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336B1 -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336B1
KR101998336B1 KR1020180110753A KR20180110753A KR101998336B1 KR 101998336 B1 KR101998336 B1 KR 101998336B1 KR 1020180110753 A KR1020180110753 A KR 1020180110753A KR 20180110753 A KR20180110753 A KR 20180110753A KR 101998336 B1 KR101998336 B1 KR 10199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bracket
unit
coupling means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용정
안수준
김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투비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투비,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투비
Priority to KR102018011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는 야간에 횡단보도를 조명하여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중으로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폭넓은 조사각도로 횡단보도의 시각적 사각지대를 감소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복수개가 연결되는 구조가 적용되어 횡단보도의 크기에 따라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고,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조도에 따라 조명의 작동과 조명의 광도를 제어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A light device for pedestrian crossing}
본 발명은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야간에 횡단보도를 조명하여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에 의한 인사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으로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유도 조명장치를 통해 폭넓은 조사각도로 횡단보도의 시각적 사각지대를 감소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가 연결되는 구조가 적용되어, 횡단보도의 크기에 따라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조도에 따라 조명의 작동과 조명의 광도를 제어하는 발명이다.
우리가 사는 현대사회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도시권을 중심으로 생활하고 있는데, 도시는 거주하는 인구가 많고 왕래하는 차량도 많아 매일 교통사고로 인한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은 사람과 차량이 많이 왕래하기 때문에 교통사고의 위험이 큰 편인데, 학교주변은 스쿨존이라 하여 차량 통행 속도를 제한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통학하는 시간에는 교통정리 봉사대를 통해 학생들의 안전한 통학을 유도하며, 도로 곳곳에 횡단보도를 설치하고 보행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으나 어두운 야간에는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인지하지 못한 운전자에 의해 안타까운 인명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사고의 원인은 대부분 운전자의 부주의 운전 또는 학생들의 부주의가 원인이 되는데, 초등학생과 같이 어린 학생들은 주의력과 상황 인지력이 어른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에 도로에 차량이 통행중인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무단으로 도로를 횡단하다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의 부주의 운전으로 인한 사고는 스쿨존뿐만 아니라 일반 지역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횡단보도가 도로상에 위치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전방주시를 태만히 한 경우로 인한 것이다.
또한, 고령의 노인들은 시력과 청력이 온전치 못해 야간이나 우천으로 인해 도로 주위가 어두우면 횡단보도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무단 횡단하다가 교통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운전자뿐만 아니라 보행자도 도로상의 횡단보도를 정확히 인지하고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에 따라 보행 및 정차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해야 하는 것이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0680호 절전형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녹색보행등 점등시에만 점등되어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전력 소모 방지에만 기술이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급행하는 운전자를 횡단보도 근처에서 서행하지 못하게 하고 부주의하게 횡단하는 보행자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하지 못하고, 태양광을 전력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일조량이 충분하지 못한 계절이나 날씨에 따라 작동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단점 있다.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4624호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은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에 발명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과 보행자를 감지하여 투광등을 제어하기 때문에 급행하는 차량이나 급하게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에는 대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계절과 날씨에 따라 주변 조도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신호등의 녹색과 적색 점등에 의해 조도를 조절하면 차량이 신호등을 미리 인지하지 못해 사고가 유발된다는 단점이 있다.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8326호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계절과 날씨에 따라 주변 조도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신호등의 색상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기능만으로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주의를 주지 못하고, 급행하는 차량은 먼 거리에서 인지시키지 못하면 바로 정차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야간에 횡단보도를 조명하여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에 의한 인사사고를 방지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으로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유도 조명장치를 통해 폭넓은 조사각도로 횡단보도의 시각적 사각지대를 감소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가 연결되는 구조가 적용되어, 횡단보도의 크기에 따라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조도에 따라 조명의 작동과 조명의 광도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10)은,
광원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을 횡단보도(20)에 조사하는 조명부(100)와;
상기 조명부(100)와 결합되어 조명부(100)를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설치되게 하는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와;
상기 조명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는 야간에 횡단보도를 조명하여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에 의한 인사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으로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유도 조명장치를 통해 폭넓은 조사각도로 횡단보도의 시각적 사각지대를 감소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가 연결되는 구조가 적용되어, 횡단보도의 크기에 따라 대응하여 탄력적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조도에 따라 조명의 작동과 조명의 광도를 제어하므로, 계절과 날씨에 따른 주변 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전력 손실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설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부의 분해도 및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부의 결합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부의 일측 마감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명부의 타측 마감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명부가 복수로 설치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부가 복수로 설치되는 상태의 분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명부를 복수로 연결하는 상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사시도 1
도 11은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사시도 2
도 12는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사시도 3
도 13은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사시도 4
도 14는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제2실시예의 세부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조명각도 조절봉 사시도 및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와 측면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제3실시예가 설치된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제3실시예의 세부 구성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는 야간에 횡단보도를 조명하여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에 의한 인사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이하 '안전유도 조명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설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부의 분해도 및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부의 결합 순서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는 횡단보도(20)를 조명하여 횡단보도 보행자의 시인성 향상을 위해 상기 횡단보도(20) 주변의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는 야간이나 우천과 같이 주위가 어두울 때 횡단보도(20)의 주변을 조명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운전자의 보행자 시인성을 높여 부주의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하여 인명손실을 예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는 기본적으로 조명부(100),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 전원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조도센서(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횡단보도의 시인성 향상을 위해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10)는,
광원(120)에서 발광되는 빛을 횡단보도(20)에 조사하는 조명부(100)와;
상기 조명부(100)와 결합되어 조명부(100)를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설치되게 하는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와;
상기 조명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조명부(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부(100)는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에 의해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설치되어, 광원(120)에서 발광되는 빛을 횡단보도(20)에 조사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운전자의 보행자 시인성을 높이도록 하는 조명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는 도 1과 같이, 조명부(100)를 이용하여 야간에 횡단보도(20) 주변을 환하게 조사하기 때문에, 운행 중인 자동차 운전자가 먼 거리에서도 횡단보도(20)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인지할 수 있어 서행을 유도하므로 운전자 부주의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부(100)는 몸체부(110), 광원부(120), 마감부(130), 브라켓(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부(100)는,
내부에 광원부(120)가 설치되고, 외부 일측에 브라켓(140)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면을 마감 처리하고, 다른 조명부(100)와의 결합을 위한 마감부(130)와,
상기 몸체부(110)의 외부면 일측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조명부(100)가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에 결합되게 하는 브라켓(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몸체부(1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내부에 광원부(120)를 포함한 광 조사 관련 구성들이 설치되고 외부에 마감부(130)와 브라켓(140)이 결합되는 조명부(100)의 몸체부로서, 상기 몸체부(110)는 내부공간(111), 브라켓 슬라이드면(112), 광조사면(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10)의 형상은 단면이 '오뚜기' 형상과 비슷한 외형에 일정 두께를 가지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직선 형상이며, 광원부(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방열시키는 재질이 적용되며 바람직하게는 AL 계열의 금속 또는 합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의 상단 우측 확대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111)에는 광원부(120)를 구성하는 LED램프(121), PCB기판(122), 집광렌즈(123), 전극부(124), 광설비설치부재(125)가 삽입 설치된다.
도 3의 하단 좌측 확대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10)의 외부면 일측에는 일정 곡률이 적용된 브라켓 슬라이드면(112)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 슬라이드면(112)의 단면은 'Ω' 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브라켓(140)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움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드 결합부(141)의 형상도 브라켓 슬라이드면(112)에 대응되도록 'Ω' 자 모양으로 대응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된 브라켓(140)은 브라켓 슬라이드면(112)을 따라 몸체부(110)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해지며, 상기 브라켓(140)의 슬라이드 이동을 조절한 후 브라켓(140)은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의 결합봉(210)과 결합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조사면(113)은 몸체부(110)의 외부면 중 브라켓 슬라이드면(112)이 형성되는 반대측 면에 형성되어, 광설비설치부재(125)의 광가이드면(1251)에 의해 일정 각도로 안내된 빛이 외부로 조사되게 투광시키는 일종의 투광막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광조사면(113)은 PVC UV 표면 코팅 처리 되어 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조사되게 한다.
이하에서는 광원부(1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상기 광원부(120)는 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여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의 조명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LED램프(121), PCB기판(122), 집광렌즈(123), 전극부(124), 광설비설치부재(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부(120)는,
빛을 발광하는 LED램프(121)와,
상기 LED램프(121)가 부착 설치되도록 하고, LED램프(121)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회로가 구성되는 PCB기판(122)과,
상기 LED램프(121)에서 발광된 빛을 일정 각도로 집광하는 집광렌즈(123)와,
상기 PCB기판(122)으로의 전원 공급이나 복수의 조명부(100) 연결 시 다른 조명부(1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극부(124)와,
몸체부(110)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몸체부(110)와 결합되고, 광 조사 관련 구성들인 LED램프(121)와 PCB기판(122)과 집광렌즈(123)와 전극부(124)가 설치되고, LED램프(121)에서 발광되는 빛을 일정 각도로 안내하는 광가이드면(1251)이 형성되는 광설비설치부재(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광설비설치부재(125)에는 광원부(120)를 구성하는 광 조사 관련 구성들인 LED램프(121), PCB기판(122), 집광렌즈(123), 전극부(124)가 설치 구성되고, 특히 LED램프(121)에서 발광되는 빛을 일정 각도로 안내하는 광가이드면(1251)이 형성된다.
즉, 상기 광설비설치부재(125)는 광 조사 관련 구성들인 LED램프(121), PCB기판(122), 집광렌즈(123), 전극부(124)가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의 기능과 집광렌즈(123)를 통해 집광된 빛이 광가이드면(1251)에 의해 일정각도로 안내되어 광조사면(113)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광설비설치부재(125)의 재질 역시 광원부(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방열시키는 재질이 적용되며 바람직하게는 AL 계열의 금속 또는 합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상기 LED램프(121)는 PCB기판(122)에 부착되어 빛을 발광하는 구성으로, LED 램프는 전기 소비량에 비해 광도가 강한 편이고 수명도 길기 때문에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의 광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PCB기판(122)은 복수의 LED램프(121)가 부착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복수의 LED램프(121)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회로가 구성되며 직선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집광렌즈(123)는 PCB기판(122) 하측에 설치되어 LED램프(121)에서 발광된 빛을 일정 각도로 집광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의 기본적인 조사각도는 120°이며, 집광렌즈(123)의 집광 각도에 따라 조사각도가 변경되므로 120° 외의 조사각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집광렌즈(123)의 집광 각도를 변경하여 조절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부(124)는 직선형 PCB기판(122) 양측에 1개씩 총 2개의 인렛(inlet) 전극과 아웃렛(outlet) 전극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렛(inlet) 전극과 아웃렛(outlet)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부(124)는 PCB기판(122)으로의 외부 전원 공급이나 복수의 조명부(100) 연결 시 다른 조명부(1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수단이다.
광원부(120)가 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에 삽입 설치된 후 마감부(130)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면을 마감 처리할 때, 도 3과 같이, 상기 전극부(124)의 인렛(inlet) 전극과 아웃렛(outlet) 전극은 마감부(130)의 제1마감부(131)와 제2마감부(132)에 각각 결합되어 인렛과 아웃렛용 전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LED램프(121)가 부착 설치된 PCB기판(122)과 집광렌즈(123)와 전극부(124)가 광설비설치부재(125)에 부착 설치된 상태에서 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으로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마감부(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부의 일측 마감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조명부의 타측 마감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조명부가 복수로 설치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부가 복수로 설치되는 상태의 분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조명부를 복수로 연결하는 상태 예시도이다.
도 5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130)는 몸체부(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각각 마감 처리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에 삽입 설치되는 광원부(120)를 포함한 구성들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를 위해, 몸체부(110)의 일측을 마감 처리하는 제1마감부(131)와 타측을 마감 처리하는 제2마감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는 도 7과 같이, 횡단보도(20)의 크기가 대형일 경우에도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조명부(100)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마감부(131)와 제2마감부(132)는 몸체부(110)의 양측면을 마감 처리하는 기능과 다른 조명부와의 연결 기능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부(131)는 다른 조명부(100)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인렛 커넥터(1311)와 다른 조명부(100)와의 상호 고정결합을 위한 후크부(1312)가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부(132)는 다른 조명부(100)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아웃렛 커넥터(1321)와 다른 조명부(100)와의 상호 고정결합을 위한 후크 결합부(1322)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마감부(131)와 제2마감부(132)는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해, 1차적으로 인렛 커넥터(1311)와 아웃렛 커넥터(1321)로 결합되고, 2차적으로 후크부(1312)와 후크 결합부(1322)로 결합되어 외부충격과 장시간 사용에 따른 환경 변화에도 충분히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마감부(131)와 제2마감부(13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의 조명부(100)를 복수개 직렬로 연결하는 특징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는 도 7과 같이, 조명부(100)를 직렬로 복수개 연결이 가능하여, 횡단보도(20)의 크기에 따라 대응하여 탄력적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8과 9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부(100)를 복수개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 제1마감부(131)와 제2마감부(132)의 구성들을 상호 결합한다.
즉, 먼저 상기 제1마감부(131)의 인렛 커넥터(1311)에 다른 조명부(100)의 제2마감부(132)의 아웃렛 커넥터(1321)가 삽입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마감부(131)의 후크부(1312)가 다른 조명부(100)의 제2마감부(132)의 후크 결합부(1322)에 체결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도 9의 부분 확대도와 같이, 상기 제1마감부(131)와 제2마감부(132)의 구성들이 이중으로 결합 및 체결(제1마감부(131)의 인렛 커넥터(1311)에 다른 조명부(100)의 제2마감부(132)의 아웃렛 커넥터(1321)가 삽입 결합, 제1마감부(131)의 후크부(1312)가 다른 조명부(100)의 제2마감부(132)의 후크 결합부(1322)에 체결 결합) 되는 구조가 적용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브라켓(1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140)은 몸체부(110)의 외부면 일측(브라켓 슬라이드면(112))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조명부(100)가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에 결합되게 하는 구성으로, 슬라이드 결합부(141)와 끼움구(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141)는 몸체부(110)의 외부면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 슬라이드면(112)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40)이 몸체부(110)의 브라켓 슬라이드면(112)에 슬라이드 결합된 다음에, 상기 마감부(130)의 제1마감부(131)와 제2마감부(132)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면을 마감처리 한다.
또한, 도 3의 하단 좌측 확대도를 참고하면, 상기 브라켓 슬라이드면(112)의 단면이 'Ω' 자 모양인 형상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결합면을 갖도록 슬라이드 결합부(141)도 단면이 'Ω' 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브라켓(140)은 길이가 짧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몸체부(110)의 브라켓 슬라이드면(112)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고, 길이가 긴 하나로 구성하여 몸체부(110)의 브라켓 슬라이드면(112)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끼움구(142)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234) 중 볼트가 끼워지거나 조명각도 조절봉(235)이 끼워지는 구멍으로서, 원형이거나 조명각도 조절봉(235)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사시도 1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사시도 2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사시도 3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사시도 4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왁 같이 본 발명의 조명부(100)는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연결 설치되어 횡단보도(20)를 조사하도록 하는 조명장치이기 때문에 일종의 설치 기구인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를 이용하여 조명부(100)를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설치하게 된다.
도 10과 11을 참조하면, 상기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는 설치부 몸체(231), 제1결합수단(232), 제2결합수단(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는 도 10과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브라켓(140) 양측에 결합되거나, 도 11과 같이 단수로 구성되어 하나의 브라켓(140)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을 한 쌍으로 구성하면 기계적으로 안정되게 조명부(100)의 브라켓(140)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부(10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을 단수로 구성하면 기계적 안정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경제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에 횡단보도(20)의 종류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는,
일측은 조명부(100)의 브라켓(140)과 결합되고, 타측은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과 결합되는 설치부 몸체(231)와,
상기 설치부 몸체(231) 일측에 형성되어, 설치부 몸체(231)가 조명부(100)의 브라켓(140)과 결합되도록 하는 제1결합수단(232)과,
상기 설치부 몸체(231) 타측에 형성되어, 설치부 몸체(231)가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과 결합되도록 하는 제2결합수단(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부 몸체(231)는 일측이 조명부(100)의 브라켓(140)과 결합되고, 타측이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과 결합되어 조명부(100)를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연결 지지하는 구성이다.
특히, 설치부 몸체(231)는 ‘一’자 형상 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즉, 도 12과 같이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一’자 형상의 설치부 몸체(231)를 이용하고, 도 10, 11과 같이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ㄱ’자 형상의 설치부 몸체(231)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도 13과 같이, 상기 설치부 몸체(231)를 'ㄴ'자 형상처럼 반전하여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0의 하단 좌측 확대도와 11의 하측 확대도를 참고하면, 상기 제1결합수단(232)은 설치부 몸체(231)의 일측(조명부측)에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설치부 몸체(231)와 브라켓(140)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234)(예:장 볼트)이 관통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234)에 의한 설치부 몸체(231)와 브라켓(140)간의 결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장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수단(234) 중 장 볼트가 제1결합수단(232)과 브라켓(140)에 형성된 끼움구(142)를 차례로 관통된 후 너트를 장 볼트에 체결함으로 설치부 몸체(231)와 브라켓(140)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브라켓(140) 내부에는 체결수단(234)(장 볼트 의미함)이 관통할 수 있는 끼움구(142)가 형성된다.
도 10의 하단 우측 확대도를 참고하면, 상기 제2결합수단(233)은 설치부 몸체(231) 타측{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측}에 형성되어 설치부 몸체(231)를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제2결합수단(233)은 제1힌지결합수단(2331)과 제2힌지결합수단(2332)으로 구성된다.
도 7의 상측 확대도와 같이, 상기 제1힌지결합수단(2331)과 제2힌지결합수단(2332)은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게 하는 일종의 파이프 밴드와 같은 기능을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제2실시예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조명각도 조절봉 사시도 및 예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와 측면 확대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는 조명부(100)의 브라켓(140)과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의 결합을 도 10(하측 확대도 참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수단(234)을 이용하기 때문에 여름철 폭염과 겨울의 혹한에 장시간 노출되면, 장 볼트와 너트의 결합력이 느슨해져 설치부 몸체(231)에 대해 브라켓(140)이 겉돌게 되어 횡단보도(20)을 향한 조명부(100)의 초기 설정된 조명각도가 장시간 유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는 조명각도 조절봉(235)과 다각고정봉(236)을 추가로 구성하게 된다.
도 14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의 제2실시예는 기본 구성에 조명각도 조절봉(235)과 다각고정봉(236)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4의 확대도와 같이, 상기 조명각도 조절봉(235)은 횡단보도(20)를 향한 조명부(100)의 광 조사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조사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브라켓(140)의 끼움구(14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조명각도 조절봉(235)이 브라켓(140)의 끼움구(142)에 삽입된 후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초기 설정된 조명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도 15, 16과 같이, 브라켓(140)의 끼움구(142)의 형상과 조명각도 조절봉(235)의 외주면 형상은 상호 대응된 동일한 형상으로서, 원형이 아닌 3각, 4각, 5각, 6각, 8각과 같은 다각 형상이 적용된다.
이렇게 끼움구(142)의 모양을 원형이 아닌 다각 형상으로 하는 이유는, 브라켓(140)을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의 조명각도 조절봉(235)에 끼움 시, 끼움 각도를 달리하여 브라켓(140)을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의 조명각도 조절봉(235)에 끼우게 되면 조명 각도를 달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횡단보도(20)에 대한 조명 각도를 달리하고 싶으면 브라켓(140)을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의 조명각도 조절봉(235)에서 분리한 후 다른 끼움 각도로 다시 결합시키면 된다.
특히, 상기 조명각도 조절봉(235) 내부에는 다각고정공(2351)이 관통 형성되고, 다각고정공(2351)에는 제1결합수단(232)에 형성되는 다각고정봉(236)이 삽입된다.
도 14의 확대도와 같이, 상기 다각고정공(2351)의 형상과 다각고정봉(236)의 외주면 형상은 상호 대응된 동일 형상으로서, 원형이 아닌 3각, 4각, 5각, 6각, 8각과 같은 다각 형상이 적용된다.
이때, 상기 다각고정공(2351)의 형상과 다각고정봉(236)의 외주면 형상을 상호 대응된 동일 형상의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다각고정공(2351)에 다각고정봉(236)이 삽입된 후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초기 설정된 조명각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다각고정봉(236) 내부에는 관통구(2361)가 형성되는데, 관통구(2361)에는 체결수단(234)이 관통되어진다.
즉, 설치부 몸체(231)를 브라켓(140)에 체결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조명각도 조절봉(235)이 브라켓(140)의 끼움구(142)에 삽입되고 다각고정공(2351)에 다각고정봉(236)이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수단(234)인 장 볼트가 다각고정봉(236)과 조명각도 조절봉(235)을 관통한 후 체결수단(234)인 너트가 장 볼트에 체결되어짐으로 설치부 몸체(231)가 브라켓(140)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의 제2실시예를 통해, 조명부(100)의 조사각도를 이중으로 조절하여 횡단보도의 시각적 사각지대를 감소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제3실시예가 설치된 예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의 제3실시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의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의 제3실시예는 제3결합수단(241), 제4결합수단(242), 체결수단(2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3결합수단(241)은 형상이 ‘ㄷ’자로 형성되어, 양측단은 조명부(100) 브라켓(140)의 양측단에 체결수단(234)를 통해 결합되고, 상측단은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결합되는 제4결합수단(242)과 체결수단(234)을 통해 결합되는 일종의 브라켓이다.
여기서, 상기 제3결합수단(241)은 양측단에 관통구(2411)가 각각 형성되어, 장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수단(234)에 의해 조명부(100) 브라켓(140)의 양측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3결합수단(241)은 제4결합수단(242)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4결합수단(242)의 하부결합수단(2422)에 형성된 제2결합구(2423)와 제3결합수단(241)의 상측단에 형성된 제1결합구(2412)를 관통하는 체결수단(234)에 의해 제3결합수단(241)과 제4결합수단(242)은 결합된다.
이때, 제3결합수단(241)과 제4결합수단(242)의 결합을 위해 제1결합구(2412)와 제2결합구(2423)를 관통하는 체결수단(234)은 상대적으로 기장이 짧은 단 볼트를 적용하여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제4결합수단(242)이 결합 시 볼트 기장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도 18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4결합수단(242)은 반호(戶)형상인 한 쌍의 상부결합수단(2421)과 하부결합수단(24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4결합수단(242)의 하부결합수단(2422)은 조명부(100)와 결합된 제3결합수단(241)과 결합되고, 상부결합수단(2421)과 하부결합수단(2422)이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을 에워싸는 방식으로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결합되는 일종의 파이프 밴드와 같은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하부결합수단(2422)에는 제3결합수단(241)과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구(2423)가 형성되어, 제3결합수단(241)의 제1결합구(2412)와 제2결합구(2423)를 체결수단(234)이 하부결합수단(2422)과 제3결합수단(241)이 결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300)는 조명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으로,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용 전원을 사용하거나 자가발전 전력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300)에 자가발전 전력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로 주변에서 설치가 용이한 태양광 발전을 적용하며, 상기 태양광 발전을 위해 상기 전원부(300)는 태양광모듈(310)과 배터리(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모듈(310)은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일종의 발전장치이며, 상기 배터리(320)는 태양광모듈(310)이 생산한 전기를 저장하고, 조명부(100)로 공급한다.
특히, 태양광은 일조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상기 태양광모듈(310)에서 생산한 전기를 배터리(320)에 저장해서 관리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는 추가적으로 조도센서(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도센서(400)는 횡단보도(2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전원부(300)의 전원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조명부(100)는 조도센서(400)가 감지한 횡단보도(20)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명 작동과 조사되는 빛의 세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특히, 여름과 같이 해가 긴 계절이거나, 비나 눈이 와서 시계가 어두운 경우에 상기 조도센서(400)가 횡단보도(2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적절하게 조명부(100)의 조명 작동과 빛의 세기를 제어하므로 본 발명의 안전유도 조명장치(10)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조명장치
20 : 횡단보도
30 : 운전자신호등 구조물
100 : 조명부
200 : 운전자신호등 설치부
300 : 전원부
400 : 조도센서

Claims (13)

  1. 횡단보도의 조명을 위해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10)에 있어서,
    광원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을 횡단보도(20)에 조사하는 조명부(100)와;
    상기 조명부(100)와 결합되어 조명부(100)를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설치되게 하는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와;
    상기 조명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명부(100)는,
    내부에 광원부(120)가 설치되고, 외부 일측에 브라켓(140)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면을 마감 처리하고, 다른 조명부(100)와의 결합을 위한 마감부(130)와,
    상기 몸체부(110)의 외부면 일측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조명부(100)가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에 결합되게 하는 브라켓(14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광원부(120)와 광 조사 관련 구성들이 형성되는 내부공간(111)과,
    상기 브라켓(140)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기 위해 몸체부(110) 외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브라켓 슬라이드면(112)과,
    광설비설치부재(125)에 의해 안내된 빛이 일정 각도로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광조사면(113)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10)는 광원부(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방열시키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슬라이드면(112)의 단면은 'Ω' 자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130)는,
    몸체부(110)의 일측을 마감 처리하고, 다른 조명부(100)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인렛 커넥터(1311)와 다른 조명부(100)와의 상호 고정결합을 위한 후크부(1312)가 형성되는 제1마감부(131)와,
    몸체부(110)의 타측을 마감 처리하고, 다른 조명부(100)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아웃렛 커넥터(1321)와 다른 조명부(100)와의 상호 고정결합을 위한 후크 결합부(1322)가 형성되는 제2마감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40)은,
    몸체부(110) 외부면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 슬라이드면(112)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 슬라이드면(1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면을 갖는 슬라이드 결합부(141)와,
    체결수단(234) 또는 조명각도 조절봉(235)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142)는 원형 또는 조명각도 조절봉(235)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는,
    일측은 조명부(100)의 브라켓(140)과 결합되고, 타측은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과 결합되는 설치부 몸체(231)와,
    상기 설치부 몸체(231) 일측에 형성되어, 설치부 몸체(231)가 조명부(100)의 브라켓(140)과 결합되도록 하는 제1결합수단(232)과,
    상기 설치부 몸체(231) 타측에 형성되어, 설치부 몸체(231)가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과 결합되도록 하는 제2결합수단(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 몸체(231)는 ‘一’자 형상 또는 ‘ㄱ’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결합수단(232)은 체결수단(234)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결합수단(233)은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설치부 몸체(231)가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과 결합되도록 하는 제1힌지결합수단(2331)과 제2힌지결합수단(23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조명부(100)의 브라켓(140) 내부에는 체결수단(234)이 관통할 수 있는 끼움구(1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는,
    횡단보도을 향한 조명부(100)의 광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관통형상의 다각고정공(2351)이 형성되고, 브라켓(140)의 끼움구(142)에 삽입되는 조명각도 조절봉(235)과,
    상기 조명각도 조절봉(235)의 다각고정공(2351)에 삽입될 있도록 제1결합수단(232)에 형성되는 다각고정봉(236)을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브라켓(140)의 끼움구(142)의 형상과 조명각도 조절봉(235)의 외주면 형상은 상호 대응되는 다각 형상이고,
    상기 다각고정공(2351)의 형상과 다각고정봉(236)의 외주면 형상은 상호 대응되는 다각 형상이고,
    상기 다각고정봉(236) 내부에는 체결수단(234)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236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신호등 설치부(200)는,
    양측단이 조명부(100) 브라켓(140)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제3결합수단(241)과,
    운전자신호등 구조물(30)에 결합되는 제4결합수단(242)을 포함하고,
    상기 제4결합수단(242)은 반호(戶)형상인 한 쌍의 상부결합수단(2421)과 하부결합수단(24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결합수단(241)은 상기 하부결합수단(242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300)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거나 또는 태양광을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고,
    태양광을 전원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모듈(310)과,
    상기 태양광모듈(310)이 생산한 전기를 저장하고, 조명부(100)로 공급하는 배터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횡단보도 주변의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센서(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100)는 조도센서(400)가 센싱한 횡단보도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명 작동과 조사되는 빛의 광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KR1020180110753A 2018-09-17 2018-09-17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KR10199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753A KR101998336B1 (ko) 2018-09-17 2018-09-17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753A KR101998336B1 (ko) 2018-09-17 2018-09-17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336B1 true KR101998336B1 (ko) 2019-07-09

Family

ID=6726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753A KR101998336B1 (ko) 2018-09-17 2018-09-17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3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87A (ko) * 2019-05-08 2020-11-18 신재훈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안전 시스템
KR102231298B1 (ko) 2020-09-14 2021-03-23 주식회사 지엘로지스틱 스마트 횡단보도 등기구
KR20210055520A (ko) 2019-11-07 2021-05-17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에너지 발전부를 포함하는 보행자 건널목 안전제어 시스템
KR102428898B1 (ko) * 2021-08-10 2022-08-02 김진희 횡단보도 입체화 장치
US12002350B2 (en) * 2019-12-26 2024-06-04 Mjvisiontech Co., Ltd. System for detecting pedestrian at crosswalk and preventing accident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000Y1 (ko) * 2001-10-15 2002-01-17 최동선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100880680B1 (ko) 2007-08-22 2009-01-30 라이텍코리아 (주) 절전형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10130014A (ko) * 2010-05-27 2011-12-05 주식회사 필룩스 엘이디 조명장치
KR20120097133A (ko) * 2011-02-24 2012-09-03 허재철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101184624B1 (ko) 2012-04-02 2012-09-21 주식회사 명신전자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
KR101258326B1 (ko) 2010-10-14 2013-04-25 (주)뉴그린코리아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315085B1 (ko) * 2013-04-05 2013-10-08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도로 표지판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000Y1 (ko) * 2001-10-15 2002-01-17 최동선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100880680B1 (ko) 2007-08-22 2009-01-30 라이텍코리아 (주) 절전형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10130014A (ko) * 2010-05-27 2011-12-05 주식회사 필룩스 엘이디 조명장치
KR101258326B1 (ko) 2010-10-14 2013-04-25 (주)뉴그린코리아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20097133A (ko) * 2011-02-24 2012-09-03 허재철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101184624B1 (ko) 2012-04-02 2012-09-21 주식회사 명신전자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
KR101315085B1 (ko) * 2013-04-05 2013-10-08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도로 표지판 조명장치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녹색보행등 점등시에만 점등되어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은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에 발명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전력 소모 방지에만 기술이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급행하는 운전자를 횡단보도 근처에서 서행하지 못하게 하고 부주의하게 횡단하는 보행자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하지 못하고, 태양광을 전력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일조량이 충분하지 못한 계절이나 날씨에 따라 작동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단점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과 보행자를 감지하여 투광등을 제어하기 때문에 급행하는 차량이나 급하게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에는 대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계절과 날씨에 따라 주변 조도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신호등의 녹색과 적색 점등에 의해 조도를 조절하면 차량이 신호등을 미리 인지하지 못해 사고가 유발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계절과 날씨에 따라 주변 조도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신호등의 색상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기능만으로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주의를 주지 못하고, 급행하는 차량은 먼 거리에서 인지시키지 못하면 바로 정차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87A (ko) * 2019-05-08 2020-11-18 신재훈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안전 시스템
KR102263981B1 (ko) 2019-05-08 2021-06-11 신재훈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안전 시스템
KR20210055520A (ko) 2019-11-07 2021-05-17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에너지 발전부를 포함하는 보행자 건널목 안전제어 시스템
US12002350B2 (en) * 2019-12-26 2024-06-04 Mjvisiontech Co., Ltd. System for detecting pedestrian at crosswalk and preventing accident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231298B1 (ko) 2020-09-14 2021-03-23 주식회사 지엘로지스틱 스마트 횡단보도 등기구
KR102428898B1 (ko) * 2021-08-10 2022-08-02 김진희 횡단보도 입체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336B1 (ko)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US8696178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roadway lighting using solid-state light sources
KR100739447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2231298B1 (ko) 스마트 횡단보도 등기구
KR101234779B1 (ko)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신호등 구조
KR200403486Y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101679673B1 (ko) 도로 조명용 등기구
KR20120117440A (ko) 태양광을 이용한 도로 분리대의 유도장치
KR101690597B1 (ko) 빛공해 방지를 위한 조명등 조사범위 조절장치
US20050174776A1 (en) Apparatus having a light of illumination of a sign
KR101937481B1 (ko) 도로표지판용 타겟 조명장치
KR102062288B1 (ko) BoT 횡단보도 집중조명등
CN116456554A (zh) 太阳能路灯及其控制系统
KR101764571B1 (ko) 안개등이 일체로 구성된 조명장치
KR200421208Y1 (ko) 도로 조명장치
KR20110013616A (ko) 야간도로조명등
KR200299276Y1 (ko) 볼라드
KR20210002663U (ko) 가로등용 색온도 조절 등기구
KR100962041B1 (ko) 양방향 도로조명장치
KR200218044Y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200169537Y1 (ko) 가로등 기구
KR200367375Y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KR100337669B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101322786B1 (ko) 엘이디 가로등
KR102308333B1 (ko) 횡단보도 보행자 및 차량 운행 안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