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556A - 물품 취출 용기 - Google Patents

물품 취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556A
KR20040007556A KR10-2003-7014714A KR20037014714A KR20040007556A KR 20040007556 A KR20040007556 A KR 20040007556A KR 20037014714 A KR20037014714 A KR 20037014714A KR 20040007556 A KR20040007556 A KR 20040007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container
main body
opening
li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9356B1 (ko
Inventor
센다준지
스다가즈따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04000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oy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물품(17)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용부(14)를 구비한 용기 본체(3)와 덮개 부재(9)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3)의 소정 표면 위치에는 상기 수용부에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기 위해 상기 덮개 부재(9)가 용기 본체(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고, 상기 덮개 부재(9)의 이면측에는 상기 수용부(14) 내에 수용된 물품(17)을 협지하고, 물품 취출 수단(15)이 덮개 부재(9)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물품(17)을 용기 본체(3)로부터 취출하도록 한 물품 취출 용기(1)이며, 캔디나 쵸콜렛 등의 소물품을 하나씩 취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구조를 갖는 물품 취출 용기이다.

Description

물품 취출 용기 {ARTICLE REMOVING CONTAINER}
종래, 일본 특허 공개 2000-159279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과자와 같은 물품을 수용하여 하나씩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물품 취출 용기가 알려져 있다. 상기 물품 취출 용기는 케이스 본체 내에 적층되도록 수용된 과자를, 장식 부재로서의 인형이 상기 과자를 그 상부로부터 하나씩 취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수용된 물품을 하나씩 취출하기 위한 물품 취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본의 실용신안 공고 소42-18445호, 일본 특허 공고 평7-114793호, 일본 특허 공개 2000-25854 및 미국 특허 공보 제4966305호 등의 공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물품 취출 용기는 미리 소정의 순서로 적층된 물품을 취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불규칙하게 수용된 물품을 하나씩 취출할 수는 없었다.
또한, 용기 내에 물품을 수용하는 경우에는 규칙적으로 소정의 순서로 적층할 필요가 있어, 예를 들어 어린 아이에게는 물품의 수용 작업이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물품 취출 용기는 물품을 협지하는 협지 부재가 항상 노출되어 있으므로, 먼지나 이물질이 붙기 쉬운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케이스 본체 내에 수용된 엿, 쵸콜렛 등의 과자를 취출할 수 있는 물품 취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취출 용기의 외관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2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취출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취출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는사시도이다.
도4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취출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원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고안된 것이며, 불규칙하게 수용된 캔디나 쵸콜렛 등의 소물품을 하나씩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물품 취출 용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물품 취출 장치는 하기의 요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 소정 형상의 복수의 물품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용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덮개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
(나)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기 위해 상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대해 설치되어 있는 것.
(다) 상기 덮개 부재의 이면 혹은 이면 부근에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물품을 협지하여, 덮개 부재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물품을 용기 본체 내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물품 취출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물품 취출 용기는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물품 취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하기의 요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가) 상기 용기 본체에는 불규칙한 자세로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상기 물품취출 수단이 협지 가능한 자세로 규제하기 위한 자세 규제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
(나) 상기 물품 취출 수단과 대향하는 용기 본체 내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자세가 규제된 상태로 물품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물품 보유 지지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물품 취출 용기는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물품 취출 용기이며, 상기 수용부 내의 바닥부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상기 자세 규제 수단 및 또는 물품 유지 수단을 향해 하강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
또한, 본원 발명에 관한 물품 취출 장치는 상기 구조에 의해 이하에 서술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덮개 부재의 이면에 설치된, 또는 덮개 부재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물품 취출 수단에 의해 덮개 부재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차례로 1개씩 물품을 취출할 수 있는 등 종래에 없는 새로운 구조의 물품 취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물품 취출 장치와 같이 물품을 수용부에 규칙적으로 나열하여 수용할 필요가 없어, 예를 들어 어린 아이라도 용기 본체에 물품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종래에 없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물품 취출 수단에 동물이나 캐릭터 등의 모형을 이용하여 그 팔에 해당하는 부분을 협지 부재로서 구성함으로써, 캐릭터 등이 물품을 취출하는 동작에 재미가 있어 이와 같은 동작을 보며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물품 취출 수단을 덮개 부재의 이면측에 설치하여 덮개를 폐쇄하였을 때에 물품을 협지하므로, 덮개를 개방하는 것과 동시에 물품을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에 재미가 있어 이와 같은 동작을 보며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물품을 취출하지 않을 때(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덮개 부재를 폐쇄해 둘 수 있으므로, 물품을 협지하는 협지 부재에 먼지나 이물질이 붙기 어렵고, 물품의 수용부 내에도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가기 어려운 등의 효과도 갖고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효과에다가 이하에 서술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즉, 용기 내에 불규칙한 자세로 수용된 엿이나 쵸콜렛 등의 물품을 소정의 자세로 규제하는 수단을 마련하였으므로, 물품 보유 지지부에 대해 효율적으로 자세를 규제한 상태의 물품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덮개의 개폐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물품을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바닥면을 물품 보유 지지부를 향해 하강 경사지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물품을 효율적으로 물품 보유 지지부에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고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원 발명에 관한 물품 취출 용기(1)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물품 취출 용기(1)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물품 취출 용기(1)의 투시 사시도, 도4는 물품 취출 용기의 종방향의 단면도이다.
도1, 도2 중, 부호 3은 후술하는 과자 등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용기 본체(3)는 그 외곽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하부 용기 부재(5)와 상기 하부 용기 부재(5)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접합하는 상부 용기 부재(7)로 구성되고, 양자를 접합한 상태에서 내부에 공간을 가진 중공형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는 상기 하부 용기 부재(5) 및 상부 용기 부재(7)를 접합한 상태에서 구체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찌부러뜨린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후술하는 도4에 도시하는 단면도와 같이, 용기 본체(3)는 상하 방향에 걸치는 단면 형상이 상하 방향을 단축, 횡폭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타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는 그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공간에 물품인 엿, 쵸콜렛 등의 고체형 과자와 같은 물품(17) 등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는 주된 구성으로서 하부 용기 부재(5)와 상부 용기 부재(7)와 덮개 부재(9)를 갖고 있다. 다음에, 하부 용기 부재(5) 및 상부 용기 부재(7)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이용하는 상기 물품(17)은 구체를 찌부러뜨려 편평하게 한 정제와 같은 형상의 것을 이용하고 있고, 용기 본체(3)의 각 부재의 형상도 상기 물품(17)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의 형상은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아 구형에 가까운 형상의 것이라도 좋고, 그 경우에는 상기 물품의 형상에 맞추어 각 부재가 형성된다.
하부 용기 부재(5)는 상기 용기 본체(3)의 하부 절반 부분을 구성하는 하우징이고, 상방에 대해 원형의 개구를 가진 주발형의 부재이다.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상단부 모서리(5a)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중간 부재(12)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 돌기(5b)가 4군데에 등간격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계지 돌기(5b)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용기 부재(7)와 끼워 맞추기 위해, 상기 상단부 모서리(5a)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된 끼워 맞춤 돌기(5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단부 모서리(5a)의 일측부에는 외측을 향해 상기 물품 취출 용기(1)를 현수하기 위한 끈 통과부(5d)가 설치되어 있다. 이 끈 통과부(5d)에 소정의 끈을 통과시켜 루프형으로 하면, 목이나 손목, 혹은 벽 등에 설치된 훅에 걸어 둘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끈 통과부(5d)를 설치한 측을 용기 본체(3)의 전방부, 끈 통과부(5d)를 설치하지 않은 반대측을 용기 본체(3)의 후방부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상부 용기 부재(7)는 상기 용기 본체(3)의 상부 절반 부분을 구성하는 하우징이고, 하방에 대해 원형의 개구를 가진 주발형의 부재이다.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하단부 모서리(7a)는 상기 하부 용기 부재(5)의 상단부 모서리(5a)와 대향하여 서로 접합하는 부분이고, 상단부 모서리(5a)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단부 모서리(7a)의 내측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소정의 돌기(7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7b)에는 상기 하부 용기 부재(5)의 끼워 맞춤 돌기(5c)가 대향하여 끼워 맞추기 위한 끼워 맞춤 구멍(7c)이 각각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단부 모서리(7a)의 전방부의 외측에는 상기 하부 용기 부재(5d)의 끈 통과부(5d)와 일치하여 포개어지는 끈 통과부(7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용기 부재(7)의 상부측의 표면에는 용기 본체(3) 전후 방향에 걸쳐서 소정의 크기의 대략 직사각 형상의 개구부(7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7d)에는 상기 개구부(7d)와 대략 같은 외형을 갖고, 상기 개구부(7d)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9)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 부재(9)는 상기와 같이 상부 용기 부재(7)의 개구부(7d)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것이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덮개 부재(9)의 표면 형상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용기 부재(7)의 표면과 동일한 곡면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9)의 일단부에는 좌우로 약간 돌출된 회전축(9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축(9a)은, 상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간 부재(12)에 저어널되어 상기 덮개 부재(9)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부위이다.
또한, 덮개 부재(9)의 이면에는 물품 취출 수단(1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물품 취출 수단(1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용기 본체(3) 내부에는, 또한 다음에 설명하는 물품 보유 지지부(11), 중간 부재(12), 수용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물품 보유 지지부(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취출해야 할 1개의 물품(17)을 소정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보유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하부 용기 부재(5) 내측의 바닥부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이 물품 보유 지지부(11)는 용기 본체(3)의 전후 방향을 그 길이 방향으로 하여 서로 대향하는 좌우 한 쌍의 측벽(31)(31a, 31b)과, 상기 측벽의 후방부를 폐색하도록 설치된 후방부벽(33)에 의해 구성되고, 전방부 및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 물품 보유 지지부(11)의 전방부에는 개구(1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11a)는 내부에 물품(17)이 들어가기 위한 입구가 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각 측벽(31a, 31b)에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물품 취출 수단(15)의 이동 및 물품 보유 지지부(11) 내에 공급된 물품을 방해하는 일 없이 협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략 반원형의 절결부(1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측벽(31a, 31b)은 물품(17)을 이동 가능하고, 또한 세운 자세를 보유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 즉 물품(17)의 두께보다도 약간 넓은 간격으로 세워 설치하고 있다. 또한, 물품 보유 지지부(11) 내에는 내부에 들어간 1개의 물품(17)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후방부벽(33) 내측의 대략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된 소정 폭의 물품 고정부(1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물품 보유 지지부(11)는 물품(17)의 자세를 물품 취출 수단(15)에 의해 취출할 수 있을 정도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 반드시 물품(17)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세를 보유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다음에, 용기 본체(3) 내부에 설치된 자세 규제 수단(10)에 대해 설명한다. 자세 규제 수단(10)은 불규칙하게 수용된 물품(17)의 자세를 일정한 상태로 하여 물품(17)을 상기 물품 보유 지지부(11) 내에 넣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자세 규제 수단(10)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14)의 바닥판(13)을 구성하는 부재 및 상기 물품 보유 지지부를 둘러싸도록 세워 설치한 구획벽(21)과 함께, 상기 구획벽(21)의 일부이며 상기 물품 보유 지지부의 개구(11a)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좁은 폭의 개구(23)로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자세 규제 수단(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13)은 물품(17)을 상기 물품 보유 지지부(11)를 향해 미끄러뜨리거나, 또는 굴려 송입하기 위해 경사면 등을 설치한 것이다. 이 바닥판(13)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방부측 중앙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강 경사지는 바닥면을 형성한 홈(13a)을 갖고 있다. 상기 홈(13a)은 상기 개구(23)와 대략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하강 경사진 바닥면은 상기 물품 보유 지지부(11)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홈(13a)에 인입한 물품(17)이 홈(13a) 내를 굴러가도록 하여 개구(23)를 거쳐서 물품 보유 지지부(11)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13)의 전방부측이며 상기 홈(13a)의 좌측에는 상기 홈(13a)에 물품(17)을 모으기 위해 좌측으로부터 중앙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하강 경사지는 완경사면(13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완경사면(13b)에 연결되는 바닥판(13)의 후방측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해 약간 급하게 하강 경사지는 후방부 경사면(13c)이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홈(13a)의 우측에는 우측으로부터 중앙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하강 경사지는 완경사면(13d)이 설치되고, 상기 완경사면(13d)에 연결되는 바닥판(13)의 후방부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해 약간 급하게 하강 경사지는 경사면(13e)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바닥판(13)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물품 보유 지지부(11)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둘러싸도록 구획벽(21)(21a, 21b)이 좌우 대칭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구획벽(21)의 외측, 바닥판(13)의 상부 및 상기 상부 용기 부재(7)의 내측에서 둘러싸이는 부분에 의해 복수의 물품(17)을 수용하는 수용부(1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수용부(14) 내에 수용된 물품(17)이 상기 완경사면(13b, 13d) 및 후방부 경사면(13c, 13e) 상을 이동하여 홈(13a)에 모이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획벽(21)의 외측은 물품(17)의 수용부(14)가 되어 있지만, 구획벽(21)의 내측은 덮개(9)의 개폐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물품 취출 수단(15)이출몰할 수 있는 크기를 구비한 수용 공간(25)이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공간(25)은 상기 물품 취출 수단(15)의 형태에 맞추어 후방부측으로부터 전방부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좌우의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전방부측에는 전술한 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구획벽(21)은 그 상단부 모서리가, 상기 덮개 부재(9)가 폐쇄된 경우에 그 이면과 접촉하고, 덮개 부재(9)가 상기 상부 용기 부재(7)의 표면에 따르는 위치로 보유 지지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구획벽(21) 상부 모서리의 후방 부분에는 상기 덮개 부재(9)의 상기 회전축(9a)을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하는 베어링부로서의 절결부(27)(27a, 27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27)는 상기 상부 용기 부재(7)가 장착됨으로써 그 상부가 폐색되고, 지지한 회전축(9a)이 빈틈없이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13)의 외형은 상기 하부 용기 부재(5)의 개구 부근의 내측의 형상에 맞추어 대략 원형을 이루고 있고, 하부 용기 부재(5)의 내측면에 대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바닥판(13) 외연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하부 용기 부재(5)에 설치한 계지 돌기(5b)에 대응한 계지 절결부(13k)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계지 돌기(5b)와 결합하여 계지됨으로써 상기 하부 용기 부재(5)의 내측면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보유 지지부(11)의 개구(11a)와, 바닥판(13)의 홈(13a) 및 개구(23)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물품 취출 수단(15)에 대해 설명한다.
물품 취출 수단(15)은 상기 덮개 부재(9)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것으로, 아암부형의 한 쌍의 협지 부재(15a)를 갖고 있다. 이 물품 취출 수단(15)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장식 부재로서 동물이나 애니메이션의 주인공 등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등의 모형체로서 구성되고, 캐릭터의 양 팔에 상당하는 부분이 상기 한 쌍의 협지 부재(15a)로서 구성되어 있다.
협지 부재(15a)는 가요성을 가진 부재이며, 상기 물품 보유 지지부(11)에 배치된 물품(17)을 양측부로부터 협지하는 것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물품(17)의 두께에 상당하는, 예를 들어 5 ㎜ 정도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즉, 물품 취출 수단(15)이 마련된 덮개 부재(9)를 폐쇄하면, 물품 취출 수단(15)은 상기 물품 보유 지지부(11)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1개의 물품(17)을 협지하고, 덮개 부재(9)를 개방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협지된 물품(17)을 물품 취출 수단(15)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물품 취출 용기(1)에 복수의 물품(17)을 수용하여 수용된 물품(17)을 1개씩 취출하는 모습에 대해 설명한다.
물품 취출 용기(1)의 덮개 부재(9)의 후방을 누르면, 덮개 부재(9)의 전방이 들어 올려져 덮개 부재(9)가 개방된다. 덮개 부재(9)가 개방되면, 덮개 부재(9)의 개구부(7d)로부터 구획벽(21a, 21b)의 외측[수용부(14) 내]에, 후방에 하나씩 취출하게 되는 물품(17)을 수용한다.
수용부(14)에 수용된 물품(17)은 용기 본체(3)를 가볍게 흔들거나, 요동시키거나 함으로써 최초의 1개가 후방부 경사면(13c, 13e)이나 완경사면(13b, 13d)으로부터 홈(13a) 내에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 때, 최초의 물품(17)은 폭쪽을 홈(13a)내에 가이드시키고, 경사져 점차 홈(13a)이 깊어지도록 형성된 바닥면 상을 굴러가 개구(23)를 거쳐서 물품 보유 지지부(11) 내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홈(13a) 및 개구(23)가 물품(17)을 상기 협지 부재(15a)에 의해 협지 가능한 자세로 규제하여 물품 보유 지지부(11)에 공급하기 위한 자세 규제 수단으로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2개 내지 3개의 물품(17)이 차례로 후방부 경사면(13c, 13e)이나 완경사면(13b, 13d)으로부터 홈(13a)으로 하강하여 미끄러 떨어지고, 홈(13a) 내에 연결되어 물품 보유 지지부(11)에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물품 보유 지지부(11)에 물품(17)이 공급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3)에 덮개 부재(9)를 폐쇄하면, 도3의 (a),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9)의 이면측에 설치된 물품 취출 수단(15)의 한 쌍의 협지부(15a)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원호를 그려 회전하여 최초의 물품(17)을 협지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보유 지지부(11)의 양측벽(31a, 31b)부에 절결부(11b)를 설치하고, 물품 보유 지지부(11)와 구획벽(21a, 21b)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물품 취출 수단(15)의 협지부(15a)는 물품 보유 지지부(11)나 구획벽(21a, 21b)과 접촉하는 일 없이 물품(17)의 대략 최대 폭 부분을 협지한다.
또한, 구획벽(21a, 21b)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불필요한 물품(17)이 인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한 물품(17)이 물품 취출 수단(15)의 회전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폐쇄된 덮개 부재(9)를 다시 개방하면, 물품 취출 수단(15)의한 쌍의 협지부(15a)는 최초의 물품(17)을 협지한 상태에서 하방으로부터 원호를 그려 상방으로 이동하고, 물품(17)을 용기 본체(3)의 외부에 취출한다[도3의 (b), 도4의 (b) 참조].
한편, 용기 본체(3)에 수용된 다른 물품(17)은 최초의 1개가 취출되는 동시에, 물품 보유 지지부(11)가 빈 상태가 되므로, 홈(13a) 내의 다음 물품(17)이 물품 보유 지지부(11)에 공급된다. 그리고, 홈(13a)에는 2개 내지 3개의 물품(17)이 연결되어 배치된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물품(17)이 취출될 때마다 차례로 후방부 경사면(13c, 13e)이나 완경사면(13b, 13d)으로부터 홈(13a) 내에 미끄러져 떨어져 물품 보유 지지부(11)에 물품(17)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3)의 수용부(14)에 수용된 물품(17)은 수용부(14) 내에 있을 때에는 불규칙한 자세로 수용되어 있지만, 후방부 경사면(13c, 13e)이나 완경사면(13b, 13d)으로부터 홈(13a) 내에 들어간 후 개구(23)를 통과하는 단계에서 그들이 일정한 자세가 되어 물품 보유 지지부(11)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덮개 부재(9)를 폐쇄하여 개방함으로써, 수용부(14) 내에 불규칙하게 수용한 물품(17)을 1개씩 취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 부재(9)를 직사각 형상으로 설명하였지만, 특별히 직사각 형상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 취출 수단을 덮개의 이면에 고정한 구조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덮개의 개폐에 연동하여 물품 취출 수단이 동작하는 기구이면 좋고,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 취출 수단이 취출하는 물품을, 구체를 편평하게 한 정제형의 형상인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구체나 원환형이라도 좋고 소정 자세로 규제하여 배치할 수 있으면, 물품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은 케이스 본체 내에 수용된 엿, 쵸콜렛 등의 과자를 취출할 수 있는 물품 취출 용기에 이용 가능한 기술이다.

Claims (3)

  1. 소정 형상의 복수의 물품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용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덮개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기 위해 상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대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 부재의 이면 혹은 이면 부근에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물품을 협지하고 덮개 부재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물품을 용기 본체 내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물품 취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취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불규칙한 자세로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상기 물품 취출 수단이 협지 가능한 자세로 규제하기 위한 자세 규제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품 취출 수단과 대향하는 용기 본체 내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자세가 규제된 상태에서 물품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물품 보유 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취출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의 바닥부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상기 자세 규제 수단 및 또는 물품 보유 지지 수단을 향해 하강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취출 용기.
KR1020037014714A 2001-05-14 2001-05-14 물품 취출 용기 KR100599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3995 WO2002092464A1 (fr) 2001-05-14 2001-05-14 Boitier distributeur d'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556A true KR20040007556A (ko) 2004-01-24
KR100599356B1 KR100599356B1 (ko) 2006-07-12

Family

ID=1173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714A KR100599356B1 (ko) 2001-05-14 2001-05-14 물품 취출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56256B2 (ko)
EP (1) EP1411004A4 (ko)
JP (1) JP3973562B2 (ko)
KR (1) KR100599356B1 (ko)
CN (1) CN1240591C (ko)
AU (1) AU2001256724B2 (ko)
CA (1) CA2413048A1 (ko)
NZ (1) NZ529512A (ko)
WO (1) WO2002092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2083B1 (en) * 1997-04-30 2005-06-07 Automed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ispensing medical items
US8944282B2 (en) * 2007-03-09 2015-02-03 Robert Kroupa Combination container and integral attachment device
CN102791593B (zh) * 2010-02-25 2015-12-16 拉兹布兰兹有限责任公司 新奇品分配器
US8651322B2 (en) * 2011-08-03 2014-02-18 Sweet N Fun, Ltd.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KR20170048552A (ko) * 2014-09-05 2017-05-08 빅 몬스터 토이즈 엘엘씨 흘림 방지 스낵 용기 및 분배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9356A (en) * 1937-03-23 1939-05-23 Archie F Lambert Cigarette dispenser
US3189222A (en) * 1964-08-31 1965-06-15 Owens Illinois Glass Co Dispensing closure having resilient fingers
JPS4218445Y1 (ko) 1966-03-01 1967-10-25
US3622041A (en) * 1969-04-21 1971-11-23 William K Borsum Container closure
JPS5721912Y2 (ko) * 1976-06-07 1982-05-12
JPS60101468U (ja) * 1983-12-19 1985-07-10 佐久間 勇 取出装置を備えた楊枝、巻煙草等の収納箱
AT387760B (de) 1986-08-29 1989-03-10 Haas Naehrmittel Fab Ed Tablettenspender
JPH066004Y2 (ja) * 1989-11-22 1994-02-16 正二 湯山 薬剤の定量供給装置
US5071033A (en) * 1990-07-26 1991-12-10 Practical Products, Co. Tablet dispenser
JPH04189784A (ja) * 1990-11-20 1992-07-08 Wings:Kk 菓子及び食品の容器
GB9312493D0 (en) * 1993-06-17 1993-08-04 Lilly Industri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spensing devices
JP3678894B2 (ja) * 1997-08-29 2005-08-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錠剤収納容器
JPH11255210A (ja) 1998-03-09 1999-09-21 Shimizu Kikai Kk 菓子粒包装装置への菓子粒供給装置
JP2000025845A (ja) 1998-07-06 2000-01-25 Fujimori Kogyo Kk レトルト用包装袋
JP3459882B2 (ja) * 1998-11-30 2003-10-27 株式会社バンダイ 物品取出装置
JP4283382B2 (ja) 1999-07-06 2009-06-24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菓子ディスペンサー
US6543639B1 (en) * 1999-08-26 2003-04-08 A & A Global Industries, Inc. Animated candy dispenser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1004A1 (en) 2004-04-21
CN1509248A (zh) 2004-06-30
JPWO2002092464A1 (ja) 2004-09-16
NZ529512A (en) 2005-11-25
US7156256B2 (en) 2007-01-02
WO2002092464A1 (fr) 2002-11-21
CN1240591C (zh) 2006-02-08
EP1411004A4 (en) 2006-07-12
US20030173371A1 (en) 2003-09-18
KR100599356B1 (ko) 2006-07-12
JP3973562B2 (ja) 2007-09-12
CA2413048A1 (en) 2002-11-21
AU2001256724B2 (en)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95260A1 (en) Article retrieving container
US5314068A (en) Container for a plate-like article
EP0989530A3 (en) A game unit
KR100599356B1 (ko) 물품 취출 용기
JP2000159279A (ja) 物品取出装置
CN107635887B (zh) 分配装置、阀、具有其的装纳设备、内含物移动设备以及内含物设备
WO2012105098A1 (ja) コントローラ支持装置、及びコントローラの充電システム
CA2125931A1 (en) Dispensing devices
US9914564B2 (en) Dispenser
CN216364502U (zh) 一种双开展示柜
CN111643912B (zh) 房屋玩具
JP3682445B2 (ja) 物品取出容器
JP3048358B1 (ja) 開き戸の閉止装置
JP2003128055A (ja) 紙容器
KR100586534B1 (ko) 웨이퍼 카세트 잠금 시스템 및 그의 잠금방법
JP3028952U (ja) 装身具掛け
JP3166846U (ja) 景品獲得装置
JP2582978Y2 (ja) レフィル容器
JP2726836B2 (ja) 吊り下げ式回転飾り装置
EP1177990A1 (en) Candy dispenser
JPS63235714A (ja) 引張式ヒンジ機構
JPH0538651Y2 (ko)
CN114212378A (zh) 一种便于组装的电器包装盒
JPH10151017A (ja) 携帯品
JP2001155246A (ja) カッ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