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067Y1 -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067Y1
KR200221067Y1 KR2020000031551U KR20000031551U KR200221067Y1 KR 200221067 Y1 KR200221067 Y1 KR 200221067Y1 KR 2020000031551 U KR2020000031551 U KR 2020000031551U KR 20000031551 U KR20000031551 U KR 20000031551U KR 200221067 Y1 KR200221067 Y1 KR 200221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support
communication
supporting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영환
Original Assignee
제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영환 filed Critical 제영환
Priority to KR2020000031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067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통신단자함(4)의 내벽(1)에 부착된 지지구(2a)(2b)에 단자블록(B)을 고정설치하도록 된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좌우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면(11)의 좌우측단부에 체결공(12a)과 예비공(12b)이 각각형성되고 지지면(11)의 전후에 보강플랜지(13)가 형성된 받침부재(S)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구(2a)(2b)와 단자블록(B) 사이에 받침부재(S)를 적층하여 체결나사(24)로 고정되게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A fixed structure of a terminal block for communication}
본 고안은 통신용 단자블록을 통신단자함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받침부재의 상면에 단자블록이 설치되도록 하여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뿐 아니라, 단자블록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내부에는 다수의 전화선이 유입되며, 이러한 전화선을 각각 분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벽체에 통신단자함이 매입설치된다.
이러한 통신단자함에는 다수의 전화선이 연결되는 단자블록이 장치되며, 단자블록은 통신단자함의 내측면에 부착된 지지대에 고정설치하였다.
즉, 종래 단자블록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좌우양측에 고정된 지지대의 상면에 단자블록의 양측을 지지하고 볼트로 체결하는 방법이 통용되어 왔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제기되었다.
첫째, 중간부위가 지지되지 못하므로 취급이나 점검중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중간부위가 쉽게 변형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단자블록에 선을 접속할 때 발생되는 하중에 의하여 중간부위의 변형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단자블록의 변형은 연결부위의 접속이 불안정하여 제품의 기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둘째, 통신단자함은 건물의 건축시에 매입설치하고 단자블록은 건물완공후 필요시에 장치하는 것으로서, 통신단자함 내부에 먼지등 각종 이물질이 있으며, 단자블록을 장치할때에 이러한 이물질에 의하여 선의 접촉이 원활하지 못할 뿐 아니라, 합선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셋째, 상기 단자블록은 고정된 지지대에 부착설치하는 것으로서, 볼트에 의하여 지지대의 체결공에 관통시켜 단자블록을 고정하기 때문에 정해진 위치에 설치하여야 되므로, 단자블록의 형태나 전화선의 배열에 따라 단자블록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통신단자함에 단자블록을 설치함에 있어 받침부재를 단자블록의 저면에 밀착지지시키므로 단자블록의 중간부위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설치시에 이물질이 단자블록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단자블록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받침부재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받침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받침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통신단자함 B : 단자블록 S : 받침부재
1 : 내벽 2a, 2b : 지지구 11, 11a : 지지면
12a, 120a : 체결공 12b, 120b : 예비공 13, 13a, 13b : 보강플랜지
24 : 체결나사
본 고안은 통신단자함에 단자블록을 고정설치하기 위하여, 통신단자함의 내벽에 부착된 지지구에 단자블록을 설치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좌우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면의 좌우측단부에 체결공과 예비공이 각각 형성되고 지지면의 측단부에 보강플랜지가 형성된 받침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구의 상면에 받침부재를 고정설치하고 받침부재의 상면에 단자블록을 고정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통신단자함(C)의 내벽(1)에 2개의 지지구(2a)(2b)를 좌우측에 각각 부착하고 지지구(2a)(2b)의 상면(3)에 체결공(4)을 뚫어서 형성한다.
또한, 좌우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지지면(11)이 형성되고 지지면(11)의 좌우측단부에 체결공(12a)과 예비공(12b)를 뚫어 형성하며, 지지면(11)의 전후면에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보강플랜지(13)를 형성하여서, 받침부재(S)를 구성한다.
또한, 전화선을 접속할 수 있는 접속홈(21)이 몸체(22)의 상면에 다수개 형성된 단자블록(B)을 구성하고 몸체(22)의 좌우측에 체결공(23)을 뚫어 형성한다.
미설명부호 T는 건물의 벽체이며, 24는 체결나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2a)(2b)가 내벽(1)에 고정된 상태로 제조된 통신단자함(C)을 건물시공시 벽체(T)에 매입설치한후, 건물완공후 통신단자함(C)에 전화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단자블록(B)과 받침부재(S)를 장치하는 것이다.
즉,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단자함(C) 내부에 고정된 지지구(2a)(2b)의 상면(3)에 받침부재(S)의 좌우측 저면을 밀착지지하고 받침부재(S)의 지지면(11) 상부에 단자블록(B)의 몸체(22) 저면을 밀착시킨후에 각각의 체결공(4)(12a)(23)을 통하여 체결볼트(24)를 체결하면, 지지구(2a)(2b)와 받침부재(S) 및 단자블록(B)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된 단자블록(B)은 그 저면이 받침부재(S)의 상면에 밀착지지되므로 전체적으로 견고한 내구성이 유지된다.
특히, 단자블록(B)은 그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으며, 다수의 전화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작업할때에 하중이 가하여지며, 이때 받침부재(S)에 의하여 지지력이 유지되므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받침부재(S)의 체결공(12a) 좌우에 예비공(12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단자함(C)내에서 단자블록(B)의 위치를 변경시켜야 할 경우 예비공(12b)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고정된 지지구(2a)(2b)의 체결공(4)에 받침부재(S)의 체결공(12a)을 위치시킬 경우에 받침부재(S)가 통신단자함(C)의 중앙 정위치에 고정되나, 단자블록(B)에 접속되는 전화선의 배치나, 단자블록(B)의 형태 및 작업여건등에 따라 상기 정위치에서 변경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때 지지구(2a)(2b)의 체결공(4)과 받침부재(S)의 예비공(12b)과 단자블록(B)의 체결공(23)에 관통되게 체결나사(24)를 체결하면 받침부재(S)와 단자블록(B)의 고정위치가 조절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지구(2a)(2b)에 받침부재(S)와 단자블록(B)이 고정된 상태에서 단자블록(B)에 전화선을 접속하면서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S)의 보강플랜지(13a)를 전후에 형성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S)의 지지면(11a)의 폭을 길게 형성하고 지지면(11a)의 좌우측에 다수개의 체결공(120a)과 다수개의 예비공(120b)을 뚫어 형성하면, 하나의 받침부재(S)로써 다수개의 단자블록(B)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S)의 보강플랜지(13b) 끝단부를 통신단자함(C)의 내벽(1)에 용접 등의 수단으로 부착하면 지지구가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자블록의 저면에 받침부재가 밀착지지되므로 단자블록에 전화선을 연결할때에 중간부위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전화선 연결부위가 원상태로 유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리 설치된 통신단자함 내부에 각종 이물질이 존재하게 되나, 단자블록의 저면이 받침부재에 의하여 덮여지므로 이물질로부터 단자블록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단자블록을 고정설치함에 있어,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여건을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통신단자함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된 받침부재를 이용하여 주요부품인 단자블록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쉽게 적용하여 실용화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통신단자함(4)의 내벽(1)에 부착된 지지구(2a)(2b)에 단자블록(B)을 고정설치하도록 된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좌우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면(11)의 좌우측단부에 체결공(12a)과 예비공(12b)이 각각형성되고 지지면(11)의 전후에 보강플랜지(13)가 형성된 받침부재(S)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구(2a)(2b)와 단자블록(B) 사이에 받침부재(S)를 적층하여 체결나사(24)로 고정되게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S)는 좌우에 보강플랜지(13a)를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S)는 지지면(11a)의 좌우측에 다수개의 체결공(120a)과 다수개의 예비공(120b)을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S)는 보강플랜지(13b)의 끝단부를 내벽(1)에 직접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구조.
KR2020000031551U 2000-11-11 2000-11-11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 KR200221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551U KR200221067Y1 (ko) 2000-11-11 2000-11-11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551U KR200221067Y1 (ko) 2000-11-11 2000-11-11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067Y1 true KR200221067Y1 (ko) 2001-04-16

Family

ID=7309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551U KR200221067Y1 (ko) 2000-11-11 2000-11-11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0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845B2 (en) Stock bar and horizontal bar coupling device for mounting sprinkler
KR20040039868A (ko) 플랜지볼트
KR200221067Y1 (ko)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
KR100550663B1 (ko) 브레이커용 체결볼트 고정장치
KR100386021B1 (ko) 가옥의 토대 접합구
KR100380937B1 (ko) 파킹레버 체결부의 보강구조
KR960009404Y1 (ko)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고정용 쐐기
KR100383940B1 (ko) 차량의 윈도우글래스 홀더
JP3786275B2 (ja) 梯子用可動ブラケット
KR200266204Y1 (ko) 간판고정용 브라케트
JPH05205553A (ja) 衝撃振動発生部品の取付構造
JPH05105042A (ja) ブレーキ導風板
KR0121032Y1 (ko) 엔진 마운팅용 보조 브라켓
KR200257204Y1 (ko) 차량용 캐리어
KR200187219Y1 (ko)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
KR0126820Y1 (ko) 버스의 사이드 레일 보강용 브라켓
KR19980040072U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바의 설치구조
KR200143935Y1 (ko) 에어백이.에스.피.에스.유닛 설치구조
KR200334968Y1 (ko) 프레임용 골조
KR100282851B1 (ko) 엘리베이터의 세컨더리 시브 조정장치
KR200159954Y1 (ko) 사이드 판넬 접속 구조
KR960006314Y1 (ko)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의 유동방지 브라켓
KR0111920Y1 (ko) 자동차의 프레임 연결구조
KR19980029509A (ko) 차량용 언더커버(Under Cover)의 체결구조
KR19980030644A (ko) 자동차 범퍼의 보강판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