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214A - 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214A
KR20040014214A KR1020030050902A KR20030050902A KR20040014214A KR 20040014214 A KR20040014214 A KR 20040014214A KR 1020030050902 A KR1020030050902 A KR 1020030050902A KR 20030050902 A KR20030050902 A KR 20030050902A KR 20040014214 A KR20040014214 A KR 20040014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re
positioning
base member
shield plate
positio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베마사또미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2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1272Assembling or shaping of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0Structure or manufacture of housings or shields for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0Structure or manufacture of housings or shields for heads
    • G11B5/105Mounting of head within housing or assembling of head and hou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0Structure or manufacture of housings or shields for heads
    • G11B5/11Shielding of head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G11B5/112Manufacture of shield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187Structure or manufacture of the surface of the head in physical contact with, or immediately adjacent to the recording medium; Pole pieces; Gap features
    • G11B5/1871Shaping or contouring of the transducing or guiding surfa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187Structure or manufacture of the surface of the head in physical contact with, or immediately adjacent to the recording medium; Pole pieces; Gap features
    • G11B5/23Gap features
    • G11B5/232Manufacture of ga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29Structure or manufacture of unitary devices formed of plural heads for more than one track
    • G11B5/295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기헤드는, 베이스부재에는 자기코어반체의 배부 (背部) 를 삽입하는 구멍 형상 또는 홀 형상의 제 1 위치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를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자기코어반체를 베이스부재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MAGNETIC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기헤드 및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용 2 채널 녹음ㆍ재생형 자기헤드의 일례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C자형 자성체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2 개의 자기코어반체 (100,101) 를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 (102) 에 장착하고, 이 베이스부재 (102) 1 쌍을 실드케이스 (105) 에 수납하여 이루어진 자기헤드 (106) 가 알려져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 (102) 에는 원형 돌기부 (108,109) 가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부재 (102) 의 가장자리부측에 절곡 형성된 걸림부재 (110,111) 사이의 간극부 (113) 에 상기 자기코어반체 (100,101) 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실드판 (112) 이 끼인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즉, 일측 돌기부 (108) 와 걸림부재 (110) 사이에끼여 자기코어반체 (100) 가 설치되고, 타측 돌기부 (109) 와 타측 걸림부재 (111) 사이에 끼여 자기코어반체 (101) 가 설치되며, 이들 자기코어반체 (100,101) 사이와 상기 돌기부 (108,109) 사이에 각각 끼인 상태로 실드판 (112)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자기코어반체 (100,101) 의 선단부와 실드판 (112) 의 선단부가 베이스부재 (102) 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실드케이스 (105) 에 형성된 창부 (115) 로부터 약간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1에는 생략되어 있는데, 실드케이스 (105) 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재 (102) 와 동일한 형태의 상이한 베이스부재가 수납되고, 이 베이스부재에도 상기 자기코어반체 (100,101) 및 실드판 (112) 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자기코어반체 및 실드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 11에 나타낸 일측 자기코어반체 (100) 와 그에 대향하는 도시하지 않은 자기코어반체가 세트를 이루면서 하나의 자기코어가 구성되고, 타측 자기코어반체 (101) 와 그에 대향하는 도시하지 않은 자기코어반체가 세트를 이루면서 또 하나의 자기코어가 구성되어 2 채널 녹ㆍ재형 자기헤드 (106) 로 된다.
그러나, 도 11에 부호 S로 나타낸 라인은 최종 연마라인으로, 도 11에 나타낸 상태에서 실드케이스 (105) 의 내부에 쌍을 이루는 자기코어를 장착한다면, 내부에 접착층이 될 접착수지를 주입하고 접착수지를 건조 고화시킨 후에, 최종 연마 라인 (S) 을 따라 실드케이스 (105) 의 표면과 자기코어반체 (100,101) 의 선단부 (100A,101A) 와 실드판 (112) 의 선단부 (112A) 를 필요량만큼 최종 연마 가공함으로써, 자기 갭 및 자기 테이프에 대한 매체 슬라이딩면을 규정하여 최종 제품으로서의 자기헤드를 얻도록 한다.
그러나, 도 11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베이스부재 (102) 에 자기코어반체 (100,101) 와 실드판 (112) 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종래에 베이스부재 (102) 를 수평상태로 지지한 다음, 돌기부 (108) 와 걸림부재 (110) 사이, 돌기부 (108) 와 돌기부 (109) 사이 및 돌기부 (109) 와 걸림부재 (111) 사이에 핀셋으로 자기코어반체 (100,101) 및 실드판 (112) 을 설치한 후, 이들과 베이스부재 (102) 가 맞닿는 부분에 에폭시계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접착제를 건조장치에서 150∼200℃ 정도의 온도로 몇시간 동안 가열 건조시켜 고화시키고, 접착제가 완전히 고화된 후 다음 공정의 평면 연마공정에 반송되는 순서를 취했다.
그리고, 다음 평면 연마공정에서는, 베이스부재 (102) 에 위에 고정되어 있는 C자형 자기코어반체 (100,101) 와 실드판 (112) 의 단부를 평면 연마 가공하도록 한다. 즉,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코어반체 (100,101) 를 구비한 베이스부재 (102) 를 연마장치의 정반 (120) 상에 설치하고, 그 위에서부터 원반 형상의 연마반 (121) 을 회전시키면서 하강시켜 연마반 (121) 의 하면인 연삭면 (121A) 에서 자기코어반체 (100) 의 선단부 (100a) 와 후단부 (100b) 를 필요량만큼 평면 연마시킴으로써, 자기코어반체 각 단부의 면을 가지런히 하도록 평면 연마시켰다. 이상과 같은 평면 연마 가공 후의 베이스부재 (102) 를 1 쌍 준비하여 쌍을 이루는 C자형 자기코어반체끼리를 갭부를 사이에 두고 맞댐으로써 고리 형상의 자기코어가 완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조합한 1 쌍의 베이스부재 (102,102) 를 도 11에 나타낸 실드케이스 (105) 의 내부에 삽입하여 각 자기코어를창부 (115) 를 따라서 위치 결정하고, 또한 수지계 접착제를 충전시켜 건조 고화시킴으로써, 실드케이스 (105) 의 내부에 각 자기코어를 고정시키고, 그 이후에 최종 연마시킴으로써 자기헤드를 완성시키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자기헤드의 제조공정에서는, 베이스부재 (102) 에 핀셋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자기코어반체 (100,101) 와 실드판 (112) 을 설치하고 있는데, 수작업에 의한 설치에서는 아무리 정밀하게 이들 부품을 설치하고자 하더라도, 위치 정밀도에 대한 한계가 있고 또한 단시간에 대량으로 처리할 수도 없으므로, 생산비용을 저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들 자기코어반체 (100,101) , 실드판 (112) 의 장착위치 정밀도는 자기헤드의 성능을 좌우하는 갭부의 형상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장착위치 정밀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
한편, 이런 종류의 작업을 로봇 등의 자동기계에 대용시켜 베이스부재 (102) 에 대하여 자기코어반체 (100,101) 및 실드판 (112) 등을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자기헤드는 많은 종류의 형상의 것이 단기적인 로트로 혼재되면서 제조되고 또한 형상 변경 등도 빈번히 발생하므로, 그 때마다 자동기계를 다시 만드는 것은 자동기계의 메인터넌스가 번잡해지므로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일부 해결하기 위해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코어반체 (130,131) 의 배부측 (C자형 코어의 외부 둘레측) 에 각각 볼록부 (130a,131a) 를 형성하는 동시에 실드판 (132) 의 배부측에 볼록부 (132a) 를 형성하고, 이들 볼록부 (130a∼132a) 를 끼워맞출 수 있는 슬릿 형상의 투과구멍 (135,136,137) 을 구비한 베이스부재 (138) 를 사용하고, 추가로 베이스부재 (138) 의 단부측에 이들 자기코어반체 (130,131) 와 실드판 (132) 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 (139) 를 구비한 대좌부재 (140) 를 구비함으로써, 이들 부품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도 13에 나타낸 구성을 채택한 경우, 슬릿 형상의 투과구멍 (135∼137) 에 각 볼록부 (130a∼132a) 를 끼워맞춰 고정시켰다 하더라도, 각 창부 (130a∼132a) 를 투과구멍 (135∼137) 에 끼워맞출 때의 끼워맞춤에서 기인하는 고정력은 그다지 강하지 않고 그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고정력이 불안정하므로, 추가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 고화시켜 본격적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자기코어반체 (130,131) 또는 실드판 (132) 을 투과구멍 (135∼137) 에 압입한 경우에도, 자기코어반체 (130,131) 또는 실드판 (132) 의 고정 강도가 불충분한 상태일 뿐 아니라, 자기코어반체 (130,131) 또는 실드판 (132) 에 여분의 응력을 가하여 물리적인 변형이나 자기 특성의 열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자기헤드를 구성하는 자기코어조립체를 실드케이스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자기코어조립체를 실드케이스에 수납한 상태의 자기헤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자기헤드에 구비된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자기코어반체용 위치결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위치결정부에 자기코어반체의 볼록부를 삽입 고정시킨 상태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자기헤드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에 자기코어반체와 실드판을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자기헤드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실드판용 위치결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자기헤드의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 이외의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자기헤드를 구성하는 자기코어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자기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자기헤드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드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의 종래의 자기코어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은 종래의 자기코어조립체를 연마장치로 평면 연마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자기코어조립체 이외의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자기코어반체를 베이스부재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택한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는 자기코어반체를 베이스부재에 장착하여 자기코어조립체가 구성되고, 이 자기코어조립체가 창부를 갖는 실드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이루어진 자기헤드로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를 삽입하는 구멍 형상 또는 홀 형상의 제 1 위치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를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자기헤드는 자기코어반체를 베이스부재에 장착하여 자기코어조립체가 구성되는 동시에, 이 자기코어조립체가 창부를 갖는 실드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자기코어반체의 배부가 제 1 위치결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예컨대 펀치 등으로 제 1 오목부를 형성하면,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1 오목부의 체적분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가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그 둘레 가장자리부가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를 가압하여 자기코어반체를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한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는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는 이 제 1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오목부는 상기 확장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1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는 이 제1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제 1 오목부는 확장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조립시에 제 1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자기코어반체가 도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제 1 오목부가 확장부끼리를 연결함으로써, 제 1 위치결정부와 제 1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체적이 제 1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해진다. 그래서,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1 오목부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제 1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자기코어반체측으로 거의 균등하게 이동한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가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제 1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거의 일정한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서는 상기 제 1 오목부의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벽면은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1 오목부의 제 1 위치결정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벽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 1 벽면이 경사져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1 오목부의 체적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베이스부재 표면측이 아니라 제 1 위치결정부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둘레 가장자리부의 자기코어반체측에 대한 이동량이 많아져 자기코어반체를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비교적 큰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를 보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서는 상기 제 1 오목부의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면은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1 오목부의 제 1 위치결정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면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 2 벽면은 경사져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벽면 근방의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벽면 근방의 베이스부재 표면측으로 이동하지 않는 분만큼 베이스부재 표면의 솟아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서는 하나의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기 제 1 위치결정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에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배부가 각각 삽입되어 이 자기코어반체가 장착되고, 상기 자기코어반체 사이에 실드판이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기 제 1 위치결정부 사이에는 상기 실드판의 배부가 삽입되는 구멍 형상 또는 홀 형상의 제 2 위치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상기 실드판의 배부를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2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자기헤드는 복수개의 자기코어반체를 구비하고 있고, 그 자기코어반체의 배부가 삽입되는 제 1 위치결정부가 베이스부재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 본발명의 자기헤드에서는 각 자기코어반체 사이에 배치되는 실드판의 배부가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제 2 위치결정부에 삽입된다.
여기서, 실드판의 배부가 제 2 위치결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예컨대 펀치 등으로 제 2 오목부를 형성하면, 제 2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오목부의 체적분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가 실드판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그 둘레 가장자리부가 실드판의 배부를 가압하여 실드판을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한다. 그 결과, 실드판을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서는 상기 제 2 오목부의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벽면은 경사져 있고, 상기 제 2 오목부의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면은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2 오목부의 제 2 위치결정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벽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 2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오목부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제 2 위치결정부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둘레 가장자리부의 실드판측에 대한 이동량이 많아져 실드판을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비교적 큰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실드판을 보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제 2 오목부를 제 2 위치결정부의 양측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함으로써, 실드판을 양측에서 가압할 수 있어 실드판을 더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2 오목부의 제 2 위치결정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면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 2 벽면이 경사져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벽면 근방의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실드판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실드판측으로 이동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제 2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벽면 근방의 베이스부재 표면측으로 이동하지 않는 분량만큼 베이스부재 표면의 솟아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서는 상기 제 1 오목부는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른 둘레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1 위치결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른 둘레 가장자리부 중 상기 제 1 오목부가 형성된 측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하여 자기코어반체를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한다. 이 때, 제 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제 1 위치결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른 내부 가장자리부가 코어를 수용한다. 그래서, 제 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위치결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위치결정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방향의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위치결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서는 상기 자기코어반체가 복수개의 자성판을 겹쳐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자기코어반체를 가압하여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베이스부재에는 위치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의 선단부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자기코어반체를 구성하는 자성판끼리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자기코어반체 사이에 실드판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자기코어반체와 실드판의 상대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 양자의 위치관계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서는 상기 제 1 오목부의 상기 제 1 벽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제 1 오목부의 상기 제 2 벽면의 경사각도와 비교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기헤드.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1 오목부의 제 1 벽면의 경사각도는 제 1 오목부의 제 2 벽면의 경사각도와 비교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자기코어반체와 제 1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래서, 보다 큰 체적을 갖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을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자기코어반체를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비교적 큰 힘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는 상기 제 2 오목부의 상기 제 1 벽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제 1 오목부의 상기 제 2 오목면의 경사각도와 비교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2 오목부의 제 1 벽면의 경사각도는 제 2 오목부의 제 2 벽면의 경사각도와 비교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드판과 제 2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의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래서, 보다 큰 체적을 갖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을 실드판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실드판을 높은 가압력으로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실드판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는 상기 제 1 위치결정부 또는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자기코어반체 또는 상기 실드판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는, 자기코어반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는, 실드판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드판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는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 본체부와 상기 접촉 본체부에 형성된 볼록부로 구성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에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는 베이스부재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 본체부와 접촉 본체부에 형성된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고, 자기코어반체의 볼록부가 제 1 위치결정부에 삽입되어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자기코어반체의 접촉 본체부가 베이스부재 표면에 접촉됨으로써, 자기코어반체를 그 삽입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는 베이스부재에 장착된 복수개의 자기코어반체와 이 자기코어반체 사이에 장착된 실드판으로 자기코어조립체가 구성되고, 이 자기코어조립체가 창부를 갖는 실드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이루어진 자기헤드로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실드판의 배부를 삽입하는 구멍 형상 또는 홀 형상의 제 2 위치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상기 실드판의 배부를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2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자기헤드는 자기코어반체가 베이스부재에 장착되고, 이 자기코어반체 사이에 실드판이 장착되어 자기코어반체가 구성되는 동시에, 이 자기코어조립체가 창부를 갖는 실드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드판의 배부가 제 2 위치결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예컨대 펀치 등으로 제 2 오목부를 형성하면, 제 2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오목부의 체적분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가 실드판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그 둘레 가장자리부가 실드판의 배부를 가압하여 실드판을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한다. 그 결과, 실드판을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는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는 이 제 2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오목부는 상기확장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2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는 이 제 2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제 2 오목부는 확장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조립시에 제 2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실드판이 도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실드판을 쉽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제 2 오목부가 확장부끼리를 연결함으로써, 제 2 위치결정부와 제 2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체적이 제 2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해진다. 그래서, 제 2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오목부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제 2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실드판측으로 거의 균등하게 이동한다. 그 결과, 실드판이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제 2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거의 일정한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실드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는 1 쌍의 상기 자기코어조립체가 상호의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갭부가 형성되도록 조합되고, 상기 갭부를 상기 실드케이스의 상기 창부에서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1 쌍의 자기코어조립체가 상기 실드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1 쌍의 자기코어조립체가 상호의 상기 자기코어반체와의 선단부 사이에 갭부가 형성되도록 조합되고, 갭부를 실드케이스의 창부에서 노출시킨 상태로 1 쌍의 자기코어조립체가 실드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오디오용 몇 채널 (예컨대 2 채널) 녹ㆍ재형 자기헤드에 적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오디오용 몇 채널 (예컨대 2 채널) 녹ㆍ재형 자기헤드의 자기코어반체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은 자기코어반체를 베이스부재에 장착하여 자기코어조립체가 구성되고, 이 자기코어조립체가 창부를 갖는 실드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이루어진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를 구멍 형상 또는 홀 형상의 제 1 위치결정부에 삽입하는 자기코어반체 삽입공정 및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를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1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자기코어반체 삽입공정에서 자기코어반체의 배부가 제 1 위치결정부에 삽입된다.
오목부 형성공정에서 제 1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를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1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1 오목부의 체적의 적어도 일부의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둘레 가장자리부에 의해 자기코어반체가 가압되어 자기코어반체가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되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은 상기 오목부 형성공정 전에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 이 제 1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확장부 형성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부 형성공정에서 상기 제 1 오목부에 의해 상기 확장부끼리 연결된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오목부 형성공정 전의 확장부 형성공정에서 제 1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 이 제 1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제 1 오목부에 의해 확장부끼리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 1 오목부에 의해 확장부끼리 연결됨으로써, 제 1 위치결정부와 제 1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체적이 제 1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해진다. 그래서,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1 오목부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제 1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자기코어반체측으로 거의 균등하게 이동한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가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제 1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거의 균등하게 가압되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은 베이스부재에 장착된 복수개의 자기코어반체와 이 자기코어반체 사이에 장착된 실드판으로 자기코어조립체가 구성되고, 이 자기코어조립체가 창부를 갖는 실드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이루어진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실드판의 배부를 구멍 형상 또는 홀 형상의 제 2 위치결정부에 삽입하는 실드판 삽입공정 및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상기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상기 실드판의 배부를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2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실드판 삽입공정에서 실드판의 배부가 제 2 위치결정부에 삽입된다.
오목부 형성공정에서 제 2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실드판의 배부를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2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 2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오목부의 체적의 적어도 일부의 베이스부재의 체적이 실드판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둘레 가장자리부에 의해 실드판이 가압되어 실드판이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되기 때문에, 실드판을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은 상기 오목부 형성공정 전에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 이 제 2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확장부 형성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부 형성공정에서 상기 제 2 오목부에 의해 상기 확장부끼리 연결된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오목부 형성공정 전의 확장부 형성공정에서 제 2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 이 제 2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제 2 오목부에 의해 확장부끼리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 2 오목부에 의해 확장부끼리 연결됨으로써, 제 2 위치결정부와제 2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체적이 제 2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해진다. 그래서, 제 2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오목부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제 2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실드판측으로 거의 균등하게 이동한다. 그 결과, 실드판이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제 2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하게 가압되기 때문에, 실드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은 상기 오목부 형성공정에서 상기 제 1 오목부 또는 상기 제 2 오목부는 압입공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압입공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파고 들어가는 볼록부와 상기 베이스부재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볼록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파고 들어감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 표면의 솟아오름을 억제하는 평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오목부 형성공정에서 베이스부재에 파고 들어가는 볼록부와 베이스부재 표면에 접촉되어 볼록부가 베이스부재에 파고 들어감으로써, 베이스부재 표면의 솟아오름을 억제하는 평탄부를 구비한 압입공구에 의해 제 1 오목부 또는 제 2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 때, 베이스부재에서는 압입공구의 볼록부가 베이스부재에 파고 들어감으로써, 베이스부재 내부의 체적분이 베이스부재 표면으로 솟아오르려고 하나, 상측에서부터 평탄부에서 가압되기 때문에, 베이스부재 내부의 체적분이 솟아오르지 않고 자기코어반체측 또는 실드판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 또는 실드판에 대한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베이스부재 표면의 솟아오름을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기헤드 (1) 는 소성 가공이 가능한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 (2) 에 자기코어반체 (3,4) 와 실드판 (5) 을 구비한 자기코어조립체 (K) 를 2 개 조합하여 양자를 실드케이스 (6) 에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 상기 실드케이스 (6) 는 각통 (角筒) 형의 둘레벽 (6A) 과 그 둘레벽 (6A) 의 일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형태로 형성된 앞면벽 (6B) 로 이루어지고, 금속재료의 드로잉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앞면벽 (6B) 의 일부에 창부 (6C)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과 도 2에 나타낸 자기헤드의 단면 형상은 실드케이스 (6) 의 앞면벽 (6B) 을 연마라인 (S) 을 따라 연마시켜 완성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연마라인 (S) 을 따라 앞면벽 (6B) 을 연마 가공함으로써, 자기 테이프 등의 자기매체에 대한 매체 슬라이딩면이 규정되고 갭부가 정확히 규정되어, 최종 제품으로서의 자기헤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 (2) 는 소성 가공이 가능한 황동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재로 이루어지고, 그 크기는 실드케이스 (6) 의 내부에 거의 전체를 삽입하고 그 단부를 실드케이스 (6) 의 외부로 약간 낼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이 베이스부재 (2) 의 일측 가장자리부에는 절곡 가공에 의해 걸림부재 (7,8) 가 좌우로 이간 형성되고, 걸림부재 (7,8) 간에는 자기코어반체 (3,4) 와 실드판 (5) 을 삽입통과 지지하기 위한 간극부 (9) 가 형성되며, 이 베이스부재 (2) 는 걸림부재 (7,8) 측을 실드케이스 (6) 의 안쪽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베이스부재 (2) 의 양측부 (2a) 를 실드케이스 (6) 의 내벽에 접촉시킨 상태로 실드케이스 (6) 에 수납되어 있다. 또, 실드케이스 (6) 의 내부에는 1 쌍의 자기코어조립체 (K) 를 실드케이스 (6) 내에서 임시 고정시키기 위한 스페이서 (14) 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14) 대신에 실드케이스 (6) 의 둘레벽 (6A) 면의 일부를 돌출 성형하고, 그 둘레벽 (6A) 을 볼록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 걸림부재 (7,8) 는 자기코어반체 (3,4) 를 베이스부재 (2) 에 장착했을 때에 자기코어반체 (3,4) 의 코어 선단부 (3B) 를 실드판 (5) 에 접촉시켜 자기코어반체 (3,4) 를 가압하여 자기코어반체 (3,4) 를 구성하는 자성판끼리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동시에 코어 선단부 (3B) 의 개방을 방지하는 위치규제부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라인 (S) 에서 연마되었을 때에 실드판 (5) 과 자기코어반체 (3,4) 의 상대 거리나 자기코어반체 (3,4) 의 선단부 간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높아진다.
상기 베이스부재 (2) 에서 상기 간극부 (9) 측의 부분에는, 상기 실드케이스 (6) 의 창부 (6C) 에 일단을 향하도록 슬릿 형상의 위치결정부 (10,11,12) 가 병렬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위치결정부 (10) 가 도 1에서 좌측에 위치하며 거의 도 1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창부 (6C) 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위치결정부 (11) 가 도 1에서 중앙측에 위치하며 좌측으로 약간 비스듬한 방향으로 창부 (6C) 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위치결정부 (12) 가 도 1의 우측에 위치하며 좌측으로 더 비스듬한 방향으로 창부 (6C) 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이들 슬릿 형상의 위치결정부 (10,11,12) 중심선의 연장선이 실드케이스 (6) 창부 (6C) 의 외측에서 한점에서 교차되도록 각 위치결정부 (10,11,12) 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위치결정부 (10,11,12) 는 기능적으로 거의 동일하므로, 위치결정부 (10) 를 예로 들어 다음에 상세한 형상을 설명하는데, 위치결정부 (11,12) 에서는 그 방향이나 형상이 약간 다를 뿐 기능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위치결정부 (10,11,12) 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둔다.
상기 위치결정부 (10) 는 베이스부재 (2) 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 3에 확대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짧은 변부 (15,15) 와 서로 대향하는 긴 변부 (16,16) 를 주체로 하여 이루어진 평면에서 보아 거의 직사각형 형상인 개구부로 되고, 위치결정부 (10) 의 네 모서리부에는 긴 변부 (16,16) 의 양단부에서 그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개구부를 확장하는 둥근 구멍형 확장부 (도피부: 18) 가 형성되고, 각 확장부 (18) 는 짧은 변부 (15) 의 외측에는 평면에서 보아 넓어지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위치결정부 (10) 로서 베이스부재 (2) 를 관통하는 구멍의 상태가 아니라 관통되지 않은 상태의 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위치결정부 (11,12) 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확장부 (18) 도 상기에서설명한 위치결정부 (10) 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확장부 (18) 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확장부 (18) 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둥근 형상이나,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모진 형상이거나,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 형상일 수도 있다. 특히, 둥근 형상으로 함으로써, 확장부 (18) 를 펀칭하는 경우에 버어 등이 잘 발생하지 않아 나중에 버어를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기헤드 (1) 의 제조공정이 쉬워진다.
이상 설명한 슬릿 형상의 위치결정부 (10) 에 의해 다음에 설명하는 형상을 갖는 자기코어반체 (3) 가 베이스부재 (2) 에 고정된다.
상기 자기코어반체 (3) 는 도 2에 나타낸 가늘고 긴 직사각형 판 형상의 코어 본체부 (3A) 와 이 코어 본체부 (접촉 본체부: 3A) 의 일단측에 형성된 코어 선단부 (3B) 와 상기 코어 본체부 (3A) 의 타단부측에 형성된 백 코어부 (3C) 를 구비하는 대략 C자형으로 되고, 코어 본체부 (3A) 의 배부측 (C자형 자기코어반체 (3) 의 외부 둘레측) 에는 평면부 (3D) 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평면부 (3D) 의 중앙측에 볼록부 (3E)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 (3E) 의 길이, 즉 돌출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재 (2) 의 판두께보다 약간 짧은 길이로 되고, 볼록부 (3E) 의 두께, 바꿔 말하면 자기코어반체 (3) 의 두께는 상기 위치결정부 (10) 의 대향하는 긴 변부 (16,16) 끼리의 간격과 거의 동일한 값으로 되고, 상기 코어 본체부 (3A) 의 길이방향을 따른 볼록부 (3E) 의 세로폭은 상기 위치결정부 (10) 의 대향하는 짧은 변부 (15,15) 사이의 간격과 거의 동일한 값으로 되며, 볼록부 (3E) 를 상기 위치결정부 (10) 에 조밀하게 삽입하거나 느슨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볼록부 (3E) 의 두께를 상기 위치결정부 (10) 의 긴 변부 (16,16) 끼리의 간격보다 약간 작게 설정하고, 볼록부 (3E) 의 세로폭을 상기 위치결정부 (10) 의 짧은 변부 (15,15)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작게 하여 볼록부 (3E) 로 위치결정부 (10) 에 느슨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자기코어반체 (3) 는 NiFe 등의 자성재료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형상을 갖는 6개의 0.1㎜ 두께 정도의 박판 형상의 자성판 (3a) 을 서로 에폭시계 등의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고정시켜 이루어진 적층 구조로 되어 있는데, 물론 두꺼운 자성체 1개의 코어반체여도 상관없다.
상기 자기코어반체 (4) 는 기본적으로는 자기코어반체 (3) 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코어 본체부 (4A) 와 코어 선단부 (4B) 와 백 코어부 (4C) 와 평탄부 (4D) 와 볼록부 (4E) 로 이루어진 대략 C자형으로 되고, 6개의 자성판 (4a) 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기코어반체 (3) 는, 그 평탄부 (3D) 를 베이스부재 (2) 표면에 가압한 상태에서 볼록부 (3E) 를 상기 위치결정부 (10) 에 삽입하거나 끼워맞추는 동시에, 베이스부재 (2) 의 위치결정부 (10) 의 측부 근방에서 확장부 (18,18) 사이의 위치에 펀치 등의 압입공구 (19) 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된 오목부 (20) 에 의한 밀착부 (21) 로 볼록부 (3E) 의 측면을 위치결정부 (10) 의 일측 긴 변부 (16) 에 가압함으로써 베이스부재 (2) 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볼록부 (3E) 가 가압되는 측의 위치결정부 (10) 의 긴 변부 (16: 즉, 위치결정부 (10) 의 내부 가장자리부의 하나) 는 자기코어반체 (3) 의 위치 결정을 위한 하나의 기준면이 된다.
상기 오목부 (20) 의 바람직한 일 형상예를 도 3과 도 4에 나타낸다. 이 형태의 경우에 오목부 (20) 는, 평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이며 횡단면 역등각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고, 그 길이방향 양단부를 확장부 (18,18) 에 도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횡단면 형상에 합치되는 형상을 갖는 도 4에 나타낸 돌출부 (19A) 를 선단부에 갖는 압입공구 (19) 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화살표시 e 방향의 압입공구 (19) 의 압입조작에 의해 베이스부재 (2) 의 금속부분은 소성 변형되고, 그럼으로써 오목부 (20) 의 측부 부분은 볼록부 (3E) 측에 대한 밀착부 (21) 가 되어 볼록부 (3E) 의 측면 부분을 가압하고, 밀착부 (21) 측의 반대측의 볼록부 (3E) 측면을 기준면인 긴 변부 (16) 에 가압함으로써, 자기코어반체 (3) 가 강고하게 베이스부재 (2) 에 고정되며 X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 위치결정부 (11,12)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 (22,24) 는 상기에서 설명한 위치결정부 (10)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 (20) 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입공구 (19) 에 의해 오목부 (20) 가 형성되는 경우, 오목부 (20) 의 길이방향 양단부측에 각각 확장부 (18)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베이스부재 (2) 에서 압입공구 (19) 에 의해 변형되는 부분은 오목부 (20) 의 양단부측으로 넓어지는 비율이 적고, 오목부 (20) 에서 자기코어반체 (3) 의 볼록부 (3E) 측으로 주로 향하므로, 볼록부 (3E) 를 효율적으로 긴 변부 (16) 측에 넓은 면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압입공구 (19) 의 볼록부 (19A) 의 주변부에 평탄부 (19B)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입공구 (19) 로 베이스부재 (2) 의 표면을 가압 변형시켜 오목부 (20) 를 형성한 경우, 베이스부재 (2) 의 구성 재료가 도 4의 화살표시 방향으로 변형되는 동시에 베이스부재 (2) 의 구성 재료의 일부가 변형되어 자기코어반체 (3) 의 볼록부 (3E) 의 하측 측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위치결정부 (10) 의 바닥부측에 돌출부 (2A) 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볼록부 (3E) 를 기준면인 긴 변부 (16) 에 균등하게 가압하기 위해서는, 오목부 (20) 를 평면에서 본 형상은 직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 형태에서 오목부 (20) 를 평면에서 본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거나 타원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또, 오목부 (20) 는 평면에서 본 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될 수도 있고, 오목부 (20) 의 양단부가 확장부 (18) 에 도달하지 않은 길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요컨대, 오목부 (20) 의 형상은 오목부 (20) 에 의한 밀착부 (21) 를 발생시켜 볼록부 (3E) 를 베이스부재 (2) 가 변형된 재료 자체로 가압하기 위한, 바꿔 말하면 밀착이 가능한 형상으로 될 수도 있고, 그 형상은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 (20) 에서 위치결정부 (10) 측에 위치하는 제 1 벽면 (20a) 은 경사져 있는 동시에 오목부 (20) 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면 (20b) 도 경사져 있다. 여기서, 제 1 벽면 (20a) 의 오목부 바닥면(20c) 에 대한 경사각도 α는 제 2 벽면 (20b) 의 오목부 바닥면 (20c) 에 대한 경사각도 β와 비교하여 작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제 2 벽면 (20b) 의 오목부 바닥면 (20c) 에 대한 경사각도 β는 45도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그 범위 내에서도 특히 45도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자기코어반체 (3) 는 그 평면부 (3D) 를 베이스부재 (2) 의 표면 (평면) 에 가압함으로써 베이스부재 (2) 의 두께방향 (도 1, 도 4의 Z 방향) 으로 위치 결정되고, 볼록부 (3E) 의 측면을 기준면인 긴 변부 (16) 에 가압함으로써, 자기코어반체 (3) 의 두께방향 (도 1의 X 방향) 의 위치가 결정되고, 위치결정부 (10) 에 볼록부 (3E) 를 조밀하게 삽입하거나 느슨하게 삽입하여 짧은 변부 (15) 에서 볼록부 (3E) 의 단부를 규제한 상태에서 볼록부 (3E) 를 고정시킴으로써, 자기코어반체 (3) 의 길이방향 (도 1, 도 4의 Y 방향) 의 위치가 결정되고, 결과적으로 자기코어반체 (3) 가 베이스부재 (2) 에 대하여 X 방향과 Y 방향과 Z 방향의 세 방향 전부에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또, 자기코어반체 (3)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기코어반체 (4) 는 그 볼록부 (4E) 를 상기 위치결정부 (12) 에 삽입한다. 위치결정부 (12) 로의 삽입은 밀접하게 삽입시키거나 간격이 없도록 삽입해도 좋다. 베이스부재 (2) 의 위치결정부 (12) 의 일측 측부에서 확장부 (18,18) 사이의 위치에 상기 압입공구 (19) 에 의해 형성된 도 1에 나타낸 오목부 (22) 에 의한 밀착부 (23) 에 의해 볼록부 (4E) 의 측면을 위치결정부 (12) 의 일측 긴 변부 (16) 에 가압함으로써, 베이스부재 (2) 에 강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자기코어반체 (3)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기코어반체 (4) 가 X, Y, Z 어느 방향에나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실드판 (5) 에서도 그 중앙 배부측에 상기 볼록부 (3E,4E) 와 마찬가지로 볼록부 (5E) 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 (5E) 를 베이스부재 (2) 의 위치결정부 (11) 에 삽입한다. 위치결정부 (11) 로의 삽입은 밀접하게 하거나 간격이 있도록 삽입하여도 좋다. 베이스부재 (2) 의 위치결정부 (11) 의 양측부에서 확장부 (18,18) 사이의 위치에 상기 압입공구 (19) 에 의해 형성된 도 1에 나타낸 오목부 (24) 에 의한 밀착부 (25) 에 의해 볼록부 (5E) 의 측면을 위치결정부 (11) 의 일측 긴 변부 (16) 에 가압함으로써 베이스부재 (2) 에 강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자기코어반체 (3)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드판 (5) 이 X, Y, Z 어느 방향에나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코어반체 (3,4) 의 볼록부 (3E,4E) 와 실드판 (5) 의 볼록부 (5E) 가 오목부 (20) 에 의한 밀착부 (21) 에 의해 기준면인 긴 변부 (16) 에 대하여 가압된 상태에서 코킹 고정된 경우,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자기코어반체 (3,4) 그 자체에 대한 응력 부하를 되도록 적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코어반체 (3,4) 를 구성하는 자성체는 응력 부하가 작용하면, 자왜가 발생하여 자왜의 발생상황에 따라서는 자기코어로서의 자기특성 자체가 열화될 우려가 있으나, 볼록부 (3E,4E) 를 주체로서 위치결정부의 긴 변부 (16) 에 가압함으로써 자기코어반체 (3,4) 자체에 대한 응력 부하에 따른 자왜 발생 등의 자기특성 열화 원인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고정밀도의 위치결정 구조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관점에서 밀착부에 의해 볼록부 (3E,4E) 를 넘어 자기코어반체 (3,4) 자체에 응력 부하시키는 부분의 면적이 자기코어반체 (3,4) 의 자로를 구성하는 자기코어반체 (3,4) 횡단면의 10% 이하, 가능한 한 되도록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기코어반체 (3,4) 의 주요 자로가 되는 부분의 대부분에 큰 코킹력에 따른 가압력을 작용시킨 경우, 예컨대 NiFe 등의 자성체로 형성된 자기코어반체 (3,4) 가 본래 실효투자율 (μe) 에서 15000 정도 얻는 것이 14000 정도의 실효투자율로 저하될 우려를 갖는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 (2) 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고정된 자기코어반체 (3,4) 와 실드판 (5) 의 접합 부분에 필요 최저 한도의 양의 접착제 (도시 생략) 가 충전되어 자기코어반체 (3,4) 와 실드판 (5) 이 더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접착제의 양은 자기코어반체 (3,4) 와 실드판 (5) 이 앞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코킹 고정에 의해 비교적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사용된 접착제보다 훨씬 적은 양의 접착제여도 된다. 또, 상기 기술한 코킹 고정에 의한 고정력이 강하면 접착제 사용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코어반체 (3) 의 백 코어부측에 코일을 감기 위한 보빈 (26) 이 장착되며, 자기코어반체 (4) 의 백 코어부측에 코일을 감기 위한 보빈 (27) 이 장착되고, 상기 보빈 (26) 에서 단자 로드 (28) 가 돌출되며, 상기 보빈 (27) 에서 단자 로드 (29) 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재 (2) 에 자기코어반체 (3,4) 와 실드판 (5) 을 자기코어조립체 (K) 가 2 개, 이들 자기코어반체 (3,3) 끼리, 자기코어반체 (4,4) 끼리, 실드판 (5,5) 끼리를 맞댄 상태로 실드케이스 (6) 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자기코어반체 (3,4) 의 선단측과 실드판 (5) 의 선단측이 실드케이스 (6) 의 창부 (6C) 에서 약간 돌출된 상태로 되고, 실드케이스 (6) 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가 충전되어 실드케이스 (6) 의 내부에서 자기코어조립체 (K,K) 가 고정되어 자기헤드 (1) 가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구성을 갖는 자기헤드 (1) 를 조립 제조하기 위한 자기헤드 (1) 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피홈 형성공정에서, 자기코어반체 (3,4) 및 실드판 (5) 의 볼록부 (3E,4E,5E) 가 각각 삽입되는 위치결정부 (10,11,12) 의 모서리부 근방에 확장부 (18,18,18) 가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실드판 삽입공정에서, 실드판 (5) 의 볼록부 (5E) 가 위치결정부 (11) 에 삽입된다. 이 때, 실드판 (5) 의 바닥면 (5F) 이 베이스부재 (2) 와 접촉되므로, 실드판 (5) 의 Z 방향 (도 6 참조) 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조립시에 위치결정부 (11) 의 모서리부 근방에 확장부 (18)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실드판 (5) 이 도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래서, 실드판 (5) 을 매우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기코어반체 삽입공정에서, 자기코어반체 (3,4) 의 볼록부 (3E,4E) 가 위치결정부 (10,12) 에 삽입된다. 이 때, 자기코어반체 (3,4) 의 코어 본체부 (3A,4A) 가 베이스부재 (2) 와 접촉되므로, 자기코어반체 (3,4) 의 Z 방향 (도 4 참조) 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조립시에 위치결정부 (10,12) 의 모서리부 근방에 확장부 (18,18)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자기코어반체 (3,4) 가 도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래서, 자기코어반체 (3,4) 를 매우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자기코어반체 (3,4) 의 볼록부 (3E,4E) 를 위치결정부 (10,12) 에 삽입했을 때에, 자기코어반체 (3,4) 의 측면이 베이스부재 (2) 의 코어 본체부 (3A,4A) 에 각각 가압되어 각 자기코어반체 (3,4) 의 코어 선단부 (3B,4B) 가 실드판 (5) 에 접촉된다. 그럼으로써, 자기코어반체 (3,4) 가 도 1 중의 화살표시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어 화살표시 Y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오목부 형성공정에서, 압입공구 (19) 에 의해 위치결정부 (10,11,12)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오목부 (20,22,24) 가 각각 형성된다. 또, 이들 오목부 (20,22,24) 의 양단부가 확장부 (18,18,18) 와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대 상에 탑재된 베이스부재 (2) 에 압입공구 (19) 를 상측에서부터 가압하면, 볼록부 (19A) 가 베이스부재 (2) 에 파고 들어가 오목부 (20) 가 형성된다. 이 때, 위치결정부 (10) 와 오목부 (20) 의 제 1 벽면 (20a)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 (2) 에서는 압입공구 (19) 의 볼록부 (19A) 가 베이스부재 (2) 에 파고 들어감으로써, 베이스부재 내부의 체적분이 솟아오르려고 하나, 상측에서부터 압입공구 (19) 의 평탄부 (19B) 에 의해 가압되는 동시에 하측에서부터 작업대 (T) 에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부재 내부의 체적분이 솟아오르지 않고 자기코어반체 (3) 의 볼록부측으로 이동한다.
또, 동시에 오목부 (20) 의 제 2 벽면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 (2) 에서도, 상측에서부터 압입공구 (19) 의 평탄부 (19B) 에 의해 가압되는 동시에 하측에서부터 작업대 (T) 에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부재 내부의 체적분이 솟아오르지 않고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입공구 (19) 를 가압함으로써, 오목부 (20) 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 내부의 체적분이 위치결정부 (10) 와 오목부 (20) 사이에 위치하는 밀착부측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밀착부 (21) 가 자기코어반체 (3) 의 볼록부측으로 이동하여 자기코어반체 (3) 를 위치결정부 (10) 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한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 (3) 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측에 위치하는 위치결정부 (10) 의 내부 가장자리부이며 자기코어반체 (3) 의 볼록부 (3E) 와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는, 압입공구 (19) 의 가압에 의한 베이스부재 내부의 체적분의 이동에 따라 돌출부 (2A) 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 (2A) 가 자기코어반체 (3) 의 볼록부 (3E) 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자기코어반체 (3) 를 하측에서부터 지지한다.
또, 마찬가지로 압입공구 (19) 에 의해 타측 위치결정부 (12)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오목부 (22) 를 형성함으로써 자기코어반체 (4) 의 볼록부 (4E) 를 위치결정부 (12) 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하여 자기코어반체 (4) 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측에 위치하는 위치결정부 (12) 의 내부 가장자리부이며 자기코어반체 (4) 의 볼록부 (4E) 와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는, 압입공구 (19) 의 가압에 의한 베이스부재 내부의 체적분의 이동에 따라 돌출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고,이 돌출부가 자기코어반체 (4) 의 볼록부 (4E) 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자기코어반체 (4) 를 하측에서부터 지지한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드판 (5) 의 볼록부 (5E) 가 삽입되는 위치결정부 (11) 의 양측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압입공구 (19) 에 의해 오목부 (24,24) 가 형성됨으로써, 동시에 베이스부재 내부의 체적분이 실드판 (5) 의 볼록부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양측의 밀착부 (25,25) 가 실드판 (5) 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실드판 (5) 을 양측에서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위치결정부 (11) 의 양측 내부 가장자리부이며 실드판 (5) 의 볼록부 (5E) 와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는, 압입공구 (19) 의 가압에 의한 베이스부재 내부의 체적분의 이동에 따라 돌출부 (5G,5G) 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 (5G,5G) 가 실드판 (5) 의 볼록부 (5E) 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실드판 (5) 을 하측에서부터 지지한다. 특히, 위치결정부 (11) 의 양측에 오목부 (24,24) 를 형성함으로써 실드판 (5) 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각 공정에 따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 (2) 에 자기코어반체 (3,4) 및 실드판 (5) 이 각각 장착된다. 그 이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코어반체 (3) 의 백 코어부측에 감기 위한 보빈 (26) 이 장착되고, 자기코어반체 (4) 의 백 코어부측에 감기 위한 보빈 (27) 이 장착된다. 그럼으로써, 자기코어조립체 (K) 가 제조된다.
다음으로, 주입수지 공급공정 및 건조공정에서 자기코어조립체 (K) 에 접착제가 충전되어 실드케이스 (6) 의 내부에서 자기코어조립체 (K,K) 가 고정된다.
다음으로, 평면 연마공정에서 자기코어조립체 (K) 를 도시하지 않은 연마장치에 가하여 자기코어반체 (3,4) 의 코어 선단부 (3B,4B) 의 단부 및 백 코어부 (3C,4C) 의 단부가 평면 연마된다.
다음으로, 케이싱공정에서 2 개의 자기코어조립체 (K) 가 조합되어 스페이서 (14) 와 함께 실드케이스 (6) 에 삽입된다. 이 조합시에 일측 자기코어조립체 (K) 의 자기코어반체 (3,4) 의 각 코어 선단부 (3B,4B) 와, 타측 자기코어조립체 (K) 의 자기코어반체 (3,4) 의 각 코어 선단부 (3B,4B) 가 이들 사이에 갭부 (G) 가 형성되도록 하여 조합된다.
다음으로, 수지주입 공급공정에서, 이어서 상기 실드케이스 (6) 의 내부에 접착용 수지를 충전하여 가열 건조시켜 고화시키고, 실드케이스 (6) 의 내부에 2 개의 자기코어조립체 (K) 가 고정된다. 그리고, 최종 연마공정에서, 2 개의 자기코어조립체 (K) 를 실드케이스 (6) 의 내부에 접착제로 고정시키면, 실드케이스 (6) 의 연마라인 (S) 을 따라 실드케이스 (6) 의 앞면벽 (6B) 이 연마 가공되어 테이프 형상의 자기기록매체에 대한 매체 슬라이딩면을 규정하는 동시에 각 자기코어반체 (3,4) 의 선단부와 실드판 (5) 의 선단부가 필요량만큼 연마되어 갭부가 규정된다. 상기 각 고정에 따라 자기헤드 (1) 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자기헤드 (1) 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기헤드 (1) 에서는 자기코어반체 (3) 의 볼록부 (3E) 를 위치결정부 (10) 에 삽입한 후, 압입공구 (19) 에 의해 위치결정부 (10)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오목부 (20) 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 (20) 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 (2) 의 체적분이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한다. 즉, 이 베이스부재 (2) 의 체적분의 이동에 따라 위치결정부 (10) 와 오목부 (20) 사이에 위치하는 밀착부 (21) 가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하여 밀착부 (21) 가 자기코어반체 (3) 를 가압한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 (3) 가 위치결정부 (10) 의 내부 가장자리부 (16) 에 가압되어 자기코어반체 (3) 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타측 위치결정부 (12) 에 삽입되어 있는 자기코어반체 (4) 도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 (11) 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 둘레 가장자리부에 오목부 (24,24) 를 형성함으로써, 위치결정부 (11) 와 오목부 (24,24)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 (2) 의 체적분 (밀착부 (25)) 이 실드판측으로 이동하여 실드판 (5) 을 양측에서 가압한다. 그 결과, 실드판 (5) 을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위치결정부 (10)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 (20) 의 양단부는 확장부 (18) 와 접촉하므로, 위치결정부 (10) 와 오목부 (20)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 (2: 밀착부 (21)) 의 체적분의 체적이 위치결정부 (10) 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해진다. 즉, 오목부 (20) 가 도중에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위치결정부 (10) 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결정부 (10) 와 오목부 (20)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 (2) 의 체적이 변화하지 않는다. 그래서, 오목부 형성시에 오목부 (20) 의 체적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 (2) 의 체적분 (밀착부 (21))을 자기코어반체측에 균등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밀착부 (21) 가 자기코어반체 (3) 를 위치결정부 (10) 의 내부 가장자리부 (16) 에 가압하는 가압력이 위치결정부 (10) 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해지고, 자기코어반체 (3) 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자기코어반체 (3) 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타측 위치결정부 (12) 에 삽입된 자기코어반체 (4) 도 동일한 이유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자기코어반체 (4) 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 (11) 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 둘레 가장자리부 (25,25) 가 실드판 (5) 을 양측에서 가압하기 때문에, 실드판 (5) 을 보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실드판 (5) 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 (10)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 (20) 의 위치결정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벽면 (20a) 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 1 벽면 (20a) 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위치결정부 (10) 와 오목부 (20)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 내부의 체적분이 베이스부재 표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오히려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오목부 형성시에 밀착부 (21) 의 자기코어반체 (3) 에 대한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기코어반체 (3) 를 보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위치결정부 (10)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 (20) 의 위치결정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면 (20b) 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 2 벽면 (20b) 이 경사져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벽면측의 베이스부재 (2) 의 체적분의 일부가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하는 베이스부재 (2) 의 체적분의 분량만큼 베이스부재 (2) 의 표면측으로 이동하는 체적이 적어진다. 그 결과, 베이스부재 (2) 의 표면이 솟아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타측 위치결정부 (12) 에서도 위치결정부 (12)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 (22) 의 위치결정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벽면 (도시 생략) 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기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밀착부 (23) 의 자기코어반체 (4) 에 대한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기코어반체 (4) 를 보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오목부 (22) 의 위치결정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기 동일한 작용에 의해 제 2 벽면이 경사져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베이스부재 (2) 의 표면의 체적분이 솟아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 (11) 의 양측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 (24,24) 의 제 1 벽면 (24a) 및 제 2 벽면 (24b) 도 각각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동일한 이유에 의해 실드판 (5) 을 보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 2 벽면측의 베이스부재 (2) 의 체적분이 베이스부재 (2) 의 표면이 솟아오르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각 위치결정부 (10,11,12) 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확장부 (18,18,1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자기코어반체 (3,4) 및 실드판 (5) 이 도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자기헤드 (1) 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기헤드 (1) 에서는 자기코어반체 (3,4) 및 실드판 (5) 의 베이스부재 (2) 에 대한 X, Y, Z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자기코어반체 (3,4) 및 실드판 (5) 을 베이스부재 (2) 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자기헤드에 대해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는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용 자기헤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에 적용되는 자기헤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자기헤드 (1) 에서 설명한 작용 및 효과와 중복되는 작용 및 효과는 적절하게 설명을 생략한다.
예컨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용 음성코어조립체 (50) 에서는 황동 등의 소성 가공이 가능한 판재로 이루어진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재 (52) 에 1 쌍의 자기코어반체 (54) 가 각각 이간 장착되어 있다.
이 자기코어반체 (54) 의 장착은 코어 본체부 (54a) 와 코어 선단부 (54b) 로 이루어진 자기코어반체 (54) 중앙부의 배부측에 형성된 볼록부 (54A) 를 상기 베이스부재 (52) 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위치결정부 (53) 에 압입시킴으로써 장착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에서의 위치결정부 (53) 는 상기 실시형태의 위치결정부 (10,11,12) 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긴 변부 (55,55) 와 짧은 변부 (56,56) 와 4개의 확장부 (57) 와 오목부 (58) 에 의해 형성된 밀착부 (59) 를 구비한다.
그리고, 위치결정부 (53) 의 측부 근방위치에 형성된 오목부 (58) 에 의한 밀착부 (59) 에 의해 볼록부 (54A) 의 측면을 위치결정부 (53) 의 긴 변부 (기준면: 55) 에 가압함으로써, 자기코어반체 (54) 가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본 예의 위치결정 고정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X 방향과 Y 방향과 Z 방향의 3차원 방향 전부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을 이룰 수 있다.
또,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용 음성코어조립체 (50) 에서는, 자기코어반체 (54) 에 코일 (56) 과 단자로드 (70) 를 형성한 코일 보빈 (60) 이 장착되어 있고, 또한 자기코어반체 (62) 가 자기코어반체 (54) 에 맞대어져 가압스프링 (64) 에 의해 양자가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음성코어조립체 (50) 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드케이스 (61) 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고, 각 자기코어반체 (54,62) 로 이루어진 자기코어는 실드케이스 (61) 의 매체 슬라이딩면 (62) 에 형성된 창부 (63) 에서 노출된 상태로 수지에 의해 고정되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용 자기헤드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자기헤드 (51) 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기헤드 (51) 에서도, 제 1 실시형태의 자기헤드 (1) 와 마찬가지로 압입공구에 의해 위치결정부 (53) 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오목부 (58) 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 (58) 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 (52) 의 체적분이 볼록부측으로 이동한다. 이 두께의 이동에 따라 밀착부 (59) 가 볼록부측으로 이동하고, 밀착부 (59) 가 자기코어반체 (54) 를 위치결정부 (53) 의 내부 가장자리부 (55) 에 가압한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 (54) 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측 자기코어반체 (54) 도 마찬가지로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오목부 (58) 의 양단부는 확장부 (57) 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밀착부 (59) 의 자기코어반체 (54) 에 대한 가압력이 위치결정부 (53) 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해져 자기코어반체 (54) 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유지하고 또한 자기코어반체 (54) 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다른 일측 자기코어반체 (54) 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유지하고, 또한 자기코어반체 (54) 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위치결정부 (53) 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확장부 (57)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자기코어반체 (54) 가 도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자기헤드 (51) 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자기코어반체의 배부가 제 1 위치결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예컨대 펀치 등으로 제 1 오목부를 형성하면,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1 오목부의 체적분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가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그 둘레 가장자리부가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를 가압하여 자기코어반체를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한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조립시에 제 1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자기코어반체가 도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제 1 오목부가 확장부끼리를 연결함으로써, 제 1 위치결정부와 제 1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체적이 제 1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해진다. 그래서,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1 오목부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제 1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자기코어반체측으로 거의 균등하게 이동한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가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제 1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거의 일정한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1 오목부의 제 1 위치결정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벽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 1 벽면이 경사져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1 오목부의 체적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체적분이 베이스부재 표면측이 아니라 제 1 위치결정부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둘레 가장자리부의 자기코어반체측에 대한 이동량이 많아져 자기코어반체를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비교적 큰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를 보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1 오목부의 제 1 위치결정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면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 2 벽면은 경사져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벽면 근방의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벽면 근방의 베이스부재 표면측으로 이동하지 않는 분량만큼 베이스부재 표면의 솟아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실드판의 배부가 제 2 위치결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예컨대 펀치 등으로 제 2 오목부를 형성하면, 제 2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오목부의 체적분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가 실드판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그 둘레 가장자리부가 실드판의 배부를 가압하여 실드판을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한다. 그 결과, 실드판을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2 오목부의 제 2 위치결정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벽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 2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오목부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제 2 위치결정부측으로 이동하기쉬워진다. 그 결과, 둘레 가장자리부의 실드판측에 대한 이동량이 많아져 실드판을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비교적 큰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실드판을 보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제 2 오목부를 제 2 위치결정부의 양측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함으로써, 실드판을 양측에서 가압할 수 있어 실드판을 더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2 오목부의 제 2 위치결정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면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 2 벽면이 경사져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벽면 근방의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실드판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실드판측으로 이동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제 2 오목부 형성시에 제 2 벽면 근방의 베이스부재 표면측으로 이동하지 않는 분량만큼 베이스부재 표면의 솟아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1 위치결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른 둘레 가장자리부 중 상기 제 1 오목부가 형성된 측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하여 자기코어반체를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한다. 이 때, 제 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제 1 위치결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른 내부 가장자리부가 코어를 수용한다. 그래서, 제 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위치결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위치결정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방향의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위치결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베이스부재에는 위치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자기코어반체의 선단부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자기코어반체를 구성하는 자성판끼리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자기코어반체 사이에 실드판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자기코어반체와 실드판의 상대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 양자의 위치관계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1 오목부의 제 1 벽면의 경사각도는 제 1 오목부의 제 2 벽면의 경사각도와 비교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자기코어반체와 제 1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래서, 보다 큰 체적을 갖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을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자기코어반체를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비교적 큰 힘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2 오목부의 제 1 벽면의 경사각도는 제 2 오목부의 제 2 벽면의 경사각도와 비교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드판과 제 2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래서, 보다 큰 체적을 갖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을 실드판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실드판을 높은 가압력으로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실드판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는, 자기코어반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는, 실드판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드판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는 베이스부재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 본체부와 접촉 본체부에 형성된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고, 자기코어반체의 볼록부가 제 1 위치결정부에 삽입되어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자기코어반체의 접촉 본체부가 베이스부재 표면에 접촉됨으로써, 자기코어반체를 그 삽입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둘레 가장자리부가 실드판의 배부를 가압하여 실드판을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한다. 그 결과, 실드판을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조립시에 제 2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실드판이 도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실드판을 쉽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실드판이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제 2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거의 일정한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실드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에 의하면, 오디오용 2 채널 녹ㆍ재형 자기헤드에 적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오디오용 2 채널 녹ㆍ재형 자기헤드의 자기코어반체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1 오목부의 체적의 적어도 일부의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자기코어반체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둘레 가장자리부에 의해 자기코어반체가 가압되어 자기코어반체가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되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 1 오목부에 의해 확장부끼리 연결됨으로써, 제 1 위치결정부와 제 1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체적이 제 1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해진다. 그래서, 제 1 오목부 형성시에 제 1 오목부의 체적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베이스부재의 체적분이 제 1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자기코어반체측으로 거의 균등하게 이동한다.
그 결과, 자기코어반체가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제 1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거의 균등하게 가압되기 때문에, 자기코어반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둘레 가장자리부에 의해 실드판이 가압되어 실드판이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되기 때문에, 실드판을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실드판이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제 2 오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하게 가압되기 때문에, 실드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자기코어반체 또는 실드판에 대한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베이스부재 표면의 솟아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4)

  1. 자기코어반체를 베이스부재에 장착하여 자기코어조립체가 구성되고, 이 자기코어조립체가 창부를 갖는 실드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이루어진 자기헤드로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를 삽입하는 구멍 형상 또는 홀 형상의 제 1 위치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를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자기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는 이 제 1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오목부는 상기 확장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자기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의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벽면이 경사져 있는 자기헤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의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면이 경사져 있는 자기헤드.
  5.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기 제 1 위치결정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에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배부가 각각 삽입되어 이 자기코어반체가 장착되고,
    상기 자기코어반체 사이에 실드판이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기 제 1 위치결정부 사이에는 상기 실드판의 배부가 삽입되는 구멍 형상 또는 홀 형상의 제 2 위치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상기 실드판의 배부를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2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자기헤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목부의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벽면은 경사져 있고,
    상기 제 2 오목부의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면은 경사져 있는 자기헤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는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른 둘레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자기헤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코어반체가 복수개의 자성판을 겹쳐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자기코어반체를 가압하여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자기헤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의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면은 경사져 있는 자기헤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의 상기 제 1 벽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제 1 오목부의 상기 제 2 벽면의 경사각도와 비교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는 자기헤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목부의 상기 제 1 벽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제 1 오목부의 상기 제 2 오목면의 경사각도와 비교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는 자기헤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자기헤드.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실드판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자기헤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 본체부와 상기 접촉 본체부에 형성된 볼록부로 구성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에 삽입되어 있는 자기헤드.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판의 배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 본체부와 상기 접촉 본체부에 형성된 볼록부로 구성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에 삽입되어 있는 자기헤드.
  16. 베이스부재에 장착된 복수개의 자기코어반체와 이 자기코어반체 사이에 장착된 실드판으로 자기코어조립체가 구성되고, 이 자기코어조립체가 창부를 갖는 실드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이루어진 자기헤드로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실드판의 배부를 삽입하는 구멍 형상 또는 홀 형상의 제 2 위치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상기 실드판의 배부를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2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자기헤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는 이 제 2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오목부는 상기 확장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자기헤드.
  18. 제 1 항에 있어서, 1 쌍의 상기 자기코어조립체가 상호의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갭부가 형성되도록 조합되고, 상기 갭부를 상기 실드케이스의 상기 창부에서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1 쌍의 자기코어조립체가 상기 실드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자기헤드.
  19. 자기코어반체를 베이스부재에 장착하여 자기코어조립체가 구성되고, 이 자기코어조립체가 창부를 갖는 실드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이루어진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를 구멍 형상 또는 홀 형상의 제 1 위치결정부에 삽입하는 자기코어반체 삽입공정과,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상기 자기코어반체의 배부를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1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공정을 구비하는 자기헤드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형성공정 전에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 이 제 1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확장부 형성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부 형성공정에서 상기 제 1 오목부에 의해 상기 확장부끼리 연결되는 자기헤드의 제조방법.
  21. 베이스부재에 장착된 복수개의 자기코어반체와 이 자기코어반체 사이에 장착된 실드판으로 자기코어조립체가 구성되고, 이 자기코어조립체가 창부를 갖는 실드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이루어진 자기헤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실드판의 배부를 구멍 형상 또는 홀 형상의 제 2 위치결정부에 삽입하는 실드판 삽입공정과,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착시켜 상기 실드판의 배부를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가압시키는 제 2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공정을 구비하는 자기헤드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형성공정 전에 상기 제 2 위치결정부의 모서리부 근방에 이 제 2 위치결정부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확장부 형성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부 형성공정에서 상기 제 2 오목부에 의해 상기 확장부끼리 연결되는 자기헤드의 제조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형성공정에서 상기 제 1 오목부 또는 상기 제 2 오목부는 압입공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압입공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파고 들어가는 볼록부와 상기 베이스부재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볼록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파고 들어감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 표면의 솟아오름을 억제하는 평탄부를 구비하는 자기헤드의 제조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형성공정에서 상기 제 1 오목부 또는 상기 제 2 오목부는 압입공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압입공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파고 들어가는 볼록부와 상기 베이스부재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볼록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파고 들어감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 표면의 솟아오름을 억제하는 평탄부를 구비하는 자기헤드의 제조방법.
KR1020030050902A 2002-08-09 2003-07-24 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42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34069A JP2004079017A (ja) 2002-08-09 2002-08-09 磁気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2-00234069 2002-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214A true KR20040014214A (ko) 2004-02-14

Family

ID=3201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902A KR20040014214A (ko) 2002-08-09 2003-07-24 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070878A1 (ko)
JP (1) JP2004079017A (ko)
KR (1) KR20040014214A (ko)
CN (1) CN14809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7570B2 (ja) * 2009-12-28 2015-01-21 Tdk株式会社 磁界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3884A (en) * 1979-12-26 1981-10-06 Ampex Corporation Multiple leg magnetic transducer structure
JP2001307305A (ja) * 2000-04-25 2001-11-02 Funai Electric Co Ltd オーディオ・コントロールヘッドと同ヘッドのコア組み付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80922A (zh) 2004-03-10
US20040070878A1 (en) 2004-04-15
JP2004079017A (ja)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0915A (ko) 회전 전기 기기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2057049A (ja) チョーク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293884A (en) Multiple leg magnetic transducer structure
KR20040014214A (ko) 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
US5497283A (en) Magnetic head having coil bobbins separated from a terminal assembly
US6585156B2 (en) Multichannel magnetic head,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channel magnetic head, and a card reader using the same
US6682179B2 (en) Ink jet print head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KR20060048658A (ko) 자기 헤드
US5105530A (en) Method of forming high channel density magnetic head
JP2002170203A (ja) 磁気ヘッド
JP4230633B2 (ja) 磁気ヘッド
KR0174529B1 (ko) 자기헤드 제조방법
JP2004246991A (ja) 磁気ヘッド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磁気ヘッド装置とシールドケース
JP3256846B2 (ja) 磁気ヘッド支持機構及びその製造方法
JP2555991Y2 (ja) 磁気ヘッド
JP2005063609A (ja) 磁気ヘッド
JPH0227366Y2 (ko)
JP2683472B2 (ja) 磁気ヘッド
US7483242B2 (en) Arm position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otary type actuator
JP2004079018A (ja) 磁気ヘッド及び磁気ヘッドの製造方法
JPH0210565Y2 (ko)
JPH0447766Y2 (ko)
JPH056566Y2 (ko)
JP3842893B2 (ja) 電磁継電器とその製造方法
US4791718A (en) Method for assembling a magnetic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