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714Y1 - 길이조정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길이조정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714Y1
KR200381714Y1 KR20-2005-0001030U KR20050001030U KR200381714Y1 KR 200381714 Y1 KR200381714 Y1 KR 200381714Y1 KR 20050001030 U KR20050001030 U KR 20050001030U KR 200381714 Y1 KR200381714 Y1 KR 200381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elevator
fastener
wal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20-2005-0001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7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714Y1/ko
Priority to CN200580001241A priority patent/CN100579886C/zh
Priority to US11/587,828 priority patent/US7987948B2/en
Priority to PCT/KR2005/003977 priority patent/WO2006075841A1/en
Priority to JP2006553069A priority patent/JP2007512210A/ja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벽면에 대해 핸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정 가능한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벽면(1)에 볼트 등의 체결구(30)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개 단단히 고정되고, 단면이 대략 반원통형이며, 하단 수평벽(122)의 중앙에 개구부(124)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24)의 폭은 볼트 등의 체결구(30)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벽면(1)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 돌출되는 고정대(120); 및 상기 고정대(120)에 끼워맞춤되어 미끄럼 가능한 대략 반원통형 단면을 갖고, 전단부(142)는 상기 핸들(10)에 결합되며, 상기 전단부(142)에서 약간 안쪽에는 공간(143)을 두고 수직격벽(144)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격벽(144)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30)가 관통하는 관통공(145)이 형성되고, 하단 수평벽(146)의 중앙에 상기 개구부(124)에 대응하는 개구부(147)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47)의 폭은 체결구(30)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전체 길이는 상기 고정대(120)보다 긴 핸들지지대(14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길이조정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for adjusting its length}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쉽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벽면에 대해 핸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정 가능한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승객용 손잡이를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방식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단면도로서, 승객과 손잡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내벽면에는 원통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핸들(10)이 승객이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위치로 가로로 길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핸들(10)은 그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된 브라켓(20)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지지되고, 이들 브라켓에 연결된 볼트 등의 체결구(30)에 의해 엘리베이터 벽면에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에는 종래의 핸들 조립체의 일례가 확대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의 일단부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30)가 달려있고, 이 체결구는 엘리베이터 벽면(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며, 엘리베이터 외부에서 와셔, 너트 등으로 체결구(30)를 단단히 조여 핸들(10)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핸들은 그 조립작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장식을 완료하고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승강통로에 설치한 다음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런 작업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설치작업에 숙련자가 아닌 비숙련자인 인테리어 설치업자가 엘리베이터 외부로 나가 작업해야 하므로, 공중에 높이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에서 작업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예의 핸들조립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브라켓을 감싸는 ㄷ자 모양의 캡(25)이 있다. 이 캡(25)은 브라켓(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먼저 캡(25)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30)로 결합한 다음, 핸들 브라켓을 캡(25)에 삽입하고, 브라켓이 삽입된 상태로 캡(25)에 브라켓을 작은나사 등으로 조여서 결합하면, 핸들조립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핸들조립체는 작은나사를 이용해 브라켓과 캡을 결합하므로 장기간 사용시 캡과 브라켓의 결합상태가 헐거워져서 핸들이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또, 보통 핸들 브라켓은 여러개(보통 3-4개)이므로, 엘리베이터 벽면에 사전 형성된 체결구용 구멍과 캡을 정렬시키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도 4는 종래의 또다른 예의 핸들조립체 분해상태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브라켓(20) 일단부에 체결판(50)을 용접 등으로 결합하고, 이 체결판(50)을 체결구로 엘리베이터 벽면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핸들 조립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체결판(50) 자체가 브라켓(20)의 양쪽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이게 되고, 특히 체결구가 승객 등의 시야에 노출되게 된다. 내부 장식을 중요시하는 엘리베이터에는 이와 같이 체결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므로, 내장을 중요시하는 엘리베이터에는 이와 같은 핸들조립체가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본 출원인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작업성을 개선한 엘리베이터 손잡이를 2002년 12월 23일 실용신안으로 출원한 바 있다.
도 5은 본 출원인의 이런 종래의 고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 고안은, 승강기 외부에 볼트(30)를 고정시켜 놓고 승강기 내부에서, 핸들 내부의 너트를 돌려서 고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고안은 승강기 출하공장에서 승강기 벽면에 미리 볼트를 고정시켜 출하해야만 하므로, 벽판재끼리 쌓아노을 때 돌출한 볼트로 인해 겹쳐 쌓아놓은 다른 벽판재에 흠집을 발생시키며, 벽판재에 미리 볼트를 고정시켜놓기도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현장에서 핸들 내부를 통해 볼트에 와셔와 너트를 체결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기술 어떤 것도, 핸들 자체를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가공된 것을 사용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원통체를 그대로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의 가공비나 재료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도 6과 같은 핸들조립체를 2004년 4월 12일 실용신안등록출원 9996호로서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생산공장에서 엘리베이터 벽면에 미리 볼트를 고정시켜놓지 않아도,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체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장식의 미감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결합상태가 단단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핸들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지보수가 간편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핸들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의 벽면(1)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과 정렬되게 벽면(1)의 외면에 다수의 외부너트가 관통공마다 하나씩 각각 부착된다. 그리고 볼트 등의 제1 체결구를 핸들받침대(100)의 공간을 통해 핸들받침대 단부벽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너트(60)에 연결한 다음 렌치 등으로 조여 핸들받침대(100)를 엘리베이터 벽면에 단단히 결합한다.
이렇게 구성된 핸들조립체의 경우, 엘리베이터의 생산공장에서 엘리베이터 외벽면에 미리 볼트를 고정시켜놓지 않아도,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엘리베이터 손잡이를 결합하는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체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장식의 미감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결합상태가 단단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핸들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지보수가 간편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핸들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엘리베이터는 그 내부에 장식판을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장식판은 얇은 것도 있지만 그 두께가 상당히 두꺼운 것도 있다. 두꺼운 장식판을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부착할 경우 원통형 핸들과 장식판 외면과의 사이가 좁아지는 문제가 있다. 심지어는 승객이 핸들을 손으로 쥘 때 승객의 손을 핸들과 장식판 사이의 틈새로 끼우기가 불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핸들에 있어서, 그 길이를 조정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말하는 길이란 핸들과 엘리베이터 내벽면 사이의 틈새의 길이를 말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내벽면과 핸들 사이의 길이를 필요한대로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그 분해조립 작업이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의 길이조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설치되고, 승객이 손으로 잡기 위한 기다란 원통형 핸들(10)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결합하여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벽면(1)에 볼트 등의 체결구(30)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개 단단히 고정되고, 단면이 대략 반원통형이며, 하단 수평벽(122)의 중앙에 개구부(124)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24)의 폭은 볼트 등의 체결구(30)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벽면(1)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 돌출되는 고정대(120); 및
상기 고정대(120)에 끼워맞춤되어 미끄럼 가능한 대략 반원통형 단면을 갖고, 전단부(142)는 상기 핸들(10)에 결합되며, 상기 전단부(142)에서 약간 안쪽에는 공간(143)을 두고 수직격벽(144)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격벽(144)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30)가 관통하는 관통공(145)이 형성되고, 하단 수평벽(146)의 중앙에 상기 개구부(124)에 대응하는 개구부(147)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47)의 폭은 체결구(30)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전체 길이는 상기 고정대(120)보다 긴 핸들지지대(140);를 포함하고,
체결구(30)에 의해 핸들지지대(140)의 전단부(142)에 핸들(10)을 단단히 고정한 상태에서, 핸들지지대(140)의 후단부를 상기 고정대(120)의 내부공간에 삽입한 다음, 원하는 길이로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대의 하단 개구부(124)와 핸들지지대의 하단 개구부(147)를 통해 체결구(30)로 고정대에 핸들지지대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길이조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한,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설치되고, 승객이 손으로 잡기 위한 기다란 원통형 핸들(10)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결합하여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벽면(1)에 볼트 등의 체결구(30)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개 단단히 고정되고, 단면이 대략 반원통형이며, 하단 수평벽(122)의 중앙에 개구부(124)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24)의 폭은 볼트 등의 체결구(30)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벽면(1)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 돌출되는 고정대(120); 및
상기 고정대(120)에 끼워맞춤되어 미끄럼 가능한 대략 반원통형 단면을 갖고, 일단부에는 핸들(10)을 밑에서 지지하기 위해 핸들의 외형과 거의 일치되는 아치형 오목부(1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서 약간 아랫쪽에는 너트를 배치할 공간(143')을 두고 수평격벽(144')이 형성되며, 상기 반원통부의 길이 일부에 걸쳐 하단에 수평벽(146')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상기 개구부(124)에 대응하는 개구부(1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47')의 폭은 체결구(30)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인 핸들지지대(140');를 포함하고,
체결구(30)에 의해 핸들지지대(140')의 오목부(142')에 핸들(10)을 단단히 고정한 상태에서, 핸들지지대(140')의 후단부를 상기 고정대(120)의 내부공간에 삽입한 다음, 원하는 길이로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대의 하단 개구부(124)와 핸들지지대의 하단 개구부(147')를 통해 체결구(30)로 고정대에 핸들지지대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길이조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핸들지지대(140;140')의 하단수평벽(146;146')의 상부 좌우측에 턱(148;148')이 형성되고, 양쪽 턱(148;148') 사이의 간격은 체결구(30)를 조이는 너트의 회전을 방지할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에 있어서, 고정대(120)의 하단수평벽(122) 양단부에 하단 수직벽(125)이 돌출되고, 상기 수직벽(125)의 길이는 체결구(30)의 볼트머리의 높이보다 커서 체결구를 조립한 상태에서 체결구의 볼트머리를 가릴 수 있도록 하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첫번째 실시예의 핸들조립체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8-8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9-9선 단면도이다.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핸들조립체는 크게 승객이 손으로 쥐는 원통형 핸들(10), 핸들(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핸들지지대(140), 및 엘리베이터 벽면에 핸들지지대(140)에 대응되게 체결구로 고정되어 핸들지지대(140)를 수용하는 고정대(120)로 구성된다.
고정대(120)는 엘리베이터의 벽면(1)에 볼트 등의 체결구(30)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개 단단히 고정된다. 물론 고정대(120)와 핸들지지대(140)는 서로 쌍을 이룬다. 고정대(120)의 단면은 대략 반원통형이 바람직하지만, 사각형, 삼각형 등 다른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고정대(120)의 하단에는 수평벽(122)이 형성되고, 수평벽의 중앙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개구부(124)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124)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삽입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지지대(140)를 결합해야 하므로, 개구부(124)의 폭은 볼트 등의 체결구(30)의 볼트기둥은 통과하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이어야 한다. 고정대(120)의 길이, 즉 벽면에서 튀어나오는 길이는 엘리베이터의 크기에 맞게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핸들지지대(140)는 기본적으로 핸들(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고정대(120)에 끼워맞춤되어야 한다. 단,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지지대(140)는 고정대(120)에 대해 미끄럼 가능해야 한다. 즉, 핸들지지대(140)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고정대(120)에 대해 적절한 길이로 출입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핸들지지대(140)의 단면 형태는 해당 고정대(120)에 끼워맞춤되어 미끄럼 가능하게 대략 반원통형이 바람직하지만, 고정대(120)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단면형태를 갖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예컨대, 고정대(120)의 단면이 삼각형, 원형, 사각형이면, 대응하는 핸들지지대(140)의 단면도 삼각형, 원형, 사각형이어야 한다.
핸들지지대(140)의 전단부(142)는 상기 핸들(10)에 결합되는데, 용접 등으로 결합할 수도 있지만, 볼트 등의 체결구(30)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단부(142)에서 약간 안쪽에는 공간(143)을 두고 수직격벽(144)이 형성되고, 이 수직격벽(144)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30)가 관통하는 관통공(145)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구성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를 이용해 핸들지지대(140)를 핸들(10)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또, 핸들지지대(140)의 하단에도 수평벽(14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수평벽(146)의 중앙에는 고정대(120)의 개구부(124)에 대응하는 개구부(147)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 개구부(147)는 고정대의 개구부(124)와 협력하여 체결구를 삽입해야 하므로, 개구부의 폭은 체결구(30)의 볼트기둥은 통과하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이어야 한다. 또, 핸들지지대(140)의 전체 길이는 가급적 고정대(120)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고정대와 핸들지지대를 구성할 경우, 체결구(30)에 의해 핸들지지대(140)의 전단부(142)에 핸들(10)을 단단히 고정한 상태에서, 핸들지지대(140)의 후단부를 상기 고정대(120)의 내부공간에 삽입한 다음, 원하는 길이로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대의 하단 개구부(124)와 핸들지지대의 하단 개구부(147)를 통해 체결구(30)로 고정대에 핸들지지대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을 설치할 때 엘리베이터 벽면에 부착되는 장식판의 두께를 감안하여 체결구(30)를 이용해 필요한 길이로 핸들(10)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핸들지지대(140)를 고정대(120)에 고정할 때, 볼트를 끼워 너트에 대해 회전시켜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너트를 핸들지지대(140)의 내부에 배치하는 것이 조립에 편리하고, 너트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핸들지지대(140)의 하단수평벽(146)의 상부 좌우측에 턱(14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턱(148) 사이의 간격은 체결구(30)를 조이는 너트의 회전을 방지할 정도면 된다. 예컨대, 육각머리 너트일 경우, 정 반대쪽의 육각머리 표면들 사이의 간격에 맞게 양쪽 턱(148)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면 된다.
또, 엘리베이터 내부의 미적 외관을 위해서는, 전술한 체결구(30)가 가급적 승객의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고정대(120)의 하단수평벽(122) 양단부에 하단 수직벽(125)을 돌출시키되, 그 돌출길이는 체결구(30)의 볼트머리의 높이보다 크게 한다. 이렇게 되면, 체결구를 조립한 상태에서 체결구의 볼트머리가 하단수직벽(125)에 가려져 외부로 보이지 않게 되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10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두번째 실시예의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11-11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첫번째 실시예의 구성과 비슷하지만, 핸들지지대(140')의 구성에 약간 차이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핸들지지대(140')의 전단부에 별도로 핸들(10)을 지지하는 아치형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핸들지지대(140')는 고정대(120)에 끼워맞춤되어 미끄럼 가능하고 대략 반원통형 단면을 갖는데, 핸들에 결합되는 일단부에는 핸들(10)을 밑에서 지지하기 위해 핸들의 외형과 거의 일치되는 아치형 오목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에서 약간 아랫쪽에는 너트를 배치할 공간(143')을 두고 수평격벽(144')이 형성되어 있어서, 핸들을 체결구로 오목부에 단단히 체결할 수 있다. 핸들지지대의 반원통부의 길이 일부에 걸쳐 하단에 수평벽(146')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고정대의 개구부(124)에 대응하는 개구부(147')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개구부(147')의 폭은 체결구(30)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기타 다른 구성은 첫번째 실시예와 거의 비슷하므로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내부의 벽면에 얇거나 두꺼운 장식판, 또는 표면에 요철이 있는 장식판을 부착할 경우에도, 그 장식판의 두께에 대응되게 핸들과 엘리베이터 벽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어, 승객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핸들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일례의 핸들조립체의 조립된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예의 핸들조립체의 조립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또다른 예의 핸들조립체의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자의 종래의 고안의 핸들조립체의 조립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자의 종래의 또다른 고안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첫번째 실시예의 핸들조립체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9-9선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두번째 실시예의 핸들조립체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11-11선 단면도.

Claims (4)

  1.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설치되고, 승객이 손으로 잡기 위한 기다란 원통형 핸들(10)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결합하여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벽면(1)에 볼트 등의 체결구(30)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개 단단히 고정되고, 단면이 대략 반원통형이며, 하단 수평벽(122)의 중앙에 개구부(124)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24)의 폭은 볼트 등의 체결구(30)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벽면(1)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 돌출되는 고정대(120); 및
    상기 고정대(120)에 끼워맞춤되어 미끄럼 가능한 대략 반원통형 단면을 갖고, 전단부(142)는 상기 핸들(10)에 결합되며, 상기 전단부(142)에서 약간 안쪽에는 공간(143)을 두고 수직격벽(144)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격벽(144)에는 십자머리볼트 등의 체결구(30)가 관통하는 관통공(145)이 형성되고, 하단 수평벽(146)의 중앙에 상기 개구부(124)에 대응하는 개구부(147)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47)의 폭은 체결구(30)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전체 길이는 상기 고정대(120)보다 긴 핸들지지대(140);를 포함하고,
    체결구(30)에 의해 핸들지지대(140)의 전단부(142)에 핸들(10)을 단단히 고정한 상태에서, 핸들지지대(140)의 후단부를 상기 고정대(120)의 내부공간에 삽입한 다음, 원하는 길이로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대의 하단 개구부(124)와 핸들지지대의 하단 개구부(147)를 통해 체결구(30)로 고정대에 핸들지지대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2.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설치되고, 승객이 손으로 잡기 위한 기다란 원통형 핸들(10)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결합하여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벽면(1)에 볼트 등의 체결구(30)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개 단단히 고정되고, 단면이 대략 반원통형이며, 하단 수평벽(122)의 중앙에 개구부(124)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24)의 폭은 볼트 등의 체결구(30)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벽면(1)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 돌출되는 고정대(120); 및
    상기 고정대(120)에 끼워맞춤되어 미끄럼 가능한 대략 반원통형 단면을 갖고, 일단부에는 핸들(10)을 밑에서 지지하기 위해 핸들의 외형과 거의 일치되는 아치형 오목부(1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서 약간 아랫쪽에는 너트를 배치할 공간(143')을 두고 수평격벽(144')이 형성되며, 상기 반원통부의 길이 일부에 걸쳐 하단에 수평벽(146')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상기 개구부(124)에 대응하는 개구부(1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47')의 폭은 체결구(30)의 볼트머리 등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인 핸들지지대(140');를 포함하고,
    체결구(30)에 의해 핸들지지대(140')의 오목부(142')에 핸들(10)을 단단히 고정한 상태에서, 핸들지지대(140')의 후단부를 상기 고정대(120)의 내부공간에 삽입한 다음, 원하는 길이로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대의 하단 개구부(124)와 핸들지지대의 하단 개구부(147')를 통해 체결구(30)로 고정대에 핸들지지대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지지대(140;140')의 하단수평벽(146')의 상부 좌우측에 턱(148;148')이 형성되고, 양쪽 턱(148;148') 사이의 간격은 체결구(30)를 조이는 너트의 회전을 방지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20)의 하단수평벽(122) 양단부에 하단 수직벽(125)이 돌출되고, 상기 수직벽(125)의 길이는 체결구(30)의 볼트머리의 높이보다 커서 체결구를 조립한 상태에서 체결구의 볼트머리를 가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20-2005-0001030U 2005-01-13 2005-01-13 길이조정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200381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030U KR200381714Y1 (ko) 2005-01-13 2005-01-13 길이조정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CN200580001241A CN100579886C (zh) 2005-01-13 2005-11-24 用于电梯的长度可调乘客扶手组件
US11/587,828 US7987948B2 (en) 2005-01-13 2005-11-24 Length adjustable 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PCT/KR2005/003977 WO2006075841A1 (en) 2005-01-13 2005-11-24 Length adjustable 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JP2006553069A JP2007512210A (ja) 2005-01-13 2005-11-24 長さ調整が可能なエレベータの乗客用取っ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030U KR200381714Y1 (ko) 2005-01-13 2005-01-13 길이조정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082A Division KR100668905B1 (ko) 2005-10-26 2005-10-26 길이조정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714Y1 true KR200381714Y1 (ko) 2005-04-14

Family

ID=3667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030U KR200381714Y1 (ko) 2005-01-13 2005-01-13 길이조정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87948B2 (ko)
JP (1) JP2007512210A (ko)
KR (1) KR200381714Y1 (ko)
CN (1) CN100579886C (ko)
WO (1) WO2006075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92996B (zh) * 2010-11-29 2013-01-23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轿厢内扶手的设置结构
KR200460692Y1 (ko) 2010-11-29 2012-06-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이디 조명 일체형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수평 손잡이
CN101992997B (zh) * 2010-11-30 2012-11-14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的轿厢中扶手的设置结构
BR112014003915A2 (pt) * 2011-11-02 2017-03-21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de corrimão para uma cabina de um elevador
CN102530686B (zh) * 2011-12-01 2013-09-04 苏州帝奥电梯有限公司 轿厢双排扶手
CN102718113B (zh) * 2012-07-13 2015-05-13 苏州市世嘉科技股份有限公司 滑槽式扶手
US9670950B2 (en) 2014-11-17 2017-06-06 Michael Anderson Elevator handrail attachment mechanism
EP3418241B1 (en) * 2017-06-21 2019-11-13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car
CN108792896A (zh) * 2018-08-24 2018-11-13 湖州巨创电梯部件有限公司 直立电梯轿厢扶手
CN111517200A (zh) * 2019-02-01 2020-08-11 三菱电机上海机电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扶手装置
WO2022018871A1 (ja) * 2020-07-22 2022-01-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かごの手すり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1595A (en) * 1972-02-25 1973-06-26 Blumcraft Pittsburgh Apparatus for assembling posts and rails
US3811176A (en) * 1972-02-25 1974-05-21 Blumcraft Pittsburgh Method for assembling posts and rails
US4153234A (en) * 1978-07-13 1979-05-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Wall supported handrail assembly
JPS56150264A (en) * 1980-04-21 1981-11-20 Naka Tech Lab Handrail coping
JPS5974968A (ja) * 1982-10-25 1984-04-27 Q P Corp 液状調味料の製造法
JPS59198285A (ja) * 1983-04-27 1984-1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乗かごの手摺り取付装置
US4635756A (en) * 1985-07-09 1987-01-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cab
US4779707A (en) * 1986-07-29 1988-10-25 Montgomery Elevator Company Modular elevator cab construction
KR900000012Y1 (ko) * 1987-05-25 1990-01-30 주식회사금성사 엘리베이터 승강차 핸드 레일
JPH02286586A (ja) * 1989-04-26 1990-11-2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内手すり
JP2899469B2 (ja) * 1992-03-06 1999-06-0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JPH06156911A (ja) * 1992-11-19 1994-06-03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
JPH0797163A (ja) * 1993-09-24 1995-04-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かご内手摺装置
CA2314839A1 (en) * 2000-08-02 2002-02-02 Charles H. Morris Handrail gate, hinge coupling and lock
US20060065493A1 (en) * 2004-09-30 2006-03-30 Bostock Glenn H Hand railing with mounting for receiving panels
JP2006117364A (ja) * 2004-10-20 2006-05-1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かご室の手すり
JP2008184231A (ja) * 2007-01-26 2008-08-14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室内手摺り装置
JP2010018374A (ja) * 2008-07-09 2010-01-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支持体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75841A1 (en) 2006-07-20
US7987948B2 (en) 2011-08-02
CN1898145A (zh) 2007-01-17
JP2007512210A (ja) 2007-05-17
US20110132700A1 (en) 2011-06-09
CN100579886C (zh)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1714Y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US11085183B2 (en) Display system
US6311851B1 (en) Decorative wreath hanger
JP6634146B2 (ja) ブラケット組立体及び方法
US20130043357A1 (en) Fixture mounting assembly
US8925258B1 (en) Wall and door panel adjustment device
US7883066B2 (en) Corner bracket system for wall hangings and method for use
KR100668905B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US7226027B1 (en) Device for mounting an object at the corner of a room
US9181709B2 (en) Rapidly mounted, modular, universal grab bar and handrail system
US20080028999A1 (en) Tale with adjustable table top height
US7222830B2 (en) Right angle bracket
US11186995B2 (en) Handrail wall mount adapter
KR20170141377A (ko) 선반 시공구조 및 이때 사용되는 시공핀
US7424789B2 (en) Bracket system for modular fireplace mantel
JPH07222625A (ja) テーブル、机等の組立構造
JP4013147B2 (ja) 構築物の取付装置
JP3105699U (ja) 組立式自立型家具
GB2489443A (en) Trophy or like assembly
KR200408587Y1 (ko) 휀스 부착물 고정구
US20130020039A1 (en) Finial having a decorative insert
KR940002704Y1 (ko) 장식 스탠드용 브라켓
JPH079297Y2 (ja) スタンド用固定金具
JPH0630984Y2 (ja) 軒天井パネルの取付け構造
KR100683573B1 (ko) 휀스 부착물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5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