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347A - 라디에이터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라디에이터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347A
KR20040009347A KR1020020043270A KR20020043270A KR20040009347A KR 20040009347 A KR20040009347 A KR 20040009347A KR 1020020043270 A KR1020020043270 A KR 1020020043270A KR 20020043270 A KR20020043270 A KR 20020043270A KR 20040009347 A KR20040009347 A KR 20040009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fixing
fixing member
bolt
bol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9729B1 (ko
Inventor
심호창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7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09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4Radiato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 부재인 마운팅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설계의 자유도가 높은 라디에이터의 고정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라디에이터의 상부 및 하부의 적어도 일측의 외부에 설치되고, 중앙에 홈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홈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외면에 안착 홈부가 형성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안착 홈부에 안착되는 볼트 체결부를 구비한 수평 지지 부재와, 상기 볼트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그 머리부가 상기 고정 부재 또는 삽입부를 측면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볼트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디에이터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radiator}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디에이터를 캐리어에 고정시키는 상부 마운팅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만으로 라디에이터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열교환기는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로부터 열을 방출시키는 라디에이터(radiator)와,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는 증발기(evaporator), 콘덴서(condenser) 및 히터코어(heater core) 등이 있다. 통상적으로 공기조화장치의 증발기와 히터코어는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고, 라디에이터와 콘덴서는 자동차의 엔진룸에 장착된다.
특히, 자동차의 엔진룸에 장착되는 라디에이터에는 이 라디에이터의 코어에 바람을 불어주기 위한 냉각 팬이 장착된다. 이 냉각 팬은 팬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팬 모터 및 냉각 팬 등이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에는 팬 쉬라우드가 제공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에 고정된다.
도 1에는 이러한 라디에이터가 자동차의 캐리어(Carrier)에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와 하부에 냉각수가 유입 및 유출하는 헤더 탱크가 설치되고, 그 사이로 냉각수가 공기와 열 교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튜브와 핀이 설치되어 코어부를 형성하는 라디에이터(10)가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지지폴(12a)(12b) 및 하부 지지폴(13a)(13b)을 구비하여 이 지지폴들을 통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라디에이터(10)는 하부 지지폴(13a)(13b)은 하부 마운팅 브라켓(15a)(15b)에 지지되어 고정되고, 상부 지지폴(12a)(12b)은 상부 마운팅 브라켓(14a)(14b)에 지지되어 차체의 수평 프레임 중의 하나인 캐리어(11)에 고정된다. 특히, 상부 지지폴(12a)(12b)에는 우선 러버 부재(13a)(13b)가 체결되고, 이들이 상부 마운팅 브라켓(14a)(14b)에 체결된 체 볼트(18)에 의해 상기 캐리어(11)의 구멍(17)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종래에는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때에 상단에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을 사용하고, 이 마운팅 브라켓을 프레임에 볼트를 사용해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져, 상기 상부 마운팅 브라켓의 높이만큼 라디에이터의 설치 위치가 조정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조립에 있어서도, 별도의 부재인 브라켓을 이용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이 까다롭고 공수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들 브라켓을 캐리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볼트를 이용해 브라켓을 고정하여야 하는 데, 이러한 볼트 연결을 통해서 캐리어의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마운팅 브라켓을 사용하는 구조는 헤더 탱크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횡방향 흐름 라디에이터의 경우에는 그 지지폴들을 헤더 탱크의 단부에 연결하여야 하는 데, 이로 인해 라디에이터의 탱크에 무리가 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고정 부재인 마운팅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설계의 자유도가 높은 라디에이터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리어 등과 같은 수평 프레임 자체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 캐리어의 강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라디에이터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라디에이터 고정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고정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 확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고정구조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고정부재가 라디에이터의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고정구조의 수평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따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0: 라디에이터21,22: 헤더 파이프
23: 코어24: 보강 부재
25: 하부 지지 폴26: 하부 마운팅 브라켓
30: 고정부재32: 안착홈부
34: 고정 돌기40: 삽입부
42: 고정 홀50: 수평 지지부재
51a: 수평면부51b: 수직면부
52: 볼트 체결부54: 지지부
60: 볼트 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의 상부 및 하부의 적어도 일측의 외부에 설치되고, 중앙에 홈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홈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외면에 안착 홈부가 형성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안착 홈부에 안착되는 볼트 체결부를 구비한 수평 지지 부재와, 상기 볼트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그 머리부가 상기 고정 부재 또는 삽입부를 측면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볼트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 부재에는 그 측면을 따라 적어도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고정 부재의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고정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홀의 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를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평 지지부재는 상기 볼트 체결부에 볼트 부재가 결합되는 반대 방향에 수직면부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상기 수직면부의 하단부 중 적어도 상기 볼트 체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 또는 상기 삽입부의 측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재는 소정의 탄성율을 가진 탄성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의 고정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의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고정 구조에 의하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캐리어(50)에 라디에이터(20)가 장착된다. 상기 캐리어는 금속재나 합성 수지재 등 어떠한 것이건 사용가능하다. 근래에는 상기 캐리어(50)를 차량의 경량화에 대한 요구로 인하여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합성수지재로만 이루어진 캐리어는 강도면에서 취약하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수평 프레임을 철강 등 금속재로 하여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병용한 하이브리드형(hybridtype) 캐리어가 채용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리어(50)는 중앙에 라디에이터(20)가 장착되는 쿨링 모듈 장착부(55)가 구비되어 있고, 그 양측으로 헤드램프가 장착되는 헤드램프 장착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쿨링 모듈 장착부(55)에는 상기 라디에이터 외에도 리시버 드라이어가 장착된 응축기나 쿨링 팬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캐리어(50)에 장착되는 라디에이터(20)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제 1헤더 탱크(21) 및 제 2헤더 탱크(22)를 구비하며, 그 사이에 복수개의 튜브가 연통되고 핀이 설치되어 외부를 관통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코어(23)를 구비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라디에이터(20)는 헤더 탱크가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냉각수가 흐르는 다운 플로우(down-flow) 방식의 라디에이터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양측에 헤더 탱크가 구비된 크로스 플로우(cross-flow)방식의 라디에이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운 플로우 방식의 라디에이터에 한정하기로 한다.
도 3과 같은 라디에이터에는 그 상부와 하부의 헤더 탱크 중 적어도 하나에 라디에이터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삽입부(40)를 마련한다. 이 삽입부는 각 탱크(21a)(22a)의 표면에 오목하게 패인 홈부를 형성하여서 탱크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탱크(21a)(22a)의 표면에 별도의 삽입부(40)를 접합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삽입부(40)는 본 발명에 따라 라디에이터(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써 사용되는 것으로, 이 삽입부(40)의 홈부에 맞추어지도록 별도의 고정부재(30)가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라디에이터(20)는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캐리어(50)의 수평 지지부재(50a)에 의해 지지되는 데, 이 수평 지지부재(50a)에는 상기 라디에이터(20)의 삽입부(40)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 체결부(52)가 구비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볼트 체결부(52)는 수평 지지부재(50a)에 고정되도록 부착되며, 라디에이터(20)의 삽입부(40)에 삽입된 고정부재(30)의 안착홈부(32)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의 고정구조인 삽입부(40), 고정부재(30) 및 수평 지지부재(50a)의 볼트 체결부(52)의 결합구조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구조에만 적용시키고, 하부의 지지구조는 하부의 지지폴(25)과 이를 지지하는 하부 마운팅 브라켓(26)으로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 설명될 상부의 고정 구조를 그대로 하부에도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헤더 탱크의 외면에 형성된 삽입부는 만일 헤더 탱크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냉각수가 흐르게 되는 크로스 플로우(cross-flow)방식의 라디에이터에 적용될 경우에는 코어부의 가장자리, 즉, 각 헤더 탱크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별도의 보강부재에 상기 삽입부를 형성하여 이 삽입부를 통해 수평 지지부재에 라디에이터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라디에이터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수평지지부재와의 고정에 있어 매개체로 사용될 고정부재(30)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림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3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그 어느 일면의 중앙부에 안착홈부(32)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 안착홈부(32)가 형성된 고정부재(30)의 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평 지지부재와의 결합에 있어 수평 지지부재를 향하는 면이 된다.
도 4에서 상기 고정부재(30)는 그 상부에 안착 홈부(32)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측면을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 홈부(32)는 고정부재(30)의 상면 중앙부를 가로지르도록 패여 있으며, 그 깊이는 원통 형상인 볼트 체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부의 표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안착 홈부(32)는 비록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만일 상기 볼트 체결부의 표면이 각이 진 직육면체의 형상이라면, 이 표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각진 형상으로 패여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돌기(34)는 고정부재(3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의 삽입부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부재(30)를 삽입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30)는 소정의 탄성율을 가진 탄성부재, 즉, 러버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이 고정부재(30)가 매개가 되어 라디에이터를 수평 지지부재에 고정시키게 되므로, 고정될 부재들 상호간의 충격을 흡수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부재(30)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탱크부(21a)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40)에 삽입된다. 이 때, 삽입부(4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는 적어도 그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부(32)의 하부까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안착홈부(32)는 삽입부(40)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 그 측면까지 외부로 드러나도록 상기 고정부재(30)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평 지지부재의 볼트 체결부가 상기 안착홈부(32)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삽입부(40)에 삽입된 고정부재(30)는 그 측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34)들이 삽입부(4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 홀(42)에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빠져 나오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서 탱크부(21a)의 하부에는 헤더(21b)가 접합되고, 이 헤더(21b)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튜브들(23a)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튜브들(23a)의 사이에는 방열 핀(23b)이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라디에이터의 양측단의 가장자리에는 라디에이터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 보강 부재(24)가 더 부착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로 상기와 같은 라디에이터가 고정될 수평 지지부재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라디에이터가 고정될 수평 지지부재(50a)는 차체의 캐리어(50)에 구비된 것이다.
이 수평 지지부재(50a)는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그 단면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조적인 강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라디에이터가 고정될 위치, 특히, 라디에이터의 삽입부와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체결부(52)가 형성된다. 이 볼트 체결부(52)는 도 6과 같이, 그 외면이 원통상이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각진 형상으로 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다만, 그 내부에는 별도의 볼트 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볼트 체결부(52)는 수평 지지부재(50a)의 수평면부(51a)의 하면에 접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수평면부(51a)의 하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면부(51b)에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 체결부(52)에 체결될 볼트 부재의 머리부가 상기 수평 지지부재(50a)의 수평면부(51a)의 외측 단부에 걸려 라디에이터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지 못하게 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볼트 체결부(52)가 접합된 수직면부(51b)의 하단부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가 결합될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곧, 볼트 체결부(52)의 하부에 돌출된 지지부(54)가 형성되어 라디에이터를 보다 견고히 지지해 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 지지부(54)는 또한, 그 상면으로 상기 볼트 체결부(52)를 받쳐주도록 하고, 이 상면이 볼트 체결부(52)에 접합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볼트 체결부(52)가 보다 견고히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4)는 상기 수평 지지부재(50a)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볼트 체결부(52)가 형성된 위치에서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지지부(54)가 상기 수평 지지부재(50a)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때에도 상기 볼트 체결부(52)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타 부분보다 상방으로 더 굴곡이 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볼트 체결부(52)가 안착될 고정부재와 삽입부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은 그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로 하여 그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의 탱크부(21a)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40)에 고정부재(30)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도록 하고, 이 고정부재(30)가 결합되어 있는 라디에이터를 상기 고정부재(30)의 안착홈부(32)가 상기 수평 지지부재(50a)에 형성된 볼트 체결부(52)의 저면과 맞닿도록 위치시킨다. 이 때, 상기 수평 지지부재(50a)의 수직면부(51b)의 단부, 즉, 볼트 체결부(52)의 하부의 지지부(54)는 라디에이터에 결합된 고정부재(30)의 측면과 맞닿아 지지하도록 하여 라디에이터가 그 방향으로 이탈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 지지부(54)는 상기 고정부재(30)의 측면이 아닌 고정부재(30)가 삽입된 삽입부(4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볼트 체결부(52)와 라디에이터에 결합된 고정부재(30)의 안착홈부(32)가 밀착된 다음에는 상기 볼트 체결부(52)에 볼트 부재(60)가 결합된다. 이 볼트 부재(60)는 머리부(64)와 몸체부(62)로 구비되며, 몸체부(62)에는 볼트 체결부(52)의 나사 홈(53)에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나사 산(63)들이 가공되도록 하고, 머리부(64)에는 드라이버 등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드라이버 홈 등이 가공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볼트 부재(60)의 머리부(64)는 볼트 체결부(52)에 결합된 후에 라디에이터에 결합된 고정부재(30) 또는 삽입부(40)를 누르면서 지지해줄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라디에이터는 전방 및 후방으로 고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볼트부재(60)에는 별도의 링 부재(61)를 삽입하여 이 링(61)이 탄성체인 고정부재(30)를 그 측면에서 지지하도록 하여 부재 상호간의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결합이 완료되면, 도 8과 같이, 라디에이터(20)는 상방으로는 수평 지지부재(50a)의 볼트 체결부(52)에 의해 지지되며, 전방과 후방으로는 각각 수평 지지부재(50a)의 지지부(54)와 볼트 체결부(52)에 체결된 볼트부재(60)의 머리부(64)에 의해 지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고정된 라디에이터의 하부에도 동일한 고정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라디에이터에 형성된 지지폴과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고정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의 고정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마운팅 브라켓없이 라디에이터를 고정시킬 수 있어, 브라켓의 높이 만큼의 공간을 확보하여 이를 라디에이터의 디자인 또는 차량의 구조 설계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라디에이터 및 팬의 크기 등 설계 자유도가 커질 수 있다.
둘째, 종래 브라켓을 결합시키기 위해 캐리어에 뚫었던 구멍 등이 필요치 않게 되어 캐리어와 같은 수평 지지부재의 강성에도 유리하게 될 수 있다.
셋째, 볼트 체결 수를 줄이며, 조립공정을 간단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라디에이터의 상부 및 하부의 적어도 일측의 외부에 설치되고, 중앙에 홈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홈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외면에 안착 홈부가 형성된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안착 홈부에 안착되는 볼트 체결부를 구비한 수평 지지 부재; 및
    상기 볼트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그 머리부가 상기 고정 부재 또는 삽입부를 측면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볼트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고정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그 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고정 부재의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고정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홀의 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고정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재는 상기 볼트 체결부에 볼트 부재가 결합되는 반대 방향에 수직면부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상기 수직면부의 하단부 중 적어도 상기 볼트 체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 또는 상기 삽입부의 측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고정 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소정의 탄성율을 가진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고정 구조.
KR1020020043270A 2002-07-23 2002-07-23 라디에이터 고정구조 KR100869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270A KR100869729B1 (ko) 2002-07-23 2002-07-23 라디에이터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270A KR100869729B1 (ko) 2002-07-23 2002-07-23 라디에이터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347A true KR20040009347A (ko) 2004-01-31
KR100869729B1 KR100869729B1 (ko) 2008-11-21

Family

ID=3731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270A KR100869729B1 (ko) 2002-07-23 2002-07-23 라디에이터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161B1 (ko) * 2007-12-11 2009-12-1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719U (ko) * 1996-12-30 1998-09-25 양재신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고정구조
KR100398437B1 (ko) * 2000-12-19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지지용 브라켓 장착구조
JP2005186780A (ja) * 2003-12-25 2005-07-14 Calsonic Kansei Corp コンデンサの固定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161B1 (ko) * 2007-12-11 2009-12-1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729B1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7476B1 (en) Heat exchanger support structure and heat exchanger supporting method
EP1707421B1 (en) Radiator core support structure and its assemlbly method
US20050051309A1 (en) Heat exchanger support structure of motor vehicle and supporting method
US9884655B1 (en) Structure for mounting vehicle heat exchanger
KR100869729B1 (ko) 라디에이터 고정구조
KR101435665B1 (ko) 쿨링모듈
JP2002004861A (ja) 送風機の取付構造
KR101518514B1 (ko) 쿨링모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
JP2008049915A (ja) ファンシュラウド取付構造
JP4192709B2 (ja) クーリングモジュール
KR101617890B1 (ko) 차량용 팬 쉬라우드의 마운팅 구조
JP2006347206A (ja) 熱交換器の取付構造
KR101220969B1 (ko) 라디에이터의 마운팅 구조
KR20040036530A (ko) 팬 조립체의 고정구조
KR200409400Y1 (ko) 열교환기와 팬 쉬라우드의 결합구조
CN212299370U (zh) 蜗壳安装结构及空调器
KR102050989B1 (ko) 차량용 쿨링모듈
KR100869731B1 (ko)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KR100745559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2621266B1 (ko) 쿨링모듈 케이싱 플레이트 조립체,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의 조립방법 및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쿨링모듈의 조립 및 수리방법
KR100931161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설치구조
CN217685484U (zh) 一种窗式空调器
KR200371526Y1 (ko) 응축기마운팅브래킷
KR200151009Y1 (ko) 열교환기 고정장치
KR100777403B1 (ko) 팬 조립체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