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204Y1 - 간판고정용 브라케트 - Google Patents

간판고정용 브라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204Y1
KR200266204Y1 KR2020010037875U KR20010037875U KR200266204Y1 KR 200266204 Y1 KR200266204 Y1 KR 200266204Y1 KR 2020010037875 U KR2020010037875 U KR 2020010037875U KR 20010037875 U KR20010037875 U KR 20010037875U KR 200266204 Y1 KR200266204 Y1 KR 200266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board
bracket
fixing
fixing pie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순
Original Assignee
김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순 filed Critical 김길순
Priority to KR2020010037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204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판고정용 브라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간판의 상.하 폭에 맞춰 높이를 임의조절 가능토록 함으로써 그 사용성을 향상시켰을뿐 아니라 부품수를 줄여 그에 따른 간판의 시공을 용이토록 한 간판 고정용 브라케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간판의 상.하폭 규격에 맞추어 브라케트의 높이를 임의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그 사용성을 향상시킴에 주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은 부품수를 줄임과 아울러 그에 따른 간판의 시공을 용이하도록 한 간판고정용 브라케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간판고정용 브라케트{ The bracket for the use of signboard-fixed }
본 고안은 간판고정용 브라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간판의 상.하 폭에 맞춰 높이를 임의조절 가능토록 함으로써 그 사용성을 향상시켰을뿐 아니라 부품수를 줄여 그에 따른 간판의 시공을 용이토록 한 간판 고정용 브라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판을 건물의 전면 벽면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용 브라케트를 벽면상에 2개내지 4개까지 앵커볼트로 타입 고정한 후, 상기 브라케트의 상.하 고정편 사이에 간판의 상.하부를 밀착시켜 놓고 고정편의 외측에서 다수의피스를 체결하여 고정편에 간판프레임이 고정되게 하고 있는바, 이 같은 간판고정용 브라케트(10)의 종래구조는 도 3에서와 같이 "ㄱ"자형 앵글로 된 바디(20) 상.하단에 고정편(40)(40a)을 설치하되, 하부 고정편(40a)은 바디(20)하단에 용접방식으로 완전고정하고, 상부 고정편(40)은 바디(20)의 상단에 볼트(30)와 너트(30a)로 체결시켜 볼트(30)와 너트(30a)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는 볼트와 너트를 힌지점으로 회전자재되게 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브라케트의 높이는 시공하고자 하는 간판의 상.하폭에 맞게 이미 셋팅되어진 상태이므로 간판의 상.하폭 규격이 차이가 날 경우 반드시 규격에 맞는 브라케트가 요구되는 사용상의 제한이 따르는 폐단이 있었으며 또한 간판을 시공시 상.하 고정편(40)(40a)과 간판의 상.하폭간에 유격이 없어 간판 상.하폭을 상.하 고정편에 맞출때 억지로 끼워 맞춘 후, 상부고정편(40)의 저부를 간판프레임상에 완전밀착시킨 상태에서 일측 볼트(30)와 너트(30a)를 견고하게 조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라 시공상의 불편한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판의 상.하폭 규격에 맞추어 브라케트의 높이를 임의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그 사용성을 향상시킴에 주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은 부품수를 줄임과 아울러 그에 따른 간판의 시공을 용이하도록 한 간판고정용 브라케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종래 고안의 사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라케트 2 : 바디 4,4a : 상.하 고정편
5 : 장공 6 : 걸림편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입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ㄱ"자형 앵글로 바디(2)를 구성하고 바디(2) 일측으로는 앵커볼트 체결장공(3)(3a)을 상.하부에 형성하며, 바디(2) 상.하단에는 상.하부 고정편(4)(4a)을 설치한 브라케트(1)에 있어서, 바디(1)의 상단 타측면으로 장공(5)을 형성하되, 상기 장공(5)상에 상부 고정편(4)의 걸림편(6)을 체결하여 상부 고정편(4)이 체결된 상태에서 장공(5)의 길이만큼 유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로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은 피스홀 (8)은 건물 전면의 벽면 (9)는 앵커볼트 (10)은 간판프레임을 지칭하고 있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하부 고정편(4a)은 종래와 같이 바디(2)하단에 용접방식으로 완전 고정되어 있고 이 같은 상태에서 간판프레임(10)을 상기의 브라케트(1)에 설치할 경우 브라케트(1)의 상.하 고정편(4)(4a)사이에 간판프레임(10)의 상.하폭을 위치시켜놓고 상부 고정편(4)을 간판프레임(10)의 상면에 밀착되게 임의조절 한 후, 상.하부 고정편(4)(4a)의 피스홀(7)을 통해 다수의 피스를 체결하여 고정편(4)(4a)에 간판프레임(10)을 고정하면 간판의 시공작업이 간편하게 완료되는 것인바, 상기에서 상부 고정편(4)이 임의조절 가능하므로 인해 시공시 간판프레임(10)을 브라케트(1)에 억지로 밀어 끼우거나 간판의 상.하폭 규격에 맞는 브라케트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브라케트의 높이가 임의조절 가능함에 따라 간판의 상.하폭 규격이 약간씩 차이가 나더라도 상부 고정편만을 조절하면 되는 것이므로그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시공시에도 간판의 상.하폭과 브라케트의 높이간에 어느 정도 유격이 생기게되어 설치가 간편할 뿐 아니라 부품수를 줄임에 따른 공정이 줄게 되어 전반적인 간판의 시공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ㄱ"자형 앵글로 바디(2)를 구성하고 바디(2) 일측으로는 앵커볼트 체결장공(3)(3a)을 상.하부에 형성하며, 바디(2) 상.하단에는 상.하부 고정편(4)(4a)을 설치한 브라케트(1)에 있어서, 바디(1)의 상단 타측면으로 장공(5)을 형성하되, 상기 장공(5)상에 상부 고정편(4)의 걸림편(6)을 체결하여 상부 고정편(4)이 체결된 상태에서 장공(5)의 길이만큼 유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고정용 브라케트.
KR2020010037875U 2001-12-07 2001-12-07 간판고정용 브라케트 KR200266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875U KR200266204Y1 (ko) 2001-12-07 2001-12-07 간판고정용 브라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875U KR200266204Y1 (ko) 2001-12-07 2001-12-07 간판고정용 브라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204Y1 true KR200266204Y1 (ko) 2002-02-27

Family

ID=7311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875U KR200266204Y1 (ko) 2001-12-07 2001-12-07 간판고정용 브라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2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516B1 (ko) * 2020-09-21 2021-03-31 (주)신영 간판걸이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516B1 (ko) * 2020-09-21 2021-03-31 (주)신영 간판걸이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6204Y1 (ko) 간판고정용 브라케트
JPH1181487A (ja) Tボルト支持具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200273593Y1 (ko)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0152740B1 (ko) 프런트 범퍼의 체결구조
JPH08260658A (ja) 二重壁支持材料
KR200187609Y1 (ko) 현가식 도어용 이동롤러의 고정 브라켓
KR970005491Y1 (ko) 창틀 거푸집 지지대
KR0129206Y1 (ko) 벽면용 선반 프레임
KR200310287Y1 (ko) 지주봉에 구비되는 선반 브래킷
JP3233590B2 (ja) 樹木支持体
JP4418091B2 (ja) 移動間仕切装置における天井見切材の取付構造
KR100697591B1 (ko) 철재문틀 조립용 체결구
JPH0536892Y2 (ko)
JP4023583B2 (ja) 金具取付プレート
JP2001132336A (ja) 縦枠と横枠の取付構造
JP2519428Y2 (ja) カウンター支持用ブラケット
JP3050829B2 (ja) 物干装置
KR100398890B1 (ko) 스크류 너트 및 와이어 홀더 양기능 커넥터
KR200160663Y1 (ko) 자동차 도어스카프의 취부장치
JPS6315509Y2 (ko)
KR200306181Y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결합 브라켓
KR200335430Y1 (ko) 거푸집 체결부재
JP3386914B2 (ja) 手すり付笠木における支柱基礎金具の締結方法
KR200221067Y1 (ko)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
JP3884233B2 (ja) 金具取付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