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837Y1 -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 - Google Patents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837Y1
KR200399837Y1 KR20-2005-0023442U KR20050023442U KR200399837Y1 KR 200399837 Y1 KR200399837 Y1 KR 200399837Y1 KR 20050023442 U KR20050023442 U KR 20050023442U KR 200399837 Y1 KR200399837 Y1 KR 200399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eat
pedestal
roasting
roas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승한
Original Assignee
모승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승한 filed Critical 모승한
Priority to KR20-2005-0023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8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삼겹살이나 갈비 등의 육류를 구워 섭취하기 위한 구이판에 대한 것으로, 특히 외틀체의 내측에 일정간격을 갖는 경사상의 받침살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살의 선단은 수평부를 갖게 하고 그 하단은 상향 절곡부를 갖게 함으로서,
상기 수평부에 의해 육류를 안정적으로 구워 섭취할 수 있게 하면서도 그 육류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은 경사상의 받침살을 따라 하부 절곡부를 따라 외측으로 흘러 별도의 받침대 오일수거홈으로 모아지므로, 기름이 하부 열원으로 낙하하지 아니하므로 연기의 발생이 거의 없으며, 하부 직화열이 육류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그 식감이 뛰어난 것이며, 하부 직화 및 그 받침살의 간접열에 의해 동시에 구이가 이루어지므로 뛰어난 효율성을 갖는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 {Roasting plate with oil outlet}
본 고안은 각종 삼겹살이나 갈비 등의 육류를 구워 섭취하기 위한 구이판에 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상의 외틀체 내측에 일정간격을 갖는 경사상의 받침살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살의 선단은 수평부를 갖게 하고 그 하단은 상향 절곡부를 갖게 하여, 상기 수평부에 의해 육류를 안정적으로 구워 섭취할 수 있게 하고, 절곡부에 의해서는 육류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이 수거되게 함으로서, 구이판 하측의 숯불 등에 기름이 낙하하여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겹살이나 갈비 등의 육류를 구워 섭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이판이 사용되는데, 가장 보편적인 형태로는 금속재 원판 형태의 구이판을 하부 열원의 상측에 거치시켜 그 원판이 가열됨에 따라 그 상측의 육류가 구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원판 상의 구이판은 하부 숯불 등의 열원에 의해 구이물을 직접 굽는 형태가 아니라 원판의 가열에 의한 간접열에 의해 구이물을 굽는 형태이므로 구이물의 식감을 떨어트리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숯불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향이나 원적외선 등의 효과를 보지 못하므로 근자에 들어서는 망사 또는 석쇠 형태로 된 직화구이판이 주로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직화구이판은 망사나 석쇠의 형태로 제작되므로 구이물에서 발생하는 기름 등이 하부 열원으로 낙하하므로, 낙하하는 기름이 발화 또는 타면서 많은 연기를 발생시키는 것이며, 많은 량의 기름이 발화되는 경우에는 구이물이 모두 타버리거나 그을리는 등 화재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기름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는 구이물의 식감을 현저히 떨어트릴뿐만 아니라 환기가 원활하지 못한 실내에서는 눈이 맵거나 옷이나 기타 소지품에서 좋지 않은 냄새가 심하게 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외틀체의 내측에 일정간격을 갖는 경사상의 받침살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살의 선단은 수평부를 갖게 하고 그 하단은 상향 절곡부를 갖게 함으로서,
상기 수평부에 의해 육류를 안정적으로 구워 섭취할 수 있게 하면서도 그 육류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은 경사상의 받침살을 따라 하부 절곡부를 따라 외측으로 흘러 별도의 받침대의 오일수거홈으로 모아지므로, 기름이 하부 열원으로 낙하하지 아니하므로 연기의 발생이 거의 없으며, 하부 직화열이 육류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그 식감이 뛰어난 것이며, 하부 직화 및 그 받침살의 간접열에 의해 동시에 구이가 이루어지므로 뛰어난 효율성을 갖는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일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타측 단면도이다.
프레임상의 외틀체(1)의 내측에, 양단이 상기 외틀체(1)의 내측면에 고정된 경사상의 받침살(2)(2')을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하되,
상기 받침살(2)(2')의 선단에는 수평부(3)를 절곡 형성하고, 그 받침살(2)(2')의 하단에는 상기 경사상의 받침살(2)(2')과 대응되도록 상향 경사상의 절곡부(4)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한 각각의 받침살(2)(2')은 그 중앙부가 양측단보다 상승된 높이를 갖는 양측 경사상의 형태로 제작하여 기름이 보다 빠르게 배출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받침살(2)(2')의 양단에는 그 절곡부(4)를 절취한 배출구(5)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4)를 따라 흘러내리는 기름이 그 배출구(5)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은 받침대, 11은 오일수거홈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구이판은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받침살(2)(2')이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각각의 받침살(2)(2')의 외측에는 이들 받침살(2)(2')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외틀체(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외틀체(1)는 별도의 목적이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이격 상태의 받침살(2)(2')을 서로 연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와 같은 프레임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핀이나 와이어 또는 각관, 원형관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며,
이들 외틀체(1)는 상기 받침살(2)(2')을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형상이나 모양을 갖고 있으면 충분할 것이므로, 상기한 외틀체(1)의 형상이나 모양의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이 목적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에 포함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받침살(2)(2')은 각각 선단 및 하단에 절곡 형성된 수평부(3) 및 절곡부(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한 수평부(3)는 육류와의 실질적인 접촉면으로서 그 수평부(3)에 의해 육류에 가는 선 형태의 타는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자 함은 물론 그 육류가 흘러내리거나 하측으로 빠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일정폭을 갖는 수평부(3)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된 수평면에 의해 육류에 간접열을 제공하므로 그 육류를 보다 빨리 구워 섭취할 수 있게 하는 보조의 역할도 겸하게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 구이판은 상기한 간접열 보다는 이격된 받침살(2)(2')의 사이로 상승하여 그 육류에 직화열을 제공함으로서 보다 뛰어난 식감을 얻게 하면서도 숯불 등에 의해 은은한 고유의 향기나 원적외선 등에 의한 이로운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그 육류에서 발생하는 기름은 상기 경사상의 받침살(2)(2')을 따라 흘러내려 그 절곡부(4)에 모아지는 것인데, 상기한 절곡부(4)는 그 기름이 하부 열원으로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낙하 기름에 의한 연기의 발생이 전혀 없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곡부(4)에 모아진 기름은 그 하부 열원에 의해 다시 끓어 착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받침살(2)(2')의 중간부를 양측단 보다 높게 형성하여 상기한 기름이 수거되는 즉시 양측단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하여 고온의 열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 이상적이다.
특히, 많은 량의 육류를 구울 경우에는 그 기름이 상기한 절곡부(4)에 가득 차 넘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받침살(2)(2')의 양측단 즉, 그 절곡부(4)의 양측단을 절취하여 배출구(5)를 형성하므로, 상기 절곡부(4)를 따라 흘러내리던 기름은 그 배출구(5)를 통해 하부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며,
하부로 낙하하는 기름은 상기 구이판을 거치하고 있는 받침대(10)의 오일수거홈(11)으로 모두 수거되어 안전한 취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구이판은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태 및 도 6의 도시와 같은 원형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은, 수평부에 의해 육류를 안정적으로 구워 섭취할 수 있게 하면서도 그 육류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은 경사상의 받침살을 따라 하부 절곡부를 따라 외측으로 흘러 별도의 받침대의 오일수거홈으로 모아지므로, 기름이 하부 열원으로 낙하하지 아니하므로 연기의 발생이 거의 없으며, 하부 직화열이 육류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그 식감이 뛰어난 것이며, 하부 직화 및 그 받침살의 간접열에 의해 동시에 구이가 이루어지므로 뛰어난 효율성을 갖는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요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일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타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요부 확대 단면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기름 배출 작동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타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외틀체 2,2' : 받침살
3 : 수평부 4 : 절곡부
5 : 배출구
10 : 받침대 11 : 오일수거홈

Claims (3)

  1. 프레임상의 외틀체(1)의 내측에, 양단이 상기 외틀체(1)의 내측면에 고정된 경사상의 받침살(2)(2')을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하되,
    상기 각각의 받침살(2)(2') 선단에는 수평부(3)를 절곡 형성하고, 그 받침살(2)(2')의 하단에는 상기 경사상의 받침살(2)(2')과 대응되도록 상향 경사상의 절곡부(4)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받침살(2)(2')은, 그 중앙부가 양측단보다 상승된 높이를 갖는 양측 경사상의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받침살(2)(2')의 양단에는 그 절곡부(4)를 절취한 배출구(5)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4)를 따라 흘러내리는 기름이 그 배출구(5)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
KR20-2005-0023442U 2005-08-12 2005-08-12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 KR200399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42U KR200399837Y1 (ko) 2005-08-12 2005-08-12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42U KR200399837Y1 (ko) 2005-08-12 2005-08-12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837Y1 true KR200399837Y1 (ko) 2005-10-28

Family

ID=4370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442U KR200399837Y1 (ko) 2005-08-12 2005-08-12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83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32B1 (ko) 2006-11-06 2007-10-05 (주)지영사 고기구이 불판
KR100815543B1 (ko) 2007-01-30 2008-03-20 주식회사 지영 고기구이 불판
KR101118792B1 (ko) 2010-07-12 2012-03-20 차영기 바비큐 장치
KR101152792B1 (ko) * 2009-10-27 2012-06-12 정기영 직화 구이판
WO2015053564A2 (ko) * 2013-10-10 2015-04-16 Yong Jin Kim 직화 구이판
KR200482346Y1 (ko) * 2015-11-10 2017-01-12 주식회사 쓰리엘 고기구이 불판
KR102050304B1 (ko) * 2018-07-18 2020-01-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옻가네 구이용 불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32B1 (ko) 2006-11-06 2007-10-05 (주)지영사 고기구이 불판
KR100815543B1 (ko) 2007-01-30 2008-03-20 주식회사 지영 고기구이 불판
KR101152792B1 (ko) * 2009-10-27 2012-06-12 정기영 직화 구이판
KR101118792B1 (ko) 2010-07-12 2012-03-20 차영기 바비큐 장치
WO2015053564A2 (ko) * 2013-10-10 2015-04-16 Yong Jin Kim 직화 구이판
WO2015053564A3 (ko) * 2013-10-10 2015-06-18 Yong Jin Kim 직화 구이판
KR200482346Y1 (ko) * 2015-11-10 2017-01-12 주식회사 쓰리엘 고기구이 불판
KR102050304B1 (ko) * 2018-07-18 2020-01-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옻가네 구이용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837Y1 (ko) 기름 배출부를 갖는 직화 구이판
KR100722298B1 (ko) 석쇠 구이장치
US20180153347A1 (en) Side-surface direct-flame roasting device
KR101114290B1 (ko) 전기 로스터
KR101522716B1 (ko)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200431912Y1 (ko) 고기 구이판
KR101380623B1 (ko) 다기능 무연 구이기
KR20190087332A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100940370B1 (ko) 탄화방지 기능을 갖는 구이용 불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200239785Y1 (ko) 고기구이판
KR19990007621A (ko) 이물질 받이를 구비한 숯불 구이판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KR20100046318A (ko) 열 균등 확산판을 갖는 무연 불판
KR200256249Y1 (ko) 육류구이팬
CN107198466A (zh) 一种健康环保截油板烹调装置
KR101363449B1 (ko) 초벌구이 시스템
KR100447249B1 (ko) 연기가 나지 않는 석쇠 구이장치
JP2009072346A (ja) ロースター
KR101591189B1 (ko) 구이판
KR200295039Y1 (ko) 고기구이기
KR200214948Y1 (ko) 구이판
JPH0736610Y2 (ja) 焼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