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723A -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 - Google Patents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723A
KR20040015723A KR10-2003-7015653A KR20037015653A KR20040015723A KR 20040015723 A KR20040015723 A KR 20040015723A KR 20037015653 A KR20037015653 A KR 20037015653A KR 20040015723 A KR20040015723 A KR 20040015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ompound according
diseases
light
phenothiazi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탠리 빔스 브라운
카산드라 클레어 오'그라디
존 그리피스
키르스트 조안 멜리쉬
리차드 조지 툰스탈
데이비드 존 하워드 로버트
데이비드 이안 베르논
Original Assignee
포토파미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토파미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토파미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1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61K49/0021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the fluorescent group being a small organic molecule
    • A61K49/003Thiazine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7Photodynamic therapy with a photosensitizer, i.e. agent able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upon exposure to light or radiation, e.g. UV or visible light; photocleavage of nucleic acids with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8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sulfur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nd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79/101,4-Thiazines; Hydrogenated 1,4-thiazines
    • C07D279/141,4-Thiazines; Hydrogenated 1,4-thiazi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79/18[b, e]-condensed with two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2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layered or co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Der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cyclic Ring Compounds With Rings Of Six Or More Member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이고, 여기서, Z는 CH2, O, S, SO2, NH, NCH3, NC2H5, NCH2CH2OH 또는 NCOCH3이고,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형 CnH2nY(여기서, n은 1 - 6이고, Y는 H, F, Cl, Br, I, OH, OCH3, OC2H5, OC3H7, CN 또는 OCOCH3이다)이고,
Xp-는 상대음이온이고, P는 1, 2 또는 3이나,
A와 B 둘 모두가 -N(CH3)2이거나 -N(CH2CH3)2인 화합물은 제외된다.
본 발명은 또한, PDT제 또는 광진단제로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 {BIOLOGICALLY ACTIVE METHYLENE BLUE DERIVATIVES}
특정 유기 화합물("광민감제")은 산소 존재하에 광을 흡수함으로써 세포사를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세포 독성 효과는 타입 I 및/또는 타입 II 광산화를 포함한다. 이러한 광민감제는 광을 사용한 암 및 다른 질환 또는 감염의 치료(광역학요법) 및 광-유도에 의한 미생물 파괴에 의한 표면 및 유체의 (살균을 포함하는) 멸균에서 사용된다. 본원에서, 멸균이란 용어는 특정 상황에서의 미생물의 감소 또는 제거를 의미하는 것이다.
특정의 착색된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예: 메틸렌 블루)이 타입 I 및 타입 II 광산화 과정에 관여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화합물은 이제까지 광역학요법을 위한 민감제로서 부적합하거나 효율이 낮은 것으로 입증되었거나 광화학 항균 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PDT에 적용하기 위해서, 우수한 민감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하기 특성 모두를 가져야 한다. 가장 중요하게는, 이는 광(바람직하게는 약 600 - 800nm 파장)에 노출시 효율적으로 표적 세포(예를 들면, 종양 세포 또는 세균 세포)의 파괴를 유발시켜야 한다. 광민감제를 사용한 PDT 치료는 표적 세포와 정상 세포 사이에 선택성이 높아야 한다. 민감제는 비교적 어둠 독성이 거의 없어야하고 환자에게 피부 광민감성을 거의 또는 전혀 유발시키지 않아야 한다.
광멸균에 적용하기 위해서, 우수한 민감제는 이상적으로는 주변광을 사용하여 광범위한 미생물에 대해 강한 광독성 효과를 나타내야 하고, 용이하게 광표백되지 않아야 한다.
종양학에서, 수개의 상이한 유형의 광민감제를 사용하여 식도 및 방광과 같은 속빈장기의 고형 종양 및 박(thin) 종양 둘 다를 치료하여왔다. 그러나, 이들 광민감제는 부분적으로는 종양과 건강 조직사이의 선택성의 결여를 이유로 및 부분적으로는 유발될 수 있는 연장된 피부 광민감성을 이유로 그 사용이 제한되어왔다.
PDT는 이전에는 종양 치료에 사용되었지만, 세균 및 기타 미생물에 의해 유발된 감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사용되지 않았었다.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항생제의 사용은 테트라사이클린 및 베타-락탐과 같은 통상 사용되는 항생제에 대한 다수의 세균 종의 증가하는 내성으로 인해 그 유효성에 이의가 제기되게 되었다. MRSA와 같은 병원-후천성 항생제 내성 감염이 특히 문제가 된다. 광역학 항균 처리는 국소 치료용 항생제에 대한 유망한 대체요법이다.
항균제를 개발하는 경우 극복해야 하는 중요 문제는 약물을 세균 세포내로흡수시키는 것이다. 그램 음성 및 그램 양성 세균은 이들의 외부 표면의 조성이 상이하고 특히 흡수의 관점에서 항균제에 상이하게 반응한다. 그램 음성 세균의 높은 음전하로 인해 이들은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민감제를 포함하여 중성 또는 음성 약물에 상대적으로 불투과성이다. 그램 음성 세균 뿐만 아니라 그램 양성 세균에 대해 유효한 항균성 광민감제의 개발은 내성으로 인해 유효성이 점차 감소되고 있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를 대체시키는데 매우 유익할 것이다.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광민감제가 세균에서 연구되었다. 이들은 페노티아지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 염소 및 천연 광민감제를 포함한다. 그램 음성 세균으로의 흡수용으로는 그의 양이온성 유도체가 가장 효과적이다.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은 최대 흡수 파장이 600 - 700nm 사이인 청색 염료이다. 이들의 비-광역학 항균성에 대해서 연구되었지만 메틸렌 블루 및 톨루이딘 블루와 별도로는 거의 없으며 광역학적으로 조사되어오지 않았다.
웨인라이트 등(Wainwright et al (1998))은 종양 세포주 및 세균에서 일련의 페노티아지늄 메틸렌 블루 유도체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신규 메틸렌 블루 (NMB) 및 디메틸렌 블루(DMMB)는 MRSA을 비활성화시키는데 유효하고 색소침착된 흑색종 세포주에 작용할 경우 메틸렌 블루보다 더 효과적인 광민감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그너 등(Wagner et al (1998))은 이들 염료 및 또한 껍질보유 바이러스의 비활성화용으로 소수성 유도체를 연구하였다.
메틸렌 블루의 항균 작용의 세밀한 양상은 공지되지 않았지만, 그의 입체화학으로 인해 DNA에 삽입할 수 있고 광역학 작용이 DNA 손상을 유발시킨다는 하나의가설이 존재한다. 메틸렌 블루 자체는 항종양제로서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틸렌 블루는 광표백에 감수성인 것으로 알려지고, 이는 특정 적용에서 심각한 단점일 수 있다. 메틸렌 블루의 인식된 한계로 인해 항종양 PDT 및 항균 PDT 둘 다 신규 페노티아진계 광민감제의 개발로 유익할 것이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에 따라서, 화학식 I의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이 제공된다:
상기 식에서,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이고, 여기서, Z는 CH2, O, S, SO2, NH, NCH3, NC2H5, NCH2CH2OH 또는 NCOCH3이고,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형 CnH2nY(여기서, n은 1 - 6이고, Y는 H, F, Cl, Br, I, OH, OCH3, OC2H5, OC3H7, CN 또는 OCOCH3이다)이고,
Xp-는 상대음이온이고, P는 1, 2 또는 3이나,
A와 B 둘 모두가 -N(CH3)2이거나 -N(CH2CH3)2인 화합물은 제외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대음이온은 Cl-, Br-, I-, F-, N03 -, HSO4 -및 CH3CO2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거나, 이가음이온, 즉 S04 2-또는 HP04 2-, 또는 삼가음이온, 즉 PO4 3-이다.
바람직하게는 A와 B는 동일하고, R1과 R2둘 모두가 n-프로필, n-부틸 또는 n-펜틸이다.
당해 화합물은 미생물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화합물은 세균에 대해 사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은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해 사용한다.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당해 화합물은 PDT제 또는 광진단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중합체간에 형성된 컨쥬게이트 또는 복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복합물이란 용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중합체에 삽입되거나 매트릭스 또는 기판에 물리적으로 폐색되거나 그에 흡착되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다. 중합체는 펩티드 또는 단백질과 같은 생물학적 중합체일 것이다. 바람직한 중합체는 무수물 및/또는 에스테르 그룹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클로로트리아진 유도체간에 형성된 화합물을 제공한다. 클로로트리아진 유도체는 이에 결합된 클로로트리아진 그룹을 갖는 중합체일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 전암성 질환, 안 질환, 혈관 질환, 자가면역 질환과 같은 원하지 않는 조직 또는 세포를 제거해야 하는 치료가 필요한 증상, 및 피부 및 기타 기관의 증식 증상의 PDT 용 광민감성 약물로서 유용하다. 특이적이고 예기치 않은 이들 물질의 이점은 전신 투여후 (사용된 특정 민감제에 따라 다르지만) 상이한 시간에서 표적 조직에 대해 광활성인 이들의 효능 및 이로 인해서 혈관 구조 또는 종양 세포(예를 들면)에 직접 표적할 수 있는 이들의 효능에 관한 것이다. 이들은 또한 전신 투여시 주변광에 피부를 감작시키는 경향이 낮고 피부를 착색시키는 경향이 낮다.
당해 화합물은 피부 및 다른 국소 감염의 광활성화가능한 항균제 처리, 화상 상처 및 다른 환부의 멸균, 피부 이식을 포함하는 시술중에 수용 조직과 공여 조직 둘 다의 멸균 및 치아 미생물 질환의 치료용으로 PCT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당해 화합물은 표면 및 유체의 일반적인 멸균용으로 광활성화가능한 항균제로서 또한 유용하다. 현존하는 공지된 항균성 광민감제에 대해 이들 화합물의 특이적인 이점은 낮은 광 수준에서도 광세포독성이 높고 아울러 광표백을 겪는 경향이 낮다는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른 페노티아지늄 광민감제에 비해, 이들의 세포 파괴 활성의 수행시 세포의 핵을 표적하지 않아 세포가 돌연변이유발 형질전환을 겪을 위험성이 훨씬 낮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사용 예는 PDT 용 광민감성 약물로서 바레트 증후군 및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전암성 질환), 방광암 및 결장암, 황반 변성(안과 질환), 심혈관 질환과 같은 혈관 문제, 동맥경화증 및 재협착 및 자가면역 질환,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피부 질환, 예를 들어 건선, 여드름 및 엑세마(excema) 및 기타 양성 증상, 예를 들어 자궁내막증 및 월경과다를 치료한다. 당해 화합물은 또한 피부 및 상처 감염, 기타 국소 감염의 치료 뿐 아니라 치아 세균성 질환에서 항균 치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당해 화합물은 또한 이의 광민감성을 통해서는 광화학 내부화(약물의 흡수 및 세포이하의 국소화를 돕는 광민감제의 용도) 및 이의 형광성을 통해서는 광진단과 같은 비치료학적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시도는 광민감제가 주변의 건강 조직보다는 종양에 더 집중되고 (청색광 적용에 의해) 형광을 유도할 경우 종양이 주변 조직보다 더 강하게 형광을 낸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것이다.
당해 화합물은 표면 및 유체의 멸균용으로 광활성화된 항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민감제의 전신 또는 국소 투여를 통해, 이어서 적당한 양 및 파장 또는 파장 범위의 광을 적용함으로써 암 및 기타 사람 또는 동물의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되는 화합물은, R1및 R2가n-프로필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이고, 상기 광 노출은 약물 투여 시점에서부터 10분 이하로 주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광 노출은 약물 투여 1분 내에 주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광 노출은 약물 투여 시점에서 주어진다.
또는, 투여되는 화합물은, R1및 R2가 n-프로필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이고, 상기 광 노출은 약물 투여 시점에서부터 더 장기간에 주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전신 투여하거나 치료할 부위에 적용(예를 들어 분무로)하고 그 부위를 광에 노출시켜 당해 화합물이 활성화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미생물 감염, 화상 상처 및 다른 환부 및 치아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방법은 R1및 R2가 n-부틸인 화학식 I에 따르는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표면 또는 유체에 적용하고 당해 화합물을 광에 의해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표면 또는 유체를 멸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합한 화합물은 중합체 표면에 영구적으로 공유 결합에 의하거나 가역적으로 세포간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되어 필요할 때마다 광을 적용함으로써 멸균될 수 있는 표면을 수득케한다. 이는 예를 들어 환자에게 정맥내 라인을 사용하는 경우 및 관련 표면의 장기간 멸균의 유지가 문제되는 봉합 및 카테터 및 정맥내라인에서 유용할 수 있다. 광표백에 대한 화합물의 내성은 발색단의 연장된 안정성이 필요시되는 그러한 적용분야에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에 본 발명의 화합물이 결합되어 있는 제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제품은 의료 기기로서, 예를 들면 정맥, 뇨 또는 풍선 카테터, 봉합, 정형외과용 또는 인공 이식물, 심장 판막, 외과용 스크류 또는 핀, 심작박동조율기 리드, 영양관 또는 호흡관, 혈관 스텐트, 인공수정체 또는 소관절 교체기이다. 당해 제품은 또한 상처 보호에서 및 의료용 물질, 예를 들면 의료 장치용 물질의 패키징용으로 또한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병원의 벽, 바닥 및 천정, 임상 표면, 예를 들어 수술대, 도살장 및 과학실험실의 무균실에 적용할 수 있다. 섬유를 직물, 편물 또는 부직 텍스타일 제품, 예를 들어 걸레, 와이프, 수술복, 베드 리넨, 상처 드레싱 및 붕대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는, 당해 제품은 식음료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패키징, 포장지 또는 보관 상자 또는 공정 장치의 부품일 수 있다. 당해 제품은 냉장고, 자동판매기, 얼음제조기, 식당 장치의 부품 또는 기타 부엌용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체외 및 생체내에서 그의 광생물학적 특성이 말단 아미노 그룹의 치환체의 소수성 및 크기에 예기치못하게 현저하게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나는 페노티아지늄 민감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상의 특징의 주의깊은 선택에 의해, 광민감제는 현존하는 물질에 비해 독특한 이점을 제공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화합물은 종양학 분야에서 및 그의 항균 효과에서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였다.
종양학에서의 이점
ㆍ메틸렌 및 에틸렌 블루에 비해 극히 강한 광활성.
ㆍUV/청색광 영역에서 낮은 흡수도. 이로 인해 화합물의 피부 광민감도가 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ㆍ급속한 피부 청소.
ㆍ종양에 대한 높은 선택성.
ㆍ낮은 어둠 독성.
ㆍ메틸렌 블루에 비해 DNA 손상의 낮은 가능성.
ㆍ현존 PDT 약물에 비해 매우 단기간의 약물-대-광 투여 간격.
항균 이점
ㆍ그램 양성 및 그램 음성 세균, MRSA 및 진균 감염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미생물의 탈활성화에 매우 효과적.
ㆍ무활동 세균에 대해 활성.
ㆍ숙주 세포에 대해 최소한의 손상으로 미생물에 대한 높은 선택성.
ㆍ예상외로 낮은 수준의 광표백.
본 발명은 광세포독성이 강하고 광역학요법(PDT) 뿐만 아니라 의학적 증상의 진단 및 탐지 영역에서 적용되는 생물학적 활성 광민감제 및 광화학 내부화, 암 백신의 제조, 미생물 감염의 치료 및 광살균 또는 광멸균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실험된 화합물
본 연구에서 사용된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은 제이 그리피스에 의해 색채 화학의 리즈 유니버서티 오브 디파트먼트(Leeds University Department of Colour Chemistry by J. Griffiths)에서 합성하였다. 하기의 경우가 이에 포함되었다:
R1-R4= n-C3H7: 테트라-n-프로필
R1-R4= n-C4H9: 테트라-n-부틸
R1-R4= n-C5H11: 테트라-n-펜틸
R1-R4= n-C6H13: 테트라-n-헥실
메틸렌 블루(R1-R4= n-CH3) 및 에틸렌 블루(R1-R4= n-C2H5)를 비교용으로 또한 실험하였다.
광민감제의 모액을 물 및/또는 DMSO에서 제조하고 필요시까지 어두운 곳에 저장하였다. 시험 용액을 필요에 따라 완충액 또는 용매 또는 생물학적 배지에서 제조하였다.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의 분광 및 물리적 특성
물 및 메탄올중에서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의 분광 데이터(표 1)는 모든 화합물이 650 - 700nm 파장 영역에서 흡수 피크를 갖지만, 세밀한 피크 영역에서는 상당한 다양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알킬쇄가 장쇄일수록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은 더 긴 파장에서 흡수 피크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피크 위치는 메탄올에 비해 물에서 더 긴 파장에서이다. 이러한 차이는 광민감제의 응집 상태를 반영한 것일 것이다.
여러가지 광민감제에 대한 옥탄올-물 분배 계수(log p)가 또한 표 1에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서 [log P] = (mg/옥탄올 ml)/ (mg/완충액 ml) 이다.
표 1.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의 분광 및 물리적 특성
R 물에서의 최대 파장(nm) 메탄올에서의 최대파장 (nm) Ex.Max(nm) Em.Max(nm) log P
1 667 656 640 690 -1.0
2 673 661 670 690 +0.2
3 679 665 680 690 +1.1
4 682 668 680 695 +1.1
5 685 669 680 700 +1.7
6 699 669 675 700 +1.3
Ex.Max는 형광 여기 최대 파장이고 Em.Max는 형광 방사 최대 파장이다.
옥탄올 완충액 분배 계수(log P)는 약물의 친지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예측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친지성은 R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높은 R의 값에서 조차 당해 화합물은 생물학적 배지에 가용성인 채로 잔류한다.
포유류 세포 및 종양에 대한 PDT제로서의 페노티아지늄 유도체
페노티아지늄 유도체를 배양하에 일련의 포유류 세포에서 PDT 효능에 대해 평가하였다. RIF-1 마우스의 섬유육종 세포를 MTT 검정을 사용하여 연구하여 PDT에 이어 잔존하는 세포 생존력을 평가하였다. 일련의 실험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표 2에 요약하였는데, 이는 페노티아지늄 유도체 4개에 대한 LD50값(사용된 조건하에 세포의 반을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광민감제의 농도)을 나타낸다. 또한 비교용으로메틸렌 블루 및 에틸렌 블루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들 특정 화합물은 또한 어둠속에서 세포를 사멸할 수 있고 표 2는 또한 대조용으로 어둠만의 LD50값에 대한 비율을 나타낸다. 표 2로부터 테트라-n-펜틸 유도체, 테트라-n-부틸 유도체 및 테트라-n-프로필 유도체가 이들 조건하에 모두 효율적인 PDT제이고, 이들은 메틸렌 불루나 에틸렌 블루에 비해 훨씬 활성이 큼을 알 수 있다. 가장 유효한 것은 테트라-n-프로필 유도체이다. 또한, 메틸렌 블루용으로는 어둠 독성과 명독성에 대한 LD50값사이의 비율은 단지 적은 반면, 페노티아지늄 유도체 용으로는 그 비율이 훨씬 크다.
당해 결과는 이들 화합물의 광활성은 훨씬 증가했지만 이들의 어둠 독성은 메틸렌 블루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여되어 있음을 예시하는 것이다. 이는 치료학적 관점에서 상당한 이점이다. 표 2는 또한 단일항산소를 생성하는 이들의 고유 능력의 측정을 사용하여 메틸렌 블루와 에틸렌 블루와 비교한 여러가지 유도체의 상대적인 활성을 나타낸다. 상이한 화합물 사이에 차이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세포에서 관찰된 현저한 차이는 거의 전적으로 생물학적 요인에 기인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메카니즘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표 2는 또한 메틸렌 블루와 에틸렌 블루의 것과 비교한 상이한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의 세포이하의 초기 국소화 뿐만 아니라 이어지는 광투여를 발생하는 재국소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유도체 모두가 리소솜에서 초기에 국소화되는 반면, 메틸렌 블루는 이어서 핵에 재국소화하고(DNA에 대한 가능한 유해하거나 돌연변이유발 효과), 테트라-n-프로필, 테트라-n-부틸, 테트라-n-펜틸 및 테트라-n-헥실 유도체는 미토콘드리아에 재국소화하는데, 이는 훨씬 좋은 PDT 표적이다.
표 3은 배양하에 일련의 상이한 세포에서 특정 유도체에 대한 LD50값을 나타내는데, 이는 상이한 사람 조직 및 암을 나타낸다. 테트라-n-프로필, 테트라-n-부틸 및 테트라-n-펜틸 유도체가 또한 메틸렌 블루에 비해 매우 활성이고 또한 시험된 모든 세포주에서 활성임이 명백하다.
수개의 비대칭 페노티아지늄 유도체 (여기서 R1= R2≠ R3= R4)를 제조하고 배양하의 세포에서 시험하였다. 수개의 이들 유도체는 절대 활성의 관점 및 명독성 내지 어둠 독성의 관점 둘 다에서 메틸렌 블루보다 탁월한 광민감제임이 입증되었다. 이들 화합물의 샘플 데이터는 표 4에 나타낸다.
표 4. 메틸렌 블루와 비교한 비대칭 페노티아진의 화학적 특성 및 SiHa 사람 자궁경부 편평세포 암종 세포에서 광독성 및 어둠 독성
메탄올에서의 λ최대(nm) 단일항산소 발생1 Log P PDT LD50(uM)2 비율 어둠:PDT LD50 2
메틸렌 블루 656 47 -1.0 18.7±1.0 1
디-n-부틸 모르폴리노 661 29 +1.0 4.6±2.0 7
디-n-부틸 디에탄올아민 660 13 +1.3 1.7±0.3 87
디-n-펜틸 디에탄올아민 663 32 +1.1 0.43±0.03 39
190% DMF : 10% 물 중의 페노티아지늄 화합물 100mg/ml를 사용하고 적색광 조명 10분 후의 1,3-디페닐이소벤조푸란 % 광산화.
2세포를 2시간동안 페노티아지늄 화합물로 항온배양시켰다. 광독성 측정용으로 세포에 3J/cm2665nm 광으로 조명하였다. 어둠 독성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을 설포르호드아민 B(SRB) 검정을 사용하여 48시간후에 평가하였다.
도 1은 타입(I)의 대칭적으로 치환된 티아진의 항종양 광역학 효능(종양 괴사 %)을 나타낸 것이다. CaNT 피하 종양이 있는 암컷 CBA/Gy 마우스에게 kg당 16.6μmol의 용량으로 약물 용액을 주사하였다. 주사 1시간 후, 이들을 (별도 시험에서 측정한) 최적 파장의 광으로 처리하였다. 광원은 밴드폭 30nm의 적합한 필터가 있는 패터슨 램프였고, 50mW cm-2의 비율로 60Jcm-2로 처리하였다. 도 1로 부터 종양 반응이 알킬 그룹의 성질에 매우 의존적이며, 테트라-n-펜틸 및 테트라-n-부틸 유도체가 메틸렌 블루에 비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도 2는 약물과 광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의 함수로서 테트라-n-프로필 및 테트라-n-펜틸 유도체의 항종양 광역학 효능(종양 괴사 %)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데이터는 이들 두 화합물 사이에 매우 예기치 않은 차이를 나타낸다. 테트라-n-프로필 유도체는 매우 단기간의 약물-광 시간 간격(즉 약물 제공 거의 직후 광 제공에 의해)에서 매우 활성인 반면, 테트라-n-펜틸 유도체는 매우 단기간에서는 매우 낮은 활성이지만 1 시간후에는 훨씬 활성이 높다. 이러한 발견의 설명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명백하게 이러한 특성상의 차이를 탐구하여 상이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속작용성 약물은 혈관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서작용성 약물은 종양 세포 처리에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폴리헤마토포르핀(PHP:포토프린에 상응)과 비교한 테트라-n-부틸 및 테트라-n-펜틸 유도체로 인한 상대적인 피부 광민감성을 나타낸 것이다. 포토프린은 종약학에서는 현재 선두적인 PDT제이긴 하지만, 환자에게서 연장된 피부 광민감성을 유발하는 중대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모델에서, 피부 광민감성은 약물과 광에 노출된 24시간 후 귀 두께의 증가로써 측정한다. 도 3은 예측대로 PHP가 높은수준의 피부 광민감성을 나타내지만, 상기 두 개의 페노티아지늄 유도체는 피부 광민감성을 거의 또는 전혀 나타내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들 두 유도체는 또한 투여후 피부 색소침착을 거의 유발하지 않았다.
광항균활성
일반적인 방법
하기 소정의 방법은 이. 콜라이(E. coli)에 대한 것이지만, 연구된 다른 세균 피. 아에루기노사(P. aeruginosa), 에스. 아우레우스(S. aureus) 및 MRSA에 대한 것과 본질적으로는 동일하다.
세균의 표준 제제
하기 개요한 표준 프로토콜을 적당히 개질하여 여러가지 실험상의 파라미터의 변형을 연구하였다.
영양 육즙 100ml(0.5% 효모 추출물, 1.0% 트립톤 w/v)를 이.콜라이 균주 DH5로 무균 접종시키고 37°C에서 진탕 인큐베이터에서 밤새 항온배양시켰다. 인큐베이터를 분당 250 스트로크 및 2.5cm 서클의 회전 운동으로 고정시켰다. 항온배양에 이어 배양액 10ml를 영양 육즙 200ml로 무균 이송시키고, 상술한 진탕 인큐베이터에서 미드 로그상까지 증식시켰다. 세포를 원심분리(3000rpm, 10분)로 수거하고, 0.1M 인산칼륨 완충액(pH7.0)에 재현탁시키고 다시 원심분리(3000rpm, 10분)하였다. 상층액을 버리고 펠릿을 0.1M 인산칼륨 완충액(pH7.0)에 650nm에서 0.85-0.90의 흡광도로 재현탁시켰다.
영양 배지에서 조명을 포함하는 실험에서, 세균 세포를 영양 배지에서 현 단계에서 재현탁시켰다.
세균 세포 비활성화 실험
준비한 세포 현탁액 25ml를 멸균 호일로 덮은 250ml 원뿔 플라스크에서 광민감제 0.1mM 모액 0.25ml에 항온배양시켰다. 현탁액을 37℃ 진탕 인큐베이터에서 250rpm으로 어둠속에서 30분 동안 항온배양시켰다. 현탁액을 75cm 거리를 두고 500W 할로겐 램프로 60분 동안 조사하였는데, 램프의 전력은 시간당 조명으로 4.68J/cm2를 발생하는 1.3mW/cm2였다. 현탁액의 조명되고 비조명된 샘플 50ml를 제거하고 0.1M 인산칼륨 완충액(pH7.0)에 희석하였다. 이어서 희석된 현탁액 50ml를 영양 한천(0.5% 효모 추출물, 1.0% 트립톤, 2.0% 한천 w/v)에 플레이팅하고 밤새 37°C에서 항온배양시켜 30 - 300 사이의 다수의 집락형성단위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세포 비활성화를 측정하였다.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은 사용하지 않지만 0.25ml의 DMSO를 사용하여 항온배양 단계 30분 전후 세균으로부터 플레이팅함을 포함하는 대조군 연구에서는 CFU/ml에 변화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은 사용하지 않지만0.25ml의 DMSO를 사용하여 세균 배양액만을 조명하면 또한 CFU/ml에 변화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 배지에서의 조명용으로, 대조 시험에서 시간당 조명동안 0.2의 CFU/ml에서 log10증가를 나타내었다.
몇몇의 조사를 레이저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는데, 이때 세균 현탁액을 0.1W에서 665nm 세라옵텍 다이오드 어레이 레이저(Ceramoptec diode array laser)로 조명하였다.
세균 세포 증식에 대한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의 효과 측정
호일을 덮은 250ml 원뿔 플라스크에서 영양 배지(0.5% 효모 추출물, 1.0% 트립톤 w/v) 200ml를 완전히 증식된 세균 배양액 10ml로 무균 접종시켰다. 또한 배지는 최종 농도 10μM의 페노티아지늄 화합물 1mM 모액 1.0ml를 함유하였고, 이와 별도로 대조군은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은 함유하지 않지만 1.0ml DMSO를 함유하였다.
현탁액을 어둠속에서 진탕 인큐베이터에서 250rpm 및 37°C에서 항온배양시켰다. 1ml 샘플을 6시간동안 매시간 취하고 광산란에 의해 유발시킨 550nm에서의 겉보기 흡광도를 기준으로 한 혼탁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 연구는 이러한 파장이 광민감제 흡수 영역 밖인 것으로 나타났다. 흡광도 판독에 이어 1.0ml 샘플을 MSE Micro-Centaur 원심분리기(1000g x 5 분)에서 스피닝하고 상층액의 흡광도 스펙트럼을 분광광도계로 판독하였다.
테트라-n-부틸 유도체만을 위해서, 유사한 실험을 수행하는데 여기서 세균을광민감제 없이 3시간동안 증식시킨후, 당해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을 가하였다. 후속되는 증식을 시간의 함수로서, 광노출 및 어둠속에서 둘 다 탐지하였다.
칸디다 알비칸(Candida albicans)의 제조 및 광-유도된 비활성화
효모 칸디다 알비칸을 포함하는 실험용으로, 당해 세균을 사브로(옥소이드) 액체 배지에서 증식의 로그 단계까지(세포를 4시간 증식후 수거하였다). 이어서 이들을 650 nm에서 흡광도 0.87로 재현탁시키는데, 이는 다른 세균용으로 사용된 8.5 log10CFU/ml에 비해 7.0 log10CFU/ml에 상응한다. 조명 절차는 이전 실험에 사용된 바와 동일하였다. 조명에 이어서, 효모를 사브로 덱스트로즈 한천(옥소이드)상에서 플레이팅하고 24 시간동안 37℃에서 항온배양시켜 집락형성단위를 검정하였다.
광표백
광민감제 1mM 용액 0.25ml, 10mM 트립토판 0.25ml를 25ml의 60% 메탄올, 40% 인산칼륨 완충액(pH7.0)에 가하였다. 실험을 또한 트립토판 부재하에 수행하였는데, 여기서 이를 0.25ml의 60% 메탄올, 40% 인산칼륨 완충액(pH7.0)으로 대체하였다.
혼합물을 상기 세포 비활성화 실험(1.3mW/CM2)에서와 같이 60분동안 조명하고, 샘플을 15분 마다 취하고 스펙트럼을 500과 700nm사이의 UV-가시광 분광광도계로 기록하였다. 고 용량의 광으로는 9mW/cm2에서 60분 동안 조명하였다..
결과
페노티아지늄 유도체의 항균성
도 4는 60분 동안 1.3mW/cm2에서 조명하고 10μM 페노티아지늄 화합물로 30분 동안 항온배양시킨 이. 콜라이 ml 당 집락형성단위(CFU)에서의 로그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데이터는 할로겐 램프를 사용한 60분 조명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기록한 것이다. 실질적인 세균 비활성화가 있었고 그룹에서의 경향은 메틸렌 블루로부터 에틸렌 블루로의 감소이며, 이어서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로 거의 1000배 증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더 장쇄인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은 세균 세포 사멸 효능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따라서 테트라-n-헥실 유도체는 거의 비활성이다.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진을 사용한 경우 세포 생존율 0.001%에 상당하는 5.1 log10 ml 당 집락형성단위에서 가장 큰 변화를 나타냈다. 0.19 log10 CFU인 가장 작은 변화는 생존율이 65.3%인 테트라-n-헥실 유도체를 사용한 경우였다. 단지 광만을 사용한 대조군에서는 세포 비활성화가 전혀 없었다.
도 5는 15분 동안 1.3mW/cm-2에서 조명하고 상이한 농도의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로 30분 동안 항온배양시킨 이. 콜라이 ml당 CFU에서의 로그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10μM 이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를 사용한 세균 활성용으로 시험한 가장 효과적인 농도였다 이 농도를 사용한 CFU에서의 로그 변화는 4.59 log10단위였다. 세포 사멸 효과는 시험된 모든 농도에서 달성되었지만, 약물 용량이 낮을수록 감소하였다. 50μM에서 2.15 단위의 로그 변화가 있는데 이는 10μM에 비해 감소된 것이다. 이는 광민감제의 응집과 이로 인해 세포에 더 낮은 약물 용량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많은 항생제가 비증식 또는 정지성 세균에 대해 거의 효과가 없어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의 효능을 평가하여 증식정지기 세균을 비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증식정지기 동안에 세포는 펩티도글리칸 세포 벽이 더 두꺼워지고 단백질 대사에도 차이가 생겨 광역학 효과에 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6은 60분 동안 1.3mW/cm2에서 조명하고 10μM 페노티아지늄 화합물로 30분 동안 항온배양시킨 후의 증식정지기의 이. 콜라이 ml 당 CFU에서의 로그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증식정지기 세균에 대한 테트라-n-부틸 및 테트라-n-프로필 유도체의 효능이 아주 약간 감소하고, 또한 테트라-n-부틸 유도체가 가장 효과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세균의 비활성화는 치료 환경에서 더욱 대두되고 있는 문제일 수 있는데, 광민감제가 세균성 지질다당류 막보다 세포외 단백질을 우선적으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광민감제 결합용으로 세균 세포과 경쟁할 수 있는 다수의 인자들을 함유하는 영양 배지에서 세균을 재현탁시킴으로서 시험하였다. 도 7은 영양 배지에서 재현탁시킨 이. 콜라이 ml 당 CFU에서의 로그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로부터 세포 사멸 수준에서 거의 감소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테트라-n-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가 가장 항균 활성이 크다.
도 8은 레이저광(600nm)으로 단지 4분 동안 0.1W에서 조명하고 10μM 페노티아지늄 화합물로 항온배양시킨 후의 이. 콜라이 ml당 CFU에서의 로그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페노티아지늄 유도체 사이의 동일한 양상의 활성이 나타나는데,이는 그 효과가 간섭성 레이저광을 사용할 경우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레이저 원의 가능한 이점은 광 투과량의 증가된 정확도와 단축된 조명시간이다.
레이저 광을 사용한 추가의 연구는 14분 동안 0.1W에서 조명하고 테트라-n-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를 사용하면 ml당 5.69 CFU에서의 로그 변화를 달성할 수 있고, 20분 조명 후에는 로그 변화가 약 8.5 단위지만, CFU의 수가 너무 작아 그 수치를 통계학적으로 신뢰할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균 세포속으로의 광민감제의 흡수는 광활성 측정에 명백히 중요하다. 도 9는 30분 항온배양시킨 후, 이.콜라이 세포로의 10μM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의 흡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세포를 0.1M pH 7.0 인산칼륨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하여 세포외 또는 느슨하게 결합된 민감제를 제거하였다.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의 흡수가 광독성과 어느 정도 상호관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테트라-n-부틸 유도체가 세균 세포에 의해 가장 많이 흡수되었다는 점에서이다. 그러나, 흡수와 광활성의 상호작용은 정확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테트라-n-부틸 유도체에 대한 광활성과 흡수와의 비율이 테트라-n-헥실 유도체에 대한 것에 비해 훨씬 크다. 이들 비율은 모든 유도체에 대해 동일할 것으로 예측될 수 있는데 이는 광활성이 흡수를 근거로만 설명될 수 있는 경우이어야 한다. 따라서, 테트라-n-부틸과 테트라-n-프로필의 극히 높은 활성은 아직 공지되지 않은 바와 같이 약간의 추가의 인자들에 의한 것임에 틀림이 없다는 것이 명백하다. 나타내지 않은 데이터는 테트라-n-부틸 유도체가 이. 콜라이로 매우 신속히 흡수됨을 입증하는 것이고; 항온 배양 시간 5분과 30분 사이에 흡수에서는 차이가 전혀 없다. 그러나, 영양 배지의 존재하에,그 흡수는 약간 느려지고 그 정도도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10은 10μM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로 항온배양시킨 다음, 0.1M pH 7.0 인산칼륨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하여 세포독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세포외 또는 느슨하게 결합된 민감제를 제거한 이.콜라이 세포 ml당 CPU의 로그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0.1 W에서 4분 동안 레이저광 (665nm)을 사용하여 조명하였다. 그 결과는 세척 및 비세척 세포 ml당 CFU에서의 로그 변화 사이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세포사를 유발하는 것이 단단히 결합된 광민감제임을 지시하는 것이다. 현재, 세균 세포 내로의 광민감제의 정밀한 국소화는 공지되지 않았으나 그 광역학적 작용은 유효하며 소생불가능이다.
어둠속에서의 이.콜라이 배양의 증식에 대해 상이한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의 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도 11에 나타내었다. 어둠속에서 37℃에서 6시간 동안 항온배양시키고, 측정치들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550nm에서 겉보기 혼탁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든 배양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가 세균 현탁액중에 세포의 수에서 가장 큰 억제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어둠 억제는 광 속에서의 세포 비활성화에서 관찰된 것 보다 덜한 많은 종류의 강도임이 강조된다.
추가의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테트라-n-부틸 유도체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세균 증식에 대한 광민감제와 광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도 12에 나타낸 이들 데이터는 3시간 후 광민감제를 첨가한 증식 세균용으로, 어둠 속에서는 증식이 계속되었으나, 광속에서는 증식이 완전히 제거됨을 명백히 나타낸다. 또한 데이터는 이러한 광민감제의 매우 강력한 광항균 효과를 예시하는 것이다.
도 13은 10μM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로 항온배양시킨 후의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0.1 W에서 레이저광 (665nm)을 사용하여 조명하였다. 피. 아에루기노사는 그램 음성 세균으로서 이는 궤양 및 화상 상처의 감염을 포함하는 다수의 피부 질환과 일반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도면은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가 이러한 세균을 극히 효율적으로 광역학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0.1 W에서 레이저광 (665nm)을 사용한 단지 2분 동안의 조명으로, 99% 이상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반면, 조명 시간을 10분으로 증가하면, 약 4 로그의 세포 사멸을 초래한다. 대조군의 연구는 10μM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를 사용하고 광민감제의 부재하에 조명 단독으로 인한 세포 수에서의 감소는 전혀 없음을 나타내었다.
도 14는 10μM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지늄으로 항온배양시킨 후,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0.1W에서 레이저 광 (665 nm)을 사용하여 조명하였다. 에스. 아우레우스는 두꺼운 외부 펩티도글리칸 층을 갖고 외부 지질다당류는 전혀 없다는 점에서 그램 음성 세균과 상이한 그램 양성 세균이다. 세균 구조는 거의 모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에 내성인 MRSA(메티실린 내성 에스. 아우레우스)에서와 동일하다. 데이터는 단지 1분의 조명후에 약 99%의 세균이 비활성화되고 10분 후에 약 5 log의 세포 사멸을 나타내는데, 이는 그램 양성 세균에 대한 테트라-n-부틸 유도체의 매우 높은 광활성을 예시하는 것이다.
광민감제가 또한 항생제 내성 형태 MRSA에 대해 또한 활성인지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건강 및 산업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도 15는 0.1W에서 665nm 레이저 광을 사용하여 조명하고 10μM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로 항온배양시킨 후의 MRSA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데이터는 이러한 광민감제가 MRSA를 사멸하는데 또한 매우 광활성임을 명백히 나타낸다.
페노티아지늄 유도체의 항진균성
광속에서 진균 세포를 사멸시키는 테트라부틸 유도체의 효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광민감제를 칸디다 알비칸 세포로 항온배양시키고, 배양에 상기한 바와 같은 레이저 광을 적용시켰다. 결과는 도 16에 나타내었는데, 여기서, 이러한 진핵 세균도 또한 용이하게 파괴됨이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광민감제는 또한 많은 통상의 감염, 예를 들어 아구창에 원인이 되는 이러한 진균성 유기체에 대해 또한 매우 높은 광활성이다.
세균 세포 대 포유류 조직의 선택성
숙주 조직에 최소한의 손상이 있으면서 미생물을 파괴하는 것이 치료학적 목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를 시험하는데,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의 용액을 실험용 마우스의 귀에 적용시키고, 총 용량이 세균 또는 진균 제거를 위해 필요한 양의 약 20배가 되는 조건하에 조명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숙주 조직에 대한 가능한 효과를 귀 두께의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이는 피부에서의 광역학 반응을 탐지하기 위한 표준 모델이다. 도 17은 연장된 피부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포토프린에 상응하는 약물인 PHP의 정맥내 투여로부터 수득된 결과와 비교하여 수득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7로부터 예측대로 PHP로부터의 반응이 매우 강한 반면, 테트라-n-부틸 페노티아지늄 유도체로부터의 반응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음이 명백한데, 이는 포유류 조직이 항균 처리 동안 손상되지 않았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광표백
광표백은 광민감제로부터 탐지가능한 색상을 제거하여 이를 비활성화시키고 광 및 환원 또는 산화에 대한 이의 불안정성의 결과이다. 이러한 광표백은 가능한 적용에 따라 이점 또는 단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광표백은 라인 및 카테터의 코팅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두 세트의 실험을 수행하는데;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트립토판의 사용 및 미사용하에 하나는 고용량의 광(9.0mW/cm2)에서 다른 하나는 저용량의 광(1.3mW/cm2)에서이다. 트립토판의 사용 및 미사용하에 저용량의 광에서 흡수 스펙트럼은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의 어느 것에도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는데, 이는 이러한 용량에서 안정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고용량의 광에서 스펙트럼은 메틸렌 블루에 대해 관찰되었는데, 이는 광표백을 의미하는 것이다. 1시간 조명동안 최대 흡광도가 감소했고 파장 피크는 이동하였다. 이러한 변화가 트립토판의 사용 및 미사용하에 동일한 정도로 일어났다. 그러나, 다른 페노티아지늄 화합물의 그 어느 것도 이러한 퇴행을 나타내지 않았고 고용량의 광에서 광표백에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었다.
중합체에서의 포함 또는 중합체 표면에 결합 또는 흡착용으로 적합한 화학식 I의 페노티아지늄 화합물
(a) 중합체내에서의 포함
실시예
디클로로메탄 (10cm3)중의 셀룰로즈 트리아세테이트 (0.5 g)의 투명한 용액에 민감제 [I, X = Y = n-Bu) (0.01g)를 가하고 혼합물을 민감제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유리판에 캐스팅하고 서서히 건조시켜 투명한 청색 필름을 수득하였다. 당해 필름은 광노출시 전형적인 단일항산소 발생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필름을 함유하는 톨루엔중의 테트라페닐사이클로펜타디에논(특징적인 단일항산소 탐지제)의 통기 적색 용액을 40W 텅스턴 필라멘트 램프로부터의 광에 노출시켜 신속히 표백하였다. 필름의 부재하에 동일한 기간 동안에 조사할 경우 동일한 용액은 전혀 표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b) 중합체상의 흡착
하기 반응식에 따라 중합체 페노티아지늄 화합물 Ia 및 Ib를 제조하고 암청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이들을 질량분석법으로 특정화하였다.
화학식 Ia의 경우 R = n-Pr이고, 화학식 Ib의 경우 R = n-Bu이다.
화합물(Ia 및 Ib)은 매우 강염기여서 희석 산에 용이하게 양성자화되어 하기 화합물(IIa) 및 (IIb)를 각각 생성하는데, 이는 중합체 표면,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에 강하게 흡착할 수 있어 물 또는 용매에 의해 제거하기가 상당히 곤란하다. 또는, Ia 또는 Ib를 산성 표면에 직접 흡착시켜 이의 상응하는 양이온성 염을 직접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IIa의 경우 R = n-Pr이고, 화학식 IIb의 경우 R = n-Bu이다.
(c) 중합체 기판에 페노티아지늄 민감제의 공유 결합
유도체 Ia 및 Ib
화합물 Ia 및 Ib는 민감제 단위를 중합체에 공유 결합시키는 일종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치환 반응에서 친핵제로서 매우 반응성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하기 반응식에 예시한 바와 같이 무수물이 생성되는 반응이 일어났다:
실시예:
폴리에틸렌-그래프트-말레산 무수물(1.0g)을 가온하면서 톨루엔(25cm3)중에 용해시켰다. 민감제 Ia(0.20g)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에 1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메탄올에 붓고 침전물을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민감제-결합된 공중합체를 암청색 분말(1.1g)로서 수득하였다. 민감제의 중합체로서의 공유 결합은 클로로메탄중에 그 분말을 용해시키고 메탄올을 가하여 이를 침전시킴으로써 확인하였다. 상층액중에 청색은 전혀 잔류하지 않았다.
유사한 친핵성 치환 반응이 에스테르 그룹 함유 중합체를 사용하면, 즉 하기와 같이 일어날 것이다.
페노티아지늄 유도체 Ia 및 Ib는 또한 클로로트리아진 유도체에 매우 반응성이고, 이의 중합체로의 결합은 하기 반응식에 나타낸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에서,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경우 X = -NH-(중합체)이고,
셀룰로즈 중합체의 경우 X = -O-(중합체)이다.
또는, 이전 실시예에서의 잔류 염소를 다른 반응성 그룹으로 하기 반응식에서와 같이 대체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식에서,
X 및 Y = -NH-(중합체)이거나,
X 및 Y = -O-(중합체)이거나,
X는 아민 -NHR 또는 -NRR'일 수 있고, Y = -NH-(중합체) 또는 -O-(중합체)이다.
이들이 페노티아지늄 유도체를 중합체에 결합시키는 유일한 방법이 아니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현존하는 중합체-그래프팅 화학을 근거로 하여 다른 방법들이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탄산나트륨(0.20g) 및 염화시아누르(0.30g)를 무수 아세톤(170cm3)중의 민감제 Ia(0.26g) 용액에 실온에서 가하고, 혼합물을 15분동안 교반하였다. 투명 셀룰로즈 필름(2.2g) 하나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M; 500cm3)에 10분동안 함침시킨 다음 세척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이를 민감제 용액에 도입하고 교반 혼합물을 50℃에서 15분동안 가열하였다. 물(200ml)을 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30분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청색 셀룰로즈 필름을 제거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탄산나트륨 용액(6%)에서 가열하여 미고정 염료를 제거하였다. 셀룰로즈로의 공유 결합은 비등 탄산나트륨 용액 또는 비등 메탄올중에서 필름을 가열함으로서 확인하였는데, 이때 청색은 전혀 제거되지 않았다. 필름은 광노출시 전형적인 단일항산소 발생 특성을 나타내었고, 톨루엔중의 테트라페닐사이틀로펜타디에논의 공기포화 용액에 함침시키고 40W 텅스텐 필라멘트 램프로부터의 광에 노출시킬 경우, 적색 디에논이 필름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동일한 용액보다 더 신속하게 표백되었다.
문헌참조
Wainwright M, Phoenix DA, Laycock SL, Wareing DRA, Wright PA. (1998).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의 메티실린-내성 균주에 대한 페노티아지늄 염료의 광항균 활성. FEMS Microbiology Letters 160,177-181.
Wagner SJ, Skripchenko A, Robinette D, Foley JW, Cincotta L (1998). 일련의 페노티아진 염료에 의해 바이러스 광비활성화에 영항을 미치는 인자.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67, 343-349.
표 2. 페노티아진의 화학적 특성 및 RIF-1 마우스 섬유육종 세포에서의 광독성, 어둠 독성, 세포 흡수 및 세포이하 국소화
R 단일항산소 발생1 PDT LD50(uM)2 비율 어둠:PDT LD50 2 PDTLD50에서의 흡수(nmol/mg 단백질)3 초기 국소화4 재국소화 + 광4 LogP
메틸 47 54 3 >4.6 리소솜 -1.0
에틸 42 3.9 27 2.9 리소솜 리소솜 +0.2
프로필 40 0.42 19 0.9 리소솜 미토콘드리아 +1.1
부틸 41 1.1 7 3.1 리소솜 미토콘드리아 +1.1
펜틸 39 0.74 10 1.6 리소솜 미토콘드리아 +1.7
헥실 35 2.1 4 1.6 리소솜 미토콘드리아 +1.3
190% DMF : 10% 물 중의 페노티아진 화합물 100mg/ml를 사용하고 적색광 조명 10분 후의 1,3-디페닐이소벤조푸란의 % 광산화.
2세포를 2시간동안 페노티아진으로 항온배양시켰다. 광독성 측정용으로 세포에 3J/cm2665nm 백색광으로 조명하였다. 어둠 독성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을 MTT 검정을 사용하여 24시간후에 평가하였다.
3세포를 2시간동안 페노티아진 화합물로 항온배양시켰다. 세포를 2% SDS에가용화시키고 페노티아진 수준을 형광으로 측정하였다.
4세포를 2시간동안 페노티아진의 PDT LD50으로 항온배양시키고 630nm 광으로 조면 10분동안 및 전에 형광 이미지를 포획하였다.
표 3. 사람 종양 세포주에서의 페노티아진의 광독성 및 어둠 독성
R OE331 SiHa2 HT13763 HT294
메틸-PDT LD50(uM)-비율 어둠:PDT LD50 43.5±1.82.0 18.7±1.01.0 37.9±10.11.6 88.5±6.11.5
프로필-PDT LD50(uM)-비율 어둠:PDT LD50 0.30±0.0911 0.075±0.01580 0.20±0.1313 0.22±0.0418
부틸-PDT LD50(uM)-비율 어둠:PDT LD50 0.28±0.0618
펜틸-PDT LD50(uM)-비율 어둠:PDT LD50 0.29±0.0611 0.75±0.226 1.49±0.414
1식도 생암종
2자궁경부 편평세포 암종
3방광 전이성 세포암종
4결장생암종
세포를 2시간동안 페노티아진으로 항온배양시켰다. 광독성 측정용으로 세포에 3J/cm2(10mW/cm2)665nm 광으로 조명하였다. 어둠 독성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을 설포르호드아민 B(SRB) 검정을 사용하여 48시간후에 평가하였다.

Claims (30)

  1. 화학식 (I)의 페노티아지늄 화합물:
    상기 식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이고, 여기서, Z는 CH2, O, S, SO2, NH, NCH3, NC2H5, NCH2CH2OH 또는 NCOCH3이고,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형 CnH2nY(여기서, n은 1 내지 6이고, Y는 H, F, Cl, Br, I, OH, OCH3, OC2H5, OC3H7, CN 또는 OCOCH3이다)이고,
    Xp-는 상대음이온이고, P는 1, 2 또는 3이나,
    A와 B 둘 모두가 -N(CH3)2이거나 -N(CH2CH3)2인 화합물은 제외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대음이온이 Cl-, Br-, I-, F-, N03 -, HSO4 -, CH3CO2 -, 또는 이가음이온, 즉 S04 2-또는 HP04 2-, 또는 삼가음이온, 즉 PO4 3-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A와 B가 동일하며, R1과 R2둘 모두가 n-프로필, n-부틸 또는 n-펜틸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미생물에 대해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5. 세균에 대해 사용하기 위한 제 4항에 따른 화합물.
  6.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해 사용하기 위한 제 4항 또는 제 5항에 따른 화합물.
  7. PDT제 또는 광진단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8.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9. 피부 및 다른 국소 감염의 항균 처리제, 화상 상처 및 다른 환부의 멸균제, 및 치아 세균 질환의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10. 전암성 질환, 암, 각막 질환을 포함하는 안 질환, 심혈관 질환과 같은 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재협착증, 자가면역 질환 예컨대, 류마티스 관절염, 피부 질환 예컨대, 건선, 여드름 및 엑세마(excema), 및 기타 양성 질환(benign condition) 예컨대, 자궁내막증 및 월경과다를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11. 표면 및 유체 멸균을 위한 광활성화된 항균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12. 광화학 내면화에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13. 광검파 및/또는 광진단에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14. 제 1항 내지 제 1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과 중합체간에 형성된 컨쥬게이트 또는 복합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무수물 및/또는 에스테르 그룹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또는 복합물.
  16. 제 1항 내지 제 1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과 클로로트리아진 유도체간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화합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클로로트리아진 유도체가 클로로트리아진 그룹이 부착된 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8.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제 1항 내지 제 17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컨쥬게이트 또는 복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9. 전암성 질환, 암, 각막 질환을 포함하는 안 질환, 심혈관 질환과 같은 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재협착증, 자가면역 질환 예컨대, 류마티스 관절염, 피부 질환 예컨대, 건선, 여드름 및 엑세마, 및 기타 양성 질환 에컨대, 자궁내막증 및 월경과다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1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시험체에 투여하고, 시험체를 광에 노출시켜 화합물을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투여된 화합물이, R1및 R2가 n-프로필인 제 3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이며, 광노출이 약물 투여 시점으로부터 10분 이하 동안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광노출이 약물 투여 후 1분 동안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광노출이 약물 투여 시점에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투여된 화합물이, R1및 R2가 n-펜틸인 제 4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이며, 광노출이 약물 투여 시점으로부터 1시간 이하 동안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미생물 감염, 화상 상처 및 다른 환부, 및 치아 세균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치료할 부위로 도포하고, 이 부위를 광에 노출시켜 화합물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투여된 화합물이, R1및 R2가 n-부틸인 제 5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표면 또는 유체에 도포하고, 광에 의해 화합물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표면 또는 유체를 멸균시키는 방법.
  27.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컨쥬게이트 또는 복합물이 부착된 하나 이상의 표면을 갖는 물품.
  28. 제 27항에 있어서, 부착이 공유결합 또는 분자간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29. 제 27항 또는 제 28항에 있어서, 의료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30. 제 27항 또는 제 28항에 있어서, 식품 산업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KR10-2003-7015653A 2001-05-30 2002-05-30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 KR200400157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113121.8 2001-05-30
GBGB0113121.8A GB0113121D0 (en) 2001-05-30 2001-05-30 Biologically active photosensitisers
GBGB0123945.8A GB0123945D0 (en) 2001-05-30 2001-10-05 Biologically active photosensitisers
GB0123945.8 2001-10-05
PCT/GB2002/002278 WO2002096896A1 (en) 2001-05-30 2002-05-30 Biologically active methylene blue derivativ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876A Division KR100957260B1 (ko) 2001-05-30 2002-05-30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
KR1020097011462A Division KR20090061684A (ko) 2001-05-30 2002-05-30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723A true KR20040015723A (ko) 2004-02-19

Family

ID=262461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876A KR100957260B1 (ko) 2001-05-30 2002-05-30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
KR1020097011462A KR20090061684A (ko) 2001-05-30 2002-05-30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
KR10-2003-7015653A KR20040015723A (ko) 2001-05-30 2002-05-30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876A KR100957260B1 (ko) 2001-05-30 2002-05-30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
KR1020097011462A KR20090061684A (ko) 2001-05-30 2002-05-30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6) US7371744B2 (ko)
EP (3) EP1392666B1 (ko)
JP (2) JP4554198B2 (ko)
KR (3) KR100957260B1 (ko)
CN (2) CN101928262A (ko)
AT (1) ATE355282T1 (ko)
AU (1) AU2002256784B2 (ko)
BR (1) BR0209783A (ko)
CA (1) CA2448303C (ko)
CY (1) CY1108091T1 (ko)
DE (1) DE60218454T2 (ko)
DK (1) DK1392666T3 (ko)
ES (1) ES2280533T3 (ko)
GB (2) GB0113121D0 (ko)
HK (1) HK1063788A1 (ko)
MX (1) MXPA03010916A (ko)
NO (1) NO324321B1 (ko)
NZ (1) NZ529682A (ko)
PT (1) PT1392666E (ko)
WO (1) WO2002096896A1 (ko)
ZA (1) ZA2003092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7260B1 (en) 1998-11-30 2005-05-03 Light Bioscie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ne treatment
US6283956B1 (en) 1998-11-30 2001-09-04 David H. McDaniels Reduction, elimination, or stimulation of hair growth
US9192780B2 (en) 1998-11-30 2015-11-24 L'oreal Low intensity light therapy for treatment of retinal, macular, and visual pathway disorders
US20060212025A1 (en) * 1998-11-30 2006-09-21 Light Bioscie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ne treatment
GB0113121D0 (en) 2001-05-30 2001-07-18 Univ Leeds Biologically active photosensitisers
US7368221B2 (en) * 2002-06-17 2008-05-06 Verification Technologies, Inc. Changing light absorption by disruption of conjugation
KR20060041161A (ko) 2003-04-10 2006-05-11 라이트 바이오사이언스, 엘엘씨 세포 증식 및 유전자 발현의 조절을 위한 광조절 방법 및광조절 장치
CN101247768A (zh) 2003-07-31 2008-08-20 莱特生物科学有限公司 用于光动力学治疗烧伤、创伤和相关皮肤病的系统和方法
US20050053895A1 (en) 2003-09-09 2005-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ttention: Chief Patent Counsel Illuminated electric toothbrushes emitting high luminous intensity toothbrush
GB0322756D0 (en) * 2003-09-29 2003-10-29 Univ Aberdeen Methods of chemical synthesis
AU2004295148A1 (en) * 2003-11-28 2005-06-16 Photopharmica Limited Developments in biologically active methylene blue derivatives (2)
US7326258B2 (en) 2004-06-18 2008-02-05 L'oreal S.A.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xyalkyl direct dyes,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uses thereof
BRPI0503921A (pt) * 2004-06-18 2006-07-18 Oreal composição cosmética, processos para tintura das fibras queratìnicas, processo para clareamento das fibras queratìnicas, dispositivo com múltiplos compartimentos, uso de composto hidroxialquilado e uso de uma composição de tintura
US8240312B2 (en) 2004-09-09 2012-08-14 Osnat Feuerstein Method and means for exerting a phototoxic effect of visible light on microorganisms
WO2006034219A2 (en) * 2004-09-17 2006-03-3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with multidrug resistance inhibitors and phenothiaziniums
GB0420893D0 (en) * 2004-09-20 2004-10-20 Photopharmica Ltd Photosensitisers and their uses
GB0420888D0 (en) * 2004-09-20 2004-10-20 Photopharmica Ltd Compounds and uses
DK1799662T3 (da) 2004-09-23 2013-07-15 Wista Lab Ltd Fremgangsmåder til kemisk syntese og oprensning af diaminophenothiaziniumforbindelser, herunder methylthioniniumchlorid (MTC)
US7790881B2 (en) * 2004-09-23 2010-09-07 Wista Laboratories Ltd. Methods of chemical synthesis and purification of diaminophenothiazinium compounds including methylthioninium chloride (MTC)
WO2006036885A2 (en) * 2004-09-24 2006-04-06 Verification Technologies, Inc. Changing light absorption by disruption of conjugation
US7101997B2 (en) * 2004-10-07 2006-09-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producing phenothiazinium compounds
US20060222592A1 (en) * 2005-04-05 2006-10-05 Clemens Burda Nanop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nanoparticles for electronic and non-electronic applications
GB0602125D0 (en) * 2006-02-03 2006-03-15 Univ Belfast Sensitizer-incorporated biomaterials
EP2012877B1 (en) 2006-04-28 2012-08-29 Ondine International Holdings Ltd. Photodisinfection delivery devices
JP5350237B2 (ja) 2006-07-11 2013-11-27 ウイスタ・ラボラトリーズ・リミテッド ジアミノフェノチアジニウム化合物の合成および/または精製の方法
US20080139991A1 (en) * 2006-12-08 2008-06-12 Ondine International, Ltd. Method of wound disinfecting and tissue welding
WO2008124550A1 (en) * 2007-04-03 2008-10-16 Prosetta Corporation Phenothiazin derivatives for antiviral treatments
EP2136797A4 (en) * 2007-04-17 2013-08-21 Codman & Shurtleff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CURCUMINE IN A HELIUM GAS BOLUS FOR THE TREATMENT OF MORBUS ALZHEIMER
US8383865B2 (en) * 2007-04-17 2013-02-26 Codman & Shurtleff, Inc. Curcumin derivatives
US20080269205A1 (en) * 2007-04-27 2008-10-30 Ondine International, Ltd. Methods to prevent vertical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US20090035725A1 (en) * 2007-08-02 2009-02-05 Ondine International, Ltd. Photodisinfection of oral cavity
US20090093470A1 (en) * 2007-10-08 2009-04-09 Ondine International, Ltd. Photodynamic therapy process and photosensitizer compositions therefor
ES2689302T3 (es) * 2008-02-13 2018-11-13 Andreas Rose Dispositivo de suministro de luz que proporciona un patrón radial de emisión de luz
US7985776B2 (en) 2008-06-27 2011-07-26 Codman & Shurtleff, Inc. Iontophoretic delivery of curcumin and curcumin analogs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JP2011529898A (ja) 2008-08-01 2011-12-15 オンディーヌ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Mrsaの治療用の組成物および方法
WO2010036617A1 (en) * 2008-09-23 2010-04-01 Ondine International Holdings Ltd. Portable photodynamic disinfection light delivery device for catheter disinfection
US20110020392A1 (en) * 2008-10-14 2011-01-27 Salubrious Pharmaceutical, Llc Process for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tremors/parkinson's disease, multiple sclerosis and non-viral based cancers
US7723515B1 (en) * 2009-01-26 2010-05-25 Codman & Shurtleff, Inc. Methylene blue—curcumin analog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US20100286585A1 (en) * 2009-01-26 2010-11-11 Codman & Shurtleff, Inc. Shunt Delivery of Curcumin
US20100256125A1 (en) * 2009-04-06 2010-10-07 Zila Pharmaceuticals, Inc. Use of improved toluidine blue in photodynamic therapy
WO2011112478A1 (en) * 2010-03-08 2011-09-15 Novartis Ag Active oxygen disinfection system and use thereof
SG185094A1 (en) * 2010-04-30 2012-12-28 Prostetta Antiviral Inc Antiviral compounds
US8828986B2 (en) 2011-04-20 2014-09-09 Prosetta Antiviral Inc. Antiviral compounds
US8579964B2 (en) 2010-05-05 2013-11-12 Neovasc Inc.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US8759336B2 (en) 2011-03-17 2014-06-24 Prosetta Antiviral Inc. Antiviral compounds
US20120301904A1 (en) 2011-04-26 2012-11-29 Prosetta Antiviral, Inc Multiprotein assemblies
US9554897B2 (en) 2011-04-28 2017-01-31 Neovasc Tiar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gaging a valve prosthesis with tissue
US9308087B2 (en) 2011-04-28 2016-04-12 Neovasc Tiara Inc. Sequentially deployed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CA2851344C (en) * 2011-09-05 2017-10-03 Hiroshi Maeda Polymer-type fluorescent molecule probe
US9345573B2 (en) 2012-05-30 2016-05-24 Neovasc Tiar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loading a prosthesis onto a delivery system
CA2891291A1 (en) 2012-11-12 2014-05-15 Moontun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a live event to users using the internet
US9572665B2 (en) 2013-04-04 2017-02-21 Neovasc Tiar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prosthetic valve to a beating heart
WO2016069556A2 (en) 2014-10-29 2016-05-06 University Of Maryland Methods of treating age-related symptoms in mammals and compositions therefor
KR20170077153A (ko) * 2014-10-31 2017-07-05 클록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광활성 섬유 및 직물 매질
DK3277363T3 (da) * 2015-03-30 2019-09-30 Taris Biomedical Llc Indretninger til lokal tilførsel af lægemiddel til de øvre urinveje
CN106901871B (zh) * 2015-12-23 2021-08-24 爱博诺德(北京)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一个或多个附加部分的人工晶状体
CN108882981B (zh) 2016-01-29 2021-08-10 内奥瓦斯克迪亚拉公司 用于防止流出阻塞的假体瓣膜
US10189862B2 (en) 2016-06-14 2019-01-29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henothiazine-pyridi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AU2017361296B2 (en) 2016-11-21 2022-09-29 Neovasc Tiar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apid retraction of a transcatheter heart valve delivery system
WO2018126107A1 (en) * 2016-12-29 2018-07-0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ylene blue solution for the treatment of oral lesions
KR101988240B1 (ko) * 2017-02-27 2019-06-12 주식회사 디알나노 피부질환에 사용되는 메틸렌 블루 복합체 및 이의 용도
US20200230238A1 (en) * 2017-08-08 2020-07-23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Tunable luminescent organic salts for enhanced imaging and photodynamic therapy
CN111263622A (zh) 2017-08-25 2020-06-09 内奥瓦斯克迪亚拉公司 顺序展开的经导管二尖瓣假体
CA3118599A1 (en) 2018-11-08 2020-05-14 Neovasc Tiara Inc. Ventricular deployment of a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US11510876B2 (en) 2019-03-29 2022-11-29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 vivo targeting of extracellular vesicles
AU2020256195B2 (en) 2019-04-01 2022-10-13 Neovasc Tiara Inc. Controllably deployable prosthetic valve
US11491006B2 (en) 2019-04-10 2022-11-08 Neovasc Tiara Inc. Prosthetic valve with natural blood flow
US11779742B2 (en) 2019-05-20 2023-10-10 Neovasc Tiara Inc. Introducer with hemostasis mechanism
US11311376B2 (en) 2019-06-20 2022-04-26 Neovase Tiara Inc. Low profile prosthetic mitral valve
WO2023186737A1 (en) 2022-04-01 2023-10-05 Lllt Technologies Sa Photodynamic light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oral disease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9339A (en) * 1967-05-23 1971-05-18 Du Pont Photopolymerizable dispersions and elements containing nonmigratory photoreducible dyes
US3641016A (en) * 1968-02-16 1972-02-08 Egyt Gyogyszervegyeszeti Gyar Thionine derivatives
US4001587A (en) * 1975-10-24 1977-01-04 Panchenkov Georgy Mitrofanovic Color indicator-dosimeter of ionizing radiation
JPS6020740B2 (ja) * 1976-07-14 1985-05-23 株式会社リコー カラ−像形成用感光材料
EP0128414A3 (en) 1983-06-06 1986-09-10 The Hilton - Davis Chemical Company Method of sanitizing toilets
US4622395A (en) * 1984-10-01 1986-11-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henoxazine and phenothiazine dyes and leuco forms thereof
DE3644369A1 (de) * 1986-12-24 1988-07-07 Basf Ag Verfahren zur uebertragung von kationischen farbstoffen in ihrer deprotonierten, elektrisch neutralen form
JPS63187154A (ja) 1987-01-29 1988-08-02 Kishida Kagaku Kk 酸素検知剤
DE3710282A1 (de) * 1987-03-28 1988-10-13 Hoechst Ag Photopolymerisierbares gemisch und daraus hergestelltes aufzeichnungsmaterial
US4844896A (en) 1987-11-02 1989-07-04 Lim Technology Laboratories, Inc. Microencapsulated insecticidal pathogens
JP2879080B2 (ja) * 1989-03-23 1999-04-05 株式会社リコー 電界発光素子
US5270144A (en) 1989-07-10 1993-12-14 Tomoegawa Paper Co., Ltd. Toner for developing static charge images
AU7954691A (en) * 1990-05-01 1991-11-27 American National Red Cross, The Decontamination of whole blood and cellular components by phenthiazin-5-ium-dyes plus light
US5545516A (en) 1990-05-01 1996-08-13 The American National Red Cross Inactivation of extracellular enveloped viruses in blood and blood components by phenthiazin-5-ium dyes plus light
US5220009A (en) * 1990-05-03 1993-06-15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Limited Phenothiazinium salts and their use for disinfecting aqueous effluents
JPH05170752A (ja) * 1991-04-26 1993-07-09 Takeda Chem Ind Ltd 3,7−ビス(ジ置換アミノ)フェノチアジ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US5344928A (en) * 1991-04-26 1994-09-06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henothiazine derivatives, their production and use
US5358876A (en) * 1991-07-17 1994-10-2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Oxygen indicator
US5239405A (en) * 1991-09-06 1993-08-24 Donnelly Corporation Electrochemichromic solutions, processes for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and devices manufactured with the same
ATE159661T1 (de) * 1992-04-30 1997-11-15 Eastman Dental Inst Medikament zur desinfektion der mundhöhle
JP3690825B2 (ja) * 1993-07-26 2005-08-31 エーザイ株式会社 三環式ヘテロ環含有スルホンアミドおよびスルホン酸エステル誘導体
US5635059A (en) * 1994-10-20 1997-06-03 Aqua-Io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and purification using gas ion plasma source and disinfectant metal ion complexes
GB9506197D0 (en) 1995-03-27 1995-05-17 Hoffmann La Roche Inhibition of tau-tau association.
JPH08305026A (ja) * 1995-05-12 1996-11-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方法
US5882627A (en) * 1996-01-16 1999-03-16 Zila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vivo detection of oral cancers precancerous conditions
DE19640758C2 (de) 1996-10-02 1999-11-04 Rafael Lachky Mittel zur Behandlung von Diskusfischen
AU740547B2 (en) * 1997-01-21 2001-11-08 American National Red Cross, The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decontamination of whole blood and blood components by amphiphilic phenothiazin-5-ium dyes plus light
US20040055965A1 (en) * 1997-06-13 2004-03-25 Hubig Stephan M. Recreational water treatment employing singlet oxygen
US6251127B1 (en) * 1997-08-25 2001-06-26 Advanced Photodynamic Technologies, Inc. Dye treatment solution and photodynamic therapy and method of using same
US5811471A (en) * 1997-09-15 1998-09-22 Shanbrom Technologies Llc Disinfectant plastic sponge material
DE19750303A1 (de) 1997-11-13 1999-05-20 Henkel Kgaa Verwendung von alkylierten Phenothiazinen zum Färben von keratinhaltigen Fasern
US7229447B1 (en) * 1998-08-25 2007-06-12 Advanced Photodynamics Technologies, Inc. Photodynamic therapy utilizing a solution of photosensitizing compound and surfactant
US6562295B1 (en) * 1999-06-30 2003-05-13 Ceramoptec Industries, Inc. Bacteria resistant medical devices
JP2001124699A (ja) 1999-10-28 2001-05-11 Miura Co Ltd 溶存酸素濃度測定用指示薬
EP1263465B9 (en) * 2000-02-26 2012-12-05 Advanced Photodynamic Technologies, Inc. Photodynamic cellular organism eradication using a photosensitive material and surfactant
AU2001244549A1 (en) 2000-03-22 2001-10-03 Bf Research Institute, Inc. Azure a analogues useful as probes in the diagnostic imaging for diseases due toaccumulation of amyloid and compositions for diagnostic imaging containing the analogues
CA2408332C (en) * 2000-05-08 2011-02-15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Supports for photosensitizer formulations
US6551346B2 (en) * 2000-05-17 2003-04-22 Kent Crossley Method and apparatus to prevent infections
FR2810318B1 (fr) * 2000-06-15 2005-09-23 Laurent Galey Derives de diamano-phenothiazine
WO2002089750A2 (en) * 2001-01-19 2002-11-14 Advanced Photodynamic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photodynamic eradication of organisms utilizing pyrrolnitrin
GB2373787A (en) 2001-03-08 2002-10-02 Univ Central Lancashire Phenothiazinium derivatives and their use to reduce pathogenic contaminants
GB0106953D0 (en) * 2001-03-20 2001-05-09 Univ Aberdeen Neufofibrillary labels
GB0113121D0 (en) 2001-05-30 2001-07-18 Univ Leeds Biologically active photosensitisers
JP2004535202A (ja) * 2001-07-17 2004-11-25 リサーチ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ファンデーション アポトーシス促進性蛋白質を含む治療剤
US6551171B1 (en) * 2002-01-24 2003-04-22 Brian Hass Brassiere with detachable uniform pressure assembly
US7176308B2 (en) * 2002-06-17 2007-02-13 Verification Technologies, Inc. Processes for preparing novel methylene blue derivative
US6952392B2 (en) * 2002-06-17 2005-10-04 Verification Technologies, Inc. Laser reactive dyes for DVD copy protection system
GB0420888D0 (en) * 2004-09-20 2004-10-20 Photopharmica Ltd Compounds and uses
US7220879B2 (en) * 2004-10-01 2007-05-22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for inhibiting polymerization of (meth)acrylic acid and its esters using an inhibitor and a process for making a compound useful as such an inhib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12219A1 (en) 2008-12-18
ZA200309215B (en) 2005-05-25
WO2002096896A1 (en) 2002-12-05
NO324321B1 (no) 2007-09-24
BR0209783A (pt) 2004-04-20
EP1392666A1 (en) 2004-03-03
GB0113121D0 (en) 2001-07-18
EP1392666B1 (en) 2007-02-28
EP2275416A1 (en) 2011-01-19
US7915254B2 (en) 2011-03-29
AU2002256784B2 (en) 2007-07-12
CA2448303C (en) 2010-07-13
DE60218454D1 (de) 2007-04-12
CN1551872A (zh) 2004-12-01
US20080268033A1 (en) 2008-10-30
US7732439B2 (en) 2010-06-08
CN101928262A (zh) 2010-12-29
CY1108091T1 (el) 2014-02-12
US8188074B2 (en) 2012-05-29
US20040147508A1 (en) 2004-07-29
KR20090010141A (ko) 2009-01-28
JP2005500271A (ja) 2005-01-06
ATE355282T1 (de) 2006-03-15
EP1790642A1 (en) 2007-05-30
CN100491362C (zh) 2009-05-27
MXPA03010916A (es) 2004-10-28
US20080261960A1 (en) 2008-10-23
DE60218454T2 (de) 2007-12-27
DK1392666T3 (da) 2007-05-07
KR100957260B1 (ko) 2010-05-12
JP2009280588A (ja) 2009-12-03
CA2448303A1 (en) 2002-12-05
JP4554198B2 (ja) 2010-09-29
HK1063788A1 (en) 2005-01-14
US7371744B2 (en) 2008-05-13
PT1392666E (pt) 2007-04-30
US20120302557A1 (en) 2012-11-29
US20080275033A1 (en) 2008-11-06
ES2280533T3 (es) 2007-09-16
US7855197B2 (en) 2010-12-21
NZ529682A (en) 2006-03-31
KR20090061684A (ko) 2009-06-16
GB0123945D0 (en) 2001-11-28
NO20035327D0 (n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260B1 (ko)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
AU2002256784A1 (en) Biologically active methylene blue derivatives
Craig et al. Photosensitisers–the progression from photodynamic therapy to anti-infective surfaces
KR20060111536A (ko) 생물학적 활성 메틸렌 블루 유도체(2)의 개발
US6107326A (en) Porphycenes for treatment of microbial populations
WO2006032848A1 (en) Photosensitisers and their uses
ZA200604309B (en) Developments in biologically active methylene blue derivatives (2)
AU2007221946B2 (en) Biologically active methylene blue derivatives
Craig et al. Light-Triggered Anti-Infective Surfaces
McCoy et al. Photodynamic Antimicrobial Polymers
Iqbal Photodynamic Inactivation of Resistant Bacterial Strains Using Laser Activated Photosensitizer
MXPA06005792A (en) Developments in biologically active methylene blue derivatives (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