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139Y1 - 구이판 - Google Patents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139Y1
KR200306139Y1 KR20-2002-0035651U KR20020035651U KR200306139Y1 KR 200306139 Y1 KR200306139 Y1 KR 200306139Y1 KR 20020035651 U KR20020035651 U KR 20020035651U KR 200306139 Y1 KR200306139 Y1 KR 200306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wer plate
roasting
mea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한
Original Assignee
김규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한 filed Critical 김규한
Priority to KR20-2002-0035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1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육류 및 음식을 굽기위한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산과 골 형태의 파형 패널을 상하 분리형성하고, 상판의 골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하판의 산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에 의해, 하부의 열기가 하판의 통공을 빠져나와 상판의 통공을 통해 구이판의 상부에 미치게 되므로 그 열기 및 화염에 의해 고기를 직접 구워 맛과 향을 향상시키며, 고기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기름 및 찌꺼기는 상판의 통공을 통해 하판으로 흘러내리고 하판의 기름 및 찌꺼기는 그 파형 패널의 골부분을 따라 일측으로 모아지므로 보다 청결하면서도 연기 및 악취의 발생이 거의 없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이판 {roste plate}
본 고안은 각종 육류 및 음식을 굽기위한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 분리되는 산과 골형태의 파형 패널을 이격되게 중첩 사용하므로서, 하부의 열기가 통공을 통해 상부에 미치게 함은 물론 육류로부터 빠져나오는기름 및 찌꺼기는 통공 및 골부분을 통해 일측으로 집유되게 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고기 및 음식물을 굽기 위해서는 금속성의 판재를 가열수단의 상부에 올려놓고 화염에 의해 구이판을 가열하여 구이판의 전도열에 의해 고기등의 육류가 구워지므로 이를 섭취가능케 하였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구워진 고기의 향은 물론 미감을 향상시키고자 망체상의 구이망을 사용하여 하부의 숯으로부터 상승되는 열기에 의해 고기가 직접 구워지게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전기한 구이판 중 패널의 형태로 제작되어진 것은, 숯이나 각종 화염에 의해 육류를 직접 가열하여 굽는 것이 아니라 구이판에 의해 전도된 열에 의해 굽는 것으로 엄밀하게 분류하면 화염에 의해 굽는 것이 아니라 가열판에 의해 고온으로 끓이는 것이 바를 것이다.
따라서, 숯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경우에는 숯의 화염이 고기에 직접 미치지 않게 되므로 숯에 의한 향 및 미감이 저하되는 것이며, 고기로부터 빠져나오는 기름 및 찌꺼기의 배출이 용이치 못하여 맛과 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망체상의 구이망은 구이망의 상부에 올려놓고 고기를 굽게 되면 하부의 열기로부터 고기가 직접 접촉되며 구워지므로 맛과 향이 향상되는 잇점은 있으나, 고기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이나 찌꺼기가 망체상의 구이망을 통과하여 하부로 떨어지므로 연기 및 냄새를 유발하여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저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산과 골 형태의 파형 패널을 상하 분리형성하고, 상판의 골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하판의 산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에 의해, 하부의 열기가 상하판의 통공을 빠져나와 구이판의 상부에 미치게 되므로 그 열기 및 화염에 의해 고기를 직접 구워 맛과 향을 향상시키며, 고기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기름 및 찌꺼기는 상판의 통공을 통해 하판으로 흘러내리고 하판의 기름 및 찌꺼기는 그 파형 패널의 골부분을 따라 일측으로 모아지므로 보다 청결하면서도 연기 및 악취의 발생이 거의 없는 구이판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구이판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구이판의 측면설명도
도 3은 본 고안 구이판의 상세단면설명도
도 4는 본 고안 구이판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산 2,2' : 골
3,3' : 간격구 4,4' : 통공
5 : 상판 6 : 하판
10 : 고기 11 : 가열수단
12 : 기름받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구이판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구이판의 측면 설명도이다.
다수의 산(1)(1')과 골(2)(2')을 갖는 파형 상의 패널을 상하 분리형성하되,
상판(5)의 골(2)(2') 부분에는 일정간격의 통공(4)(4')을 다수 형성하고,
하판(6)의 산(1)(1')부분에는 또다른 통공(4)(4')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며, 하판(6)의 산(1)(1')부분에는 일정 높이의 간격구(3)(3')를 돌출 형성하여,
하판(6)의 상부에 상판(5)을 올려놓게 되면 그 간격구(3)(3')에 의해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고기, 11은 가열수단, 12는 기름받이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구이판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구이판의 도 2의 도시와 같이 다수의 산(1)(1')과 골(2)(2')이 연속형성된 파형 형상의 패널을 상판(5)과 하판(6)으로 분리형성하여 서로 중첩하되, 하판(6)의 산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간격구(3)(3')에 의해 상판(5)과 하판(6)이 일정거리 이격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도 3의 도시와 같이 하부에서 숯이나 각종 연소재에 의해 화염을 가하면 구이판이 가열되면서, 그 상부의 고기(10)를 익힘은 물론 하판(6)의 산(1)(1')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4)(4')에 의해 하부의 하염 및 열기가 하판(6)의 상부로 뿜어져 나오게 되고, 다시 그 열기 및 화염은 상판(5)의 골(2)(2')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4)(4')을 통해 상부로 뿜어지므로 그 열기 및 화염에 의해 직접가열에 의한 구이가 완성되는 것이다.
즉, 하부의 하염 및 열기는 상승하고자 하므로, 화염 및 열기는 하판(6)의 저면과 부딪치며 다수의 통공(4)(4')을 통해 일부는 상부로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때 빠져나온 열기 및 화염은 또다시 상판(5)의 통공(4)(4')을 통해 상부로 상승하게 되므로, 이때 빠져나온 열기 및 화염에 의해 상판(5)에 올려진 고기(10)를 직접 가열하므로 직화구이가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도 구이판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한 것이 있었으나, 대부분 표면에 관통된 구멍에 지나지 않았으므로,
종래의 통공이 형성된 구이판은 고기로부터 배출되는 각종 기름 및 찌꺼기가그 통공을 통해 하부 즉, 화염으로 떨어져 연기 및 냄새를 유발시켜 손님들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 구이판은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첩된 상판(5) 및 하판(6)의 일측을 상승시켜 구이판 자체가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하면, 구이용 고기(10)로부터 빠져나오는 각종 기름 및 찌꺼기는 상판(5)의 골(2)(2')부분에 형성된 통공(4)(4')을 통해 하부로 떨어져 내리고, 떨어져 내린 기름 및 찌꺼기는 하판(6)의 골(2)(2')부분으로 집유되며, 골(2)(2') 부분으로 흘러내린 기름 및 찌꺼기는 경사상으로 설치된 구이판의 경사각도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구이판의 보다 낮은 측에 별도의 기름받이(12)를 설치하여 두면 각종 기름 및 찌꺼기는 그 기름받이(12)에 집유되므로 연기 및 냄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구이판은 가열수단(11) 즉, 각종 숯이나 화염으로부터 고기(10)가 직접 구워지므로 보다 맛과 향이 향상되는 것이며, 고기(10)로부터 배출되는 각종 기름 및 찌꺼기는 용이하게 일측으로 모아지므로 연기 및 냄새를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구이판은, 하부의 열기가 하판 및 상판의 통공에 의해 구이판의 상부에 미치게 되므로 그 열기 및 화염에 의해 고기를 직접 구워 맛과 향을 향상시키며, 고기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기름 및 찌꺼기는 그 파형 패널의 골부분을 따라 일측으로 모아지므로 보다 청결하면서도 연기 및 악취의 발생이 거의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산(1)(1')과 골(2)(2')을 갖는 파형 상의 패널을 상하 분리형성하되,
    상판(5)의 골(2)(2') 부분에는 일정간격의 통공(4)(4')을 다수 형성하고,
    하판(6)의 산(1)(1')부분에는 또다른 통공(4)(4')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며, 하판(6)의 산(1)(1')부분에는 일정 높이의 간격구(3)(3')를 돌출 형성하여,
    하판(6)의 상부에 상판(5)을 올려놓게 되면 그 간격구(3)(3')에 의해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KR20-2002-0035651U 2002-11-28 2002-11-28 구이판 KR200306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651U KR200306139Y1 (ko) 2002-11-28 2002-11-28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651U KR200306139Y1 (ko) 2002-11-28 2002-11-28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139Y1 true KR200306139Y1 (ko) 2003-03-03

Family

ID=4940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651U KR200306139Y1 (ko) 2002-11-28 2002-11-28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13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5218A2 (ko) * 2008-07-07 2010-01-14 Hwang Yong Ho 만능 구이판
KR101632833B1 (ko) * 2015-03-31 2016-06-22 이현정 숯불구이용 직화 차단판
KR101669632B1 (ko) * 2015-07-06 2016-10-26 설진만 구이보조장치
KR101714763B1 (ko) * 2016-04-16 2017-03-09 김진권 구이 장치
KR101860673B1 (ko) * 2017-06-12 2018-05-23 류욱현 에어챔버가 구비된 직화구이 불판
KR101891962B1 (ko) * 2017-09-26 2018-08-27 나형배 훈연용 그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훈연 구이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5218A2 (ko) * 2008-07-07 2010-01-14 Hwang Yong Ho 만능 구이판
WO2010005218A3 (ko) * 2008-07-07 2010-05-27 Hwang Yong Ho 만능 구이판
KR101632833B1 (ko) * 2015-03-31 2016-06-22 이현정 숯불구이용 직화 차단판
KR101669632B1 (ko) * 2015-07-06 2016-10-26 설진만 구이보조장치
KR101714763B1 (ko) * 2016-04-16 2017-03-09 김진권 구이 장치
KR101860673B1 (ko) * 2017-06-12 2018-05-23 류욱현 에어챔버가 구비된 직화구이 불판
KR101891962B1 (ko) * 2017-09-26 2018-08-27 나형배 훈연용 그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훈연 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922B2 (en) Grill pan
US5911812A (en) Barbecue grille with fluid runoff control
KR102214329B1 (ko) 직화 구이용 조리기
US6158330A (en) Broiler pan cooking grid
KR200306139Y1 (ko) 구이판
KR200444353Y1 (ko) 만능 구이판
KR101163871B1 (ko) 숯불 구이 장치
KR200306138Y1 (ko) 구이판
KR200214948Y1 (ko) 구이판
KR10205918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0214947Y1 (ko) 구이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100098772A (ko) 처마형불판
KR100940370B1 (ko) 탄화방지 기능을 갖는 구이용 불판
KR101715634B1 (ko) 복층형 구이용 팬
KR101380623B1 (ko) 다기능 무연 구이기
JP2006029622A (ja) 加熱調理用受け皿セット及び加熱調理器
KR102551931B1 (ko) 직화 구이용 불판
KR20090006431U (ko) 육류조리용 불판
KR102447673B1 (ko) 고기 불판
KR100940369B1 (ko) 탄화방지 기능을 갖는 구이용 불판
KR200256249Y1 (ko) 육류구이팬
KR200385600Y1 (ko) 이중석쇠
KR20180136848A (ko) 사인파형 에어챔버가 구비된 직화구기 불판
KR20130138432A (ko) 구이부가 길게 칸칸이 돌설된 양변면에 가열공이 천공된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