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4158A - 슬라이더로 카드를 밀어내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더로 카드를 밀어내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4158A
KR20040004158A KR1020030044892A KR20030044892A KR20040004158A KR 20040004158 A KR20040004158 A KR 20040004158A KR 1020030044892 A KR1020030044892 A KR 1020030044892A KR 20030044892 A KR20030044892 A KR 20030044892A KR 20040004158 A KR20040004158 A KR 20040004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lider
protrusion
housing
conne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5174B1 (ko
Inventor
오까베요시후미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 G06K13/085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the locking arrangement comprising a notch in the card and a complementary locking means in the card reading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카드 삽입/배출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장착상태의 카드가 빠져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하우징(2)과, 슬라이더(15)와, 슬라이더(15)를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배출방향을 향하여 탄성가압하는 코일스프링(17)과, 그 카드(34)의 장착위치에서 슬라이더(15)가 로크됨과 동시에 그 카드(34)를 그 장착위치로부터 일단 안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슬라이더(15)의 로크상태가 해제되는 배출기구(3)를 구비하며, 슬라이더(15)에 카드(34)의 오목부(34b)와 걸림 해제 가능한 돌출부(20)를 형성하여 그 카드(34)의 배출위치에서 돌출부(20)가 오목부(34b)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15)를 요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그 카드(34)의 장착위치에서 돌출부(20)가 오목부(34b)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더(15)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슬라이더로 카드를 밀어내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CONNECTING DEVICE FOR CARD PUSHING THE CARD BY SLIDER}
본 발명은 소형 메모리 카드 등의 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드를 장착한 상태에서 일단 안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그 카드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드용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나 PDA(personal data assistance:휴대단말)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이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소형 메모리 카드 등의 카드를 장착하여 전자데이터를 기억시키거나, 또는 소형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 전자데이터를 전자기기로 읽어들이게 되어 있다.
이러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종래예로서,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삽입공간 내에 노출되는 복수의 접속단자와, 상기 카드와 걸어맞춰진 상태로 그 카드의 삽입 배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의 배출방향을 향하여 탄성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카드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로크하는 로크기구와, 그 카드를 그 장착위치로부터 일단 안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로크해제기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서는, 카드를 하우징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카드의 단자에 접속단자가 압접됨으로써 그 카드가 장착위치에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에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편을 형성하고 그탄성편을 카드의 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으로써, 장착중인 카드가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쉽게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서술한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서는, 슬라이더에 형성한 탄성편을 카드의 오목부에 탄성가압함으로써 그 카드를 장착위치에 유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확실한 유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탄성편의 가압력을 비교적 크게 설정해야 한다. 그러나, 가압력이 큰 탄성편을 사용하면 카드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데는 효과가 있으나 카드의 측가장자리부에 가해지는 탄성편의 슬라이딩 부하도 커지기 때문에, 탄성편의 큰 슬라이딩 부하에 대항하여 카드를 밀어넣거나 잡아당겨야 하므로 카드의 삽입/배출시의 조작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슬라이더에 별도 부품인 탄성편을 형성할 필요가 있어 부품점수가 증가하여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가압력이 비교적 작은 탄성편을 사용하면 카드 삽입/배출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반면에 탄성편에 의한 카드의 유지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장착 중인 카드가 쉽게 빠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완성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카드 삽입/배출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장착상태의 카드가 빠져나가는 것을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그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그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 의 4-4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의 5-5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그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슬라이더의 평면도이다.
도 7은 그 슬라이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그 슬라이더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그 슬라이더 주위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평면도이다.
도 10은 그 슬라이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평면도이다.
도 11은 그 하우징에 형성된 캠홈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그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그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소형 메모리 카드의 장착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소형 메모리 카드의 장착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소형 메모리 카드의 장착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소형 메모리 카드의 장착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소형 메모리 카드의 장착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소형 메모리 카드의 배출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소형 메모리 카드의 배출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소형 메모리 카드의 배출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드 커넥터 장치2 : 하우징
3 : 배출기구4 : 커버
5 : 프레임6 : 접속단자
8 : 가이드벽9 : 절결부
10 : 가이드홈11 : 캠홈
13 : 컨택트부15 : 슬라이더
16 : 걸어맞춤핀16a : 일단부
16b : 타단부17 : 코일스프링(가압부재)
18 : 기체부20 : 돌출부
20a, 20b : 사면21 : 규제부
23 : 걸어맞춤부24 : 볼록부
25 : 가이드 돌출부26 : 하트형 캠홈
26a : 삽입경로26b : 배출경로
26c : 핀걸림부32 : 카드 삽입구
33 : 삽입공간34 : 소형 메모리 카드(카드)
34a : 단자34b : 오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커넥터 장치에서는,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그 카드와 걸어맞춰진 상태로 그 카드의 삽입 및 배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의 배출방향을 향하여 탄성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카드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로크하는 로크기구와, 그 카드를 그 장착위치로부터 일단 안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로크해제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카드의 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걸림 해제 가능한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카드의 배출위치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변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카드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카드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카드를 하우징에 대하여 삽입/배출할 때에는 슬라이더의 돌출부를 그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돌출부가 카드의 측가장자리부에 주는 슬라이딩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카드 삽입/배출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드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진 돌출부가 그 오목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카드 커넥터 장치에 진동 등의 외력이 가해졌다 해도 카드를 장착위치에 유지하여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에 별도 부품을 형성하는 일없이 카드의 이탈방지기구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삭감하여 저비용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와 상기 로크해제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에 일단부가 축지지되고 타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걸어맞춤핀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으로 구성되며, 그 하트형 캠홈은 상기 걸어맞춤핀의 타단부를 걸어 상기 카드를 장착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핀걸림부와, 상기 카드를 장착위치로부터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어맞춤핀의 타단부를 가이드하는 배출경로를 가지며, 상기 카드를 장착위치로부터 일단 안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핀걸림부에 걸린 상기 걸어맞춤핀의 타단부가 상기 배출경로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로크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로크기구와 로크해제기구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카드의 하우징에 대한 장착 및 배출 동작을 각각 1푸시 조작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우수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절결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의 카드 배출방향 측단부에 상기 돌출부와 규제부를 형성하고, 상기 카드의 배출위치에서 상기 규제부를 상기 절결부에 대향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더를 요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카드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규제부를 상기 가이드벽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요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슬라이더의 돌출부를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방향으로 규제하는 기구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가이드 돌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그 가이드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카드 삽입방향 측단부를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벽에 의해 그 양측방향에 대한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슬라이더의 요동 동작과 왕복이동을 함께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에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의 배출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가압하는 분력을 부여하고, 그 분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의 돌출부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공통된 가압부재에 의해 슬라이더의 요동동작과 배출방향에 대한 복귀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산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카드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그 카드의 앞가장자리부가 그 돌출부의 겉쪽 사면을 누름으로써 그 돌출부가 그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그 카드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오목부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돌출부의 안쪽 사면을 누름으로써 그 돌출부가 그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카드의 삽입시에 돌출부를 카드의 오목부에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음과 동시에, 카드를 하우징으로부터 빼낼 때 돌출부를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확실하게 이탈시킬 수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그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좌측면도, 도 3은 그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하우징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3의 5-5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그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슬라이더의 평면도, 도 7는 그 슬라이더의 우측면도, 도 8은 그 슬라이더의 좌측면도, 도 9는 그 슬라이더 주위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평면도, 도 10은 그 슬라이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평면도, 도 11은 그 하우징에 형성된 캠홈의 평면도, 도 12는 그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커버의 평면도, 도 13은 그 커버의 정면도, 도 14∼도 18은 소형 메모리 카드의 장착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9∼도 21은 소형 메모리 카드의 배출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1)는 주로 하우징(2)과 배출기구(3) 및 커버(4)로 구성되어 있다.
도 3∼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은 합성 수지제의 프레임(5)과, 이 프레임(5)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착된 복수의 접속단자(6)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5)의 좌측부에는 좌측벽(7)의 후부측(도 3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벽(8)과, 이 가이드벽(8)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절결부(9)와, 저면의 일부를 관통하는 직사각형의 가이드홈(10)과, 저면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캠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벽(8)과 절결부(9)와 가이드홈(10) 및 캠홈(11)은 배출기구(3)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프레임(5)의 폭방향 양측 벽면에는, 2개의 볼록형 걸림부(12,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접속단자(6)는 프레임(5)의 후벽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후벽부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속단자(6)는 후술하는 소형 메모리 카드의 단자에 탄성 접촉시키기 위한 컨택트부(13)를 구성하며, 반대측의 벽면에서 돌출된 부분은 납땜부(14)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납땜부(14)는 각종 전자기기의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형성된 전자회로에 납땜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기구(3)는 하우징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15)와 걸어맞춤핀(16) 및 코일스프링(17;가압부재)을 구비하고 있다.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5)는 기체부(18)와 스프링걸림축(19)으로 구성되어 있고, 스프링걸림축(19)은 기체부(18)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기체부(18)의 전단부에는 돌출부(20)와 규제부(21) 및 베어링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20)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 사면(20a,20b)을 각각 가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산모양으로 되어 있다. 규제부(21)는 돌출부(20)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구멍(22)은 돌출부(2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부(18)의 후단부에는 소형 메모리 카드의 앞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23)와, 규제부(21)와 같은 측에 위치하는 볼록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부(18)의 이면에는 전후방향을 길이로 하는 타원형 가이드 돌출부(2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5)는 볼록부(24)의 선단면(24a)과 가이드 돌출부(25)의 외측벽면(25a) 간의 거리를 d라고 했을 때, 스프링걸림축(19)의 중심선(N)이 거리 d의 중점위치보다도 좌방향으로 거리δ만큼 간 위치에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5)는 프레임(5)의 저면상에 탑재되어 있고, 이 상태로 가이드 돌출부(25)는 가이드홈(10)에 삽입되며, 규제부(21)와 볼록부(24)는 가이드벽(8)에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5)는 가이드벽(8)과 가이드홈(10)의 외측벽(1Oa)에 의해 폭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됨과 동시에 소형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배출 방향으로 원활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단, 가이드 돌출부(25)의 폭(d2)이 가이드홈(10)의 폭(D2)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부(21)가 가이드벽(8)의 절결부(9)에 대면하고 있을 때에만 가이드 돌출부(25)는 가이드홈(10) 내를 그 폭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15)의 전단부는 후단부의 볼록부(24)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15)의 스프링걸어맞춤축(23)에 코일스프링(17)의 일단부가 결착되고, 이 코일스프링(17)의 타단부는 프레임(5)의 후부벽에 걸려 있다(도 1 참조). 이로써 슬라이더(15)는 카드 배출방향을 향하여 탄성가압됨과 동시에 가이드 돌출부(25)의 선단면이 가이드홈(10)의 전단벽에 맞닿음으로써 슬라이더(15)는 소형 메모리 카드의 배출위치(초기 상태)에 유지된다. 상기 서술한 절결부(9)는, 이 초기 상태에서의 규제부(21)의 위치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17)의 가압력(F)을 스프링걸림축(19)의 중심에 작용시킴으로써 슬라이더(15)에 그 후단부의 중심 주위의 모멘트(반시계방향)가 주어지고, 이 모멘트에 의해 돌출부(20)는 도 9 중 화살표(f)에 가압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5)의 초기 상태에서 돌출부(20)를 바깥 쪽으로 누르는 힘(G)이 주어지면, 규제부(21)가 절결부(9) 내로 후퇴함으로써 슬라이더(15)는 후단부의 볼록부(24)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단, 슬라이더(15)가 초기 상태 이외의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5)는 가이드벽(8)과 가이드홈(10)의 외측벽(10a)에 의해 폭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기 때문에 슬라이더(15)의 요동 동작은 규제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핀(16)의 일단부(16a)는 슬라이더(15)에 형성한 베어링구멍(22;도 6 참조)에 축지지되어 있고, 이로 인해 걸어맞춤핀(16)의 자유단측의 타단부(16b)가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홈(11)에는 하트형 캠홈(26)과 안내홈(2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홈(27)은 하트형 캠홈(26)에 연통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있다. 하트형 캠홈(26)은 걸어맞춤핀(16)의 타단부(16b)의 삽입경로(26a) 및 배출경로(26b)와, 그 타단부(16b)를 걸어 소형 메모리 카드를 장착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핀걸림부(26c)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4)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천판(28)과, 이 천판(28)의 폭방향에 대향하는 좌우의 단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측판(29,29)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판(28)의 전방에서 좌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잘라 세운 세움편(31)이 형성되어 있고, 측판(29,29)에는 각각 2개의 사각구멍(30,30)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커버(4)는 그 천판(28)이 하우징(2)의 상부를, 측판(29,29)이 하우징(2)의 양측면을 덮도록 장착되며, 양측판(29,29)의 사각구멍(30,30)이 프레임(5)의 양측 벽면의 걸림부(12,12)에 스냅 고정됨으로써 커버(4)가 하우징(2)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천판(28)에 형성한 세움편(31)은 프레임(5)의 캠홈(11)를 일부 덮도록 배치되며, 걸어맞춤핀(16)을 탄성적으로 캠홈(11) 방향으로 누르게 되어 있다. 이로써 걸어맞춤핀(16)의 타단부(16b)가 캠홈(11)의 저면을 확실하게 슬라이드하여 캠동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하우징(2)과 커버(4) 사이에 삽입공간(33)이 형성되어 있어(도 1 참조), 소형 메모리 카드는 개구단(32;카드 삽입구) 측에서 삽입공간(33) 내로 삽입되게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드용 커넥터 장치(1)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소형 메모리 카드를 카드용 커넥터 장치(1)에 장착하는 동작에 관해서 도 14∼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카드용 커넥터 장치(1)에 사용되는 카드의 일례인 소형 메모리 카드에 관해서 설명하면, 이 소형 메모리 카드(34)는 직사각형의 판상 부재이고, 그 선단부의 하면에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자(34a)가 형성되며, 일측 가장자리에는 슬라이더(15)에 형성된 돌출부(20)와 걸림 해제 가능한 오목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1)의 초기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5)는 코일스프링(17)의 가압력에 의해 그 이동범위의 가장 앞 위치에 유지되어 있고, 돌출부(20)는 소형 메모리 카드(34)가 삽입되는 삽입공간(33)으로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 때, 걸어맞춤핀(16)의 타단부(16b)는 도 11에 나타내는 안내홈(27)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14는 조작자가 수동으로 소형 메모리 카드(34)를 카드 삽입구(32)에 삽입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 돌출부(20)는 삽입공간(33)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후단부를 밀어넣으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20)의 전방측 사면(20a)이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앞가장자리부에 의해 눌리고, 슬라이더(15)가 볼록부(24)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즉, 삽입중인 소형 메모리 카드(34)가 돌출부(20)를 바깥 쪽으로 누름으로써 규제부(21)가 절결부(9) 내로 이동함과 동시에 돌출부(20)가 소형 메모리 카드(34)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삽입시의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측가장자리부에 가해지는 슬라이딩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소형 메모리 카드(34)를 밀어 넣으면, 돌출부(20)는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전단부가 슬라이더(15)의 걸어맞춤부(23)에 맞닿을 때까지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측가장자리부에 눌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전단부가 슬라이더(15)의 걸어맞춤부(23)에 맞닿으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 메모리 카드(34)가 걸어맞춤부(23)를 누름으로써 슬라이더(15)가 볼록부(24)를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돌출부(20)가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오목부(34b)에 걸어맞춰지고, 다시 소형 메모리 카드(34)를 밀어 넣으면 슬라이더(15)는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이동을 따른다. 이 이동과정에서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단자(34a)가 접속단자(6)의 컨택트부(13)에 접촉하고, 이어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앞가장자리부가 프레임(5)의 후벽면에 맞닿을 때까지 밀려들어간다.
이러한 소형 메모리 카드(34)를 밀어 넣는 조작에 의해, 도 11에 화살표 H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핀(16)의 타단부(16b)가 안내홈(27)으로부터 하트형 캠홈(26)의 삽입경로(26a) 내로 이동하고, 또 핀걸림부(26c)를 통과하여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소형 메모리 카드(34)에 대한 밀어 넣기 조작력을 제거하면, 슬라이더(15)가 코일스프링(17)의 가압력에 의해 앞으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도 11에 화살표 I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핀(16)의 타단부(16b)가 핀걸림부(26c)로 이동하여 걸린다. 그 결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핀(16)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더(15)와 소형 메모리 카드(34)도 앞으로 되돌아오고, 소형 메모리 카드(34)는 각 단자(34a)를 컨택트부(13)에 접촉시킨 상태 그대로 카드 장착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이 카드 장착위치에서 슬라이더(15)의 규제부(21)는 가이드벽(8)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15)는 폭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즉, 소형 메모리 카드(34)가 하우징(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오목부(34b)에 걸어맞춰진 돌출부(20)가 그오목부(34b)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기 때문에, 카드용 커넥터 장치(1)에 진동 등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소형 메모리 카드(34)가 하우징(2)으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2)에 장착된 소형 메모리 카드(34)를 배출하는 동작에 관해서 도 18∼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8은 하우징(2)에 소형 메모리 카드(34)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로부터 조작자가 수동으로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후단면을 밀어 넣으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 메모리 카드(34)는 그 장착위치로부터 일단 안쪽으로 이동하여 하우징(2)의 후벽면에 맞닿는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15)도 안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 11에 화살표 J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핀(16)의 타단부(16b)가 핀걸림부(26c)로부터 이탈하여 안쪽의 배출경로(26b) 내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15)의 로크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소형 메모리 카드(34)에 대한 밀어 넣기 조작력을 제거하면, 코일 스프링(17)의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더(15)가 앞으로 되돌아와 초기 상태로 돌아간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더(15)가 앞으로 되돌아오면, 도 11에 화살표 K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핀(16)의 타단부(16b)가 배출경로(26b)로부터 안내홈(27)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각 단자(34a)는 컨택트부(13)로부터 이탈하고,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핀(16)의 타단부(16b)가 안내홈(27)의 전단부까지 이동하면 소형 메모리 카드(34)는 카드 삽입구(32)로부터 후단부를 돌출시킨 배출위치로 이동한다. 이 배출위치에서 조작자가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후단부를 잡고 앞으로 빼내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20)의 후방측 사면(20b)이 오목부(34a)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눌리기 때문에, 슬라이더(15)가 볼록부(24)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요동하여 돌출부(20)가 오목부(34b)에서 이탈된다. 즉, 배출 중인 소형 메모리 카드(34)가 돌출부(20)를 바깥 쪽으로 밀어 규제부(21)가 절결부(9) 내로 이동함과 동시에 돌출부(20)가 소형 메모리 카드(34)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소형 메모리 카드(34)를 카드 삽입구(32)로부터 빼내는 배출시에도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측가장자리부에 가해지는 슬라이딩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프레임(5)의 저면으로부터 수직 형성된 가이드벽(8)에 대하여 저면을 관통하는 가이드홈(10)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벽(8)을 구성하는 좌측벽(7)이 외측으로 변형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 18에 나타내는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장착상태에서 소형 메모리 카드(34)를 무리하게 빼려고 하여 슬라이더(15)에 큰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좌측벽(7)이 변형됨으로써 슬라이더(15) 전체를 바깥 쪽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즉, 소형 메모리 카드(34)의 무리한 인출 조작시에도 돌출부(20)가 카드(34)의 오목부(34b)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소형 메모리 카드(34)를 비교적 저부하 상태에서 빼내는 것이 가능해져, 슬라이더(15) 등이 파손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어, 아래에 기재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카드를 하우징에 대하여 삽입/배출할 때에는 슬라이더의 돌출부를 그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돌출부가 카드의 측가장자리부에 주는 슬라이딩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카드 삽입/배출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드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진 돌출부가 그 오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카드 커넥터 장치에 진동 등의 외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카드를 장착위치에 유지하여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에 별도 부품을 형성하는 일없이 카드의 빠짐 방지기구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삭감하여 저비용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6)

  1.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그 카드와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그 카드의 삽입 및 배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의 배출방향을 향하여 탄성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카드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로크하는 로크기구와, 그 카드를 그 장착위치로부터 일단 안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로크해제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카드의 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걸림 해제 가능한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카드의 배출위치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변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카드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와 상기 로크해제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걸어맞춤핀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으로 구성되며, 그 하트형 캠홈은 상기 걸어맞춤핀의 자유단부를 걸어 상기 카드를 장착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핀걸림부와, 상기 카드를 장착위치로부터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어맞춤핀의 자유단부를 가이드하는 배출경로를 가지며, 상기 카드를 장착위치로부터 일단 안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핀걸림부에 걸린 상기 걸어맞춤핀의 자유단부가 상기 배출경로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로크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절결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의 카드 배출방향 측단부에 상기 돌출부와 규제부를 형성하고, 상기 카드의 배출위치에서 상기 규제부를 상기 절결부에 대향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더를 요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카드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규제부를 상기 가이드벽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요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가이드 돌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그 가이드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카드 삽입방향 측단부를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벽에 의해 그 양측방향에 대한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에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의 배출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가압하는 분력을 부여하고, 그 분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의 돌출부를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산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카드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그 카드의 앞가장자리부가 그 돌출부의 겉쪽 사면을 누름으로써 그 돌출부가 그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그 카드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오목부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돌출부의 안쪽 사면을 누름으로써 그 돌출부가 그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KR10-2003-0044892A 2002-07-03 2003-07-03 슬라이더로 카드를 밀어내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KR100515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94663 2002-07-03
JP2002194663A JP3876194B2 (ja) 2002-07-03 2002-07-03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158A true KR20040004158A (ko) 2004-01-13
KR100515174B1 KR100515174B1 (ko) 2005-09-16

Family

ID=2972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892A KR100515174B1 (ko) 2002-07-03 2003-07-03 슬라이더로 카드를 밀어내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17874B2 (ko)
EP (1) EP1378858B1 (ko)
JP (1) JP3876194B2 (ko)
KR (1) KR100515174B1 (ko)
CN (1) CN1260858C (ko)
DE (1) DE60318776T2 (ko)
TW (1) TW5950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6078B2 (ja) * 2002-12-26 2007-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TWI226733B (en) * 2003-05-20 2005-01-11 Benq Corp Internal connector
JP4336953B2 (ja) * 2003-07-15 2009-09-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JP3841353B2 (ja) * 2003-12-26 2006-11-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3976273B2 (ja) * 2004-03-17 2007-09-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装置
JP4673006B2 (ja) * 2004-06-09 2011-04-2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TWM259350U (en) * 2004-06-24 2005-03-11 Tyco Electronics Amp Kk Card connector
JP2006092775A (ja) * 2004-09-21 2006-04-06 Sony Corp コネクタ
TWM267543U (en) * 2004-11-26 2005-06-11 Tai Sol Electronics Co Ltd Card connector with locking function
US6955548B1 (en) * 2004-11-30 2005-10-18 Advanced Connection Technology Inc. Electronic card connector
TWI269996B (en) * 2005-02-17 2007-01-01 Quanta Comp Inc Mouse
US7004771B1 (en) * 2005-03-14 2006-02-28 Super Link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capable of driving both sides of an electronic card to extract the electronic card
TWM275588U (en) * 2005-03-16 2005-09-11 Ta-Yu Chen Ejection device
JP4717736B2 (ja) 2006-07-07 2011-07-0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JP4762828B2 (ja) 2006-08-22 2011-08-3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水密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0947503Y (zh) * 2006-09-04 2007-09-12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TWM312063U (en) * 2006-09-29 2007-05-11 Tai Sol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card from coming off
US7626826B2 (en) * 2007-01-31 2009-12-01 Sun Microsystems, Inc. Expansion card carri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4848980B2 (ja) * 2007-03-19 2011-12-2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KR101132416B1 (ko) * 2007-06-04 2012-04-03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폰용 메모리카드 및 sim카드 장착소켓
JPWO2009008048A1 (ja) 2007-07-09 2010-09-02 山下 俊一 ロック・リリース機構
DE102007044170B4 (de) * 2007-09-15 2010-08-19 Amphenol-Tuchel-Electronics Gmbh Push-Push-Mechanismus für einen Kartenleser
JP4992685B2 (ja) * 2007-11-30 2012-08-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US20090172235A1 (en) * 2007-12-27 2009-07-02 Mei Yan Megasim card adapter
JP4964800B2 (ja) * 2008-02-14 2012-07-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978511B1 (ko) * 2008-04-18 2010-08-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카드용 커넥터
JP5088651B2 (ja) * 2008-05-27 2012-12-05 Smk株式会社 プッシュロック式メモリーカードコネクタ
JP5824357B2 (ja) * 2011-12-27 2015-11-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870812B2 (ja) * 2012-03-29 2016-03-01 富士通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CN102663455B (zh) * 2012-04-05 2015-01-07 深圳市天腾实业有限公司 卡片拆分限位结构
TWI487468B (zh) * 2012-07-18 2015-06-01 Wistron Corp 可攜式電子裝置及其電子模組固定結構
CN105354601B (zh) * 2015-10-14 2018-01-30 石家庄域联视控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配有电子锁式储卡箱的自助发卡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8360B2 (ja) * 1999-12-27 2009-08-19 ユニオンマシナリ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713428B2 (ja) * 2000-09-27 2005-1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78858A3 (en) 2006-04-26
DE60318776D1 (de) 2008-03-13
EP1378858B1 (en) 2008-01-23
KR100515174B1 (ko) 2005-09-16
TW200411987A (en) 2004-07-01
CN1260858C (zh) 2006-06-21
US6817874B2 (en) 2004-11-16
EP1378858A2 (en) 2004-01-07
US20040005799A1 (en) 2004-01-08
TW595050B (en) 2004-06-21
JP3876194B2 (ja) 2007-01-31
JP2004039437A (ja) 2004-02-05
DE60318776T2 (de) 2009-01-15
CN1469511A (zh) 200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174B1 (ko) 슬라이더로 카드를 밀어내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KR100845672B1 (ko) 카드 커넥터
KR101110383B1 (ko) 카드용 커넥터
US7131853B2 (en) Card connector
US7708575B2 (en) Card connector capable of switching a card holding state with a simple structure
JP4576354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8851911B2 (en) Card connector
US20020008142A1 (en) Card connector
US20050277319A1 (en) Card connector having a retarding mechanism for retarding an ejecting operation of a card
CN107636912B (zh) 卡连接器
US7070429B2 (en)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JP421307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14135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67652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JP4596825B2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4347843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5294203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4220457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614747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TWM564841U (zh) Card connector
JP2005317383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3017182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3045564A (ja)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