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192B1 -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192B1
KR102146192B1 KR1020190046613A KR20190046613A KR102146192B1 KR 102146192 B1 KR102146192 B1 KR 102146192B1 KR 1020190046613 A KR1020190046613 A KR 1020190046613A KR 20190046613 A KR20190046613 A KR 20190046613A KR 102146192 B1 KR102146192 B1 KR 102146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unit
putting distance
laser module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흥수
Original Assignee
윤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흥수 filed Critical 윤흥수
Priority to KR1020190046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8Balls, ball substitutes, or attachments on bal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는, 골프공과 홀컵 간의 퍼팅거리를 레이저 포인팅 방식을 이용하여 그린에서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측정하고, 퍼팅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레이저 포인팅의 각도를 조절할 때,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각도조절을 부드럽게 조절되게 하고 조절된 각도를 유지되도록 하고, 측정한 골프공과 홀컵 간의 퍼팅거리를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선수에게 제공하고, 앱을 통해 제공된 퍼팅거리를 파악한 선수가 제공된 퍼팅거리를 이용하여 퍼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A measuring apparatus of golf putting distance that is using a laser}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골프공과 홀컵 간의 퍼팅거리를 레이저 포인팅 방식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측정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도가 있는 그린상에서 퍼팅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또한, 레이저 포인팅의 각도를 조절할 때, 자석을 이용하여 각도조절을 부드럽게 조절되게 하고 조절된 각도를 유지되도록 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한 골프공과 홀컵 간의 퍼팅거리를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선수에게 제공하고, 앱을 통해 제공된 퍼팅거리를 파악한 선수가 제공된 퍼팅거리를 이용하여 퍼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어 과거에 비교해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많은 생활기술들이 개발되어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체육 분야는 21세기 들어 경제적 발전과 주5일근무제의 확대로 인해 엘리트 체육에서 생활체육으로 변화되고 있는데, 소수의 전문 운동선수를 중심으로 하는 엘리트 체육에 비해 생활체육은 일반인들이 건강과 건전한 여가 활동, 친목 도모 등의 목적으로 부담없이 운동을 즐기기 위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어 전국적으로 많은 운동 동호회들이 활동하고 있다.
한편, 골프는 우리나라에서 급속히 대중화되고 있는 운동 중의 하나로서, 과거에 활동했던 최경주, 박세리 선수부터 최근에 활동 중인 박인비 선수까지 세계적으로 우수한 선수들을 많이 배출한 우리나라답게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필드라 불리는 경기장 위에서 선수가 정지중인 골프공을 클럽으로 타격하여 정해진 홀에 투입할 때까지 소요된 타수로 우열을 겨루는 경기로서, 필드에서 가장 공을 적게 친 선수가 승리하는 운동 경기이다.
골프 경기는 티(teeing ground)라 불리는 초타 구역에서 선수가 초타를 골프장의 중간지점인 페어웨이(fair way)까지 장타로 날린 다음, 홀컵이 있는 그린(green)에서 골프공을 홀컵에 골인시켜 해당 홀의 경기를 마무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기순서이다.
여기서, 선수가 그린에서 골프공을 홀컵에 골인시켜 마무리하는 것을 퍼팅(putting)이라 하는데, 바로 퍼팅이 골프 경기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으로서 골프 선수의 실력은 퍼팅에서 소요되는 타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다.
이때, 퍼팅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는 퍼팅거리와 퍼팅라인의 경사도인데, 그 중에서도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직선상 퍼팅거리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종래의 퍼팅거리를 파악하는 방법은 그린 상에서 선수가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퍼팅라인에 평행하도록 일정한 보폭과 걸음수를 계산하는 방식인데, 이 방식은 정확한 퍼팅거리 파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특히, 정확한 퍼팅거리 파악이 안 되는 선수는 거리감만으로 퍼팅하기 때문에, 퍼팅 실패로 인한 타수 증가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골프에서 퍼팅 실패로 인한 타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린에서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직선거리인 퍼팅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할 필요성 있는 것이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8309호 실측기반의 그린 고도 데이터의 획득을 통한 그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처리방법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8913호 레이저빔 다축 조사형 골프 퍼터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7764호 모바일 단말기에서 골프 그린의 예상 퍼팅 궤적을 제공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골프공과 홀컵 간의 퍼팅거리를 레이저 포인팅 방식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도가 있는 그린에서도 용이하게 퍼팅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레이저 포인팅의 각도 시, 자석을 이용하여 각도조절을 부드럽게 조절되게 하고 조절된 각도를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한 골프공과 홀컵 간의 퍼팅거리를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선수에게 제공하고, 앱을 통해 제공된 퍼팅거리를 파악한 선수가 그린에서 제공된 퍼팅거리를 이용해 퍼팅을 마무리 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는,
골프 퍼팅거리 측정장치의 외부 몸체로서, 레이저 송출창(110), 레이저 수신창(120), 버튼 조작부(130)가 형성되는 커버부(100)와;
상기 커버부(100)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커버부(100)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100)에 형성된 레이저 송출창(110)을 통해 홀컵 주변에 위치한 골프 선수로 레이저를 송출하고, 골프 선수의 몸에 맞고 반사된 레이저를 커버부(100)에 구성된 레이저 수신창(120)을 통해 수신 받고, 송출 및 수신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퍼팅거리를 계산하며, 계산된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몸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는, 골프공과 홀컵 간의 퍼팅거리를 레이저 포인팅 방식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측정하기 때문에, 종래의 걸음수로 퍼팅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에 비해 정확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도가 있는 그린에서도 용이하게 퍼팅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퍼팅거리 산출을 위한 레이저 포인팅의 각도 조절 시, 자석을 이용하기 때문에 각도조절이 부드러운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한 골프공과 홀컵 간의 퍼팅거리를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선수에게 제공하고 앱을 통해 제공된 퍼팅거리를 파악한 선수가 그린에서 퍼팅을 가급적 단타로 마무리 하도록 돕기 때문에, 동호인 선수와 같은 아마추어 골프 선수들의 경기력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의 몸체부 기능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의 몸체부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제어화면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이하 '측정장치')는 골프공과 홀컵 간의 퍼팅거리를 레이저 포인팅 방식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측정하는 발명으로, 커버부(100)와 몸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경우 퍼팅거리를 파악하는 방법은 그린 상에서 선수가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퍼팅라인에 평행하도록 일정한 보폭과 걸음수를 걸어서 계산하는 방식인데, 걸음수를 측정하기 위해 퍼팅 라인의 직선 경로를 선수가 걸어가는 것은 비 매너적인 행동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걸음수를 계산하기 위해 선수는 직선거리를 걷는 것이 아니라 직선라인을 우회하는 경로를 걸어 걸음수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직선거리를 유추하였다.
하지만, 이 방식은 정확한 퍼팅거리 파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퍼팅거리를 파악하지 못한 선수는 거리감만으로 퍼팅함으로 인해 퍼팅 실패로 인한 타수 증가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골프는 필드에서 가장 공을 적게 친 선수가 승리하는 운동 경기이기 때문에, 퍼팅이 골프 경기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으로서 골프 선수의 실력은 퍼팅에서 소요되는 타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측정장치(10)는 종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퍼팅거리의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도 2와 같이, 볼 마커가 위치한 지점에서 홀컵 뒤에 위치한 골프 선수에게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퍼팅거리를 계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측정장치(10)가 볼 마커 상에 위치되는 이유는, 골프 경기 규칙에 따라 선수의 타격에 의해 골프공이 그린 상으로 이동하면 선수는 골프공이 위치한 그린상의 자리에 볼 마커를 위치시킨다. 이후 볼 마커의 위치가 바로 선수가 퍼팅을 시작하는 골프공을 위치시키는 자리가 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정장치(10)는 볼 마커의 위치를 기준으로 홀컵 뒤에 위치한 골프 선수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퍼팅 거리를 계산한 후 계산된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는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전용 앱(301)이 탑재되고, 상기 앱(301)은 실행되면 자동으로 측정장치(1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측정장치(10)에서 전송한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퍼팅거리를 그래픽정보로 표시하거나 음성정보로 출력하여 사용자인 골프 선수에게 퍼팅거리를 인지시킨다.
본 발명인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모양의 형태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골프 퍼팅거리 측정장치의 외부 몸체로서, 레이저 송출창(110), 레이저 수신창(120), 버튼 조작부(130)가 형성되는 커버부(100)와;
상기 커버부(100)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커버부(100)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100)에 형성된 레이저 송출창(110)을 통해 홀컵 주변에 위치한 골프 선수로 레이저를 송출하고, 커버부(100)에 구성된 레이저 수신창(120)을 통해 반사된 레이저를 수신 받고, 송출 및 수신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퍼팅거리를 계산하며, 계산된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몸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100)는 본 발명의 골프 퍼팅거리 측정 장치(10)의 외부 몸체로서, 내측에 위치하는 몸체부(200)의 구성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100)는, 도 1과 같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노브(knob, 손잡이)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100)를 노브(knob, 손잡이)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그린(green)에 위치하는 볼 마커 위에 측정 장치(10)가 직립 위치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커버부(10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측정 장치(10)를 볼 마커 위에 위치시키기 편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좌우로 레이저 포인팅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송출창(110), 레이저 수신창(120), 버튼 조작부(130), 전원단자 연결구(140)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송출창(110)은 커버부(100)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으로서 몸체부(200)의 레이저 모듈부(210)에서 생성된 레이저가 송출창(110)를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또한, 상기 레이저 수신창(120)은 레이저 송출창(110)의 부근에 형성되며, 퍼팅거리 측정을 위해 송출된 레이저가 골프 선수에 반사된 후 레이저 수신창(120)을 통해서 레이저 모듈부(210)로 수신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출창(110)을 통해 송출된 레이저는 홀컵 주변에 있는 사용자(퍼팅 거리를 알기 위해 측정장치를 골프공이 위치한 지점에 놓고 홀컵 주변으로 이동한 골퍼)의 몸에 맞고 반사되며, 반사된 레이저는 수신창(120)을 통해 수신되는 것이다.,
상기 버튼 조작부(130)는 도 4의 상단 확대도를 참조하면, 커버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레이저 모듈부(210)와 연동되어 측정 장치(10)의 작동 상태 즉, 상기 레이저 모듈부(210)의 작동 상태를 on/off 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전원단자 연결구(140)는, 도 4와 같이, 커버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전원 연결용 어뎁터 단자가 레이저 모듈부(210)의 전원단자(216)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이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200)는 커버부(100)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커버부(100)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100)에 형성된 레이저 송출창(110)을 통해 홀컵 주변에 위치한 골프 선수로 레이저를 송출하고, 커버부(100)에 구성된 레이저 수신창(120)을 통해 반사된 레이저를 수신 받고, 송출 및 수신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퍼팅거리를 계산하며, 계산된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레이저 모듈부(210),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 거치 회동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 모듈부(210)는 커버부(100) 내측면 일측과 결합되고, 커버부(100)에 구성된 레이저 송출창(110)을 통해 홀컵 주변에 위치한 골프 선수로 레이저를 송출하고, 커버부(100)에 구성된 레이저 수신창(120)을 통해 반사된 레이저를 수신 받고, 송출 및 수신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퍼팅거리를 계산하며, 계산된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레이저 모듈부(210)는 레이저 송수신부(211), 퍼팅거리 연산부(212), 통신부(213), 제어부(214), 전원부(215), 전원단자(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5를 참조하면, 상기 레이저 송수신부(211)는 제어부(214)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를 송출하고 반사된 레이저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적색, 녹색 레이저를 사용한다.
한편, 레이저 송수신부(211)의 레이저 송출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의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214)가 제어한다.
즉, 도 8에 도신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에 활성화된 앱 화면상에서 레이저 켜기를 선택하면 레이저 송출 원격 제어신호가 따라 레이저 모듈부(210)의 통신부(213)를 통해 수신되고, 이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214)는 레이저 송수신부(211)가 레이저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반대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활성화된 앱 화면상에서 레이저 끄기를 선택하면 레이저 송출 중단 원격 제어신호가 따라 레이저 모듈부(210)의 통신부(213)를 통해 수신되고, 이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214)는 레이저 송수신부(211)가 레이저 송출을 중단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이저 송수신부(211)에서 송출되는 레이저는 사람의 시선을 차단하고 망막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가급적 골프 선수의 눈과 피부가 아닌 옷이나 신발 부분에 레이저가 접촉되도록 조준하고, 퍼팅거리가 계산되면 안전을 위해 레이저 송출을 중지시켜야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퍼팅거리 연산부(212)는 레이저 송수신부(211)를 통해 송출되고 수신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퍼팅거리를 계산하는 일종의 연산장치이다.
퍼팅거리 연산부(212)는 레이저 송수신부(211)를 통해 송수신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퍼팅 거리 계산 시 그린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퍼팅 거리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측정 장치(10)가 있는 위치(즉, 볼 마커가 있는 위치)의 주변은 평평하지만 홀컵까지는 일정한 경사도가 있는 그린의 경우, 홀컵 주변에 위치한 골프 선수로의 정확한 레이저 포인팅 조준을 위해서 후술하겠지만 레이저 모듈부(210)와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의 상하 각도를 경사도에 맞게 조절한다.
레이저 모듈부(210)와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의 상하 각도가 조절된 상태(즉, 그린에 일정한 경사도가 있는 경우)에서 송수신된 레이저를 이용해 계산된 퍼팅 거리는 측정 장치(10)와 골프 선수와의 직선거리이지 측정 장치(10)와 홀컵과의 직선거리가 아니다.
즉, 레이저 모듈부(210)와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의 상하 각도가 조절된 상태(즉, 그린에 일정한 경사도가 있는 경우)에서 송수신된 레이저를 이용해 계산된 퍼팅 거리는 그린의 경사도가 반영되지 않아 측정 장치(10)와 홀컵과의 직선거리인 퍼팅 거리가 아니어서 측정된 거리와 실제 퍼팅 거리에는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즉 그린의 경사도를 반영해 정확한 실제 퍼팅 거리 계산을 위해 연산부(212)는 아래 수학식에 의해 퍼팅거리를 계산 한다.
Figure 112019041054817-pat00001
상기의 수식에 의해 계산된 퍼팅 거리는 그린의 경사도가 반영된 측정 장치(10)와 홀컵과의 직선거리인 실제 퍼팅 거리가 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부(213)는 제어부(214)의 제어에 따라 퍼팅거리 연산부(212)를 통해 계산된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이다.
이때, 상기 통신부(213)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자단말기(300)와 통신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14)는 레이저 모듈부(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레이저의 송출 및 수신 제어, 퍼팅거리 연산 제어, 계산된 퍼팅거리의 전송 제어, 레이저 모듈부(110)의 동작 on/off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버튼 조작부(130)를 조작하여 측정 장치(10)를 온(on) 시키면 레이저 모듈부(210)의 각 구성들에 전원을 인가하여 퍼팅 거리 측정을 위한 상태로 만든다.
즉, 제어부(214)는 커버부(100)에 형성된 버튼 조작부(130)에 연동되어, 사용자가 버튼 조작부(130)를 온(on) 조작하면 레이저 모듈부(210)의 각 구성들에 전원이 인가 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버튼 조작부(130)를 오프(off) 조작하면 레이저 모듈부(210)의 각 구성들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14)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레이저 송수신부(211)가 레이저를 송출 및 수신하도록 제어한 다음, 퍼팅거리 연산부(212)가 퍼팅거리를 연산하도록 제어한다.
그 다음에, 상기 제어부(214)는 사용자단말기(300)와 통신네트워크를 형성되도록 통신부(213)를 제어한 후 퍼팅거리 연산부(212)를 통해 계산된 퍼팅거리를 사용자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서 실행되는 앱(301)을 통해 사용자는 계산된 퍼팅거리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215)는 전원단자(216)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충전되고, 충전된 전원을 레이저 모듈부(210)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리튬이온배터리와 같은 충전식 배터리가 적용된다.
상기 전원단자(216)는 커버부(100)의 전원단자 연결구(140)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레이저 모듈부(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전원 연결용 어뎁터 단자가가 연결되도록 하여 외부전원이 전원부(215)에 공급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는 레이저 모듈부(210)가 그린 상에 위치한 볼 마커 위에 직립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일종의 스탠드와 같은 구성이다.
이때, 그린과 접하는 상기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의 바닥면에는, 도 4의 하단 확대도와 같이, 오목 홈(221)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오목 홈(221)의 형상은 그린 상에 위치한 볼 마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볼 마커의 외부 형상에 대응된 모양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볼 마커의 형상은 원형이 가장 많다.
즉, 측정 장치(10)를 그린상에 위치한 볼 마커위에 놓으면 볼 마커는 오목 홈(221)의 내부로 수용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의 몸체부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 회동부(230)는 레이저 모듈부(210)와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 사이에 위치하고, 자력을 이용하여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에 대한 레이저 모듈부(210)의 상하 각도가 조절되게 하고 조절된 각도를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제1힌지(231), 제2힌지(232), 제1자석(233), 제2자석(2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힌지(231)는 레이저 모듈부(2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제2힌지(232)와 힌지 결합된다. 이때 제1힌지(231) 내측에는 제1자석(233)이 내삽된다.
상기 제2힌지(232)는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의 상측에 형성되고, 제1힌지(231)와 힌지 결합된다. 이때 제2힌지(232) 내측에는 제2자석(234)이 내삽된다.
상기 제1자석(233)과 제2자석(234)은 극성이 서로 다른 영구자석으로서, 제1자석(233)과 제2자석(23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힌지(231)와 제2힌지(232)에 각각 삽입된다.
특히, 제1자석(233)과 제2자석(234)은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이 적용되며, 네오디뮴 자석은 자석 중에서 가장 자력이 우수한 영구자석으로서 크기에 비해 자력이 큰 장점이 있어 정밀한 제품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자석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적 특징을 갖는 거치 회동부(230)는 제1자석(233)과 제2자석(234)의 자력을 이용하여 도 7과 같이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에 대한 레이저 모듈부(21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거나 조절된 각도를 유지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 제1자석(233)과 제2자석(234)은 상호 끌어당기는 인력에 의해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에 대한 레이저 모듈부(210)의 초기 상태(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와 레이저 모듈부(210)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에 대한 레이저 모듈부(210)의 상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즉, 초기 상태(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와 레이저 모듈부(210)가 수평한 상태)에서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에 대한 레이저 모듈부(210)의 상하 각도 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커버부(100)(레이저 모듈부(210)가 내삽 연결되어 있는 커버부(100))를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에 대해 힌지 회동 시키면, 상호 끌어당기는 인력으로 면 접촉하면서 결합되어 있는 제1자석(233)과 제2자석(234)은 면 접촉된 상태로 상호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에 대한 레이저 모듈부(210)의 상하 각도가 조절된 상태가 된다.
이후, 각도가 조절된 상태는 상호 끌어당기는 인력으로 면 접촉하면서 결합되어 있는 제1자석(233)과 제2자석(234)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다.
반대로 사용자가 측정 장치(10)를 초기 상태(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와 레이저 모듈부(210)가 수평한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커버부(100)를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에 대해 상술한 힌지 회동의 반대 방향으로 힌지 회동 시키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제1자석(233)과 제2자석(234)의 자력을 이용하여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에 대한 레이저 모듈부(21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각도 조절 시, 단차가 없는 부드러운 각조 조절과 미세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300) 제어화면 예시도이다.
도 2와 5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는 측정 장치(10)(구체적으로 레이저 모듈부(210))에서 전송한 퍼팅거리를 수신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퍼팅 거리 측정을 위한 레이저 송출의 원격제어를 위한 전용 앱(301)이 탑재된다.
상기 앱(301)은 실행되면 자동으로 레이저 모듈부(210)의 통신부(213)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레이저 모듈부(210)에서 전송한 퍼팅거리를 수신하여 시각적 방법(그래픽정보 이용)으로 표시하거나 청각적 방법(음성정보 이용)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퍼팅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는 전용 앱(301)이 탑재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노트북, PDA와 같은 전자기기 등일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 중에서도 가장 많이 보급되면서 휴대성, 편리성, 기능성이 우수하고 인터넷과 블루투스 같은 통신이 가능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고 스피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워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서 전용 앱(301)이 실행되면, 화면에는 원격제어 관련 아이콘(레이저 켜기 아이콘(310), 레이저 끄기 아이콘(320), 퍼팅 거리 1회 측정 아이콘(350), 퍼팅 거리 연속 측정 아이콘(360))과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아이콘(퍼팅 거리가 그래픽적으로 표시되는 아이콘(330), 퍼팅 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아이콘(340))이 표시된다.
상기 레이저 켜기 아이콘(310)과 레이저 끄기 아이콘(320)은 원격으로 레이저 모듈부(210)의 레이저 송출의 on/off 를 제어하는 제어 아이콘이다.
상기 퍼팅 거리가 그래픽적으로 표시되는 아이콘(330)과 퍼팅거리 음성 출력 아이콘(340)은 수신된 퍼팅거리 정보를 각각 시각적(그래픽정보로 표시) 또는 청각적(음성정보로 출력)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아이콘이다.
이때, 상기 퍼팅거리 음성 출력 아이콘(340)을 사용자가 터치할 때마다 수신된 퍼팅거리를 음성정보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퍼팅 거리 1회 측정 아이콘(350)과 퍼팅 거리 연속 측정 아이콘(360)은 퍼팅거리를 파악하기 위해 퍼팅 거리 측정 회수를 선택하는 아이콘으로 연속 측정 아이콘을 선택하면 퍼팅 거리를 설정된 회수만큼 연속적으로 측정하게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측정장치
100 : 커버부
200 : 몸체부
300 : 사용자단말기
301 : 앱

Claims (8)

  1.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 퍼팅거리 측정장치에 있어서,
    골프 퍼팅거리 측정장치의 외부 몸체로서, 레이저 송출창(110), 레이저 수신창(120), 버튼 조작부(130)가 형성되는 커버부(100)와;
    상기 커버부(100)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커버부(100)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100)에 형성된 레이저 송출창(110)을 통해 홀컵 주변에 위치한 골프 선수로 레이저를 송출하고, 골프 선수의 몸에 맞고 반사된 레이저를 커버부(100)에 구성된 레이저 수신창(120)을 통해 수신 받고, 송출 및 수신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퍼팅거리를 계산하며, 계산된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몸체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200)는,
    커버부(100) 내측면 일측과 결합되고, 커버부(100)에 구성된 레이저 송출창(110)을 통해 홀컵 주변에 위치한 골프 선수로 레이저를 송출하고, 커버부(100)에 구성된 레이저 수신창(120)을 통해 반사된 레이저를 수신 받고, 송출 및 수신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퍼팅거리를 계산하며, 계산된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레이저 모듈부(210)와,
    레이저 모듈부(210)가 그린 상에 위치한 볼 마커 위에 직립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와,
    레이저 모듈부(210)와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 사이에 위치하고, 자력을 이용하여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에 대한 레이저 모듈부(210)의 상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거치 회동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 회동부(230)는,
    레이저 모듈부(210)의 하측에 연결 형성되고, 제2힌지(232)와 힌지 결합되는 제1힌지(231)와,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의 상측에 연결 형성되고, 제1힌지(231)와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232)와,
    상기 제1힌지(231)의 내측에는 삽입되는 제1자석(233)과,
    상기 제2힌지(232)의 내측에 삽입되며 제1자석(233)과 극성이 다른 제2자석(234)을 포함하고,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 제1자석(233)과 제2자석(234)은,
    상호 끌어당기는 자력에 의해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에 대한 레이저 모듈부(210)의 초기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에 대한 레이저 모듈부(210)의 상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 퍼팅거리 측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모듈부(210)는,
    제어부(214)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를 송출하고, 반사된 레이저를 수신하는 레이저 송수신부(211)와,
    송출되고 수신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퍼팅거리를 계산하는 퍼팅거리 연산부(212)와,
    제어부(214)의 제어에 따라 퍼팅거리 연산부(212)를 통해 계산된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통신부(213)와,
    레이저의 송출 및 수신 제어, 퍼팅거리 연산 제어, 계산된 퍼팅거리의 전송 제어, 레이저 모듈부(110)의 동작 on/off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14)와,
    전원단자(216)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충전되고, 충전된 전원을 레이저 모듈부(210)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부(215)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2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 퍼팅거리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그린과 접하는 레이저 모듈 거치부(220)의 바닥면에는 오목 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홈(221)의 형상은 그린 상에 위치한 볼 마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볼 마커의 외부 형상에 대응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 퍼팅거리 측정장치.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퍼팅거리 연산부(212)는,
    퍼팅거리를 계산함에 있어서, 아래 수학식에 의해 퍼팅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 퍼팅거리 측정장치.
    Figure 112019041054817-pat00002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는 전용 앱이 탑재되고, 상기 전용 앱은 몸체부(200)로부터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으면, 시각 또는 청각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선수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 퍼팅거리 측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용 앱이 퍼팅거리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은 음성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은 그래픽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 퍼팅거리 측정장치.
KR1020190046613A 2019-04-22 2019-04-22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 KR10214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613A KR102146192B1 (ko) 2019-04-22 2019-04-22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613A KR102146192B1 (ko) 2019-04-22 2019-04-22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192B1 true KR102146192B1 (ko) 2020-08-19

Family

ID=7229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613A KR102146192B1 (ko) 2019-04-22 2019-04-22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1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680B1 (ko) * 2022-05-23 2023-03-23 주식회사 솔릭스 골프용 거리 측정 장치
KR102512681B1 (ko) * 2022-05-23 2023-03-23 주식회사 솔릭스 골프용 거리 측정 장치
KR102623262B1 (ko) 2023-09-05 2024-01-10 이엘스포츠주식회사 연습 퍼팅의 스윙 궤적과 이에 따른 타격거리 표시장치 및 방법
KR20240038389A (ko) 2022-09-16 2024-03-25 김성진 홀컵 거리 표시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913A (ko) * 2004-05-10 2005-11-16 주식회사 헤파스 골프용 방향 및 거리 표시기
KR20110093401A (ko) * 2010-02-12 2011-08-18 심재영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088309B1 (ko) 2010-10-18 2011-11-30 (주)테슬라시스템 실측기반의 그린 고도 데이터의 획득을 통한 그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처리방법
KR20110138913A (ko) 2010-06-22 2011-12-28 이주현 레이저빔 다축 조사형 골프 퍼터
KR101577764B1 (ko) 2014-05-28 2015-12-15 (주)테슬라시스템 모바일 단말기에서 골프 그린의 예상 퍼팅 궤적을 제공하는 방법
KR101654080B1 (ko) * 2015-12-10 2016-09-05 임성규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 및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장치
KR20180082920A (ko) * 2017-01-11 2018-07-19 오진우 골프장 그린의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913A (ko) * 2004-05-10 2005-11-16 주식회사 헤파스 골프용 방향 및 거리 표시기
KR20110093401A (ko) * 2010-02-12 2011-08-18 심재영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38913A (ko) 2010-06-22 2011-12-28 이주현 레이저빔 다축 조사형 골프 퍼터
KR101088309B1 (ko) 2010-10-18 2011-11-30 (주)테슬라시스템 실측기반의 그린 고도 데이터의 획득을 통한 그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처리방법
KR101577764B1 (ko) 2014-05-28 2015-12-15 (주)테슬라시스템 모바일 단말기에서 골프 그린의 예상 퍼팅 궤적을 제공하는 방법
KR101654080B1 (ko) * 2015-12-10 2016-09-05 임성규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 및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장치
KR20180082920A (ko) * 2017-01-11 2018-07-19 오진우 골프장 그린의 측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680B1 (ko) * 2022-05-23 2023-03-23 주식회사 솔릭스 골프용 거리 측정 장치
KR102512681B1 (ko) * 2022-05-23 2023-03-23 주식회사 솔릭스 골프용 거리 측정 장치
KR20240038389A (ko) 2022-09-16 2024-03-25 김성진 홀컵 거리 표시장치
KR102623262B1 (ko) 2023-09-05 2024-01-10 이엘스포츠주식회사 연습 퍼팅의 스윙 궤적과 이에 따른 타격거리 표시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192B1 (ko)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의 퍼팅거리 측정장치
US11045708B2 (en) Golf GPS device with hole recognition and hole selection
US9821210B2 (en)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measure, analyze and share golf swing characteristics
KR101746662B1 (ko) 골프 정보 제공 장치
KR20150143879A (ko) 골프 클럽들 및 골프 클럽 헤드들
JP2015502831A (ja) クラブ付着型ゴルフスイングのリアルタイム分析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20070243942A1 (en) Golf practi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9322920B2 (en) Golf GPS device with a clip and changing user interface of the device based on clipping
US20210162289A1 (en) Golf Training Apparatus
KR20160075076A (ko) 골프용 가이드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4772B1 (ko) 골프스윙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03182A1 (en) Golf putter with training device
KR20180028077A (ko) 에이밍 기능을 갖는 귀걸이형 골프 이어폰
JP6405018B2 (ja) ゴルフトレーニング器具、ゴルフトレーニング方法及びゴルフ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US10894194B2 (en) Ear-wearable device providing golf advice data
KR102265374B1 (ko) 에이밍 기능이 구비된 퍼팅정보 제공 장치
KR200479127Y1 (ko) 골프용 가이드 표시 장치
KR102000151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골프 스윙패턴 분석 시스템
KR101388003B1 (ko) 골프 방향 가이드 방법 및 그 장치
US6872150B2 (en) Putting practice kit and method
KR200397875Y1 (ko) 골프 퍼팅연습기
KR200479128Y1 (ko) 골프용 가이드 표시 장치
KR20150136753A (ko) 골프 방향 가이드 방법 및 그 장치
KR102485494B1 (ko) 이어폰 케이스를 이용한 골프경기 데이터 획득 시스템
US20150238840A1 (en) Golf navigation terminal and golf navigation device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