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779A -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및 그 어드레스 보조기를 이용한어드레스방법 - Google Patents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및 그 어드레스 보조기를 이용한어드레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779A
KR20040011779A KR1020020044897A KR20020044897A KR20040011779A KR 20040011779 A KR20040011779 A KR 20040011779A KR 1020020044897 A KR1020020044897 A KR 1020020044897A KR 20020044897 A KR20020044897 A KR 20020044897A KR 20040011779 A KR20040011779 A KR 20040011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electronic compass
information processing
golf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장문
Original Assignee
배장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장문 filed Critical 배장문
Priority to KR102002004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1779A/ko
Priority to AU2002334430A priority patent/AU2002334430A1/en
Priority to PCT/KR2002/001636 priority patent/WO2004011107A1/en
Priority to TW092112023A priority patent/TW200401657A/zh
Publication of KR2004001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7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02Magnetic compasses
    • G01C17/28Electromagnetic compasses
    • G01C17/30Earth-inductor compa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27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when used improperly, e.g. by giving a w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olf Club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 목적은 볼을 치기 위한 목표선을 정한 후, 그 목표선에 따라 어드레스를 취할 때, 전자 나침반으로 측정된 정보값을 기준으로 클럽 헤드가 목표선에 직각의 상태가 되도록 양발과 어깨를 포함한 자세의 정열상태를 알려주므로써 착시현상 없이 정확한 어드레스 상태에서 정확히 볼을 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신체에 착용을 할 수 있도록 크립(101)을 가지는 본체(100); 상기한 본체의 내부에 구비하되, 방위를 파악하기 위해 센서(111)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전자 나침반(110); 상기한 전자 나침반(110)의 정보값을 받아 분석처리하는 주정보처리수단(120); 상기한 주정보처리수단(120)으로부터의 정보처리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저장수단(130); 상기한 전자 나침반을 포함하는 각 부분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수단(140); 상기한 주정보처리수단(120)에 의해 처리된 정보값을 출력하는 출력수단(150); 상기한 각 부분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160); 으로 구성하여 상기 전자 나침반으로 최선의 어드레스 방향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및 그 어드레스 보조기를 이용한 어드레스방법{ADDRESS ASSIST DEVICE FOR GOLF AND ADDRESS METHODE USING ASSIST DEVICE}
본 발명은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현재 놓여진 볼의 위치와 볼을 보내고자 하는 타구의 방향을 정한 후 어드레스를 취할 때, 주위 환경에 대한 착시현상 없이 어깨와 타구방향이 보다 정확하게 정열될 수 있도록 안내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어드레스라 하면 플레이어가 볼을 치기 위해 발의 위치를 정하고 스탠스를 잡는 등 클럽헤드를 지면에 놓는 준비자세를 말하는 것으로, 어드레스를 취하는 요령은, 어드레스 자세를 취하기전 골프볼이 있는 위치에서 약 2 미터 정도 후방에서 볼을 칠 타켓 방향을 정하고, 그 방향에 따라 마음속으로 목표선을 그린 후, 이 목표선과 클럽헤드가 직각이 되도록 자세를 취하되, 상체를 약간 굽혀 인사하는 듯 한 자세로 상체를 숙이고 무릅을 약간 굽혀주며 어깨와 엉덩이 그리고 양발은 모두목표선과 평행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좋은 어드레스 상태에서 볼을 쳐야 드라이브는 다음 아이언 샷을 하기 가장 좋은 위치로 볼을 보낼 수 있고, 아이언은 그린이 아닌 그린의 홀을 목표로 볼을 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마음 속으로 목표선을 정하고, 그 목표선의 방향에 따라 어드레스 자세를 취한다 하더라도 착시현상으로 인하여 특히 비숙련자 일수록 목표선과 어드레스 자세의 클럽 헤드가 정확히 직각을 이루지 못하며, 따라서 플레이어가 의도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샷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항상 좋은 어드레스를 취하여 좋은 골프 성적을 낼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상세하게는 목표선을 정한 후, 그 목표선에 따라 어드레스를 취할 때, 전자 나침반으로 측정된 정보값을 기준으로 클럽 헤드가 목표선에 직각의 상태가 되도록 양발과 어깨를 포함한 자세의 정열상태를 알려주어 비숙련자라 할지라도 정확한 어드레스 상태에서 정확히 볼을 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신체에 착용을 할 수 있도록 크립을 가지는 본체; 상기한 본체의 내부에 구비하되, 방위를 파악하기 위해 센서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전자 나침반; 상기한 전자 나침반의 정보값을 받아 분석처리하는 주정보처리수단; 상기한 주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의 정보처리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저장수단; 상기한 전자 나침반을 포함하는 각 부분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한 주정보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정보값을 출력하는 출력수단; 상기한 각 부분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하여 최선의 어드레스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본체 110 : 전자 나침반
111 : 센서112 : 센서 콘트롤버튼
120 : 주정보처리수단130 : 정보 저장수단
140 : 입력수단141 : 엔터버튼
142 : 재사용버튼143 : 취소버튼
150 : 출력수단151 : 정열표시램프
152 : 진동 발생기구153 : 경보음 발생기구
154 : 파워 스위치155 : 선택 스위치
160 : 전원공급수단170 : 전자타이머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사용방법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외관 구성도, 도 7은 내부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어드레스 보조기는 신체에 착용을 할 수 있도록 크립(101)을 가지는 본체(100)속에 센서(111)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 나침반(110)을 구비하여 그 방위 측정기능을 이용하는 것이다.
내부에는 도 7에서 보듯이 상기한 전자 나침반(110)과, 상기 전자 나침반(110)의 정보값을 받아 분석처리하는 주정보처리수단(120)과, 상기한 주정보처리수단(120)으로부터의 정보처리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저장수단(130), 그리고 각 부분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를 포함한 전원공급수단(160), 전자타이머(1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전자 나침반(110)은 측정값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각각의 센서1(111a)과 센서2(111b)를 포함하는 전자 나침반1(110a)과, 전자 나침반2(110b)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0) 사방 외측에는 입력수단(140)과, 출력수단(150)이 구비된다.
즉, 입력수단(140)은 도 1 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면에 형성하되, 전자 나침반(110)의 측정값이 주정보처리수단(120)으로 전달되도록 지시하는 엔터버튼(141), 또, 좌측면에 형성하되, 전자 나침반(110)의 센서(111)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센서콘트롤 노브(112), 상측면에 형성하되, 설정된 방향을 새로 설정하기 위한 재사용버튼(142)과, 모든 지시사항을 취소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취소버튼(143)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한 엔터버튼(141)은 본체(100)의 정면은 물론 크립(101)에 끼워지는 반대쪽에도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왼손잡이 오른손잡이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즉, 좌측에 착용하여 왼손으로 조작하거나, 반대로 우측에 착용하여 오른손으로 조작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
그 외에 배터리의 전원을 ON/OFF하기 위한 파워 스위치(154)와, 출력수단(150)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스위치(155)도 좌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방법에 대한 블럭도이다.
먼저 셋팅단계를 거친다. 셋팅단계는 사용자가 크립(101)을 사용하여 본체(100)를 신체(허리띠 등)에 착용한 후, 파워 스위치(154)로 전원을 켜고, 전자 나침반(110)의 센서(111)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이는 어리띠의 측편에 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착용후, 센서콘트롤 노브(112)를 조작하여 센서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금 앞으로 쏠리거나 뒤로 쏠려도 무관하다.
상기 셋팅단계를 거친 후, 목표선 설정단계로 간다.
즉, 현 위치의 볼을 축지점으로 하여 타구를 보내고자 하는 목표방향을 선택하여 목표선이 정해지면 정면에 마련되어 있는 엔터버튼(141)을 누른다.
엔터버튼(141)이 눌러지면 전자 나침반(110)에서 센서(111)를 통해 감지된 현재의 방위가 주정보처리수단(120)에 전달되고, 주정보처리수단(120)에서는 그 정보값을 데이터화 하여 정보 저장수단(130)에 저장한다.
상기 목표선 설정단계를 거친 후의 정열단계는 사용자가 완전한 어드레스를 취할 때까지 출력수단(150)의 진동 또는 경보음을 약 3분간 제공하는 단계이다.
예컨대 출력수단(150)의 출력 방향이 진동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진동이, 경보음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경보음이 계속되고, 올바른 위치와 자세가 정해지면 비로소 진동 또는 경보음이 정지한다.
이어서 샷(타격)을 실시하는 사용단계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실제 사용단계를 거친 후에는 휴면단계로 조작한다.
이는 상면의 취소버튼(143)을 눌러 모든 기능을 대기 상태로 전환하므로써 다음 차례의 사용시기까지 밧데리 소모 없이 대기하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자가 정열단계를 거치는데 있어서 신속하게 어드레스를 취하지 못하고, 설정된 3분 이상의 시간을 경과하였거나, 기타 여의치 않은 조건으로 인하여정열단계를 수행하지 못하였을 경우, 자동으로 슬리핑 모드로 전환되는 바, 재사용버튼(142)을 눌러 재정열단계를 가질 수 있다.
이 때는 상면에 구비된 재사용버튼(142)을 누르면 정보 저장수단(130)에서 기억하고 있던 목표선 방위값에 대해 다시 한 번 어드레스를 취할 수 있도록 경보음 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후에는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면의 취소버튼(143)을 눌러 모든 기능을 대기 상태로 전환하여 다음 차례의 사용을 기다린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내부에 전자 나침반을 구비하고, 그 전자 나침반의 방위 측정값을 이용하기 때문에 주위환경에 대한 착시현상 없이 클럽 헤드를 최초의 목표선에 대해 직각의 상태로 어드레스 하기에 매우 용이하다.
즉, 볼을 타격하고자 하는 방향을 따라 목표선을 정한 후, 그 목표선에 따라 어드레스를 취할 때, 전자 나침반에 의해 측정된 목표선 값에 대한 정확한 정열상태를 알려주기 때문에 비숙련자라 할지라도 최선의 어드레스를 신속 간단하게 취할 수 있는 것이며, 더 나가서 성적향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6)

  1. 신체에 착용을 할 수 있도록 크립(101)을 가지는 본체(100);
    상기한 본체의 내부에 구비하되, 방위를 파악하기 위해 센서(111)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전자 나침반(110);
    상기한 전자 나침반(110)의 정보값을 받아 분석처리하는 주정보처리수단(120);
    상기한 주정보처리수단(120)으로부터의 정보처리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저장수단(130);
    상기한 전자 나침반을 포함하는 각 부분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수단(140);
    상기한 주정보처리수단(120)에 의해 처리된 정보값을 출력하는 출력수단(150);
    상기한 각 부분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160);
    으로 구성하여 상기 전자 나침반으로 최선의 어드레스 방향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자 나침반(110)은 측정값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각각의센서1(111a)과 센서2(111b)를 포함하는 전자 나침반1(110a)과, 전자 나침반2(110b)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입력수단(140)은 전자 나침반(110)의 측정값이 주정보처리수단(120)으로 전달되도록 지시하는 엔터버튼(141)과, 설정된 방향을 새로 설정하기 위한 재사용버튼(142)과, 모든 지시사항을 취소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취소버튼(14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수단(150)은 정열표시램프(151)와, 상기 정열표시램프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진동 발생기구(152)와, 경보음 발생기구(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5. 사용자가 크립(101)을 사용하여 본체(100)를 신체에 착용한 후, 파워 스위치(154)로 전원을 켜고, 전자 나침반(110)의 센서(111) 방향을 조절하는 셋팅단계;
    상기 셋팅단계를 거친 후, 현 위치의 볼을 축지점으로 하여 타구를 보내고자 하는 목표방향을 선택하여 목표선이 정해지면 엔터버튼(141)을 눌러 그 목표선값을 입력하는 목표선 설정단계;
    상기 목표선 설정단계를 거친 후, 사용자가 완전한 어드레스를 취할 때까지 출력수단(150)의 진동 또는 경보음을 제공하는 정열단계;
    상기 정열단계를 거쳐 정열이 완료되었을 때, 샷(타격)을 실시하는 사용단계;
    상기 사용단계를 거친 후, 취소버튼(143)을 눌러 모든 기능을 대기 상태로 전환하므로써 다음 차례의 사용시기까지 대기하는 휴면단계;
    를 차례로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를 이용한 어드레스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정열단계와 사용단계의 사이에 재사용버튼(142)을 눌러 다시 완전한 어드레스 정보를 제공받는 재정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를 이용한 어드레스방법.
KR1020020044897A 2002-07-30 2002-07-30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및 그 어드레스 보조기를 이용한어드레스방법 KR20040011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897A KR20040011779A (ko) 2002-07-30 2002-07-30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및 그 어드레스 보조기를 이용한어드레스방법
AU2002334430A AU2002334430A1 (en) 2002-07-30 2002-08-30 Address assisting device for golf and addressing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02/001636 WO2004011107A1 (en) 2002-07-30 2002-08-30 Address assisting device for golf and addressing method using the same
TW092112023A TW200401657A (en) 2002-07-30 2003-05-01 Address assisting device for golf and address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897A KR20040011779A (ko) 2002-07-30 2002-07-30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및 그 어드레스 보조기를 이용한어드레스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767U Division KR200292596Y1 (ko) 2002-07-30 2002-07-30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779A true KR20040011779A (ko) 2004-02-11

Family

ID=3118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897A KR20040011779A (ko) 2002-07-30 2002-07-30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및 그 어드레스 보조기를 이용한어드레스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40011779A (ko)
AU (1) AU2002334430A1 (ko)
TW (1) TW200401657A (ko)
WO (1) WO200401110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471B1 (ko) * 2007-11-28 2011-04-25 전경천 골퍼 지향각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퍼 지향각 표시방법
KR101045306B1 (ko) * 2010-12-20 2011-06-29 (주)퓨쳐테크 진동 방지장치
KR101161558B1 (ko) * 2011-07-19 2012-07-03 주식회사 싸이들 골프 어드레스 교정 장치
KR101388003B1 (ko) * 2013-07-23 2014-04-22 송영봉 골프 방향 가이드 방법 및 그 장치
WO2015026089A1 (ko) * 2013-08-19 2015-02-26 Cho Jae Won 골프 에이밍 및 어드레스 보조장치, 이를 이용한 어드레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3257A1 (fr) * 2005-11-14 2007-05-18 Jean Michel Decaudin Dispositif optoelectronique permettant a un joueur de golf d'aligner correctement ses pieds par rapport a sa cible
US10107639B2 (en) 2009-09-15 2018-10-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dio output configured to indicate a direc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198A (ja) * 1992-08-24 1994-03-08 Kubota Corp ゴルフ練習機
JPH0751421A (ja) * 1993-08-18 1995-02-28 Sugino Mach Ltd アドレス指示器
JPH0721074U (ja) * 1992-11-24 1995-04-18 武雄 糸山 ゴルフ用アドレスコンパス
KR960006960A (ko) * 1994-08-02 1996-03-22 요시카즈 나카무라 골프스윙 연습장치
KR200253450Y1 (ko) * 2001-07-21 2001-12-01 이용익 골프 퍼팅 연습구
KR20020004198A (ko) * 2000-07-03 2002-01-16 강오현 지.피.에스를 이용한 골프 정보 참조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2071A (en) * 1977-08-29 1979-07-24 Barry M Fish Golf tee
US5582554A (en) * 1995-12-13 1996-12-10 Strystar International, L.L.C. Golf accessory for indicating a natural break component of a green
JP3101911B2 (ja) * 1996-08-05 2000-10-23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コース計測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198A (ja) * 1992-08-24 1994-03-08 Kubota Corp ゴルフ練習機
JPH0721074U (ja) * 1992-11-24 1995-04-18 武雄 糸山 ゴルフ用アドレスコンパス
JPH0751421A (ja) * 1993-08-18 1995-02-28 Sugino Mach Ltd アドレス指示器
KR960006960A (ko) * 1994-08-02 1996-03-22 요시카즈 나카무라 골프스윙 연습장치
KR20020004198A (ko) * 2000-07-03 2002-01-16 강오현 지.피.에스를 이용한 골프 정보 참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0253450Y1 (ko) * 2001-07-21 2001-12-01 이용익 골프 퍼팅 연습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471B1 (ko) * 2007-11-28 2011-04-25 전경천 골퍼 지향각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퍼 지향각 표시방법
KR101045306B1 (ko) * 2010-12-20 2011-06-29 (주)퓨쳐테크 진동 방지장치
KR101161558B1 (ko) * 2011-07-19 2012-07-03 주식회사 싸이들 골프 어드레스 교정 장치
KR101388003B1 (ko) * 2013-07-23 2014-04-22 송영봉 골프 방향 가이드 방법 및 그 장치
WO2015012579A1 (ko) * 2013-07-23 2015-01-29 주식회사 알천텍 골프 방향 가이드 방법 및 그 장치
WO2015026089A1 (ko) * 2013-08-19 2015-02-26 Cho Jae Won 골프 에이밍 및 어드레스 보조장치, 이를 이용한 어드레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1657A (en) 2004-02-01
AU2002334430A1 (en) 2004-02-16
WO2004011107A1 (en)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280Y1 (ko) 스윙자세 교정 장치
US5980393A (en) Golf club with laser system
KR101727298B1 (ko) 골프 에이밍 및 어드레스 보조장치, 이를 이용한 어드레스 방법
US6254493B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CN204883592U (zh) 用于虚拟现实和增强现实交互控制中的交互手柄
CN104307171B (zh) 体感识别装置
KR102146192B1 (ko)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
KR20040011779A (ko)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및 그 어드레스 보조기를 이용한어드레스방법
WO2017092552A1 (zh) 一种可拆卸电池的感知型高尔夫球杆及握柄
US5428846A (en) Batting trainer
KR20180028077A (ko) 에이밍 기능을 갖는 귀걸이형 골프 이어폰
JP2022116232A (ja) 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方法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JP2004024627A (ja) 動作練習装置
KR20200137073A (ko) 에이밍 기능이 구비된 퍼팅정보 제공 장치
KR200292596Y1 (ko)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US6461248B1 (en) Electronic golf ball putter
KR200298900Y1 (ko)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US200301705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olf instruction
JP6438899B2 (ja) ゴルフ練習具
CN107970594A (zh) 一种带有可更换智能指示头的台球杆及使用方法
KR200476024Y1 (ko) 골프용 가이드 표시 장치
KR20170114083A (ko) 골프 어드레스 방향 보조장치.
KR102481405B1 (ko) 골프 스윙자세 교정용 그립장치
JP2005118402A (ja) 電子式運動姿勢認識装置
JP3240756U (ja) 防水充電式多機能メトロ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