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038Y1 -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 - Google Patents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038Y1
KR200367038Y1 KR20-2004-0023457U KR20040023457U KR200367038Y1 KR 200367038 Y1 KR200367038 Y1 KR 200367038Y1 KR 20040023457 U KR20040023457 U KR 20040023457U KR 200367038 Y1 KR200367038 Y1 KR 200367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ign
band
flange portion
holding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환
전태영
Original Assignee
현대안전산업(주)
세기안전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안전산업(주), 세기안전산업(주) filed Critical 현대안전산업(주)
Priority to KR20-2004-0023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0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0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이면서 경사지게 조절되는 도로표지판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를 제공한다.
그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는, 도로표지판(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플랜지부(34)와, 그 결합플랜지부(34)가 고정되고 체결수단(31,32,23,24)에 의해 도로에 고정된 지주(15,16,17)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주파지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로표지판(10)의 고정밴드에 있어서: 도로표지판(10)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결합플랜지부(34)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리고, 일단에서 상기 지주파지부(33)에 고정되고, 상기 지주파지부(33)를 고정되게 체결시킨 때에 타단에서 도로표지판(10)에 접촉하여 도로표지판(10)을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형성된 버팀편(36)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band for adjusting an angle of a sign board}
본 고안은,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경사지게 조절되는 도로표지판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로표지판을 세우는 구조로는 지주를 수직/수평되게 설치한 후, 그 지주를 감싸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밴드를 이용하여 지주에 도로표지판을 설치하였다. 즉, 밴드의 일측에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그 결합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도로표지판의 이면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그 돌출부를 결합홈에 삽입시킴으로써 도로표지판이 설치되게 된다.
최근, 차량의 조명등에 의한 반사광으로 인하여 도로표지판을 식별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표지판의 설치각도를 하향하여 경사지게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표지판의 체결용 밴드는 단순히 결합플랜지만을 지니는 것이어서, 그 결합플랜지를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결합플랜지의 길이가 길게 되어 도로표지판이 견고하게 설치되지 아니하게 된다. 또, 그 결합플랜지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굽힘강도를 증대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은, 고가로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이면서 경사지게 조절되는 도로표지판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2-2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도로표지판 11: 결합돌출부
15: 수직지주 16,17: 수평지주
20: 밴드 21: 제1부재
22: 제2부재 23: 고정볼트
24: 너트 31: 체결플랜지부
32: 체결공 33: 지주파지부
34: 결합플랜지부 35: 결합홈
36: 지지플랜지부 36a: 접촉절곡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는, 도로표지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플랜지부와, 그 결합플랜지부가 고정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도로에 고정된 지주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주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로표지판의 고정밴드에 있어서: 도로표지판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결합플랜지부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리고, 일단에서 상기 지주파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지주파지부를 고정되게 체결시킨 때에 타단에서 도로표지판에 접촉하여 도로표지판을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형성된 버팀편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20)의 구성이 이점쇄선의 도로표지판(10)과 함께 평면도로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의 정면도가 도시된다.
도 1 및 도 2에는, 도로에 수직지주(15)가 고정되고, 그 수직지주(15)에 수평지주(16,17)가 고정되며, 그 수평지주(16,17)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20)가 체결된 구성이 도시되지만, 도로표지판(10)의 구성에 따라서는 밴드(20)를 개재하여 직접 수직지주(15)에 체결,고정되기도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20)는,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로 대칭으로 분리되게 구성된 것에 구체화되는 것이 도시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됨이 없이 일체로 구성된 것에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또는 대칭됨이 없이 분리되게 구성된 것에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10)의 고정밴드는 각도조절용 밴드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표지판(10)이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1에서 하부의 밴드는 종래의 밴드가 그대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상부의 밴드(20)는 그 도로표지판(10)을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즉, 종래의 밴드는, 도로표지판(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플랜지부(34)와, 그 결합플랜지부(34)가 고정되고 체결수단(31,32,23,24)에 의해 도로에 고정된 지주(15,16,17)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주파지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도 1의 상부의 밴드(20)에 있어서는, 도로표지판(10)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결합플랜지부(34)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그 밴드(20)은, 버팀편(3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그 버팀편(36)의 일단은 상기 지주파지부(33)에 고정되고, 상기 지주파지부(33)를 고정되게 체결시킨 때에 타단에서 도로표지판(10)에 접촉하여 도로표지판(10)을 견고하게 지탱시키도록 형성된다.
또,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각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의 지주파지부(33)의 전후로 체결플랜지부(31) 및 버팀편(36)이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플랜지부(34)만이 지주파지부(33)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도시되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상기 체결플랜지부(31)에는 고정볼트(23)용 체결공(32)이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의 결합플랜지부(34)의 단부에결합홈(35)을 각각 도로표지판(10)에 고정,부착된 대략 I섹션형상의 결합돌출부(11)에 삽입시키고, 상기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의 체결플랜지부(31)가 지주(15,16,17)를 감싸도록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를 설치한 후, 그 체결공(32)을 통과한 고정볼트(23)에 너트(24)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가 지주(15,16,17)에 고정되게 체결된 채, 도로표지판(1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합돌출부(11) 및 결합홈(35)은 서로 끼움맞춤공차로 삽입되어 빠지지 아니하는 구조로서, 도면에서는 결합홈(35)이 T형상이지만, 다양한 단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팀편(36)에는, 도로표지판(10)의 이면 내지 결합돌출부(11)에 접촉하여 더욱 견고한 버팀역할을 하도록 상기 버팀편(36)의 접촉단부에 접촉절곡부(36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접촉절곡부(36a)는, 도면에서는 서로 외향하여 형성되지만, 내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접촉부분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단부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플랜지부(34)가 길게 형성되고, 상술한 구성의 버팀편(36)이 형성된 본 고안의 밴드(20)에 의하면, 그 결합플랜지부(34)의 길이에 따라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도로표지판(10)을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휨이나 비틂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두께를 크게 증가시킴이 없이도 견고하게 도로표지판(10)의 경사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차량 조명등의 반사빛에 의한 표지판의 문자 등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의 밴드에 의해 간단하게 도로표지판(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조절되는 도로표지판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로표지판(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플랜지부(34)와, 그 결합플랜지부(34)가 고정되고 체결수단(31,32,23,24)에 의해 도로에 고정된 지주(15,16,17)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주파지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로표지판(10)의 고정밴드에 있어서:
    도로표지판(10)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도록 그 각도에 따라 상기 결합플랜지부(34)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리고,
    일단에서 상기 지주파지부(33)에 고정되고, 상기 지주파지부(33)를 고정되게 체결시킨 때에 타단에서 도로표지판(10) 내지 결합돌출부(11)에 접촉하여 도로표지판(10)을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형성된 버팀편(36)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로 분리되게 구성되며, 그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는 각각 지주파지부(33)를 지니며, 그 지주파지부(33)의 전후로 체결플랜지부(31) 및 버팀편(3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플랜지부(31)는 고정볼트(23)용 체결공(32)을 지니며; 그리고,
    상기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의 결합플랜지부(34)의 단부에 결합홈(35)을 각각 도로표지판(10)의 결합돌출부(11)에 삽입시키고, 상기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의 체결플랜지부(31)가 지주(15,16,17)를 감싸도록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를 설치한 후, 그 체결공(32)을 통과한 고정볼트(23)에 너트(24)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가 지주(15,16,17)에 고정되게 체결된 채, 도로표지판(10)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로표지판(10)의 이면 내지 결합돌출부(11)에 접촉하여 버팀역할을 하도록 상기 버팀편(36)의 타단에 접촉절곡부(36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
KR20-2004-0023457U 2004-08-17 2004-08-17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 KR200367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57U KR200367038Y1 (ko) 2004-08-17 2004-08-17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57U KR200367038Y1 (ko) 2004-08-17 2004-08-17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038Y1 true KR200367038Y1 (ko) 2004-11-09

Family

ID=4944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457U KR200367038Y1 (ko) 2004-08-17 2004-08-17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0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266B1 (ko) 안내판 설치용 지지어셈블리
KR200367038Y1 (ko) 도로표지판 각도조절용 밴드
KR200293158Y1 (ko)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KR200422051Y1 (ko) 깃대 고정장치
KR100964290B1 (ko) 도로 안내판 지지구조
KR200184757Y1 (ko) 교통 표시구 설치구조
JP3865381B2 (ja) 手摺の角度調節構造
KR100764418B1 (ko) 교량의 콘크리트빔 손상 방지형 외장재 설치구조
KR200268082Y1 (ko) 도로의 가드 레일용 차광판 체결대
KR200266204Y1 (ko) 간판고정용 브라케트
JP2001098718A (ja) 折板屋根用の樋吊り具
JPH0662416U (ja) 街路燈固定用補助具
JP4229280B2 (ja) 円柱への物品取付構造
KR200310547Y1 (ko) 안전등 브라켓
KR200345198Y1 (ko) 국기봉 고정장치
KR200190289Y1 (ko) 현수막 게시대용 현수막 걸림구
JP2016079795A (ja) 太陽電池ケーブルの保持構造、及び外設部材の取付構造
KR200290834Y1 (ko) 간판용 고정구
CN211714560U (zh) 一种固定组件及疏散通道
KR200393431Y1 (ko) 표지판 고정장치
KR200248401Y1 (ko) 도로표지판의 설치구조
KR200430139Y1 (ko) 도로 안내판 지지구조
JPH026465Y2 (ko)
JP2003129756A5 (ja) 改修用下枠
KR200264410Y1 (ko) 표시판 부착용 횡봉의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