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219Y1 -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 - Google Patents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219Y1
KR200187219Y1 KR2019990029786U KR19990029786U KR200187219Y1 KR 200187219 Y1 KR200187219 Y1 KR 200187219Y1 KR 2019990029786 U KR2019990029786 U KR 2019990029786U KR 19990029786 U KR19990029786 U KR 19990029786U KR 200187219 Y1 KR200187219 Y1 KR 200187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ipe
expansion
seat bod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선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9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2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2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단면에 하나 이상의 파이프 고정홈(1)이 형성되고 상단면 및 일측면에 각각 탭홀(2)이 형성된 시트 몸체(3)와, 상기 시트 몸체(3)의 일측면에 증설되어지되 일측면에 파이프 고정홈(1')과 탭홀(2')이 각각 형성되고 폭방향으로는 결합구멍(4)이 형성된 증설용 시트 블럭(5)과, 상기 시트 몸체(3)와 증설용 시트 블럭(5)의 탭홀(2,2')에 체결되는 파이프 클램프(6)로 구성된 구조로 되어, 파이프를 추가로 설치할 경우 상기 스크류 시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시트 추가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시트의 추가 설치작업시 용접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용접부로 인한 구조물의 변형이나 강성의 저하를 막아 줄 수 있으며, 연속적인 파이프 설치작업에서도 외관상 깔끔한 작업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A screw seat for piping}
본 고안은 각종 파이프를 조립 설치하는 스크류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울트와 클램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시트를 연결하거나 조립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시트의 추가를 위한 용접조립을 배제함으로써 제관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나 각종 건설용 중장비에는 다수의 파이프가 고정되어 그 장비의 일부를 이루게 되는 바, 상기의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크류 시트나 클램프 및 보울트 등이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종래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02)을 갖는 스크류 시트(103)를 이용하여 스크류 시트(103)와 스크류 시트(103) 사이에 파이프(101)를 고정한 후, 상기 스크류 시트(103)와 스크류 시트(103)를 용접결합하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01)가 삽입될 수 있는 클램프(104)를 제작하여 파이프(101)를 고정한 후 보울트(105)로 클램프(104)를 결합하여 파이프(10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기본적인 배관을 위한 스크류 시트(103)는 용접에 의해 붙이게 되지만, 옵션 배관을 위해 시트를 추가할 경우 기존 스크류 시트(103)에 보울트(105) 체결로 붙이기 때문에 그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고, 상기 스크류 시트(103)에 용접부가 다수 형성되기 때문에 용접부에 집중되는 응력에 의해 시트를 용접하여 붙인 자리의 제관물이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파이프(101)를 조립하면서 필요에 따라 다수의 스크류 시트(103)를 추가로 용접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로인한 외관상의 훼손이 심하다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울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추가되는 시트를 연결하거나 조립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면에 하나 이상의 파이프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단면 및 일측면에 각각 탭홀이 형성된 시트 몸체와, 상기 시트 몸체의 일측면에 증설되어지되 일측면에 파이프 고정홈과 탭홀이 각각 형성되고 폭방향으로는 결합구멍이 형성된 증설용 시트 블럭과, 상기 시트 몸체와 증설용 시트 블럭의 탭홀에 체결되는 파이프 클램프로 구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시트 몸체에 형성되는 파이프 고정홈이 시트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거나 혹은 일측에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시트 몸체와 증설용 시트 블럭을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시트 블럭 체결용 보울트로 체결함으로써 다수의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파이프를 조립하는 스크류 시트가 보울트를 통해 횡방향으로 설치되거나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파이프의 위치에 상관없이 클램프와 보울트로 조립할 수 있고, 기존의 파이프에 추가로 파이프를 설치할 경우에도 보울트를 이용하여 기존의 시트에 조립하여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파이프를 추가로 설치할 경우 상기 스크류 시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시트 추가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시트의 추가작업시 용접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용접부로 인한 구조물의 변형이나 강성의 저하를 막아 줄 수 있으며, 또한 연속적인 파이프 설치작업에서도 외관상 깔끔한 작업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관용 스크류 시트와 이에 고정되는 클램프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스크류 시트 몸체의 종류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증설용 시트 블럭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증설용 시트 블럭을 이용하여 다수의 파이프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증설용 시트 블럭을 이용하여 파이프의 높이를 서로 틀리게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파이프 고정홈 2,2' : 탭홀
3 : 시트 몸체 4 : 결합구멍
5 : 증설용 시트 블럭 6 : 파이프 클램프
7 : 파이프 8 : 시트 블럭 체결용 보울트
9 : 파이프 클램프 체결용 보울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스크류 시트 몸체의 종류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증설용 시트 블럭의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증설용 시트 블럭을 이용하여 다수의 파이프를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증설용 시트 블럭을 이용하여 파이프의 높이를 서로 틀리게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의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상단면에 하나 이상의 파이프 고정홈(1)이 형성되고 상단면 및 일측면에 각각 탭홀(2)이 형성된 시트 몸체(3)와, 상기 시트 몸체(3)의 일측면에 증설되어지되 일측면에 파이프 고정홈(1')과 탭홀(2')이 각각 형성되고 폭방향으로는 결합구멍(4)이 형성된 증설용 시트 블럭(5)과, 상기 시트 몸체(3)와 증설용 시트 블럭(5)의 탭홀(2,2')에 체결되는 파이프 클램프(6)로 구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시트 몸체(3)에 형성되는 파이프 고정홈(1')이 시트 몸체(3)의 중앙에 형성되거나 혹은 일측에 편심되게 위치되며, 또한 상기 증설용 시트 블럭(5)을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시트 블럭 체결용 보울트(8)로 체결함으로써 다수의 파이프(7)를 고정하거나 혹은 다수의 증설용 시트 블럭(5)을 수직방향으로 배열 및 고정함으로써 조립되는 파이프(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스크류 시트의 특징은, 파이프(7)의 배열을 추가할 경우 상기 증설용 시트 블럭(5)을 기존의 시트 몸체(3)에 용접이 아닌 보울트 체결방식으로 작업을 함으로써 단지 기존의 시트 몸체(3)에 새로운 증설용 시트 블럭(5)을 연속적으로 횡방향이나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다수의 파이프(7)를 고정하는 시트 몸체(3)와 증설용 시트 블럭(5)이 시트 블럭 체결용 보울트(8)를 통해 횡방향으로 설치되거나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파이프(7)의 위치에 상관없이 파이프 클램프(6)와 파이프 클램프 체결용 보울트(9)로 조립할 수 있고, 기존의 파이프(7)에 추가로 파이프(7)를 설치할 경우에도 용접작업없이 보울트로 조립하여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시트 몸체(3)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파이프(7)를 고정할 수 있도록 시트 몸체(3)에 파이프 고정홈(1)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고정홈(1)은 시트 몸체(3)의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거나 혹은 중앙부에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증설용 시트 블럭(5)에는 시트 블럭 체결용 보울트(8)의 결합을 위해 횡방향으로 결합구멍(4)이 형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굴삭기에 파이프(7)가 2열로 설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파이프(7)를 고정할 수 있는 1열식 증설용 시트 블럭(5)과 파이프 클램프(6)를 시트 블럭 체결용 보울트(8)로 체결시킴으로써 파이프(7)의 간격을 조정하면서 추가로 파이프(7)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파이프(7)가 기존에 1열로 설치된 경우에는 1열식 증설용 시트 블럭(5)이나 2열식 증설용 시트 블럭(5)을 선택적으로 조립함으로써 파이프(7)를 추가로 배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증설용 시트 블럭(5)으로 파이프(7)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설치할 수 있는 바, 기존에 설치된 시트 몸체(3)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증설용 시트 블럭(5)을 시트 블럭 체결용 보울트(8)로 체결한 후, 파이프 클램프(6)를 이용하여 파이프(7)를 고정하게 되면 파이프(7)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같은 스크류 시트의 배열에 의해 기존의 시트 몸체(3)나 파이프 클램프(6)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보울트를 이용하여 증설용 시트 블럭(5)을 연속적으로 연결해 줄 수 있고, 기존에 설치된 구조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보다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에 의하면, 파이프를 추가로 설치할 경우 상기 스크류 시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시트 추가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추가되는 시트를 설치시 용접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용접부로 인한 구조물의 변형이나 강성의 저하를 막아 줄 수 있으며, 또한 연속적인 파이프 설치작업에서도 외관상 깔끔한 작업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단면에 하나 이상의 파이프 고정홈(1)이 형성되고 상단면 및 일측면에 각각 탭홀(2)이 형성된 시트 몸체(3)와, 상기 시트 몸체(3)의 일측면에 증설되어지되 일측면에 파이프 고정홈(1')과 탭홀(2')이 각각 형성되고 폭방향으로는 결합구멍(4)이 형성된 증설용 시트 블럭(5)과, 상기 시트 몸체(3)와 증설용 시트 블럭(5)의 탭홀(2,2')에 체결되는 파이프 클램프(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
KR2019990029786U 1999-12-27 1999-12-27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 KR200187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786U KR200187219Y1 (ko) 1999-12-27 1999-12-27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786U KR200187219Y1 (ko) 1999-12-27 1999-12-27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219Y1 true KR200187219Y1 (ko) 2000-07-01

Family

ID=1960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786U KR200187219Y1 (ko) 1999-12-27 1999-12-27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2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9994B2 (en) Solar array support structure, mounting rail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KR20140091672A (ko) 건설기계의 유압배관 고정장치
KR200187219Y1 (ko) 조립용 배관 스크류 시트
JP6087220B2 (ja) フェンス用継手及びフェンス
KR101778060B1 (ko) 외장판넬 지지파이프 연결브라켓트
KR20100003653U (ko) 배관지지가대
KR200394341Y1 (ko) 강관기둥의 어떠한 방향에도 h형보의 설치를 가능케 하는다각형 다이아프램
KR20080030427A (ko) 파이프 연결핀
KR100650510B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패널 고정구조물
KR20060128150A (ko) 강관기둥의 어떠한 방향에도 h형보의 설치를 가능케 하는 다이아프램
KR20210019264A (ko)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KR100257007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결합구조
JP5650309B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架台
KR102388666B1 (ko) 천장형 배관 가대
KR100412886B1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멤버의 마운팅부 구조
JP2726003B2 (ja) 鉄骨梁における制振装置
JPH11287097A (ja) セグメント
KR200434640Y1 (ko) 파이프 연결핀
JP7369599B2 (ja) 柵構造物
JP4050178B2 (ja) 建設機械の手摺装置
KR200398854Y1 (ko) 펜스 고정용 조립체
KR0136899Y1 (ko) 버스 필라의 연결구조
KR20090002532U (ko) 메쉬휀스와 주주의 결합구조
KR200221067Y1 (ko)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
JP3132697B2 (ja) グリルガード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