 기입 장치(58)는 현상기(60) 내부를 횡단 스캐닝하여 화상 캐리어(44)를 노광한다. 이 화상 캐리어(44)의 노광 위치가 잠상 기입 위치(P)가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광학 기입 장치(58)로서 주사형의 레이저 노광 장치를 이용했다. 그러나 LED나 면 발광 레이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64)는 화상 캐리어(44), 대전 장치(56), 현상기(60) 및 클리닝 장치(62)를 일체화한 것이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64)는 배출부(16)의 경사부(52)의 바로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64)는 경사부(52)를 열었을 때에 형성되는 개방부(54)를 거쳐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64)는 화상 캐리어 유니트(66)와 현상 장치 유니트(68)로 탈착 가능하게 분리된다. 화상 캐리어 유니트(66)에는 화상 캐리어(44), 대전 장치(56) 및 클리닝 장치(62)가 배치된다. 현상기 유니트(68)에는 현상기(60)가 배치된다. 현상기 유니트(68)는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부(70)와, 이 현상제 수납부(70)에 수납된 현상제가 공급되는 현상 롤(72)을 갖는다.
수동 급지 유니트(7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정면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이 수동 유니트(7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상단의 급지 카세트(22)의 대신에, 용지 반송 유니트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수동 급지 유니트(74)로부터 기록 매체를 화상 형성부(14)에 공급한다.
도2 및 도3에 있어서, 용지 반송 유니트(76)는 전술한 급지 카세트(22)의 대신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급지 유니트(18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용지 반송 유니트(76)는 용지 반송 유니트 본체(78)와, 유니트내 반송로(80)와, 이 유니트내 반송로(80)에 설치된, 예를 들면 3개의 반송 롤(82)과, 보조 롤(84)과, 핀치 롤(85)을 갖는다. 유니트내 반송로(80)는 이 용지 반송 유니트 본체(78) 내를 횡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송 롤(82)은 유니트내 반송로(80)에 배치된다. 보조 롤(84)은 이 반송 롤(82)에 대향해 맞닿도록 설치된다. 핀치 롤(85)은 너저 롤(28)에 접촉한다. 이 용지 반송 유니트(76)를 장착함으로써, 유니트내 반송로(80)를 거쳐서 수동 급지 유니트(74)가 주반송로(32)에 접속된다.
수동 급지 유니트(74)는 수동 급지 유니트 본체(86)와, 구동원인 구동 모터(88)와, 용지 적재 트레이(90)와, 피드 롤(92)을 갖는다. 구동 모터(88)는 이 수동 급지 유니트 본체(86)에 설치된다.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 적재 트레이(90)는 수동 급지 유니트 본체(86)에 설치된다. 피드 롤(92)은 상기 용지 적재 트레이부(90)에 적재된 용지를 피드한다. 용지 적재 트레이(90)는 피드 롤(92)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한 수동 급지 유니트 본체(86)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용지 적재 트레이(90)에는 신축 가능한 용지 지지부(94)가 설치된다. 이 용지 지지부(94)를 깊숙한 곳까지 삽입하고, 용지 적재 트레이(9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측에 회동함으로써, 용지 적재 트레이(90)는 수동 급지 유니트 본체(86)에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용지 적재 트레이(90)를 정면쪽으로 회동한 경우는 용지 적재 트레이(90)의 출구가 용지 반송 유니트(78)의 입구와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피드 롤(92)은 예를 들면 반원 형상으로 노치되고 있고, 용지 적재 트레이(90)에 설치된 분리 부재(96)와 대향한다. 피드 롤(92)은 용지 적재 트레이(90)에 적재된 기록 매체를 한 장씩 처리해 용지 반송 유니트(78)에 공급하게 되어 있다.
구동 모터(88)는 도시하지 않은 기어열을 개재하여 피드 롤(92)에 연결되고, 피드 롤(92)을 구동한다. 또한 피드 롤(92)은 도시하지 않은 기어열을 개재하여 용지 반송 유니트(76)의 각 반송 롤(82)에 연결되고, 이들 반송 롤(82)이 구동 모터(88)에 의해 구동되게 되어 있다. 단, 용지 반송 유니트(76)의 각 반송 롤(82)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측의 구동 모터에 연결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으로부터 구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동 급지 유니트(7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수동 급지 유니트(74)에서 페이퍼 잼이 일어난 경우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동 급지 유니트(74)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함으로써 간단하게 잼 용지를 없앨 수 있다.
다음에 제1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캐리어(44)가 대전 장치(5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대전 장치(56)에 의해 대전된 화상 캐리어(44)에는 화상 신호에 의거해 광학 기입 장치(58)로부터 발광한 광이 조사된다. 따라서 잠상 기입 위치(P)에서 잠상이 형성된다. 광학 기입 장치(58)로부터의 광은 프로세스 카트리지(64) 내를 통과한다. 이 광학 기입 장치(58)에서 형성된 화상 캐리어(44)의 잠상은 현상기(60)의 현상제에 의해 가시화된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22)가 급지 유니트(18a∼18d)에 장착된 경우는 사이즈 신호 등에 의해 급지 유니트(18a∼18d)의 1개가 선택된다. 급지 카세트(22)의 1개에 수납된 기록 매체는 피드 롤(24)에 의해 보내진다. 기록 매체는 리타드 롤(26), 너저 롤(28)에 의해 처리된다. 기록 매체는 레지스터 롤(38)에 의해 임시 정지된다. 기록 매체는 적절한 타이밍을 취해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와의 사이에 유도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 매체가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와의 사이에 유도되면, 화상 캐리어(44)로부터 전사 장치(42)에 의해 기록 매체에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다. 이 현상제가 전사된 기록 매체는 정착 장치(36)를 통해 배출구(34)로부터 배출부(16)에 배출된다.
수동 급지가 필요한 경우는 최상부의 급지 카세트(22)를 급지 유니트(18a)로부터 인출하고, 대신에 용지 반송 유니트(76)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한다. 그리고, 수동 급지 유니트(74)의 용지 적재 트레이(90)를 앞으로 회동하고, 상기 용지 적재 트레이(90)에 기록 매체를 적층한다. 단, 미리 기록 매체를 용지 적재 트레이(90)에 적층시켜 둘 수 있다. 다음에 피드 롤(92)이 회전되면, 피드 롤(92)은 용지 지지 부재(94)와 함께 기록 매체를 처리하고, 기록 매체 용지는 용지 반송 유니트(76)에 하나씩 보내진다. 이 용지 반송 유니트(76)에 보내진 기록 매체는 용지 반송 유니트(76)의 반송 롤(82)에 의해 주반송로(32)로 공급된다. 이 화상 형성부(14)에 의해 기록 매체에 화상이 형성된다.
(제2실시예)
도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2 실시예는 급지 카세트(22)의 대신에 용지 반송 유니트(76)를 장착함과 동시에, 이 용지 반송 유니트(76)에 대용량 트레이(98)를 접속한 것이다. 이 대용량 트레이(98)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정면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대용량 트레이(98)는 공급 롤(100)에 의해 기록 매체를 용지 반송 유니트(76)에 공급한다. 따라서, 대용량 트레이(94)에 적재된 기록 매체는 용지 반송 유니트(76)를 거쳐서 주반송로(32)에 보내진다. 그런 다음 화상이 화상 형성부(14)에 의해 기록 매체 위에 형성된다.
(제3실시예)
도5~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3 실시예에서는 급지 카세트(22)와 용지 반송 유니트(76)가 교체 가능하다. 급지 카세트(22) 대신에 용지 반송 유니트(76)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한 경우는 용지 반송 유니트(76)에 후처리 장치(102)를 접속한다. 도5 및 도6은 급지 카세트(22)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7 및 도8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용지 반송 유니트(76)와 후처리 장치(102)를 장착한 경우를 나타낸다. 전술한 반전로(48)의 출구 부분에는 제2 셀렉터(10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셀렉터(104)는 제1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제1 위치는 기록 매체가 주반송로(32)를 통과하는 것을 허가하고, 또한 반전로로부터 기록 매체가 주반송로(32)에 복귀되도록 유도한다. 제2 위치는 반전로(48)로부터의 기록 매체가 주반송로(32)를 횡단해 용지 반송 유니트(76)로 유도한다. 즉, 급지 카세트(22)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는 도5 및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셀렉터(104)는 제1 위치에 있어 일면 및 양면의 인쇄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용지 반송 유니트(76)와 후처리 장치(102)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로서, 일면 및 양면 인쇄할 때는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셀렉터(104)는 제1 위치에 있다. 그러나, 후처리할 때는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셀렉터는 제2 위치에 전환되고, 반전로(48)로부터의 기록 매체(일면 또는 양면 인쇄된 기록 매체)가 용지 반송 유니트(76)에 유도된다. 다음에 기록 매체는 이 용지 반송 유니트(76)를 지나고, 후처리 장치(102)에 유도되어, 후처리 장치(102)에 의해 후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후처리 장치(102)로서는 소터, 스테이플러, 펀처 등이 포함된다.
(제4실시예)
도9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4 실시예는 전술한 급지 카세트(22)와 특수 용지 급지 유니트(106)를 교체 가능하게 한 것이다. 특수 용지 급지 유니트(106)는 예를 들면 봉투 피더이다. 특수 용지 급지 유니트(106)는 봉투를 적재하는 트레이(108)와 리타드 롤(26)을 갖는다. 트레이(108)에 적재된 봉투는 급지 롤(24)에 의해 보내지고, 리타드 롤(26) 및 너저 롤(28)에 의해 처리되어, 주반송로(32)에 공급된다.
(제5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10~도22에 의거해 설명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요를 나타낸다. 제1 및 제4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11 및 도12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단에 배치된 급지 유니트(18)는 급지 카세트(22)의 대신에 수동 급지 유니트(274)를 장착할 수 있다. 이 수동 유니트(274)는 본체부(276)와, 반송부(278)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276)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정면 부분에 설치된다. 반송부(278)는 이 본체부(276)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측에 돌출한다. 본체부(276)는 트레이 수납부(280)와, 급지 트레이(282)를 갖는다. 트레이 수납부(28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고정된다. 급지 트레이(282)는 이 트레이 수납부(28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트레이 수납부(280)의 정면에는 급지 트레이(282)에 수납되는 기록 매체의 사이즈를 설정하는 다이얼부(28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수동 급지 유니트(274)는 본체부(276)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될 때까지는, 상기 반송부(278)의 인출을 금지하는 록 수단을 갖는다. 또한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반송부(278)의 정면 하부에는 본체부(276)와 반송부(278)를 일체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하기 위한 핸들부(286)를 갖는다. 이 핸들부(286)에 손을 대어 사용자가 쥐는 것에 의해 수동 급지 유니트(274)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13 및 도14에는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274)의 상세를 나타낸다. 수동 급지 유니트(274)의 반송부(278)는 2개의 가이드부, 즉 상하 가이드부(288a, 288b)를 갖는다. 이 상하 가이드부(288a, 288b)의 사이에서 반송로(290)가 구성되어 있다. 또, 상하 가이드부(288a, 288b)에는 예를 들면 3쌍의 반송 롤(292a∼292c)이 설치되어 있다. 이 3쌍의 반송 롤(292a∼292c)은 이 실시예에서는 상방의 가이드부(288a)에 지지된 것이 보조 롤, 하방의 가이드부(288b)에 지지된 것이 구동 롤이 되고 있다. 또, 반송부(278)의 선단 근방에는 핀치 롤(29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핀치 롤(294)은 너저 롤(28)에 맞닿고, 이 너저 롤(28)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되어 있다.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급지 롤(24)은 롤 지지 부재(296)에 의해서, 너저 롤(28)을 지점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급지 카세트 본체(20)의 측면 부분에는 핀(298)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핀(298)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연합하도록 이동 부재(2100)를 갖는다. 이 이동 부재(2100)는 제1 탄성체(2102)에 의해 수동 급지 카세트의 삽입 방향 반대쪽으로 가압되고 있다. 도15a에 나타내고 있는상태로부터 수동 급지 유니트(274)의 반송부(278)를 삽입하면, 반송부(278)가 이동 부재(2100)에 맞닿고, 이 이동 부재(2100)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2100)가 롤 지지 부재(296)에 맞닿고, 급지 롤(24)을 인상한다. 따라서, 수동 급지 유니트(274)가 삽입되기 전에는 급지 롤(24)을 회동 가능하게 해서 막힌 용지의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수동 급지 유니트(274)가 삽입된 경우에는 롤 지지 부재(296)를 고정하고, 반송부(278)로부터의 용지 반송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지 유니트 본체(20)에는 제1 검지 수단으로서 제1 마이크로 스위치(210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마이크로 스위치(2104)는, 예를 들면 2개의 스위치부(2106a, 2106b)를 갖는다. 급지 카세트(22)로부터 돌출한 제1 돌출부(2108a)가 제2 스위치부(2106a)에 맞닿는다. 수동 급지 유니트(27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되었을 때는, 반송부(278)로부터 돌출한 제2 돌출부(2108b)가 제2 스위치부(2106b)에 맞닿는다. 이렇게 관련 돌출부에 접촉함으로써, 각각 다른 신호가 출력된다. 이 제1마이크로 스위치(2104)로부터의 신호 출력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제어부(2110)에 의해서, 급지 카세트(22)가 장착되었을 때와 수동 급지 유니트(274)가 장착되었을 때의 각각 에 맞춘 적절한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한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지 유니트 본체(20)에는 제2 검지 수단으로서 제2 마이크로 스위치(2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마이크로 스위치(2112)는 액츄에이터(2114)에 대향한다. 급지 카세트(22)가 장착된 경우 제2마니크로 스위치(2112) 급지 카세트(22)에 용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도17a). 수동 급지 유니트(274)가 장착되었을 때에 제2마이크로 스위치(2112)는 수동 급지 유니트(274)의 유무를 검지한다(도17b). 이와 같이 해서 제2 마이크로 스위치(2112)는 공용의 검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수동 급지 유니트(274)의 본체부(276)는 홀드 수단과, 홀드 해제 수단을 갖는다. 홀수 수단은 본체부(276)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12)에 탈착 가능하게 홀드되게 한다. 홀드 해제 수단은 이 홀드 수단의 홀드를 해제한다. 홀드 해제 수단은 본체부(276)의 사용자의 눈에 안띄는 장소, 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76)의 저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본체부(276)의 홀드 수단과 홀드 해제 수단은 도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본체부(276)의 저면에는 회동축(2116a, 2116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래치 바(2118a, 2118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래치 바(2118a, 2118b)는 도19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2 탄성체(2120a, 2120b)에 의해 가압되고 있음과 동시에, 래치부(2122a, 2122b)가 맞닿고 있다. 이 래치부(2122a, 2122b)는 본체부(276)로부터 화상 형성 본체(212) 측으로 돌출하고, 래치 바(2118a, 2118b)의 회동에 따라서 좌우로 이동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 본체(212)에는 래치부(2122a. 2122b)가 삽입되는 래치홈(2124a, 2124b)이 설치된다. 이 래치홈(2124a, 2124b)에 래치 결합부(2126a, 2126b)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76)의 래치부(2122a, 2122b)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12)의 래치홈(2124a, 2124b)에 삽입하면, 래치부(2122a, 2122b)가 래치 결합부(2126a, 2126b)에 결합해 본체부(276)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12)에 홀드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래치바(2118a, 2118b)를 제2 탄성체(2120a, 2120b)에 저항해 회동하면, 래치 바(2118a, 2118b)가 래치부(2122a, 2122b)를 가압해 래치부(2122a, 2122b)를 이동시키고, 래치부(2122a, 2122b)와 래치 결합부(2126a, 2126b)와의 결합을 푼다. 본체부(276)를 인출함으로써 본체부(276)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112)로부터 뗄 수 있다.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은 회전축(2130)과, 일부를 잘라낸 롤부(2132)로 구성된다. 이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은 회전축(2130)을 중심으로 해서, 본체부(27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급지 트레이(282)는 롤부(2132)에 대향해 분리 패드(2134)를 포함한다.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에 의해 보내지는 용지는 이 분리 패드(2134)에 의해 분리된다.
이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은 반송부(278)의 인출 궤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급지 트레이(282)는 적재된 용지를 보내는 용지 급지 위치와, 반송부(278)의 인출 궤적선으로부터 벗어난 퇴피 위치로 퇴피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동된다. 따라서,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이 반송부(278)의 인출 궤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고, 급지 트레이(282)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는 급지 트레이(282)가 반송부(278)의 인출 궤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반송부(278)는 급지 유니트 본체(2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급지 트레이(282)가 급지 위치에 있을 때는 반송부(278)가 급지 트레이(282)에 맞닿고, 반송부(278)의 인출이 금지된다.
급지 트레이(282)에는 바닥판(2136)과, 이 바닥판(2136)에 연결된 용지 테이블(2138)을 갖는다. 바닥판(2136)은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탄성체(2140)에 의해서, 바닥판(2136) 상에 재치된 용지를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의 롤부(2132)에 눌러 붙이도록 가압하고 있다.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의 회전축(2130)에는 가동 캠(2142)이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 수납부(280)에는 고정 캠(2144)이 설치되어 있다. 도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282)가 급지 위치에 있는 경우는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에 의해 용지가 피드될 때마다, 가동 캠(2142)이 바닥판(2134)을 제3 탄성체(2140)에 저항해 가압하여 용지를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로부터 뗀다. 한편, 도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282)가 퇴피 위치(수납 위치)에 있는 경우는 고정 캠(2144)이 바닥판(2136)을 제3 탄성체(2140)에 저항해 가압하여, 바닥판(2136)을 내리누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급지 트레이(282)를 기립시켜 트레이 수납부(280)에 수납한 경우에는, 용지가 따라오르는 것을 방지하므로, 급지 트레이(282)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21 및 도22는 상술한 반송 롤(292a∼292c) 및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계를 나타낸다. 구동원인 구동 모터(2146)는 본체부(276)의 트레이 수납부(280)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모터(2146)와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은, 제1 구동력 전달 수단을 구성하는 제1 기어열(214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과 반송 롤(292a∼292c)은, 제2 구동력 전달 수단을 구성하는 제2 기어열(21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 기어열(2150)에는 본체부와 반송부가 갈라지는 부분에 진자 기어(215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진자 기어(2152)는 도시하지 않은 탄성체에 의해 결합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진자 기어(2152)는 본체부(276)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12)에 장착한 상태로반송부(278)를 인출 가능하게 한다. 반송부(278)를 장착했을 때에는 확실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구동력 전달 수단을 기어열로 구성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진자 기어 이후의 전달 부분을 타이밍 벨트로 바꿀 수 있다.
다음에 제5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캐리어(44)가 대전 장치(5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화상 캐리어(44)에는 화상 신호에 의거해 광학 기입 장치(58)로부터 발한 광이 조사된다. 잠상 기입 위치(P)에서 잠상이 형성된다. 광학 기입 장치(58)로부터의 광은 프로세스 카트리지(64) 내를 통과한다. 이 광학 기입 장치(58)에서 형성된 화상 캐리어(44)의 잠상은 현상기(60)의 현상제에 의해 가시화된다.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22)가 급지 유니트(18)에 장착된 경우는 사이즈 신호 등에 의해 급지 유니트(18)의 1개가 선택된다. 급지 카세트(22)의 1개에 수납된 기록 매체는 피드 롤(24)에 의해 보내진다. 기록 매체는 리타드 롤(26), 너저 롤(28)에 의해 처리되어 주반송로(32)에 유도된다. 기록 매체는 레지스터 롤(38)에 의해 임시 정지된다. 기록 매체는 적절한 타이밍을 취해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와의 사이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 매체가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와의 사이에 유도되면, 화상 캐리어(44) 상의 현상제가 전사 장치(42)에 의해 기록 매체에 전사된다. 이 현상제가 전사된 기록 매체는 정착 장치(36)를 통해 배출구(34)로부터 배출부(16)에 배출된다.
수동 급지가 필요한 경우는 상부의 급지 카세트(22)를 급지 유니트(18)로부터 인출하고, 대신에 수동 반송 유니트(274)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12)에 장착한다. 이 장착은 사용자가 핸들부(286)를 가지고 한다. 사용자는 먼저 반송부(278)를 급지 유니트 본체(20)에 삽입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본체부(276)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12)에 눌러 붙이면, 래치부(2122a, 2122b)가 래치 결합부(2126a, 2126b)에 결합하여, 본체부(276)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12)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이동 부재(2100)가 롤 지지 부재(296)에 맞닿고, 너저 롤(28)에 핀치 롤(294)이 맞닿게 된다. 제1 마이크로 스위치(2104)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2112)에 의해 수동 급지 유니트(274)가 장착된 것이 제어부(2110)에 통지된다. 용지가 급지 트레이(282)에 있으면, 구동 모터(2146)가 회전되어 제1 기어열(2148)을 거쳐서 수동 급지용 피드 롤(2128)이 회전되고, 다음에 용지는 분리 패드(2134)에 의해 분리된다. 반송 롤(292a∼292c)도 제2 기어열(2150)을 거쳐서 회전한다. 따라서 용지는 수동 급지 용지 반송로(290)를 거쳐서 반송되고, 다시 너저 롤(28)에 의해 주반송로(32)에 반송된다.화상이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수동 급지 용지 반송로(290)에 용지 막힘이 발생한 경우는 사용자는 급지 트레이(282)를 세워 트레이 수납부(280)에 수납하고, 반송부(278)를 인출하면 된다. 또, 수동 급지 반송 유니트(274)를 제거하려면, 먼저 래치 바(2118a, 2118b)를 회동해 본체부(276)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12)와의 홀드를 해제하고, 핸들부(286)에 사용자가 손을 대어 본체부(276)와 반송부(278)를 일체로서 인출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급지 카세트(22)와 수동 급지 유니트(274)를 교체 가능하게 했다. 필요에 따라서 급지 카세트(22) 또는 수동 급지 유니트(274)의 대신에, 예를 들면 봉투 등의 특수 사이즈의 용지를 공급하는 봉투 피더 등의 특수한 급지 장치를 교체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방식이거나 잉크젯 방식이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급지 카세트와 용지 반송 유니트가 교체 가능하다. 다라서 급지 카세트를 장착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부분의 스페이스 낭비 없이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4)

  1.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급지 카세트와,
    상기 급지 카세트의 대신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지 반송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반송 유니트는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반송 유니트에 접속되는 수동 급지 유니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는 상기 반송 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상기 반송 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는 기록 매체를 적재하는 용지 적재 트레이와,
    상기 용지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기록 매체를 보내는 피드 롤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 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용지 반송 유니트에 기록 매체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적재 트레이는 상기 피드 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반송 유니트에 대용량 트레이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반송 유니트에 후처리 장치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서, 급지 카세트와 특수 용지 급지 유니트를 서로 교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급지 카세트이고,
    상기 용지 반송 유니트는 최상부에서 급지 카세트 대신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급지 유니트 본체와,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급지 카세트와,
    상기 급지 카세트의 대신에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른 급지 카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14. 급지 유니트 본체와,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급지 카세트와,
    상기 급지 카세트의 대신에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동 급지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반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지 카세트의 대신에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기록 매체를 적재하는 급지 트레이와,
    상기 기록 매체를 급지 트레이로부터 상기 반송부에 보내는 수동 급지용 피드 롤을 포함하고,
    이 수동 급지용 피드 롤은 상기 반송부의 인출 궤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급지 트레이는 적재된 기록 매체를 보내는 급지 위치와, 상기 반송부의 인출 궤적선으로부터 벗어난 퇴피 위치로 퇴피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장착될 때까지는, 상기 반송부의 인출을 금지하는 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트레이는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상기 수동 급지용 피드 롤측에 가압하는 탄성체와,
    상기 급지 트레이가 급지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바닥판을 상기 탄성체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동 캠과,
    상기 급지 트레이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바닥판을 상기 탄성체에 저항해 가압하는 고정 캠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동 급지용 피드 롤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수동 급지 용지 반송로를 형성하는 상하 가이드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의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적어도 한쌍의 반송 롤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 가이드부의 적어도 한쪽이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반송 롤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과 상기 수동 급지용 피드 롤을 연결하는 제1 구동력 전달 수단과,
    상기 수동 급지용 피드 롤과 상기 반송 롤을 연결하는 제2 구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반송부를 인출했을 때에 수동 급지용 피드 롤과 상기 반송 롤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 해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력 전달 수단은 기어열(gear train)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해제 수단은 진자 기어(pendulum ge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력 전달 수단은 타이밍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는
    본체측 피드 롤을 갖고,
    상기 급지 카세트는 본체측 피드 롤과 협력해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기록 매체를 처리하는 리타드 롤(retard roll)을 갖고,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는 상기 본체측 피드 롤에 접촉하는 핀치 롤(pinch roll)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반송부는 일체로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반송부를 일체로 인출하기 위한 핸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에 홀드하는 홀드 수단과,
    상기 홀드 수단의 홀드를 해제하는 홀드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해제 수단은 사용자에게 눈에 안띄는 장소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해제 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3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는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기록 매체를 보내는 너저 롤(nadger roll)과,
    상기 너저 롤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지지 부재와,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를 삽입했을 때에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의 삽입에 연동해 상기 롤 지지 부재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3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의 장착 여부 및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의 장착 여부를 검지하는 제1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3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에 기록 매체가 있는지의 여부 및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의 장착 여부를 검지하는 제2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유니트.
  34. 급지 유니트 본체와,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급지 카세트와,
    상기 급지 카세트의 대신에 상기 급지 유니트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동 급지 유니트를
    구비하는 급지 유니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13227A 2002-09-06 2003-03-04 화상 형성 장치 KR100658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61910 2002-09-06
JP2002261910A JP2004101758A (ja) 2002-09-06 2002-09-06 画像形成装置
JPJP-P-2002-00275005 2002-09-20
JP2002275005A JP2004107070A (ja) 2002-09-20 2002-09-20 給紙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372A true KR20040022372A (ko) 2004-03-12
KR100658995B1 KR100658995B1 (ko) 2006-12-21

Family

ID=3199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227A KR100658995B1 (ko) 2002-09-06 2003-03-04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58352B2 (ko)
KR (1) KR100658995B1 (ko)
CN (1) CN10038367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5304B2 (en) 2005-03-04 2010-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 medium stack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9748B2 (ja) * 2003-12-26 2008-12-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01789B2 (ja) * 2004-01-23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60214353A1 (en) * 2005-03-23 2006-09-28 Lexmark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media input tray with manual feeder
US7210814B2 (en) * 2005-04-29 2007-05-01 Ultradent Products, Inc. Dental curing light with specially arranged LEDs
US9479660B2 (en) 2009-08-27 2016-10-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JP5333059B2 (ja) 2009-08-27 2013-1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2011157166A (ja) * 2010-01-29 2011-08-18 Seiko Epson Corp 媒体送り装置、記録装置
JP5041042B2 (ja) * 2010-06-30 2012-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3129993B (zh) * 2013-03-05 2015-05-20 上海富士施乐有限公司 一种图像形成装置纸张输送机构
JP2014226873A (ja) * 2013-05-24 2014-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4668A (en) * 1977-05-17 1980-05-27 Ricoh Company, Ltd. Paper feeding apparatus
US4392740A (en) * 1980-04-15 1983-07-1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Paper transport control device for use in mechanical arrangement including manual paper feeding mechanism
JPS5821270A (ja) 1981-07-30 1983-02-08 Minolta Camera Co Ltd 記録装置
JPS6063560A (ja) 1983-09-19 1985-04-11 Mita Ind Co Ltd 複写機用複写紙搬送装置
US4766467A (en) * 1985-11-28 1988-08-23 Mita Industrial Co. Ltd.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and auxiliary unit capable of being detachably mounted thereon
US5040019A (en) * 1987-12-18 1991-08-13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document feeder & sorter
JPH03186535A (ja) * 1989-12-15 1991-08-14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742997B2 (ja) 1996-11-13 2006-02-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形成装置
US6496281B1 (en) * 1998-01-19 2002-12-17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3746911B2 (ja) 1999-04-30 2006-02-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786165B2 (ja) 1999-06-22 2006-06-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5304B2 (en) 2005-03-04 2010-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 medium stack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58352B2 (en) 2006-06-06
CN1480791A (zh) 2004-03-10
US20040047662A1 (en) 2004-03-11
CN100383672C (zh) 2008-04-23
KR100658995B1 (ko)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995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12062140A (ja)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62141A (ja)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898270B1 (en)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282554C (zh) 纸张传送装置和成像装置
US5383655A (en) Sheet feeding apparatus
CN100402303C (zh) 具有除卡纸装置的多功能机器及除卡纸方法
JP2003122072A (ja) 画像形成装置
US7203454B2 (en) Sheet post-process apparatus and waiting tray
JPH04182234A (ja) 記録装置の給紙装置
JP2004107070A (ja) 給紙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S58130352A (ja) 画像形成装置
US7206542B2 (en) Sheet post-process apparatus and waiting tray
JPH11236166A (ja) 記録媒体排出装置
JP4019872B2 (ja) シート搬送装置、給紙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3818362B2 (ja) シート給送装置
JPH02123039A (ja) シート材の給送装置
JP5035617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17387A (ja) 給紙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35214A (ja) 排紙トレイ
JPH08314355A (ja) 電子写真印刷装置
JP200202004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90877A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2006199403A (ja) 給紙装置
JP3199479B2 (ja) 両面ユニツ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