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5586A - 기둥형 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기둥형 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5586A
KR20040005586A KR1020030036929A KR20030036929A KR20040005586A KR 20040005586 A KR20040005586 A KR 20040005586A KR 1020030036929 A KR1020030036929 A KR 1020030036929A KR 20030036929 A KR20030036929 A KR 20030036929A KR 20040005586 A KR20040005586 A KR 20040005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amp
brightness discharge
light
road surfac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아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이피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이피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이피티
Publication of KR20040005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58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차량으로 주행중에 호우나 안개, 심한 강설과 조우하더라도 도로의 중심선이나 노견, 횡단보도, 기타 안전 표시 기기의 소재를 용이하게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정기와, 열흡수막층이 설치된 반사경과, 셔터 기구와, 집광 렌즈를 갖는 고휘도 방전등 본체와, 상기 고휘도 방전등을 도로면 혹은 도로면 근방으로부터 원하는 높이의 위치에 지시(指示)하는 기둥 본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둥형 광 표시 장치 {Light Indicator for a Road}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가 심한 비나 안개, 눈 등으로 시계가 나빠졌을 때 혹은 야간이나 눈이 내려 쌓였을 때, 도로 노견의 존재나 횡단보도 등의 도로의 구분, 기타 안전시설을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로 주행중에 짙은 안개와 조우하는 경우에 당해 도로의 노견의 존재나 중앙선의 존재를 전혀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것은 호우나 심한 강설, 적설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이와같은 상황하에서, 예를 들면 보도와 차도를 구분하여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도로는 차도에 비해 약간 높게 보도를 설치하고 또한 보도와 차도의 사이에 가드레일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최근에 다발하는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의 커브길 등에 반사판과 같은 어느 특정한 각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것을 부착하여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 대하여 안전 확인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차도와 보도의 구별이 없는 곳에는 "화살표식"이라고 불리우는 시계 유도 기둥을 도로의 상방에 부착하는 등의 수단이 다수 안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반사판은 차량의 안전주행을 보다 도모해야하는 야간이나 강우시에 그 반사광이 충분하지 않아 대향차나 보행자 혹은 안전 시설의 확인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적설시에는 눈속에 파묻혀 차로와 보도의 사이에 단차를 설치하거나 가드레일을 설치하는 경우라도 짙은 안개나 호우속에서는 그 존재조차 확인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예를 들면 차량으로 주행중에 호우나 안개, 심한 강설과 조우하더라도 도로의 중심선이나 노견, 횡단보도, 기타 안전 표시 기기의 소재를 용이하게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안정기와, 열흡수막층이 설치된 반사경과, 셔터 기구와, 집광 렌즈를 갖는 고휘도 방전등 본체와, 상기 고휘도 방전등을 도로면 혹은 도로면 근방으로부터 원하는 높이의 위치에 지시(指示)하는 기둥 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휘도 방전등의 1차 초점에 셔터를 삽입하고, 셔터에서 모아진 광을 렌즈에서 집광시켜 상기 도로면 혹은 도로면 근방에 조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노견, 보도와 차도의 사이, 혹은 횡단보도나 열차의 건널목, 나아가 산길의 커브 등의 위험을 알리기 위한 부위에 고휘도 방전등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본체를 설치하고, 농무일 때나 호우, 강설, 적설 등일 때에 그 존재를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통상 HID라고 불리우는 고휘도 방전등(HIGH INTENSITY DISCHARGE LAMPS)을 이용하였다. 이것은 종래에 발광 다이오드나 단순한 레어저 광선을 이용하는 경우에 차량의 헤드 라이트의 빛보다 약해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연구를 거듭하여 개발한 결과로, 차량의 헤드 라이트가 조사되어도 뒤지지않는 광조도(휘도)의 고휘도 방전등 본체를 완성하였다.
즉, 차량의 헤드 라이트의 조도는 평상시 40,000칸델라(cd)인데,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상기 고휘도 방전등의 중심 조사 광도는 50,000 내지 1,000,000칸델라(cd)가 가능하며, 이 점도 본 발명의 특징이다. 이러한 점은, 상기와 같이 고휘도 방전등을 이용하고, 열흡수막층이 설치된 반사경을 가지며, 상기 고휘도 방전등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1차 초점에 셔터를 배치하고 셔터에 모아진 증폭된 광을 렌즈로 집광시키는 구성과 작용에 의해 상기 고휘도의 조사력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고휘도 방전등 본체는 100V 혹은 200V의 전압을 이용하여도 되며, 그 구성은 상기 이외에 광의 명암 혹은 기상의 변화에 따라 작동되는 센서와,이 센서 혹은 수동으로 조작되는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된 것도 특징이며, 불필요시에 소등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휘도 방전등 본체를 횡단보도의 안전표시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빔이 도로를 횡단하도록 도로의 양 옆에서 평행 방향으로 빔을 조사함에 따라 적설에 의해 도로의 구분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라도 적설 도로상에 도로의 구분을 나타내는 선이나 표시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도로의 구분을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강설, 농무 등의 경우에 고휘도 방전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도로 상방의 눈이나 물의 입자에 난반사되어 광의 면을 형성하므로, 시각적 인식성을 매우 향상시키며 또한 보기에도 좋다.
도1은 고휘도 방전등 본체의 개설도,
도2는 고휘도 방전등 본체에 이용되는 고휘도 방전등 일예의 설명도,
도3은 다른 예의 설명도,
도4는 다른 예의 설명도,
도5는 다른 예의 설명도,
도6은 다른 예의 설명도,
도7은 다른 예의 설명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예를 산간도로에 적용한 경우의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의 일예를 건널목에 적용한 경우의 설명도,
도10은 산간도로의 차도에서 시계가 좋은 경우의 정경 설명도,
도11은 눈보라인 경우의 정경 설명도,
도12는 건널목에서 시계가 좋은 경우의 정경 설명도,
도13은 눈보라인 경우의 정경 설명도,
도14는 횡단보도에서의 시계가 좋은 경우의 정경 설명도,
도15는 눈보라인 경우의 정경 설명도,
도16은 고휘도 방전등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평면각 θ와 입체각 ω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차로 B : 노견
C : 경계선 D : 적설
X : 고휘도 방전등 본체 Y : 보행자
Z : 차량 1 : 고휘도 방전등
2 : 안정기 3 : 셔터
4 : 타원 반사경 5 : 열흡수막
6 : 집광 렌즈 7 : 센서
8 : 스위치 9 : 폴(pole)
10 : 화살표식 11 : 지주
12 : 기둥 13 : 횡단보도
본 발명은 광을 집속시켜 50,000 내지 1,000,000 칸델라(candela)의 광도를 기둥형으로 조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그 이유는 차량 등의 헤드 라이트가 통상 40,000 칸델라임에 따라 이러한 헤드 라이트의 조사가 이루어져도 본 발명의 장치에서 얻어진 기둥형의 광이 가시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1칸델라는 1lm/sr(입체각 1스테라디안으로 방사되는 1lm의 광속)로 정의되며, 1칸델라의 이상 점광원이 전 입체각으로 방사되기 때문에,
전 입체각 (= 4πsr) × 1lm/sr= 4πlm
4πlm의 광속을 방사하게 된다. 이때 π는 원주율로 π = 3.14159이며, 그단위는 이 경우에 스테라디안이 된다. 즉, 4π(= 12.566)는 평면 각도로 말하는 2π(라디안)와 같아서 360°의 전주를 나타내며, 1칸델라의 광도를 갖는 점광원은 사방 팔방으로 광을 발생하고(입체각으로 4π), 광량은 광속으로 나타내면 4π루멘(lumen)이 된다는 의미를 갖는다. 평면각 θ와 입체각 ω의 관계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계를 갖는다.
ω = 2π{1 - cosθ/2}
그리고, 이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광도는 여러 가지 파장의 광이 섞인 종합적인 단위로, 완전 흑체를 상정한 플랑크의 방사측에 적합한 에너지 분포의 집합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상적인 점광원 1칸델라로부터 1m 떨어진 곳을 비추는 밝기는 1럭스(lux)가 된다 (반경 1m의 구체에서 입체각 1스테라디안이 차지하는 면적은 1㎡가 된다).
또한, 입체각(solid angle)이란, 1점을 임의의 폐곡선과 연결시키는 직선 전체를 만들 수 있는 추면(錘面)이 그 정점을 중심으로 하는 단위 구면을 절취한 부분의 면적의 단위 면적에 대한 비율로, 평면각 θ는 2차원 평면이 이루는 각도. 입체각 ω는 θ를 1회전시킨 각도,
ω = 2π{1 - cos(θ/2)}
이다.
이 휘도(밝기)를 얻을 수 있는 광원으로 거듭되는 연구와 실험의 결과, 고휘도 방전등(High lutensity Discharge Lamps)이 최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고휘도 방전등은 고압 나트륨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수은 램프의 총칭으로, 통상 HID 램프라 불리우며, 종류에 따라 봉입물이나 구성 재료가 서로 다르나, 기본 구조, 원리는 거의 동일하며 경질 글라스성의 외관내에 석영 글라스제의 발광관과 그 발광관을 지지하며 전기를 공급하는 금속 부분이 수용되어 있다.
발광관의 양측에는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전극이 장착되고, 내부에는 발광 물질로서 수은과 아르곤 가스가 봉입되며, 외관내에 봉입되는 질소 가스는 램프 점등중의 발광관의 고온화에 따른 금속 부품의 산화를 방지한다. 그리고, 발광관내의 양극간에서 발생되는 방전 작용에 의해 수은 원자가 발광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메탈 할라이드 램프에서는 발광 물질로 수은 이외에 나트륨(Na)이나 스칸디움(Sc) 등의 금속 할로겐화물을 봉입하고 이들 금속의 광범위에 걸친 스펙트럼을 이용하며, 고압 나트륨을 봉입하고, 발광관에는 석영 글라스 대신에 고온 나트륨 증기에 견디는 투광성 알루미나 세라믹스를 채용한다.
이 발광의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전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반대측 극으로 이동하는 과정중에 수은 전자와 충돌하게 되는데, 이 수은 전자의 밀도와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그 발광 스펙트럼은 여러 가지 파장 범위에 미친다. HID 램프는 수은의 밀도, 온도의 상승에 따라 인간의 눈에 보이는 파장의 광을 방출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요건이 되고 있다.
이 고휘도 방전등을 점등시키려면 안정기가 필요한데, 필라멘트를 내장한 수은 램프(초크리스 수은 램프)에서는 안정기가 불필요하다. 도2는 이 점등 회로의 대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에는 보조 전극을 사용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통전과 동시에 주전극과 보조 전극의 사이에 발생되는 미약한 방전이 당김쇠가 되어 주전극간의 주방전을 일으킨다. 이것은 주로 수은 램프에 채용되는 방식인데, 그 이외에 보조 전극의 부착이 곤란하거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고압의 전류(펄스)를 주전극간 또는 주보조극간에 흘려 보내는 방식이 있다.
펄스 발생 장치는 램프 또는 안정기에 내장되는데, 램프에 내장되는 타입에는 점등관 이외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바이메탈과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시동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이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나 고압 나트륨 램프에 채용되는 방식이다.
그중에서 고휘도 방전등의 효율(1w당의 광속)이 가장 높은 것은 고압 나트륨 램프이고, 이어서 메탈 할라이드 램프, 수은 램프의 순서이며, 수은 램프를 1이라고 한다면 고압 나트륨 램프는 약 2.4배, 메탈 할라이드 램프는 약 1.4배가 된다.
또한, 연색성을 개선한 고압 나트륨 램프에서는 일반형 고압 나트륨 램프보다 효율이 낮아지며, 또한 취급이 간단한 안정기가 불필요한 수은 램프(초크리스 수은 램프)의 효율도 일반형 수은 램프보다 낮아진다.
아울러, 고휘도 방전등의 색온도(광색)와 연색성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광색이 있는 것도 그 특징이다. 즉, 수은 램프(형광 수은 램프)는 3900k로 분홍을 띤 백색, 메탈 할라이드 램프(네오 아크 빔)는 3500k로 온(溫)백색, 고압 나트륨 램프(네오룩)는 2100k로 골든 화이트인 온감이 있는 광색, 고연색형 고압 나트륨 램프(네오칼라)는 2500k로 백열 전압에 가까운 광색을 갖는다.
또한, 연색성점에서 가장 우수한 것은 메탈 할라이드 램프이며, 고압 나트륨 램프의 일반형은 메탈 할라이드 램프에 비해 떨어진다. 단, 고연색형이나 연색 개선형과 같이 연색성을 개선한 고압 나트륨 램프도 생산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발광관을 배치하고, 장기간의 사용수명중에 거의 균등한 확률로 점등되는 트윈 발광관형 고압 나트륨등도 개발되었는데, 이에 따라 램프 수명이 종래의 고압 나트륨 램프에 비해 실험 결과 약 2배가 되었다. 수은등 안정기(일반형, 저시동 전류형)로 점등 가능하며, 정격 수명은 약 24,000시간이 되었다. 이것은 독자적인 구조를 갖는 근접 도체를 부설하고, 이것을 전원 전압의 위상에 의존하는 정/부 펄스를 유기하는 시동기를 내장한 램프를 적합 안정기와 조합하여 점등시킴으로써, 장기간의 사용수명중에 2개의 발광관의 균등한 확률로의 점등이 실현되며 그 수명은 2배로 된다.
아울러, 도5와 같이 2개의 발광관을 수납하며 서로의 그늘의 영향이 작아지도록 근소하게 교차시켜 배치하고, 특허의 화학 연마 처리와 Xe 고압화에 의해 전원을 개시할 때마다 교대로 점등되는 제어 회로를 내장한 전용 안정기로 2개의 발광관을 완전 교대 점등시킴으로써, 종래의 네오룩에 비해 현저하게 고효율인 트윈 발광관 교대 점등형 고압 나트륨등도 안출되고 있다.
그리고, 고연색형/고채도형 고압 나트륨등으로는, 도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관에 내열성 금속선이 감겨있는 구조로, 고압 펄스 없이 램프의 시동을 확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있는데, 이는 발광관에 광의 투과율이 높은 알루미나 세라믹관을 이용하고, 내부에 나트륨·네온과 아르곤의 혼합 가스가 봉입되는 외관에 내열성이 우수한 경질 글라스를 사용하며, 내부는 고진공으로 되어 있다. 확산형은 내면에 확산 도료 등을 도포한 것으로, 백열전구와 비슷한 광색과 우수한 연색 효과를 갖는 고압 나트륨 램프로 "고연색형"과 "고채도형"의 2개의 타입이 있으며, 색이 보이는 방식(연색형)을 중요시하는 조명 분야에 적합한 전력 절전형 광원으로, 발광관 외주에 시동 보조 도체가 감겨져 있는 구조리기 때문에 고압 펄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200V의 전원 전압 이하에서 확실하게 시동시킬 수 있다.
그 이외에 시동 바이메탈 필라멘트로 구성된 시동 유니트가 램프에 내장되어 있어 전원을 공급하면 이 시동 유니트의 필라멘트가 가열되고, 이에 따라 바이메탈이 열려 안정기의 초크 코일의 양단에 약 3000V의 유기 전압이 발생하며, 이 펄스상의 유기 전압과 전원 전압이 중첩되어 양단에 가해져 발광관이 방전을 개시하고, 그 이후의 방전 유지는 전원 전압에 의해 이루어져 램프는 안정 점등된다. 등화 등 현재 다종 다양한 고휘도 방전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모두 본 발명의 고휘도 방전등 본체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1에서 1은 안정기(2)를 갖는 상술된 고휘도 방전등이며, 3은 상기 고휘도 방전등(1)에 설치된 셔터, 4는 상기 고휘도 방전등(1)의 배면을 덮는 타원 반사경이며, 그 내면에는 열흡수막(5)이 접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6은 상기 반사경의 전면을 막고있는 집광 렌즈이다.
또한, 이 고휘도 방전등(1)은 도시되지 않은 100V의 전원에 접속되며, 고휘도 방전등(1)과 이 전원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명암이나 강우량, 안개, 눈 등의 기상에 따라 작동되는 센서(7) 및 이에 연동되는 스위치(8)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들로 본 발명의 고휘도 방전등 본체(X)가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1]
이 고휘도 방전등 본체(X)를 설치한 일 실시예로, 도8과 같이 차로(A)와 노견(B)을 갖는 산길과 같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도면에서 9는 상기 노견(B)의 일측 앞쪽에 설치된 폴(pole)이며, 그 상단부는 차로(A)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10은 흔하게 볼 수 있는 종래의 공지된 화살표식으로, 상기 폴(9)의 선단부에 부착되며, 그 화살표의 선단이 상기 차로(A)와 노견(B)의 경계선(C)을 가리키도록 고정되어 있다. 즉, 주간 등과 같이 밝아서 운전자의 시계에 아무런 장해물이 없는 경우에 차량이 상기 화살표식(10)에 의지하여 차로(A)를 주행하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하다. 그러나, 심한 뇌우나 안개로 화살표식(10)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나,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적설(D)에 의해 차로(A)와 노견(B)의 경계선(C)을 확인할 수 없으면 주행중인 차량은 차로(A)로부터 노견(B) 혹은 그 이상의 방향으로 벗어나 뜻밖의 대참사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1과 같이 상기 화살표식(10)에 인접하게 고휘도 방전등 본체(X)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차량(Z)이 차로(A)를 주행중에 도11과 같이 심한 눈보라를 만나더라도 이때는 이미 고휘도 방전등(1)에 설치된 센서(7)에 의해 고휘도 방전등(1)의 스위치(8)가 ON되어 고휘도 방전등(1)은 점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광은 셔터(3)에 모아져 강한 광이 되어 타원 반사경(4)에 부딪히며, 나아가 렌즈(6)에서 집광되어 기둥형으로 상기 경계선(C)의 방향으로 조사된다. 이 경우에 고휘도 방전등(1)의 휘도는 통상적인 차량의 휘도가 40,000칸델라인 데에 비해통상 1,000,000칸델라로 할 수 있다. 차량(Z)의 광이 고휘도 방전등(1)의 광에 비추어져도 이로 인해 고휘도 방전등(1)의 광이 소멸될 염려가 없으므로, 차량(Z)은 평상시의 시계가 충분한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차로(A)를 주행할 수 있다.
[실시예2]
또한, 도12와 도13은 전차 등이 통과하는 건널목을 나타낸 것인데, 도12는 시계가 충분한 주간 등의 정경이고, 도13은 눈보라시의 동일한 장소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 도9와 같이 건널목의 전후에 한 쌍의 지주(11)를 설치하고, 그 상단에 고휘도 방전등 본체(X)를 설치한다. 고휘도 방전등(1)은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고휘도 방전등 본체(X)의 스위치(8)는 센서(7)의 지령에 따라 작동되거나 전차의 주행 혹은 차단기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한다.
[실시예3]
도14, 15의 실시예는 횡단보도(13)에 설치된 것으로, 도14는 시계가 충분한 주간의 정경이고, 도15는 눈보라시의 정경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횡단보도(13)의 네 모서리에 기둥(12)을 설치하고, 그 상단에 고휘도 방전등 본체(X)를 설치하였다. 이 경우에 네 모서리에 설치되는 기둥(12)은 도로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고휘도 방전등 본체(X)의 고휘도 방전등(1)은 상기 횡단보도(13)와 상하 방향에서 수평하게 조사한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 보행자측의 신호기가 적색인 경우에는 상기 고휘도 방전등 본체(X)의 고휘도 방전등(1)으로부터 광이 조사되지 않는다. 그리고, 차량측의 신호가 녹색에서 적색, 즉 정지로 바뀌는 경우에 그 신호기로부터 보내져 온 지령에 따라 고휘도 방전등 본체(X)로부터 횡단보도(13)의 대면측에 설치된 고휘도 방전등 본체(X)로 고휘도 방전등(1)의 광이 상기 횡단보도(13)와 상하 관계로 수평하게 조사되므로, 횡단보도(13)를 나타내는 선의 표시가 운전자의 눈에 시각적으로 인식되며, 보행자(Y)에게도 현재는 차량측 신호가 적색인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보행자측의 신호가 녹색에서 빨강, 즉 정지로 바뀌는 경우에 그 신호기로부터 보내져 온 지령에 따라 고휘도 방전등 본체(X)의 고휘도 방전등(1)으로부터의 광의 조사가 정지되므로, 보행자(Y)에게 현재 차량측 신호가 녹색인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휘도 방전등 본체(X)의 고휘도 방전등(1)으로부터 횡단보도(13)와 평행하게 광이 조사될 뿐만 아니라 도로(보도)에 대해서도 이와 평행하게 광을 조사하면 차량(Z)이나 보행자(Y)에게 현재의 신호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고휘도 방전등 본체를 노견, 보도와 차도의 사이, 혹은 횡단보도와 열차의 건널목, 나아가 산길의 급격한 커브 등의 위험을 알리는 부위에 세워진 지주에 설치하여 상기 고휘도 방전등 본체의 고휘도 방전등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결과 농무일 때나 호우, 강설, 적설 등일 때에 그 존재를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통상 HID라 불리우는 고휘도 방전등(HIGH INTENSITY DISCHAGE LAMPS)을 이용하는데, 이것은 종래에 발광 다이오드나 단순한 레어저 광선을 이용하는 경우에 차량의 헤드 라이트의 빛보다 약해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연구를 거듭하여 개발한 결과로, 차량의 헤드 라이트가 조사되어도 뒤지지않는 광조도(휘도)의 고휘도 방전등 본체를 완성하였다.

Claims (4)

  1. 안정기와, 열흡수막층이 설치된 반사경과, 셔터 기구와, 집광 렌즈를 갖는 고휘도 방전등 본체와, 상기 고휘도 방전등을 도로면 혹은 도로면 근방으로부터 원하는 높이의 위치에 지시(指示)하는 기둥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휘도 방전등의 1차 초점에 셔터를 삽입하고, 셔터로 모아진 광을 렌즈에서 집광시켜 상기 도로면 혹은 도로면 근방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광 표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방전등의 중심 조사 광도는 50,000 내지 1,000,000 칸델라(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광 표시 장치.
  3. 청구항 1 및 2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방전등 본체는 안정기와, 열흡수막층이 설치된 반사경과, 셔터 기구와, 집광 렌즈와, 광의 명암 혹은 기상의 변화에 따라 작동되는 센서와, 상기 센서 혹은 수동으로 조작되는 온·오프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광 표시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방전등 본체를 갖는 기둥 본체를 도로의 노견 등의 소정 위치에 적당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하고, 대향하는 기둥 본체의 고휘도 방전등으로부터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며, 조사 거리가 임의의 길이가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광 표시 장치.
KR1020030036929A 2002-07-10 2003-06-09 기둥형 광 표시 장치 KR200400055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35233 2002-07-10
JP2002235233A JP2004044336A (ja) 2002-07-10 2002-07-10 柱状の光による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586A true KR20040005586A (ko) 2004-01-16

Family

ID=3171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929A KR20040005586A (ko) 2002-07-10 2003-06-09 기둥형 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044336A (ko)
KR (1) KR200400055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272B1 (ko) * 2006-01-10 2007-03-1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식물 세포융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3325B2 (en) 2003-05-20 2007-01-1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oration Road indication device
JP5301301B2 (ja) * 2009-01-30 2013-09-25 株式会社吾妻製作所 視線誘導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272B1 (ko) * 2006-01-10 2007-03-1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식물 세포융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44336A (ja)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3325B2 (en) Road indication device
KR100739447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0694289B1 (ko) 횡단보도의 발광장치
JP2007504377A (ja) 路面標示システム
KR101998336B1 (ko)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KR20170000550A (ko) 도로용 엘이디 조명장치
JP2005002773A (ja) 道路誘導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6739741B2 (en) Display device by columnar light
KR20040005586A (ko) 기둥형 광 표시 장치
CN111236114B (zh) 预制装配式市政工程隔离带
CN106871009A (zh) 一种路灯
JP2912878B2 (ja) 横断歩道
JP2000290940A (ja) 路面標示システム
KR101071375B1 (ko) 시설물용 플레이트
KR102308333B1 (ko) 횡단보도 보행자 및 차량 운행 안전 장치
ES2872325T3 (es) Dispositivo de alumbrado de LED con distribución de luz mejorada
KR200181692Y1 (ko) 도로표지병
KR100543737B1 (ko) 형광방전등을 이용한 터널용 조명등
JP2000027128A (ja) 照明システム並びに紫外線出力装置及びその照射装置
KR200361624Y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200450799Y1 (ko) 고조도반사판과 방수기능을 갖는 가로등용 조명기구
CN212032363U (zh) 一种路口用警示路灯
WO2016002375A1 (ja) 道路照明灯具
EP2230445B1 (en) Lighting unit and luminaire for lighting pedestrian crossings
CN201601111U (zh) 一种紫色荧光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