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119Y1 -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 - Google Patents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119Y1
KR200373119Y1 KR20-2004-0029250U KR20040029250U KR200373119Y1 KR 200373119 Y1 KR200373119 Y1 KR 200373119Y1 KR 20040029250 U KR20040029250 U KR 20040029250U KR 200373119 Y1 KR200373119 Y1 KR 200373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ad
fixing
protectio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석
Original Assignee
박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석 filed Critical 박문석
Priority to KR20-2004-0029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plastic, rubber or synthetic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8Details of element conn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커브구간, 낭떠러지, 위험구간, 분리대, 공사구간 및 임시 가설 구간 등의 도로에 설치되는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 도로 및 교량의 일측 또는 양측단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부를 구비한 방호부재를 다수개 배치하고, 상기 방호부재를 다수개의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로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차량의 충돌시 1,2차적으로 차량을 저지하기 때문에, 충격이 최소한으로 차량과 탑승자에게 전달되게 할 뿐만 아니라, 추락사고 및 도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에게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에 관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VEHICLE PROTECTION WALL INSTALLED AT THE ROADSIDE}
본 고안은 도로에 가설되도록 하는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브구간, 낭떠러지, 위험구간, 분리대, 공사구간 및 임시 가설 등의 도로에 방호벽을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추락방지 및 이탈을 규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충돌시 최소한의 충격을 차량 및 운전자, 탑승자에게 전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교통안전 구조물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중 가이드 레일은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설치되어 도로를 경계시킴으로서 차량의 운전자가 방어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은 일정간격으로 하측이 지면으로 매입되도록 지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주의 도로 일측면에 일정 두께 및 길이를 갖는 금속판을 길이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보호판을 고정볼트로 고정하여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운전자의 진행방향을 표시해주고 방어운전을 돕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으며, 도로로부터 추락 및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이 가이드 레일에 직접적으로 충돌하였을 경우에는 그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심각한 차량파손 및 운전자와 탑승자의 부상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브구간, 교량이나 낭떠러지 및 고속주행시에는 강한 충격으로 가이드 레일에 충돌하기 때문에 차량이 추락하는 것을 막지 못하여 대형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방호벽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호벽은 내부 하측에는 지면에 고정되어 차량 충돌에 대한 반발력을 가질 수 있도록 철근이 구비되어 매입되고, 이 철근의 외측에는 직육면체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직육면체형의 외측면에는 야간 주행시 운전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형광물질이 함유된 페인트 층이 도포되어 있다.
상기한 콘크리트 방호벽의 사용으로 주행 중에 운전자의 부주위나 차량의 미끄러짐으로 인해 차량이 방호벽과 충돌할 경우에 차량이 도로에서 이탈되거나 추락되는 것을 막아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호벽은 차량과 방호벽의 충돌시 차량이 이탈되는 것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이 차량과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탑승자에게 큰 상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상기 방호벽은 철재와 콘크리트로 구성된 고중량의 구조물로서, 도로공사로 인한 차선변경을 할 경우 운반이 어려우며, 운반하더라도 다수의 인원 또는 중장비를 동원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현재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드럼통 형상의 방호벽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방호벽이 개발되어 사용함으로써, 운반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시 일정량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호벽은 커브 도로 또는 교량, 낭떠러지, 노면이 미끄러운 곳에서 저속 주행시 방호벽에 충돌할 경우에는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지만, 고속 주행시 방호벽과 충돌할 경우 방호벽과 방호벽의 상호 연결만으로는 충격을 막을수 없기 때문에, 추락사고 또는 이탈이 발생하여 탑승자에게 큰 상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방호벽과 방호벽을 탄성력을 가지는 고정부재로 1차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에 연결부재를 삽입하여 방호벽을 2차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수개의 방호벽이 연결 조립되기 때문에, 차량이 방호벽에 충돌할 경우 고정부재에 의해 1차 방호벽의 분리를 방지하고, 2차로 연결부재에 의해 방호벽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이 낭떠러지 또는 교량 등으로 추락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막아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내부에 신축성을 가지는 완충부를 구비하여 충돌시에 발생되는 충격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호벽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 및 교량의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차량의 이탈을 규제하는 방호부재;
상기 방호부재의 양측에 한개 이상이 삽입되고, 하나의 방호부재(10)와 다른 하나의 방호부재를 서로 연결시켜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중공형상의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다수개의 상기 고정부재를 서로 연결시켜서 고정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방호부재 11 : 고정홈
12 : 완충부 13 : 반사판
20 : 고정부재 30 : 연결부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방호부재(10), 고정부재(20) 및 연결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호부재(10)는 도로의 커브구간, 낭떠러지, 위험구간, 분리대, 공사구간 및 임시 가설 구간이나 교량의 일측 또는 양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차량의 이탈 또는 추락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호부재(10)는 일정 규정치인 좌우측 길이가 1000mm, 두께가 200mm, 높이가 550mm로 제작되며, 소재로는 폐비닐 또는 재활용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서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사용되고, 외주면에는 야간 주행시 운전자가 상기 방호부재(1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형광물질이 함유된 페인트 층을 도포한다.
그리고, 상기 방호부재(10)는 상기 고정부재(20)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다수개 고정홈(11)과, 신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완충부(12)와, 빛을 반사하도록 하는 반사판(1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홈(11)은 상기 방호부재(10)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상기 고정부재(20)가 완입되도록 한 소정 깊이의 홈이 전후 관통되도록 구비되며, 하나의 방호부재(10)의 고정홈(11)과 다른 하나의 방호부재(10')의 고정홈(11)은 동일선상에서 전후 관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11)의 입구 높이는 상기 고정부재(20)의 높이보다 작게 구성하여 일정 힘이상을 가하지 않으면 전방으로 퇴출되지 않도록구비한다.
상기 완충부(12)는 상기 방호부재(10)의 내측에 가로 또는 세로로 다수개 적층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하도록 완충성을 가지며, 다수개의 완충부(12)로 적층되어 파손 또는 손상된 완충부(12)만을 교환하면되기 때문에 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소재로는 발포시트, 발포고무, 스펀지, 우레탄, 톱밥 등의 완충성을 가진 재료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편 등의 신축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한다.
상기 반사판(13)은 상기 방호부재(10)의 일측면과 경사면에 부착되도록 구비되어 자연광 또는 차량의 램프의 빛을 반사하도록 구성되며, 거울, 은박지, 반사 비닐 등을 사용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방호부재(10)의 고정홈(11)에 하나 이상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하나의 방호부재(10)와 다른 하나의 방호부재(10)를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소재는 아연도금의 금속재질을 사용하고,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중공형상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봉을 사용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다수개의 고정부재(20)의 내측 통공에 전후 관통되도록 삽입되어 다수개의 고정부재(20)를 연결된 상태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30)는 금속재의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사용 상태 및 효과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로의 커브구간, 낭떠러지, 위험구간, 분리대, 공사구간 및 임시 가설 구간의 일측 또는 양측변에 방호부재(10)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를 시키며, 이때 하나의 방호부재(10)의 고정홈(11)과 다른 하나의 방호부재(10)의 고정홈(11)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방호부재(10)의 내부에 다수개 적재되어 있는 완충부(12)를 검사하여 손상 또는 파손된 것이 있다면, 그 부분만을 분리시켜 새 완충부(12)와 교환하여 항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나의 방호부재(10)의 다수개의 고정홈(11)과 다른 하나의 방호부재(10)의 다수개의 고정홈(11)에 절반씩 삽입되도록 고정부재(20)를 체결하여 하나의 방호부재(10)와 다른 하나의 방호부재(1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로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모든 방호부재(10)를 상기 고정부재(20)로 연결되도록 고정한다.
그 다음, 상기 맨 앞쪽 고정부재(10)에 연결부재(30)의 일측을 삽입하고, 동일선상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부재(20)를 관통하여 끝단의 고정부재(20)로 연결부재(30)의 일측이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재(30)의 일측과 타측은 도로변에 가까운 전신주 등과 같은 고정물에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방호부재(10)를 도로변을 따라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이때, 상기 연결부재(30)는 팽팽한 상태가되도록 고정한다.
주위가 필요한 도로변에서 운전자는 상기 방호부재(10)의 반사판(13)의 반사되는 빛에 의해 진행방향을 표시해 주게 되어 방어운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호부재(10)의 경사면에 위치한 반사판(13)은 자연광을 반사하고 수직면에 위치한 반사판(13)은 차량의 램프를 반사하게 되어 항시 운전자에게 방어운전을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운전자의 부주위 또는 도로변의 미끄러짐으로 인해 차량이 상기 방호부재(10)에 충돌할 경우, 그 충돌에 따른 충격을 방호부재(10)의 완충부(12)가 흡수하여 완화해 주기 때문에 차량의 탑승자에게 최소한의 충격이 전달되게 되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상기 방호부재(10)는 고정부재(20)가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이 추락하거나 도로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미한 충돌이 아닌 가속으로 인하여 보다 큰 충격으로 상기 방호부재(10)에 충돌하였을 경우, 1차적으로 상기 고정부재(20)의 고정력으로 저지를 하여 속도가 저감된 상태에서 2차적으로 연결부재(30)가 상기 방호부재(10)를 더 이상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차량을 저지하기 때문에, 차량의 추락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돌시의 충격을 많이 완화시킬 수 있어 차량의 탑승자에 대하여 큰 부상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도로 및 교량의 일측 또는 양측단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부를 구비한 방호부재를 다수개 배치하고, 상기 방호부재를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로 고정함으로써, 최소한의 충격을 차량과 탑승자에게 전달할 수 있어 큰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추락사고 및 도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에게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로 및 교량의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차량의 이탈을 규제하는 방호부재(10);
    상기 방호부재(10)의 양측에 한개 이상이 삽입되고, 하나의 방호부재(10)와 다른 하나의 방호부재(10)를 서로 연결시켜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중공형상의 고정부재(20); 및
    상기 고정부재(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다수개의 상기 고정부재(20)를 서로 연결시켜서 고정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부재(10)는
    상기 고정부재(20)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다수개 고정홈(11)과, 신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완충부(12)와, 빛을 반사하도록 하는 반사판(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
KR20-2004-0029250U 2004-10-15 2004-10-15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 KR200373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250U KR200373119Y1 (ko) 2004-10-15 2004-10-15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250U KR200373119Y1 (ko) 2004-10-15 2004-10-15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119Y1 true KR200373119Y1 (ko) 2005-01-15

Family

ID=4944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250U KR200373119Y1 (ko) 2004-10-15 2004-10-15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1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2013B2 (ja) 衝撃吸収装置
ES2296404T3 (es) Sistema de absorcion de energia para riesgos al borde de la calzada fijos.
US7104720B2 (en) Traffic noise barrier system
KR101469749B1 (ko) 어긋나게 형성되는 리브의 변형을 통한 단계별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시설물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200373119Y1 (ko)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벽
KR100737745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KR101938143B1 (ko) 반강성 케이블 방호울타리 및 이에 사용되는 비대칭 블록아웃
KR200255813Y1 (ko) 교각구조물 보호를 위한 자동차 충돌방지시설
KR200268035Y1 (ko) 개량형 중앙분리대
KR200274017Y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20090032901A (ko) 교량 방호벽용 안전블럭
KR100655457B1 (ko) 탄성고무를 이용한 차량의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0561708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구조
KR100465922B1 (ko) 도로에서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101135057B1 (ko) 가드레일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0560732B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KR101102617B1 (ko) 도로용 충격완화 가드레일
KR101351445B1 (ko) 충돌 완충 장치
KR200363977Y1 (ko) 도로 설치용 방호물
KR200347251Y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KR200268049Y1 (ko) 충돌 방지식 중앙분리대
KR100386860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