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198Y1 - 국기봉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국기봉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5198Y1 KR200345198Y1 KR20-2003-0038979U KR20030038979U KR200345198Y1 KR 200345198 Y1 KR200345198 Y1 KR 200345198Y1 KR 20030038979 U KR20030038979 U KR 20030038979U KR 200345198 Y1 KR200345198 Y1 KR 20034519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g
- fixing
- rod
- hole
- guid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국기봉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통공(110)이 형성된 국기봉(100)과;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국기봉(100)이 삽입되고, 상단부에서 하부로 가이드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10)의 말단에 결합공(220)이 형성된 고정관(200)과; 상기 국기봉(10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110)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관(200)의 가이드부(2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결합공(220)에 삽입되어 상기 국기봉(100)과 상기 고정관(200)을 결합고정시키는 탄성결합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봉 고정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고정관에서의 국기봉의 분리 및 결합이 신속용이하고, 상기 고정관으로부터 국기봉이 외부로 무단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장시간 외부에서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국기봉을 고정하는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국기봉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국기봉의 고정을 신속, 용이하게 하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국기봉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국기봉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경일이나 경축일, 기념일, 행사일 등에 국기나 기념깃발 등을 게양하게 되는데, 건물의 외벽, 베란다 난간, 가로등 등에 국기봉 고정구를 먼저 고정 설치하고 상기 국기봉 고정구에 국기봉을 삽입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키므로서 국기나 깃발 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게양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국기봉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고무패킹재 등으로 형성되어 풍화작용에 의해 상기 고무패킹재가 느슨하게 되어 국기봉을 단단하게 고정시키지 못하여 바람이 부는 날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국기나 깃발이 바람에 심하게 흔들리게 되면 국기봉이 국기봉 고정장치에서 이탈되어 국기나 깃발이 훼손되거나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제 20-0210981호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관(10)과 지지판(20)으로 이루어지는 국기봉(30) 고정장치에 있어서, 고정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재(11)와 상기 고정부재(11)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2)와 상기 돌출부(12)를 상호 나사결합하면 상기 고정부재(11)가 가압되므로써, 상기 고정관(10)내에 삽입된 국기봉(3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고정부재(11)가 나사결합에 의해 조여져 국기봉(3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국기봉(30)과 상기 고정부재(11)의 접촉면이 매끄러워 외부에서 다소 힘을 주거나 빼내려 하면 국기봉(30)이 쉽게 이탈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관(10) 내부에서 걸림작용을 하는 부분이 없어서, 커다란 국기봉(30)의 경우에 무거워 고정관(10) 내부로 완전히 빠지게 되는 경우가 있어, 국기봉(30)을 고정시키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에 장시간 노출되어 사용하게 되면, 비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에는 국기봉(30) 고정장치가 전후좌우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고정부재(11)의 조임정도가 점차로 넓어져 느슨해지면서 밀착력이 떨어져 더 이상 국기봉(30) 고정장치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를 조절하는 방법이 나사를 풀고 조이는 과정에 의해 성립하므로 나사를 조이거나 푸는 시간이 이중으로 걸려 국기봉(30)의 설치 및 분리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국기봉과 고정관의 결합이 원터치식 탄성결합부재에 의해 구현되게 하여, 고정관에서의 국기봉의 신속하고 용이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국기봉 고정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 기술에 따른 국기봉 고정장치의 예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국기봉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국기봉 고정장치의 탄성결합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국기봉 고정장치의 작동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고정관 11 : 고정부재
12 : 돌출부 20 : 지지판
30 : 국기봉 100 : 국기봉
110 : 통공 200 : 고정관
210 : 가이드부 220 : 결합공
300 : 탄성결합부재 310 : 탄성부
320 : 결합돌기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통공이 형성된 국기봉과;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국기봉이 삽입되고, 상단부에서 하부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말단에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관과; 상기 국기봉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관의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국기봉과 상기 고정관을 결합고정시키는 탄성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봉 고정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관의 내측에서 단조가공하여 외측으로 확장시킨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결합부재는, 'U'자 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국기봉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단부는 상기 국기봉 내측에 용접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통공측으로 연장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 타측 단부인접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통공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관에서의 국기봉의 분리 및 결합이 신속용이하고, 상기 고정관으로부터 국기봉이 외부로 무단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장시간 외부에서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국기봉을 고정하는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국기봉 고정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국기봉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국기봉 고정장치의 탄성결합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국기봉 고정장치의 작동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국기봉 고정장치는 국기봉(100), 고정관(200)(10), 탄성결합부재(300)로 크게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국기봉 고정장치는 원통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국기봉(100)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고정관(200)과 상기 고정관(20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건물의 외벽, 베란다 난간, 가로등 등에 결합되는 지지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200)의 상단으로 상기 국기봉(100)이 상기 고정관(200) 내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관(200) 내부로 완전히 빠지지 않고 외부로도 무단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적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국기봉(100)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국기나 깃발이 결합되어 있다. 상단부는 소정 형상의 봉우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상기 국기봉(100)은 하단에 통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국기봉(100)의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탄성결합부재(300)가 형성되어 상기 통공(110)을 통해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후술하는 고정관(200)과 결합되게 되어 고정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200)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개구되어 상기 국기봉(100)이 삽입되며, 하단부는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상기 지지판(20)은 상기 고정관(200)과 용접결합되거나 일체로 프레스 가공되어, 중심부는 부착하고자 하는 지주나 건물의 외벽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지주나 건물의 외벽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0)은 결합되는 부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공지된지지판(20)의 형상에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200) 하단부가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이유는 베란다나 기타 지주에 고정시킬 때, 지주에 고정관(200)의 경사면이 접촉되게 고정되면 고정관(200)이 지주의 상방향으로 외향경사지게 되어 국기나 깃발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게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관(200)은 상단부에서 하부로 가이드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10)의 하단 말단부에는 결합공(22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210)는 상기 고정관(200)의 내측에서 표면을 여러번 두드려 소정의 형상을 얻는 단조가공 방법 등에 의해 형성시킨다. 상기 가이드부(210)는 상기 고정관(200)의 지름방향으로 외측으로 확장시킨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가이드부(210)의 높이가 줄어들도록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10)의 높이가 줄어들어 상기 가이드부(210)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공(220)이 형성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결합부재(3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탄성결합부재(300)는 상기 국기봉(10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110)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관(200)의 가이드부(2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결합공(220)에 삽입되어 상기 국기봉(100)과 상기 고정관(200)을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결합부재(300)는 탄성부(310)와 결합돌기(32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310)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금속판을 'U'자형으로 절곡시킨 형태이며, 일측을 소정 압력으로 가압한 후 가압해제 하여도 탄성을 가지며 복원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310)는 상기 국기봉(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단부는 상기 국기봉(100)의 내측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타측단부는 상기 국기봉(100)의 통공(11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310)의 타측 단부인접부에는 상기 탄성부(310)에 압력을 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킨 결합돌기(320)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320)가 상기 국기봉(100)의 통공(110) 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돌기(320)는 상기 탄성부(3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국기봉(100)의 통공(110)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압입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고정관(200)과 결합된 지지판(20)을 국기나 깃발을 게양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관(200)의 상부로 국기나 깃발이 결합되어져 있는 국기봉(10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고정관(200)의 가이드부(210)로 상기 탄성결합부재(300)의 결합돌기(320)를 맞추어 국기봉(100)을 상기 고정관(200) 내부로 밀어 넣는다.
상기 결합돌기(320)는 가압되면서 상기 국기봉(100)의 통공(110) 아래로 압입되며 상기 결합돌기(320)가 상기 고정관(200)의 가이드부(210)의 말단에 형성된 결합공(220)에 이르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320)가 상기 탄성부(310)의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압출되어 결합공(220)에 삽입되어 상기 국기봉(100)과 상기고정관(200)이 결합고정되게 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가 국기봉(100)을 상기 고정관(200)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돌기(320)를 원터치식으로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부(210)에 맞추어 상기 국기봉(100)을 빼내면 가이드부(210)를 따라 상기 결합돌기(320)가 압입되어 상기 고정관(200) 외부로 국기봉(100)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결합돌기(320)는 상기 탄성부(31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국기봉을 고정관에 결합시킬 때는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결합공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국기봉의 결합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며, 국기봉을 고정관에서 분리시키고자 할때는 상기 결합돌기를 원터치식으로 가압한 후 국기봉을 빼내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가이드부에 안내되어 신속용이하게 분리되게 되므로 국기봉의 설치 및 제거작업 시간이 상당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공에 삽입되어 국기봉과 고정관이 결합고정되게 되므로 외부의 날씨 변화나 흔들림에도 국기봉이 고정관에서 유동하지 않아 국기봉이 외부로 무단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장시간 외부에서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국기봉을 고정하는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통공(110)이 형성된 국기봉(100)과;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국기봉(100)이 삽입되고, 상단부에서 하부로 가이드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10)의 말단에 결합공(220)이 형성된 고정관(200)과;상기 국기봉(10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110)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관(200)의 가이드부(2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결합공(220)에 삽입되어 상기 국기봉(100)과 상기 고정관(200)을 결합고정시키는 탄성결합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봉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10)는,상기 고정관(200)의 내측에서 단조가공하여 외측으로 확장시킨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봉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결합부재(300)는,'U'자 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국기봉(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단부는 상기 국기봉(100) 내측에 용접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통공(110)측으로 연장된 탄성부(310)와;상기 탄성부(310) 타측 단부인접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통공(110) 외측으로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봉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8979U KR200345198Y1 (ko) | 2003-12-15 | 2003-12-15 | 국기봉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8979U KR200345198Y1 (ko) | 2003-12-15 | 2003-12-15 | 국기봉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5198Y1 true KR200345198Y1 (ko) | 2004-03-12 |
Family
ID=4942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8979U KR200345198Y1 (ko) | 2003-12-15 | 2003-12-15 | 국기봉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5198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1765B1 (ko) | 2012-01-09 | 2013-05-07 | 주은만 | 국기봉 고정장치 |
KR101260024B1 (ko) | 2013-02-25 | 2013-05-07 | 임성제 | 깃대 유지 장치 |
KR20200001535U (ko) | 2018-12-31 | 2020-07-08 | 이인자 | 스테인레스 조립식 국기봉 |
-
2003
- 2003-12-15 KR KR20-2003-0038979U patent/KR20034519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1765B1 (ko) | 2012-01-09 | 2013-05-07 | 주은만 | 국기봉 고정장치 |
KR101260024B1 (ko) | 2013-02-25 | 2013-05-07 | 임성제 | 깃대 유지 장치 |
KR20200001535U (ko) | 2018-12-31 | 2020-07-08 | 이인자 | 스테인레스 조립식 국기봉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45198Y1 (ko) | 국기봉 고정장치 | |
US5516155A (en) | Water pipe connecting structure | |
KR200332599Y1 (ko) |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한 가로등 | |
KR200337496Y1 (ko) | 국기봉 고정구 | |
KR20080082395A (ko) | 앵커 볼트 | |
KR200210981Y1 (ko) | 국기봉 고정구 | |
KR200176370Y1 (ko) | 고전압 위험표지판 설치용 고정구 | |
KR200272499Y1 (ko) | 가로등지주의 깃대꽂이관구조 | |
KR200337497Y1 (ko) | 국기봉 고정구 | |
KR100900795B1 (ko) | 가로등 등기구 조립수단 구조 | |
KR200207109Y1 (ko) | 천막지붕의 보강장치 | |
KR200445987Y1 (ko) | 볼트 및 너트 보호캡 | |
KR200190668Y1 (ko) | 신호등 철주의 배선구 개폐장치 | |
KR200309621Y1 (ko) | 깃봉걸이 | |
KR200335518Y1 (ko) |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 |
KR200292262Y1 (ko) | 앵커볼트 조립체 | |
KR200224746Y1 (ko) |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 |
KR0136277Y1 (ko) | 다단 조립식 맨홀 | |
KR200376767Y1 (ko) | 양변기 배수관 연결용 플랜지의 체결구조 | |
KR200300975Y1 (ko) | 셋트 앙카볼트 | |
KR200444234Y1 (ko) | 가로등 등주용 안정기 커버 | |
KR200320764Y1 (ko) | 콘센트조립체의 장착구조 | |
KR200319730Y1 (ko) | 파라솔과 그 지지대 | |
KR200358933Y1 (ko) | 지지용 앙카볼트 | |
JP5210976B2 (ja) | 軒樋吊構造の補強用支持具及び軒樋吊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21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