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985A - 체지방량 조정제 - Google Patents

체지방량 조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985A
KR20040016985A KR10-2004-7000537A KR20047000537A KR20040016985A KR 20040016985 A KR20040016985 A KR 20040016985A KR 20047000537 A KR20047000537 A KR 20047000537A KR 20040016985 A KR20040016985 A KR 20040016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at
mass
fatty acid
fatty acids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0638B1 (ko
Inventor
다케우치히로유키
후나바시쥰
가사이미치오
나카무라마사히로
츠지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닛신 오일리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오일리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오일리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6Fatty acid esters
    • A21D2/165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23D7/005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7/0056Sprea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5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사 제한에 관계없이, 부작용의 염려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체지방량 조정제로,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 지방산의 90질량% 이상이 탄소수 8 및 10인 포화 지방산이고, 탄소수 8 및 10인 포화 지방산의 질량 비율이 60/40∼85/15이고, 아울러, 트리글리세리드의 2-위치에 결합한 전체 지방산중의 탄소수 8인 포화 지방산 비율이 60∼85질량%인 체지방량 조정제, 및 상기 체지방량 조정제를 함유하는 체지방량 조정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지방량 조정제{BODY FAT LEVEL CONTROLLERS}
과체중이나 체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비만은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대사이상이나 고혈압, 허혈성 심질환 등 순환기 질환을 비롯하여, 많은 질환을 수반하기 쉽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일본 후생성이 행하고 있는 국민 영양 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성인 7인 중 1인은 비만자라는 것에서 보듯이, 과체중이나 비만은 유럽이나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당면한 문제이다.
반대로, 체지방은 너무 적어도,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고혈압증이나 당뇨병 등은 비만도가 높더라도 발증하는 빈도는 높아지는데, 비만도가 낮아도, 즉 체지방량이 너무 적어도, 발증률이 높아진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비만증: 진단, 치료, 지도의 안내서, 일본 비만학회 비만증 진단의 안내서 편집 위원회, 11∼12페이지, 의치약 출판, 1993년).
이와 같은 현 상황에서, BMI(body mass index(체격 지수))를 지표로 한 경우, BMI 22가 가장 이상적이고, 적정 체중 ㎏는 (신장m)×(신장m)×22로 되어있다(상기 문헌, 17∼18페이지).
그런데, 비만이나 과체중은 유전적 또는 병적인 것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섭취 칼로리의 과잉에 의해 유발된다(상기 문헌, 1∼3페이지). 이 때문에, 종래의 슬리밍(slimming) 방법의 대부분은 섭취 칼로리를 한정하는 식사 제한에 따른 것인데, 이것에는 정신적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실행하기 어렵고, 또한 이것이 과도하게 되면 영양 장해를 일으키거나, 필요이상으로 체지방량을 감소시킬지도 모른다. 게다가, 경우에 따라서는, 거식증과 같은 병적 증상을 나타낼 위험성도 있다. 또한, 약제 투여에 의한 비만 방지도 있는데, 효능과 함께 부작용을 고려해야만 하고, 비만의 예방을 위해 개인 레벨에 있어서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예를 들면 저칼로리 유지(지방 대체품)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중에는 안전성, 물성, 조리 적성, 풍미의 점에서 보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없는 상황이다. 예를 들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는 소화관에서 흡수되지 않고 대소변 중에 배설되기 때문에, 저칼로리유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미국 특허 제3600186호 명세서). 미국내에 있어서는, 염미 스낵 과자를 대상으로 사용이 허가되고,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한 포테토칩이 이미 시판되고 있으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한 상품에는, "복부 경련이나 설사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저해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에너지 밀도는 지방의 절반 이하이다. 그래서, 단백질이나 탄수화물에 지방과 같은 물성이나풍미가 나오도록 가공함으로써, 저칼로리의 지방 대체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영양학 리뷰, 제4권, 제4호, 23∼33페이지, 1996년). 이들 지방 대체품을 이용함으로써, 저칼로리화한 아이스크림, 디저트 등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 지방 대체품은 풍미적으로 떨어지고, 열에 대한 내성이 없고 가열 조리에 적합하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다. 또한, 이들 자신이 적정한 체지방량을 조절한다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중쇄(medium-chain) 트리글리세리드는 산화 안정성이 높고 응고점이나 점토가 낮은 점, 무색 투명에 가깝고 용해성이 높은 점에서, 식품용 유용성 향료·색소의 용제, 식품용 이형유·윤활유 또는 의약품 원료 등에 이용되어 왔다. 또한, 흡수성이 좋고, 당류에 비하여 에너지 비율이 높은 점에서, 효율이 좋은 에너지 보급을 목적으로 하여 경장(經腸) 영양제 원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동물 사료 중의 지방을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로 치환함으로써, 체지방의 축적은 감소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Andrea 등, Life Sciences, 제62권, 1203∼1215페이지, 1998년). 그러나, 중쇄 트리글리세리드가 체지방량 조정 기능을 갖는다는 것은 밝혀져 있지 않다. 게다가, 제중의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함유량이나,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지방산 잔기의 종류와 그 비율, 지방산 잔기의 결합 위치에 따른 체지방량 조정 기능의 발현에 대해서는, 전혀 불명확하였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 2000-309794호 공보에는 트리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지는 유지 조성물로서, 전체 지방산 중에 차지하는 중쇄 지방산의 비율이 5∼23질량%이고, 아울러 전체 트리글리세리드에 차지하는 중쇄 지방산 잔기를 분자내에 2개갖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율이 1∼20질량%인 유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체지방량 조정제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체지방량의 조정을 목적으로 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간의 체지방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적량의 범위로 감소할 수 있는 체지방량 조정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체지방량 조정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사 제한에 관계없이, 부작용의 염려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체지방량 조정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지방량 조정제를 함유하는 체지방량 조정용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에 이상적인 체지방량이 되는 체지방의 조정 기능이 존재한다는 발견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체지방량 조정제로서,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 지방산의 90질량% 이상이 탄소수 8 및 10인 포화 지방산이고, 탄소수 8 및 10인 포화 지방산의 질량 비율이 60/40∼85/15이고, 아울러 트리글리세리드의 2-위치에 결합한 전체 지방산 중의 탄소수 8인 포화 지방산 비율이 60∼8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량 조정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를 4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량 조정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BMI값이 23이상인 사람의 체지방 축적량을 조정하기 위한 상기 체지방량 조정제의 사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지방량 조정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량 조정용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는 중쇄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즉 트리아실글리세롤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중쇄 지방산으로서는, 탄소수가 6∼12인 지방산, 특히 포화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게다가 탄소수가 짝수인 포화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카프론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카프린산(capric acid), 라우린산(lauric acid)을 예시할 수 있으며, 탄소수가 8∼10인 포화 지방산인 카프릴산 및 카프린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 지방산의 90질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95∼100%)이 탄소수 8 및 10인 포화 지방산으로, 탄소수 8 및 10인 포화 지방산의 질량 비율이 60/40∼85/15(보다 바람직하게는 7:3∼8:2)이고, 아울러, 트리글리세리드의 2-위치에 결합한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탄소수 8인 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60∼85질량%(보다 바람직하게는 65∼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팜 커널 오일(palm kernel oil)이나 코코넛 오일(coconut oil) 유래의 중쇄 지방산과 글리세린을 원료로 하여, 에스테르 결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스테르 결합 반응의 조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무촉매 및 무용제에서, 가압하에서 반응하여 얻을 수 있다. 물론, 촉매나 용제를 사용한 반응에 의해서도, 이와 같은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혼합 비율을 연구한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와 중쇄 지방산을 혼합하고, 위치 특이성을 갖는 리파아제, 예를 들면 메이토 산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리파아제 PL" 을 사용함으로써, 구성 지방산의 90질량% 이상이 탄소수 8 및 10인 포화 지방산으로, 탄소수 8 및 10인 포화 지방산의 질량 비율이 60/40∼85/15이고, 아울러 트리글리세리드의 2-위치에 결합한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탄소수 8인 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60∼85질량%인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전자 재조합 식물의 유량(油糧) 종자로부터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자체를 얻거나, 또는 유전자 재조합 식물의 유량 종자로부터 얻어진 중쇄 지방산을 원료로 하여,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체지방량 조정이란, 체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경우에는 체지방량을 감소시키고, 체지방량이 적정한 경우에는 체지방량에 영향을 주지 않고, 체지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체지방량을 증가시킨다고 하는, 체지방량의 조정 기능을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체지방량 조정제는 상기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를 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100질량%가 바람직하고, 게다가 40∼99.95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를 4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량 조정제를 제공한다. 이 체지방량 조정제에서는, 40∼99.95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8∼99.95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품인 체지방량 조정제는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이외의 성분을 함유할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의 식용유, 예를 들면 대두유, 채종유, 옥수수유, 참깨유, 참깨 샐러드유, 차조기유, 아마인유, 땅콩기름, 홍화유, 고올레인산 홍화유, 해바라기유,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유, 면실유, 포도종자유, 마카다미아 넛 오일(macadamia terifolia oil), 헤이즐넛 오일, 호박씨유(pumpkin seed oil), 호두유(walnut oil), 동백유, 차잎유, 에고마 오일, 보라고 오일(borage oil), 올리브 오일, 미당유, 맥아유, 팜 오일, 팜 커널 오일, 야자유, 코코넛 오일, 우지, 라드, 계지, 유지, 어유, 바다표범 오일, 조류유, 품종 개량에 의해 저포화화된 이들의 유지 및 이들의 수소 첨가 유지, 분별 유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비타민 E나 식물 스테롤을 비롯하여,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 지방산 에스테르, 리그난, 코엔자임 Q, 인지질, 오리자놀(oryzanol), 디글리세린 등도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중, 동식물유, 비타민 E 및 식물 스테롤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식물유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전체의 6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50질량%이다. 또한, 비타민 E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전체의 0.0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질량%이다. 또한, 식물 스테롤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전체의 0.5∼6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질량%이다.
본 발명의 체지방량 조정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이나 정제 등의 형태여도 좋고, 또한, 식품, 가공식품, 음료, 조미료, 과자 등에 첨가하여도 좋으며, 예를 들어, 젤라틴 캡슐, 식용유, 드레싱, 마가린, 조제 마가린, 팻 스프레드(fat spread), 크림, 아이스크림, 마요네즈, 빵, 케이크, 도너츠, 머핀, 핫케이크, 기름에 튀긴 식품, 스넥 과자, 유동식 등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효성이 높고, 안전하며, 또한 실시가 용이한 체지방량 조정제 및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지방량 조정제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인간의 체지방량을 BMI(체격 지수)로 보았을 때, 21.5∼22.5 정도, 특히 약 22로 조정할 수 있다. BMI는 의학적으로 비만 판정에 이용되는 수치로, "비만증: 진단, 치료, 지도의 안내서" (일본 비만 학회 비만증 진단의 안내서 편집 위원회 편, 의치약 출판, 1993년)의 14∼24페이지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체지방량의 측정에는 체밀도법(수중법, 공기 치환법), 체내 K40측정법, 임피던스법, 골밀도 측정법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측정에 시간이나 설비를 요한다는 점에서, 체중과 신장의 측정값을 이용하는 BMI가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다. BMI는 체중 ㎏/(신장 m)/(신장 m)으로부터 구하는 수치로, 수치가 낮을수록 "마름(lean)" 즉 체지방량이 적다는 것을 나타내고, 수치가 많을수록 체지방량이 많다는 것이다. BMI가 22인 경우가 가장 이상적이다.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닛신 오일 밀스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상품명: ODO) 500g에, 닛신 오일 밀스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채종유 500g을 혼합하여, 체지방량 조정제 No.1를 얻었다. 또한, 닛신 오일 밀스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상품명: ODO) 900g에, 유키지루시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라드를 100g 혼합하여 체지방량 조정제 No.2를 얻었다. 이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 지방산의 99.9질량%가 탄소수 8 및 10인 포화 지방산이고, 탄소수 8 및 10인 포화지방산의 질량 비율은 7.4:2.6이었다. 또한, 트리글리세리드의 2-위치에 결합한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탄소수 8인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73질량%이었다. 또한, 트리글리세리드의 2-위치에 결합한 지방산의 비율은 Brockerhoff법(Brockerhoff, H., Journal of Lipid Research, Vol. 6, p10, 1965)에 의해 구하였다.
실시예 2
닛신 오일 밀스제의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상품명: ODO) 999g에, 닛신 오일 밀스제의 토코페롤(상품명: 토코페롤 85)을 1g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용해하여, 체지방량 조정제 No.3를 얻었다.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 지방산의 99.9질량%가 탄소수 8 및 10인 포화지방산이고, 탄소수 8 및 10인 포화지방산의 질량 비율은 7.4:2.6이었다. 또한, 트리글리세리드의 2-위치에 결합한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탄소수 8인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73질량%이었다.
실시예 3
980g의 체지방량 조정제 No.1에 쌀기름 유래의 식물 스테롤을 20g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혼합하여, 체지방량 조정제 No.4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체지방량 조정제 No.3를 이용하여 롤빵(체지방량 조정 식품 No.1)을 이하의 요령에 의해 조제하였다. 또한, 이 체지방량 조정 식품 1개당 체지방량 조정제 No.3를 5g 함유하고 있다.
배합비율(질량부)
강력분 90부, 박력분 10부, 설탕 12부, 식염 1.7부, 달걀 15부, 탈지분유 4부, 이스트 4부, 유화제 0.5부, 체지방량 조정제 24부 및 물 41부
제조방법
조제법: 스트레이트법, 반죽 온도: 28℃, 발효 시간: 60분, 분할: 42g, 벤치 타임(bench time): 20분, 검사: 37℃에서 50분, 소성: 205℃에서 10분
실시예 5
실시예 4의 체지방량 조정 식품 No.1을 이용하여 체지방량 조정 효과 시험을 행하였다. 78명의 피험자를 2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는 체지방량 조정 식품 No.1을 매일 아침 2개씩 12주간 섭취하게 하였다. 대조그룹에는 동량의 조합 샐러드유를 함유하는 롤빵을 이용하였다. 시험 기간중의 총 에너지 섭취량은 2200킬로칼로리, 총 지질 섭취량은 60g을 목표로 식사 지도를 행하였다. 시험 전, 시험 후 8주 및 12주간 후에 체중, 체지방, 허리 사이즈, 내장 지방 측정을 행하였다. 체지방은 일본 고우덴제의 MAB-1000을 사용하고, 내장 지방량은 동체를 단면이 둥글게 썬 CT-스캔의 화상으로부터 지방 면적을 구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결과는 BMI 23 이상과 23 미만으로 나누어 통계 처리를 행하였다.
체지방량 조정 식품 No.1의 시험 결과(시험전부터의 변화량)
대조식품 본 발명의 식품
BMI 23 이상 BMI 23 미만 BMI 23 이상 BMI 23 미만
체중(㎏)
8주째 -3.36±0.3 -2.13±0.6 -4.50±0.4* -2.21±0.4
12주째 -4.78±0.4 -3.08±0.7 -6.12±0.5* -3.30±0.6
체지방량(㎏)
8주째 -2.75±0.2 -2.02±0.4 -3.86±0.3* -1.72±0.4
12주째 -3.61±0.4 -2.49±0.5 -4.57±0.5 -2.36±0.5
허리 사이즈(㎝)
8주째 -2.26±0.5 -1.19±0.6 -3.05±0.4 -1.80±0.5
12주째 -3.74±0.5 -2.40±0.6 -5.67±0.5* -3.71±0.7
복부 지방(㎝)
8주째 -18.9±2.5 -12.6±4.2 -31.6±3.0* -14.9±2.9
12주째 -32.6±0.5 -26.0±4.2 -48.8±5.1* -19.9±3.7
*통계적으로 중요한 차이가 있다(위험율 5% 이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중, 체지방, 허리 사이즈 및 복부 지방 면적은 BMI 23이상인 피험자에 대하여, 본 발명의 체지방량 조정 식품 섭취보다 감소하는 것을 알았다. 이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체지방량 조정제를 함유하는 체지방량 조정 식품 No.1은 BMI 23 이상인 사람에 대하여 체지방 축적량을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본 발명의 체지방량 조정제 및 체지방량 조정용 식품은 인간의 체지방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적량의 범위로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중쇄(medium-chain)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체지방량 조정제로서,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 지방산의 90질량% 이상이 탄소수 8 및 10인 포화지방산이고, 탄소수 8 및 10인 포화지방산의 질량 비율이 60/40∼85/15이며, 또한, 트리글리세리드의 2-위치에 결합한 전체 지방산 중의 탄소수 8인 포화지방산 비율이 60∼8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량 조정제.
  2. 제 1항에 있어서,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이 5질량% 이상인 체지방량 조정제.
  3.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를 4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량 조정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식물유를 함유하는 체지방량 조정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타민 E를 더 함유하는 체지방량 조정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 스테롤을 더 함유하는 체지방량 조정제.
  7. BMI값이 23 이상인 사람의 체지방 축적량을 조정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지방량 조정제의 사용.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지방량 조정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량 조정용 식품.
  9. 제 8항에 있어서, 식품이 식용유, 마요네즈, 마가린, 조제 마가린, 팻 스프레드(fat spread), 드레싱, 빵, 아이스크림, 크림. 과자, 도너츠, 머핀, 핫케이크 또는 기름에 튀긴 식품인 체지방량 조정용 식품.
KR1020047000537A 2001-07-16 2002-07-09 체지방량 조정제 KR100950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14848 2001-07-16
JPJP-P-2001-00214848 2001-07-16
PCT/JP2002/006936 WO2003007932A1 (fr) 2001-07-16 2002-07-09 Substances pour le controle du degre d'adipos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985A true KR20040016985A (ko) 2004-02-25
KR100950638B1 KR100950638B1 (ko) 2010-04-01

Family

ID=1904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537A KR100950638B1 (ko) 2001-07-16 2002-07-09 체지방량 조정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40142018A1 (ko)
JP (1) JPWO2003007932A1 (ko)
KR (1) KR100950638B1 (ko)
CN (1) CN1256941C (ko)
CA (1) CA2454002A1 (ko)
HK (1) HK1068249A1 (ko)
TW (1) TWI228030B (ko)
WO (1) WO20030079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7774B2 (en) 2008-11-06 2018-03-06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Concentrated liquid di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0209A1 (ja) * 2003-03-13 2004-09-23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血清レムナント様リポタンパク濃度調整剤
WO2005120484A1 (ja) * 2004-06-09 2005-12-22 Kurume University グレリンの生理学的機能のレギュレーター
WO2009118968A1 (ja) * 2008-03-26 2009-10-01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満腹感誘発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品
CN103458891A (zh) 2011-04-13 2013-12-18 味之素株式会社 营养组合物
US9393224B2 (en) 2011-08-26 2016-07-19 Osaka University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agent for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of diabetes
JP2013048577A (ja) * 2011-08-31 2013-03-14 Nisshin Oillio Group Ltd パン生地及びパン
WO2016010102A1 (ja) * 2014-07-17 2016-01-21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栄養組成物
JP2017046688A (ja) * 2015-08-31 2017-03-09 株式会社みやぎヘルスイノベーション 体重増加抑制用飲料組成物
JP7090408B2 (ja) * 2017-06-30 2022-06-24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食用油脂および該食用油脂を含む食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0819A (en) * 1965-07-12 1969-06-17 Drew Chem Corp Synthetic therapeutic fat
IE32979B1 (en) * 1968-03-07 1974-02-06 Unilever Ltd Spreadable fats
US3600186A (en) * 1968-04-23 1971-08-17 Procter & Gamble Low calorie fat-containing food compositions
US4753963A (en) * 1985-09-26 1988-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utritional fat suitable for enteral and parenteral products
US4832975A (en) * 1987-09-29 1989-05-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ilored triglycerides having improved autoignition characteristics
US5288512A (en) * 1987-12-15 1994-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duced calorie fats made from triglycerides containing medium and long chain fatty acids
US5000975A (en) * 1988-12-29 1991-03-19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Randomized palm oil fat composition for infant formulas
US5468507A (en) * 1993-07-13 1995-11-21 Czap; Al F. Composition containing a desired flavoring agent and medium chain triglycerides
US5550113A (en) * 1994-07-20 1996-08-27 Mann; Morris A. Blood sugar regulating composition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JP2948111B2 (ja) * 1994-09-16 1999-09-13 塩野義製薬株式会社 経口投与用油性組成物
JPH0923807A (ja) * 1995-07-14 1997-01-28 Wakoudou Kk ブロック状凍結乾燥食品
US6004611A (en) * 1996-10-18 1999-12-21 Kao Corporation General-purpose oils composition
US6287624B1 (en) * 1997-03-12 2001-09-11 Kao Corporation Foods containing fat or oil
US6835408B2 (en) 1998-11-13 2004-12-28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Oil or fat composition
JP4733246B2 (ja) 1998-11-13 2011-07-27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油脂組成物
JP4255178B2 (ja) * 1999-09-01 2009-04-15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食用油脂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7774B2 (en) 2008-11-06 2018-03-06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Concentrated liquid diet
US10285965B2 (en) 2008-11-06 2019-05-14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Method for supplementing and administering a concentrated liquid diet
US10383838B2 (en) 2008-11-06 2019-08-20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Concentrated liquid di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07932A1 (fr) 2003-01-30
CA2454002A1 (en) 2003-01-30
KR100950638B1 (ko) 2010-04-01
CN1529592A (zh) 2004-09-15
US20040142018A1 (en) 2004-07-22
JPWO2003007932A1 (ja) 2004-11-04
TWI228030B (en) 2005-02-21
HK1068249A1 (en) 2005-04-29
CN1256941C (zh)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6949B2 (en) Oil/fat composition
CN100421565C (zh) 油/脂组合物
US10383838B2 (en) Concentrated liquid diet
US6844021B2 (en) Oil or fat composition
KR101108796B1 (ko) 유지 조성물
JP4031219B2 (ja) 油脂組成物
RU2376782C2 (ru) Масля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одержащие ее пищевые продукты,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пищевая добавка
US7410663B2 (en) Oil or fat composition
WO2004018598A1 (ja) 油脂組成物
JP5296366B2 (ja) 医薬品用持久力向上剤および持久力向上用医薬品
EA003833B1 (ru) Пищев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мульсию триглицеридных масел типа "масло-в-воде" и применение эмульсии в качестве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ли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ых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композиций
KR100950638B1 (ko) 체지방량 조정제
JPWO2003074043A1 (ja) 体温上昇剤
WO2011080982A1 (ja) うつ病又はうつ状態の予防又は治療用油脂組成物
JP5739180B2 (ja) インスリン分泌促進用油脂組成物
JPWO2004022049A1 (ja) 痩身剤およびその飲食物
JPH03220123A (ja) 食欲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
US20040071751A1 (en) Blood neutral fat concentration controlling ag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neutral fat concentration in blood
US9649288B2 (en) Inhibitor of visceral fat loss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JP7356833B2 (ja) 末梢体温亢進剤
JPWO2004022050A1 (ja) 脂質代謝調整剤および飲食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