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983A - 리코일 스타터 - Google Patents

리코일 스타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983A
KR20040019983A KR1020030059790A KR20030059790A KR20040019983A KR 20040019983 A KR20040019983 A KR 20040019983A KR 1020030059790 A KR1020030059790 A KR 1020030059790A KR 20030059790 A KR20030059790 A KR 20030059790A KR 20040019983 A KR20040019983 A KR 20040019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ope reel
damper spring
rope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1903B1 (ko
Inventor
쯔노다슈헤이
도야마이사오
모리시게도시노리
Original Assignee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50245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48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5024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2896B2/ja
Application filed by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9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5/00Starting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ower storage
    • F02N5/02Starting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ower storage of spr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3/00Other muscle-operated starting apparatus
    • F02N3/02Other muscle-operated starting apparatus having pull-c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10T74/134Clutch conn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 스프링의 과대한 변위를 저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완충성능 및 축력성능이 큰 댐퍼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는 리코일 스타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의 해결수단으로서, 리코일 로프 (2) 의 인장에 의해 로프 릴 (4) 과 캠 (8) 을 회전시켜, 캠 (8) 의 회전을 래칫 기구 (10) 를 통하여 엔진에 전달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는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의 상기 양단부의 걸어맞춤부 (15,17) 를, 각각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의 걸림부 (16,18) 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시켜, 엔진의 시동저항으로 인해,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가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의 양 보스 (19,20) 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감겨져 조여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리코일 스타터{A RECOIL STARTER}
본 발명은, 로프 릴 (rope reel) 에 리코일 로프 (recoil rope) 가 감겨져 있으며, 리코일 스타터의 케이싱 외측으로 인출된 리코일 로프의 일단부를 인장시킴으로써 로프 릴을 회전시켜, 이 로프 릴의 회전력을 댐퍼 스프링을 통해 캠에 전달하고, 이 캠의 회전을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된 회전부재에 래칫 기구를 통해 전달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엔진을 시동시키는 리코일 스타터에 관한것이다.
리코일 로프를 끌어당김으로써 회전되는 로프 릴의 회전을 캠에 전달하고, 또한 이 캠과 걸어맞춤ㆍ이탈하는 원심 클러치 또는 다른 래칫 기구를 통해 플라이휠 마그넷 또는 구동 풀리 등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도록한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 로프 릴과 캠을 코일 스프링 형태의 댐퍼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연결하여, 로프 릴의 회전을 댐퍼 스프링을 통해 캠에 전달시킴으로써, 엔진 시동시의 부하의 변동에 기인하여 작업자의 손에 전달되는 쇼크를 흡수시키도록한 구조의 리코일 스타터가 이미 알려져 있다.
종래의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 릴 (30) 과 캠 (31) 의 대향면에 형성된 환형 오목부 (32,33) 내에 댐퍼 스프링 (34) 이 수용되어 있고, 댐퍼 스프링 (34) 의 U자형으로 굴곡된 일단부 (35) 는 로프 릴 (30) 에 형성된 걸어맞춤홈 (36) 내에 수용되고, 축방향을 향하여 굴곡된 타단부 (37) 는 캠 (31) 에 형성된 개구 (38) 내에 삽입되어 있어, 로프 릴 (30) 과 캠 (31) 이 댐퍼 스프링 (34) 을 통해 서로 회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로프 릴 (30) 에 감겨져 있는 로프 (39) 를 끌어당겨 로프 릴 (30) 을 회전시키면, 댐퍼 스프링 (34) 을 통해 캠 (31) 이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캠 (31) 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 폴 (40: cam pawl) 과, 엔진의 크랭크축에 부착된 회전부재 (41) 에 설치된 래칫 (42) 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캠 (31) 의 회전이 회전부재 (41) 에 전달됨으로써, 회전부재 (41) 에 연결된 크랭크축이 회전된다. 엔진의 시동저항에 의해 캠 (31) 의 회전이 저지되면, 댐퍼 스프링 (34) 이 꼬여져 로프 릴 (30) 에 대한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댐퍼 스프링 (34) 에 로프 릴 (30) 의 회전력이 저장된다. 로프 릴 (30) 의 구동력이 엔진의 시동저항을 초과할때, 댐퍼 스프링 (34) 에 저장된 회전력이 방출되어, 캠 (31) 을 통해 회전부재 (41) 가 회전되어 엔진을 시동시킨다 (일본 특허출원 제2002-144695호 참조).
상기 종래의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는, 댐퍼 스프링 (34) 의 양단부 (35,37) 가 각각 로프 릴 (30) 과 캠 (31) 에 고정적으로 걸어맞춤되어 있어, 댐퍼 스프링 (34) 의 양단부 (35,37) 가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퍼 스프링 (34) 의 감김부의 중앙부가 로프 릴 (30) 과 캠 (31) 의 보스 (43,44) 의 외주면에 감겨 조여지더라도, 감김부의 양단부는 보스 (43,44) 의 외주면으로부터 뜬 상태로 변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댐퍼 스프링 (34) 의 양단부의 굴곡부에 과대한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댐퍼 스프링 (34) 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댐퍼 스프링 (34) 에 대한 부하가 설정치 미만이 되도록 하기 위해, 로프 릴 (30) 과 캠 (31) 사이에 스토퍼 수단을 설치하여, 로프 릴 (30) 과 캠 (31) 간의 상대회전각도를 규제시키도록한 종래기술도 이미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스토퍼 수단이 작동한 때에, 충돌감이 있어 리코일 로프 (39) 를 끌어 당기는 작업자의 손에 충격이 전달되어, 시동 조작시의 감 (feeling) 이 좋지 않은 결점이 있다. 또한, 캠 (31) 은 케이싱 (45) 에 형성된 축 (46) 에 의해 중심부가 회전이 자유롭게 간단히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캠 폴 (40) 에래칫 (42) 이 1개만 걸어맞춤하고 있는 상태에서 댐퍼 스프링 (34) 의 스프링력이 캠 (31) 에 작용하면, 캠 (31) 에 편심하중 또는 강하게 기울어지는 힘이 작용하여 캠 (31) 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댐퍼 스프링 (34) 으로서는, 완충 성능 및 축력 (force-storing) 성능이 큰 것이 요망된다. 이들 성능은 댐퍼 스프링 (34) 의 와이어 직경 및 권회 직경을 증가시킴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으나, 댐퍼 스프링 (34) 의 와이어 직경 및 권회 직경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댐퍼 스프링 (34) 을 수용하고 있는 환형 오목부 (32,33) 의 외경방향의 크기를 크게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도 9a 및 9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31) 에 형성되어 댐퍼 스프링 (34) 을 수용하는 환형 오목부 (33) 의 외주벽 (47) 의 외면으로부터 캠 폴 (40) 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래칫 (42), 회전부재 (41) 에 형성된 냉각용 팬, 케이싱 (45) 등의 부품과의 관계에서, 캠 (31) 의 외형의 크기가 제한된다. 따라서, 환형 오목부 (33) 의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댐퍼 스프링 (34) 의 와이어 직경 및 권회 직경을 크게 설정하는 것은, 리코일 스타터의 전체 크기를 대형으로 하지 않고서는 실현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댐퍼 스프링의 과대한 변위를 저지하여 댐퍼 스프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리코일 스타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 크기를 대형으로 하는 일이 없이, 완충성능및 축력성능이 큰 댐퍼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는 리코일 스타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캠의 편심하중을 저지하여 캠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리코일 스타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과 동일한 리코일 스타터의 회전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1 과 동일한 리코일 스타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실시형태에 사용된 로프 릴, 댐퍼 스프링, 및 캠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댐퍼 스프링이 수용된 상태의 도 4 에 도시된 캠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6-6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댐퍼 스프링이 타이트하게 감겨진 상태의 도 3 과 동일한 리코일 스타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8 은 댐퍼 스프링에 과대한 응력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래의 리코일 스타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9a 는 도 8 의 리코일 스타터에 캠을 기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b 는 댐퍼 스프링이 수용된 상태의 캠의 종단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싱 4 : 로프 릴
5 : 릴 축 8 : 캠
9 : 회전부재 10 : 래칫 기구
11 : 캠 폴 (cam pawl) 12 : 환형 오목부
13 : 환형 오목부 14 : 댐퍼 스프링
15 : 걸어맞춤부 16 : 걸림부 (걸림 홈)
17 : 걸어맞춤부 18 : 걸림부 (걸림 구멍)
19 : 보스 20 : 보스
22 : 나사 23 : 플랜지부
24 : 환형 가이드 25 : 환형 오목부
26 : 외주벽 27 : 개구
28 : 바닥부 29 : 걸어맞춤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내측에 릴 축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릴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리코일 로프가 주위에 감겨진 로프 릴; 상기 리코일 로프를 감는 방향으로 상기 로프 릴을 회전적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파이어럴 스프링; 상기 로프 릴에 대면하도록 상기 릴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캠; 엔진의 크랭크축에 부착되며, 또한 상기 캠과 걸어맞춤ㆍ이탈하는 래칫 기구를 구비한 회전부재; 및 상기 로프 릴과 상기 캠에 형성된 보스의 외주에 코일 스프링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로프 릴과 상기 캠에 양단부가 각각 걸리는 댐퍼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로프 릴의 회전력을 상기 댐퍼 스프링의 탄력을 통하여 상기 캠에 전달하고, 상기 캠의 회전을 상기 래칫 기구를 통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 상기 댐퍼 스프링의 상기 양단부의 각각의 걸어맞춤부를, 각각 상기 로프 릴과 상기 캠의 걸림부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시켜, 엔진의 시동저항에 의해 상기 댐퍼 스프링이 탄성변형한 때에, 상기 댐퍼 스프링의 감김부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가 각각 상기 로프 릴과 상기 캠에 형성한 양 보스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감겨져 조여지도록한 리코일 스타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보스가 각각 상기 로프 릴과 상기 캠으로부터 연장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 보스의 각각의 단부면이, 상기 댐퍼 스프링의 상기 감김부의 실질적으로 중간에서 서로에 대해 맞닿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캠이 2지점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상기 2지점중 하나는 상기 릴 축의 단부면에 의해 형성한 중심 지지부이고, 상기 2지점중 다른 하나는 상기 캠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켜 일체로 형성한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상기 로프 릴의 측면과 걸어맞춤한 외주 지지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로프 릴과 상기 캠의 접합면에는, 상기 댐퍼 스프링을 안에 수용하는 각각의 환형 오목부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로프 릴과 상기 캠은 상기 댐퍼 스프링을 통해 함께 연결되며, 상기 캠은 상기 환형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외주벽을 포함하고, 이 외주벽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인접하는 개구간의 상기 외주벽의 각각의 부분이, 상기 래칫 기구와 걸어맞춤할 수 있는 캠 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환형 오목부를 형성하는 상기 캠의 상기 외주벽의 일측에는, 당해 외주벽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시켜 일체로 형성한 플랜지부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캠 폴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플랜지부의 내주 림과 상기 캠의 상기 환형 오목부의 바닥부에 접속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내측에 릴 축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릴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리코일 로프가 주위에 감겨진 로프 릴; 상기 리코일 로프를 감는 방향으로 상기 로프 릴을 회전적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파이어럴 스프링; 상기 로프 릴에 대면하도록 상기 릴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캠; 엔진의 크랭크축에 부착되며, 또한 상기 캠과 걸어맞춤ㆍ이탈하는 래칫 기구를 구비한 회전부재; 및 상기 로프 릴과 상기 캠 사이에 개재된 댐퍼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로프 릴의 회전력을 상기 댐퍼 스프링의 탄력을 통하여 상기 캠에 전달하고, 상기 캠의 회전을 상기 래칫 기구를 통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 상기 로프 릴과 상기 캠의 접합면에는, 상기 댐퍼 스프링을 안에 수용하는 각각의 환형 오목부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댐퍼 스프링의 양단부가 상기 로프 릴과 상기 캠에 각각 걸려, 상기 로프 릴과 상기 캠이 상기 댐퍼 스프링을 통해 함께 연결되며, 상기 캠은 상기 환형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외주벽을 포함하고, 이 외주벽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인접하는 개구간의 상기 외주벽의 각각의 부분이, 상기 래칫 기구와 걸어맞춤할 수 있는 캠 폴을 형성하도록한 리코일 스타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목적, 양상, 특징, 이점, 및 다른 것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히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 (1) 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는 리코일 로프 (2) 의 일단부에 결합된 핸들 (3) 을 끌어당김으로써, 케이싱 (1) 내에 수용되어 있는 로프 릴 (4) 을 회전구동시켜, 이 로프릴 (4) 에 의해 회전되는 캠 (8) 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 폴 (11) 과 걸어맞춤하는 래칫 기구 (10) 를 통하여,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되는 회전부재 (9) 를 회전시켜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케이싱 (1) 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리코일 로프 (2) 를 감고 있는 로프 릴 (4) 은, 케이싱 (1) 의 내측에 케이싱 (1) 과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릴 축 (5)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프 릴 (4) 에 감겨져 있는 리코일 로프 (2) 의 타단부는 로프 릴 (4) 에 고정되어 있다. 리코일 로프 (2) 의 일단부가 케이싱 (1) 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그 선단부에는 리코일 로프 (2) 를 수동으로 인장조작하기 위한 핸들 (3) 이 결합되어 있다. 핸들 (3) 을 인장조작하는 것에 의해 리코일 로프 (2) 의 권회부가 로프 릴 (4) 로부터 인출되어 로프 릴 (4) 이 릴 축 (5)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구동된다.
로프 릴 (4) 의 측면과 케이싱 (1) 의 내벽면간의 사이에는, 리코일 로프 (2) 의 인장에 의해 회전된 로프 릴 (4) 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인출된 리코일 로프 (2) 를 로프 릴 (4) 에 다시 감기 위한 리코일 스파이어럴 스프링 (6) 이 배치되어 있다. 리코일 스파이어럴 스프링 (6) 의 내주측의 일단부는 케이싱 (1) 에 고정되어 있고, 외주측의 타단부는 로프 릴 (4) 에 고정되어 있다. 리코일 로프 (2) 를 인장조작하여 로프 릴 (4) 이 회전되는 때에 상기 리코일 스파이어럴 스프링 (6) 에 회전력이 축력된다. 리코일 로프 (2) 를 해방함으로써, 리코일 스파이어럴 스프링 (6) 에 축력된 회전력에 의해 로프 릴 (4) 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리코일 로프 (2) 가 로프 릴 (4) 에 감긴다.
케이싱 (1) 에 형성된 릴 축 (5) 의 단부면에는, 로프 릴 (4) 의 회전을 엔진의 크랭크축에 전달하는 캠 (8) 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로프 릴 (4) 에 인접하여 나사 (22) 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캠 (8) 에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되는 회전부재 (9) 에 형성된 래칫 기구 (10) 와 걸어맞춤ㆍ이탈하는 캠 폴 (11) 이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캠 폴 (11) 중 하나가 회전부재 (9) 의 래칫 기구 (10) 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캠 (8) 의 회전을 회전부재 (9) 를 통하여 엔진의 크랭크축에 전달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래칫 기구 (10) 는 원심 클러치로서 구성되어 있어, 엔진이 시동된 후에는 회전부재 (9) 가 회전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래칫 기구 (10) 가 캠 폴 (11) 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그 결과, 엔진측과 캠 (8) 간의 회전 전달이 차단되어, 엔진측으로부터 리코일 스타터측으로의 회전 전달이 저지된다.
로프 릴 (4) 과 캠 (8) 의 상호 대향한 측면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환형 오목부 (12,13) 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환형 오목부 (12,13) 내에는 로프 릴 (4) 과 캠 (8) 을 회전연결시키는 댐퍼 스프링 (14) 이 수용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퍼 스프링 (14) 은 토션 코일 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댐퍼 스프링 (14) 의 일단부에는, 댐퍼 스프링 (14) 의 일단부를 수평방향으로 U자형으로 구부린 걸어맞춤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 (15) 는 로프 릴 (4) 의 환형 오목부 (12) 의 외측에 그 환형 오목부 (12) 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걸림 홈 (16) 중 하나에 수용되며, 그 결과, 로프 릴 (4) 과댐퍼 스프링 (14) 의 일단부가 함께 회전연결된다. 또한, 댐퍼 스프링 (14) 의 타단부에는, 축방향을 향하여 굴곡된 또 다른 걸어맞춤부 (1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 (17) 가 캠 (8) 의 환형 오목부 (13) 의 바닥부 (28) 로부터 캠 (8) 의 상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는 걸림 구멍 (18) 내에 삽입됨으로써, 댐퍼 스프링 (14) 의 타단부가 캠 (8) 과 회전연결된다.
로프 릴 (4) 과 캠 (8) 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 오목부 (12,13) 의 내측의 각 원주면이 각각 보스 (19,20) 를 형성하고 있고, 이들 보스 (19,20) 의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환형 오목부 (12,13) 내에 수용되어 있는 댐퍼 스프링 (14) 의 감김부의 실질적으로 중앙에서 양 보스 (19,20) 의 단부면이 서로 맞닿도록 댐퍼 스프링 (14) 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엔진의 시동저항에 의해 댐퍼 스프링 (14) 에 소정의 회전력이 축력된 때에, 댐퍼 스프링 (14) 의 감김부가 로프 릴 (4) 과 캠 (8) 의 각 보스 (19,20) 의 외주면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감겨 조여지며, 그 결과, 댐퍼 스프링 (14) 의 더 이상의 탄성변형이 저지되어 최대응력이 제한된다.
도 3 및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릴 (4) 에 의해 걸려 있는 댐퍼 스프링 (14) 의 상기 걸어맞춤부 (15) 는 로프 릴 (4) 의 환형 오목부 (12) 의 보스 (19) 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걸림 홈 (16) 내에 수용되어 걸려 있고, 또한 캠 (8) 의 환형 오목부 (13) 의 바닥부 (28) 에 형성된 걸림 구멍 (18) 은 캠 (8) 의 반경방향으로 신장한 기다란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 구멍 (18) 내에 댐퍼 스프링 (14) 의 타단부의 걸어맞춤부 (17) 가 헐겁게 끼워져,이 걸어맞춤부 (17) 가 캠 (8) 의 보스 (20) 의 외주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댐퍼 스프링 (14) 의 감김부가 보스 (19,20) 에 감겨 조여지는 때에,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퍼 스프링 (14) 의 감김부의 전체 길이가 균등하게 보스 (19,20) 에 감겨 조여진다. 이러한 작용은 공지의 스프링 클러치의 기구의 작용과 동일하다. 댐퍼 스프링 (14) 의 감김부가 로프 릴 (4) 및 캠 (8) 의 보스 (19,20) 에 대하여 감겨져 조여짐으로써 스프링 클러치로서 작용하여 양 보스 (19,20) 를 회전연결한다.
도 4 내지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8) 에는 환형 오목부 (13) 를 형성하고 있는 외주벽 (26) 의 일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한 플랜지부 (23)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캠 (8) 의 외주벽 (26) 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소에서 제거되어 환형 오목부 (13) 의 내측으로부터 외주벽 (26) 의 외측으로 관통한 개구 (27) 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개구 (27) 간의 제거되지 않은 외주벽 (26) 은 원주방향으로 분산된 각각의 캠 폴 (11) 을 형성한다. 캠 폴 (11) 을 형성하고 있는 외주벽 (26) 은 플랜지부 (23) 의 내주 림과 환형 오목부 (13) 의 바닥부 (28) 에 의해 양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캠 폴 (11) 의 내주면에 의해 댐퍼 스프링 (14) 을 수용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원주방향을 향한 캠 폴 (11) 의 걸어맞춤면 (29) 이 래칫 기구 (10) 와 걸어맞춤하여캠 (8) 의 회전을 래칫 기구 (10) 를 통하여 회전부재 (9) 에 전달시킨다.
또한, 도 5 및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8) 의 각각의 캠 폴 (11) 의 원주방향 양단부에는, 래칫 기구 (10) 와 걸어맞춤할 수 있는 걸어맞춤면 (29) 이 원주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 릴 (4) 의 환형 오목부 (12) 에 형성되어, 이 환형 오목부 (12) 에 수용되는 댐퍼 스프링 (14) 의 걸어맞춤부 (15) 를 수용하는 걸림 홈 (16) 이 원주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감는 방향이 다른 댐퍼 스프링을 상기 걸림 홈 (16) 내에 수용함으로써, 리코일 스타터가 소정의 회전방향으로의 엔진주행 및 이와는 반대의 회전방향으로의 엔진주행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8) 의 플랜지부 (23) 의 외주측 측면에는, 이 플랜지부 (23) 와 일체로 형성된 환형 가이드 (24) 가 로프 릴 (4) 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이 환형 가이드 (24) 는 로프 릴 (4) 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 오목부 (25) 내에 수용되어 캠 (8) 과 로프 릴 (4)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안내한다. 캠 (8) 과 로프 릴 (4) 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케이싱 (1) 에 끼운다. 먼저, 케이싱 (1) 에 형성되어 있는 릴 축 (5) 에 로프 릴 (4) 을 장착하고, 댐퍼 스프링 (14) 의 일단부의 걸어맞춤부 (15) 를 로프 릴 (4) 의 걸림 홈 (16) 내에 끼워서 댐퍼 스프링 (14) 을 로프 릴 (4) 의 보스 (19) 에 장착하고, 댐퍼 스프링 (14) 의 타단부의 걸어맞춤부 (17) 가 캠 (8) 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구멍 (18) 에 삽입되도록 캠 (8) 을 로프 릴 (4) 의 측면에 위치시켜, 릴 축 (5) 의 선단부에 나사 (22) 를 체결하여, 캠 (8) 과 로프 릴 (4) 을 케이싱 (1) 에 끼운다.
캠 (8) 은 나사 (22) 의 기부측에 의해서 그 중심부가 릴 축 (5) 에 대해서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플랜지부 (23) 의 외주측에서 로프 릴 (4) 의 환형 오목부 (25) 에 의해 환형 가이드 (24) 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캠 (8) 에 작용하는 편심하중에 의한 캠 (8) 의 경사가 저지되어, 편심하중에 의한 캠 (8) 의 파손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형 가이드 (24) 를 캠 (8) 의 플랜지부 (23) 에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환형 가이드를 로프 릴 (4) 로부터 캠 (8) 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그리고 캠 (8) 의 플랜지부 (23) 의 외주 가장자리를 로프 릴 (4) 의 환형 가이드의 내주면과 걸어맞춤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리코일 스타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의 시동조작 전에 있어서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부재 (9) 에 형성된 래칫 기구 (10) 는, 스프링 (미도시) 의 작용으로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어, 캠 (8) 에 형성된 캠 폴 (11) 과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리코일 로프 (2) 를 인장하면, 로프 릴 (4) 이 회전되고, 이 로프 릴 (4) 과 함께 캠 (8) 을 댐퍼 스프링 (14) 을 통해 회전시킨다. 캠 (8) 의 캠 폴 (11) 이 래칫 기구 (10) 와 접촉하여 이 래칫 기구 (10) 를 통해 회전부재 (9) 를 회전시켜, 회전부재 (9) 에 연결되어 있는 엔진의 크랭크축이 회전된다. 이 때, 엔진의 시동저항에 의해 회전부하가 증대하여 캠 (8) 의 회전부하가 커지게 되지만, 댐퍼 스프링 (14) 이 꼬여져 이 부하를 흡수하기 때문에 리코일 로프 (2) 에는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해지지는 않는다.
이 때, 댐퍼 스프링 (14) 이 꼬여짐으로써 로프 릴 (4) 의 회전력이 댐퍼 스프링 (14) 에 축력된다. 댐퍼 스프링 (14) 이 꼬여지면 그 감김부의 직경이 줄어들고, 로프 릴 (4) 과 캠 (8) 의 보스 (19,20) 에 감김부가 감기고 조여져, 댐퍼 스프링 (14) 에는 그 이상의 응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스프링 클러치와 같은 댐퍼 스프링 (14) 의 작용에 의해 로프 릴 (4) 과 캠 (8) 이 일체로 연결되어, 로프 릴 (4) 의 회전이 직접적으로 캠 (8) 에 전달된다. 이 때, 댐퍼 스프링 (14) 의 양단부의 걸어맞춤부 (15,17) 가 각각 내측으로 향하여 이동하므로, 댐퍼 스프링 (14) 의 감김부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가 보스 (19,20) 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그 결과, 댐퍼 스프링 (14) 의 단부에 과대한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 캠 (8) 에는, 래칫 기구 (10) 와 걸어맞춤하고 있는 캠 폴 (11) 과, 댐퍼 스프링 (14) 을 지지하고 있는 걸림 구멍 (18) 사이에 편심하중이 작용하지만, 캠 (8) 은 그 중심부가 나사 (22) 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음과 동시에, 플랜지부 (23) 의 외주측의 환형 가이드 (24) 가 로프 릴 (4) 의 환형 오목부 (25) 의 주면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편심하중에 의한 캠 (8) 의 경사 및 변형이 저지된다.
또한, 로프 릴 (4) 이 회전되어 회전력이 엔진의 시동저항을 초과한 때에, 리코일 로프 (2) 의 인장에 의한 로프 릴 (4) 의 회전력과 댐퍼 스프링 (14) 에 축력된 회전력이 캠 (8) 에 방출되어, 래칫 기구 (10) 를 통해 회전부재 (9) 에 전달되기 때문에, 엔진의 크랭크축이 갑자기 회전되어 엔진이 시동된다. 엔진이 시동되어 크랭크축이 회전하면, 래칫 기구 (10) 가 원심력의 작용으로 외측으로 회전이동하여 캠 (8) 의 캠 폴 (11) 과는 접촉하지 않게 되어, 엔진의 회전이 캠 폴 (11) 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엔진이 시동된 후에 리코일 로프 (2) 를 느슨하게 하면, 리코일 스파이어럴 스프링 (6) 에 축력된 회전력에 의해 로프 릴 (4) 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리코일 로프 (2) 가 로프 릴 (4) 에 감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측에 과대한 부하가 발생한 때에는, 댐퍼 스프링이 로프 릴과 캠에 형성한 보스의 외주면에 감겨져 조여짐으로써, 과대 부하에 의해 댐퍼 스프링이 실질적으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과대 부하에 의한 댐퍼 스프링의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 스프링의 감김부가 점차로 보스에 감겨져 조여짐으로써 로프 릴과 캠을 일체로 회전연결시키므로, 종래의 스토퍼와 같은 충돌감이 없고, 리코일 로프를 인장하여 엔진의 스타트 조작을 행하는 때의 감 (feeling) 이 개선된다.
또한, 댐퍼 스프링의 양단부의 걸어맞춤부가 보스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댐퍼 스프링의 감김부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가 보스에 감겨져, 로프 릴과 캠을 스프링 클러치의 작용에 의해 일체로 회전연결하므로, 댐퍼 스프링의 양단부의 걸어맞춤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낮게 유지할 수 있고, 댐퍼 스프링의 내구성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로프 릴과 캠에 형성한 보스의 단부면이 댐퍼 스프링의 감김부의 실질적으로 중간에서 맞닿고 있으므로, 댐퍼 스프링의감김부가 양쪽 보스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감겨지고 조여져, 스프링 클러치의 작용에 의해 로프 릴과 캠이 회전연결되므로, 댐퍼 스프링에 과대한 응력을 발생하는 일이 없이, 회전력을 로프 릴로부터 캠에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캠을, 나사와 플랜지부에 의해서, 중심부와 외주측의 2지점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으므로, 편심하중에 의한 캠의 경사 및 변위가 발생하기 어렵고, 2개의 래칫 기구중 1개만이 캠 폴에 걸어맞춤한 경우 또는 래칫 기구를 1개만 설치한 경우에서도, 강한 편심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캠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어, 캠이 파손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캠에 형성되어 댐퍼 스프링을 수용하는 환형 오목부의 외주벽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개구를 형성하고, 제거되지 않은 잔여의 외주벽에 의해 캠 폴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캠의 외주벽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캠 폴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환형 오목부의 외주벽을 외측으로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며, 캠의 외형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서 환형 오목부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어, 와이어 직경과 권회 직경을 크게 설정한 댐퍼 스프링이 그 환형 오목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리코일 스타터의 외형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서 완충 능력 및 축력 (force-storing) 능력이 큰 댐퍼 스프링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리코일 스타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것과 동일한 크기의 댐퍼 스프링을 사용한 경우에는, 캠의 외형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고, 캠의 외측에 배치되는 플라이휠 마그넷 또는 구동 풀리 등의 회전부재, 및 이들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보다 소형으로 설계할 수있어, 소형 경량의 리코일 스타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환형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캠의 외주벽의 일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한 플랜지부를 그 외주벽과 일체로 형성하고, 캠 폴의 양단부를 각각 환형 오목부의 바닥부와 플랜지부의 내주 림에 접속하여 캠 폴의 양단부를 지지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캠 폴이 래칫 기구와 걸어맞춤하는 때의 캠 폴의 변형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 형태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여기에 기재한 것과는 다르게 다양하게 변경되거나 수정될 수 있으며, 첨부의 특허청구범위는 종래기술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변형예를 포함한다.

Claims (11)

  1. 내측에 릴 축 (5) 이 형성된 케이싱 (1);
    상기 릴 축 (5)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리코일 로프 (2) 가 주위에 감겨진 로프 릴 (4);
    상기 리코일 로프 (2) 를 감는 방향으로 상기 로프 릴 (4) 을 회전적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파이어럴 스프링 (6);
    상기 로프 릴 (4) 에 대면하도록 상기 릴 축 (5)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캠 (8);
    엔진의 크랭크축에 부착되며, 또한 상기 캠 (8) 과 걸어맞춤ㆍ이탈하는 래칫 기구 (10) 를 구비한 회전부재 (9); 및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에 형성된 보스 (19,20) 의 외주에 코일 스프링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에 양단부가 각각 걸리는 댐퍼 스프링 (14); 을 포함하고,
    상기 로프 릴 (4) 의 회전력을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의 탄력을 통하여 상기 캠 (8) 에 전달하고, 상기 캠 (8) 의 회전을 상기 래칫 기구 (10) 를 통하여 상기 회전부재 (9) 에 전달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의 상기 양단부의 각각의 걸어맞춤부 (15,17) 를, 각각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의 걸림부 (16,18) 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시켜, 엔진의 시동저항에 의해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이 탄성변형한 때에,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의 감김부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가 각각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에 형성한 양 보스 (19,20) 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감겨져 조여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 (19,20) 는 각각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으로부터 연장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 보스의 각각의 단부면은,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의 상기 감김부의 실질적으로 중간에서 서로에 대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 (8) 은 2지점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2지점중 하나는 상기 릴 축 (5) 의 단부면에 의해 형성한 중심 지지부이고, 상기 2지점중 다른 하나는 상기 캠 (8) 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켜 일체로 형성한 플랜지부 (23) 의 외주면을 상기 로프 릴 (4) 의 측면과 걸어맞춤한 외주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의 접합면에는,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을 안에 수용하는 각각의 환형 오목부 (12,13) 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은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을 통해 함께 연결되며, 상기 캠 (8) 은 상기 환형 오목부 (13) 를 형성하고 있는 외주벽 (26) 을 포함하고, 이 외주벽 (26) 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개구 (27) 가 형성되며, 인접하는 개구 (27) 간의 상기 외주벽 (26) 의 각각의 부분이, 상기 래칫 기구 (10) 와 걸어맞춤할 수 있는 캠 폴 (11)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의 접합면에는,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을 안에 수용하는 각각의 환형 오목부 (12,13) 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은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을 통해 함께 연결되며, 상기 캠 (8) 은 상기 환형 오목부 (13) 를 형성하고 있는 외주벽 (26) 을 포함하고, 이 외주벽 (26) 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개구 (27) 가 형성되며, 인접하는 개구 (27) 간의 상기 외주벽 (26) 의 각각의 부분이, 상기 래칫 기구 (10) 와 걸어맞춤할 수 있는 캠 폴 (11)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오목부 (13) 를 형성하는 상기 캠 (8) 의 상기 외주벽 (26) 의 일측에는, 당해 외주벽 (26) 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시켜 일체로 형성한 플랜지부 (23) 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캠 폴 (11) 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플랜지부 (23) 의 내주 림과 상기 캠 (8) 의 상기 환형 오목부 (13) 의 바닥부 (28) 에 접속되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오목부 (13) 를 형성하는 상기 캠 (8) 의 상기 외주벽 (26) 의 일측에는, 당해 외주벽 (26) 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시켜 일체로 형성한 플랜지부 (23) 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캠 폴 (11) 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플랜지부 (23) 의 내주 림과 상기 캠 (8) 의 상기 환형 오목부 (13) 의 바닥부 (28) 에 접속되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8. 내측에 릴 축 (5) 이 형성된 케이싱 (1);
    상기 릴 축 (5)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리코일 로프 (2) 가 주위에 감겨진 로프 릴 (4);
    상기 리코일 로프 (2) 를 감는 방향으로 상기 로프 릴 (4) 을 회전적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파이어럴 스프링 (6);
    상기 로프 릴 (4) 에 대면하도록 상기 릴 축 (5)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캠 (8);
    엔진의 크랭크축에 부착되며, 또한 상기 캠 (8) 과 걸어맞춤ㆍ이탈하는 래칫 기구 (10) 를 구비한 회전부재 (9); 및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사이에 개재된 댐퍼 스프링 (14); 을 포함하고,
    상기 로프 릴 (4) 의 회전력을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의 탄력을 통하여 상기 캠 (8) 에 전달하고, 상기 캠 (8) 의 회전을 상기 래칫 기구 (10) 를 통하여 상기 회전부재 (9) 에 전달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의 접합면에는,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을 안에 수용하는 각각의 환형 오목부 (12,13) 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의 양단부가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에 각각 걸려, 상기 로프 릴 (4) 과 상기 캠 (8) 이 상기 댐퍼 스프링 (14) 을 통해 함께 연결되며,
    상기 캠 (8) 은 상기 환형 오목부 (13) 를 형성하고 있는 외주벽 (26) 을 포함하고, 이 외주벽 (26) 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개구 (27) 가 형성되며, 인접하는 개구 (27) 간의 상기 외주벽 (26) 의 각각의 부분이, 상기 래칫 기구 (10) 와 걸어맞춤할 수 있는 캠 폴 (11)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오목부 (13) 를 형성하는 상기 캠 (8) 의 상기 외주벽 (26) 의 일측에는, 당해 외주벽 (26) 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시켜 일체로 형성한 플랜지부 (23) 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캠 폴 (11) 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플랜지부 (23) 의 내주 림과 상기 캠 (8) 의 상기 환형 오목부 (13) 의 바닥부 (28) 에 접속되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캠 (8) 은 2지점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2지점중 하나는 상기 릴 축 (5) 의 단부면에 의해 형성한 중심 지지부이고, 상기 2지점중 다른 하나는 상기 캠 (8) 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켜 일체로 형성한플랜지부 (23) 의 외주면을 상기 로프 릴 (4) 의 측면과 걸어맞춤한 외주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캠 (8) 은 2지점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2지점중 하나는 상기 릴 축 (5) 의 단부면에 의해 형성한 중심 지지부이고, 상기 2지점중 다른 하나는 플랜지부 (23) 의 외주면을 상기 로프 릴 (4) 의 측면과 걸어맞춤한 외주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KR1020030059790A 2002-08-29 2003-08-28 리코일 스타터 KR100981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50245A JP3914846B2 (ja) 2002-08-29 2002-08-29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2250246A JP3812896B2 (ja) 2002-08-29 2002-08-29 リコイルスタータ
JPJP-P-2002-00250245 2002-08-29
JPJP-P-2002-00250246 2002-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983A true KR20040019983A (ko) 2004-03-06
KR100981903B1 KR100981903B1 (ko) 2010-09-13

Family

ID=3149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790A KR100981903B1 (ko) 2002-08-29 2003-08-28 리코일 스타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81482B2 (ko)
EP (1) EP1394404B1 (ko)
KR (1) KR100981903B1 (ko)
CN (1) CN1329655C (ko)
TW (1) TWI3015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0205A (ko) * 2015-08-24 2018-03-21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리코일 스타터 및 엔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9249A1 (en) * 2003-01-29 2004-08-05 Olaf Kruse Star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118682B2 (en) * 2003-03-28 2006-10-10 Sioptical, Inc. Low loss SOI/CMOS compatible silicon waveguid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4360494A (ja) * 2003-06-02 2004-12-24 Starting Ind Co Ltd リコイルスタータ
US7191752B2 (en) * 2004-05-14 2007-03-20 Husqvarna Outdoor Products Inc. Energy storing starter assembly
JP4064961B2 (ja) * 2004-10-06 2008-03-19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US7578833B2 (en) 2004-12-13 2009-08-25 Dr. Robert S. Bray, Jr. Bone fastener assembly for bone retention apparatus
JP4598666B2 (ja) * 2005-12-14 2010-12-15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US7162988B1 (en) 2006-07-19 2007-01-16 Hsin-Chih Chung Lee Power-saving activation device
JP4584220B2 (ja) * 2006-09-22 2010-11-17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DE102007008327B4 (de) * 2007-02-16 2016-06-23 Andreas Stihl Ag & Co. Kg Starteinricht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US7637456B2 (en) * 2007-06-19 2009-12-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ower starter for micro air vehicles
CN100560973C (zh) * 2007-11-16 2009-11-18 无锡开普动力有限公司 一种发动机的起动器固定机构
DE102008007291B4 (de) 2008-02-02 2016-12-22 Andreas Stihl Ag & Co. Kg Starteinricht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US7574988B1 (en) 2008-03-17 2009-08-18 Briggs And Stratton Corporation Engine starter assembly
US20090255502A1 (en) * 2008-04-09 2009-10-15 Cook Trent A Starter System for Engine
EP2299104B1 (de) * 2009-08-25 2014-11-12 Makita Corporation Startvorrichtung für Brennkraftmotor
DE102012002227A1 (de) * 2011-02-07 2012-08-09 Andreas Stihl Ag & Co. Kg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und Starteinrichtung für ein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US8656883B2 (en) 2011-07-20 2014-02-25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Recoil starter assembly for an engine
CN102588181A (zh) * 2012-03-13 2012-07-18 山东华盛农业药械有限责任公司 反冲起动器
JP6029473B2 (ja) * 2013-01-07 2016-11-24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WO2014137261A1 (en) * 2013-03-08 2014-09-12 Husqvarna Ab A cord drum for a starter apparatus
DE102014118492B4 (de) * 2014-12-12 2020-05-14 Tenneco Gmbh Abgasklappenantrieb
CN105240181A (zh) * 2015-11-20 2016-01-13 浙江天泰机械有限公司 一种启动器及使用方法
CN105736207A (zh) * 2016-03-18 2016-07-06 山东华盛农业药械有限责任公司 易起动器
JP7391357B2 (ja) * 2019-09-19 2023-12-05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CN117364616B (zh) * 2023-12-08 2024-03-12 山东大学 一种锚索式耗能装置及桥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64Y2 (ja) * 1987-10-19 1994-05-02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US4841929A (en) * 1987-12-17 1989-06-2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Portable rotary power tool
DE4135405C2 (de) 1991-10-26 2000-08-17 Stihl Maschf Andreas Startvorrichtung für Brennkraftmotoren
US6508220B1 (en) * 1999-08-25 2003-01-21 Kioritz Corporation Starter
JP3905689B2 (ja) * 2000-05-24 2007-04-18 株式会社共立 リコイルスタータ装置
JP4301480B2 (ja) * 2000-11-06 2009-07-22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KR100962156B1 (ko) * 2002-05-20 2010-06-10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리코일 시동기
JP4009137B2 (ja) 2002-05-20 2007-11-14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0205A (ko) * 2015-08-24 2018-03-21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리코일 스타터 및 엔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4404A3 (en) 2007-04-04
EP1394404A2 (en) 2004-03-03
US6981482B2 (en) 2006-01-03
CN1492140A (zh) 2004-04-28
CN1329655C (zh) 2007-08-01
US20040123827A1 (en) 2004-07-01
KR100981903B1 (ko) 2010-09-13
TWI301525B (en) 2008-10-01
TW200404953A (en) 2004-04-01
EP1394404B1 (en)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903B1 (ko) 리코일 스타터
KR101217391B1 (ko) 리코일 스타터
KR101094111B1 (ko) 리코일 스타터
US6971359B2 (en) Recoil starter
US7093577B2 (en) Recoil starter
KR101057612B1 (ko) 리코일 스타터
TWI275708B (en) Recoil starter
EP1647706B1 (en) Recoil starter
TWI299071B (en) Energy storing recoil starter and an assembly comprising said starter and an engine
US6694941B2 (en) Starter
JP3812896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3914846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4047067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4009137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3343402A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4308444A (ja) スタ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