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518Y1 -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 Google Patents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518Y1
KR200335518Y1 KR20-2003-0029960U KR20030029960U KR200335518Y1 KR 200335518 Y1 KR200335518 Y1 KR 200335518Y1 KR 20030029960 U KR20030029960 U KR 20030029960U KR 200335518 Y1 KR200335518 Y1 KR 200335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uneven
preventing
illegal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철
백운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9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5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요철기둥의 외측면에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번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요철기둥에 연결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요철기둥의 상측 부분에 일반기둥을 삽입하여 고정하므로 상기 요철기둥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통하여 불법적인 광고부착물의 부착을 영구적이고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A lighting Pole Element For Preventing The Illegal Sticker}
본 고안은 가로기둥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요철기둥의 외측면에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번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요철기둥에 연결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요철기둥의 상측 부분에 일반기둥을 삽입하여 고정하므로 상기 요철기둥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통하여 불법적인 광고부착물의 부착을 영구적이고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도심 혹은 교량의 인도측에 설치되는 가로등에는 각종의 불법적인 부착물로 인하여 가로등의 미관이 크게 훼손되고 이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광고물 부착 방지를 위한 여러 가지의 불법 광고물 부착방지판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가로등의 기둥에 설치되는 광고물 부착 방지판은, 기둥의 외측면에 다양한 형상의 판을 기둥의 표면에 덧대어서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지판은, 고무계열의 방지판과 체결밴드로 구성되고, 요철은 상,하로 복수개의 돌기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가로기둥을 설치한 후에 방지판을 감아서 설치한 후 체결밴드를 사용하여 체결하여서 고정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가로기둥은, 고무계열의 소재는 태양 혹은 산소로 인하여 변색, 경화되어서 열화 또는 손상이 발생하여 방지판으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상기 방지판은 가로기둥의 일부에만 설치되므로 광고물의 부착을 전반적을 방지하는 효과가 적을 뿐만아니라 오랜시간이 지나면, 방지판이 파손되어져서 미관을 해치고 방지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종래기술에 원통형 파이프를 소재로 하여 외주에 골과 산을 형성한 가로등용 기둥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한국 특허 출원번호 1997-66579호 참조), 기둥 내부에도 굴곡부를 가짐으로 인하여 기존의 자재(일반 기둥)와의 조립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요철기둥의 외측면에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번적으로 형성하며 내측면은 평활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요철기둥에 연결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요철기둥의 상측 부분에 일반기둥을 삽입하여 고정하므로 상기 요철기둥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통하여 불법적인 광고부착물의 부착을 영구적이고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기둥부재의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요철기둥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기둥부재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기둥부재의 분해 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기둥부재의 연결부재가 요철기둥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기둥부재의 조립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요철기둥 12 : 오목부
14 : 볼록부 16 : 보강리브
18 : 바닥판 20 : 연결부재
22 : 걸림턱부 24 : 끼움부
26 : 설치홈 30 : 일반기둥
본 고안의 목적은, 외주면에 불법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와 볼록부를 반복하여 형성된 요철기둥과; 상기 요철기둥에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걸림턱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설치홈을 형성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불법 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요철기둥의 내측면은 평활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설치홈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기둥부재의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요철기둥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기둥부재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기둥부재의 분해 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기둥부재의 연결부재가 요철기둥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기둥부재의 조립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가로기둥부재의 구성은, 외주면에 불법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12)와 볼록부(14)를 반복하여 형성하고, 내측면에 평활부(15)를 형성하며, 상측에 끼움공(11)을 형성하는 요철기둥(10)과; 상기 요철기둥(10)의 끼움공(11)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턱부(22)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설치홈(26)을 형성하는 연결부재(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철기둥(10)의 하단에는 고정볼트(17)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바닥판(18)이 형성되고, 바닥판(18)과 요철기둥(10) 사이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16)가 다수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요철기둥(10)은 알루미늄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요철기둥(10)의 오목부(12) 및 볼록부(14)는 압출금형에 프레스로 압력을 가하여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기둥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볼록부는 제조공정상 요철기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요철기둥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가로등용부재는 상기 연결부재(20)의 설치홈(26)에 삽입되어지고, 가로등이 부착 설치되는 일반기둥(30)과 결합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 때, 연결부재(20)의 삽입홈(26)에 삽입되는 일반기둥(30)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선택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0)의 설치홈(26)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 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용 요철기둥(10)에서 대략적으로 광고물을 부착하는 정도의 높이 이상으로 오목부(12)와 볼록부(14)를 교번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요철기둥(10)의 오목부(12)와 볼록부(14)는, 대략적으로 같은 크기의곡률을 갖도록 형성하고, 불법 광고물이 부착된 경우, 부착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쉽게 분리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기둥(10)의 끼움공(11)에 연결부재(20)의 끼움부(24)를 삽입하면, 연결부재(20)의 걸림턱부(22)가 삽입되어져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의 설치홈(26) 내에 일반기둥(30)을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기둥(10)에 연결부재(20) 및 일반기둥(30)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각각의 부분이 압입되어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요철기둥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통하여 불법적인 광고부착물의 부착을 영구적이고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며, 가로기둥부재 자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외력에 의한 훼손이 어려워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연결부재를 통하여 기존의 일반기둥과의 결합이 용이하며, 특히 요철기둥의 내측면을 평활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존 자재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3)

  1. 외주면에 불법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와 볼록부를 반복하여 형성한 요철기둥과;
    상기 요철기둥에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걸림턱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설치홈을 형성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기둥의 내측면에는 평활면으로 된 평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설치홈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KR20-2003-0029960U 2003-09-22 2003-09-22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KR200335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960U KR200335518Y1 (ko) 2003-09-22 2003-09-22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960U KR200335518Y1 (ko) 2003-09-22 2003-09-22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518Y1 true KR200335518Y1 (ko) 2003-12-11

Family

ID=4942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960U KR200335518Y1 (ko) 2003-09-22 2003-09-22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5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339B1 (ko) 2009-12-23 2010-08-13 (주)대명가로등 가로등 지주용 외피의 결합구
KR200472143Y1 (ko) * 2013-11-20 2014-04-07 주식회사 성지산업 광고물 부착방지구조를 갖는 시설물 설치용 지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339B1 (ko) 2009-12-23 2010-08-13 (주)대명가로등 가로등 지주용 외피의 결합구
KR200472143Y1 (ko) * 2013-11-20 2014-04-07 주식회사 성지산업 광고물 부착방지구조를 갖는 시설물 설치용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KR200335518Y1 (ko)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KR200402529Y1 (ko) 조립식 지주 구조
KR101897472B1 (ko) 스페이서와 데크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체
KR100876949B1 (ko)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KR101162302B1 (ko) 안내판 걸이구
KR100902876B1 (ko) 가로등주의 연결부 결합장치
KR200422051Y1 (ko) 깃대 고정장치
KR200449826Y1 (ko) 가로등의 지지기둥 조립체
KR100391993B1 (ko)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JP5417065B2 (ja) 歩行者横断防止標識柱
KR20100101753A (ko) 가로등 지주
KR100903345B1 (ko)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장치
JP2007198072A (ja) 道路用標示体
KR101008586B1 (ko) 절연지주
KR200231313Y1 (ko) 조립식간판
KR200345198Y1 (ko) 국기봉 고정장치
KR200261746Y1 (ko) 가로등 등주
KR200391414Y1 (ko) 장식커버
KR200269424Y1 (ko) 가로등주에 광고판을 고정결합하기 위한 장치
KR200385062Y1 (ko) 가로등
KR100952082B1 (ko) 광고지 부착방지를 위한 가로등주의 보호커버
KR200210981Y1 (ko) 국기봉 고정구
KR100974058B1 (ko) 등주의 나무외장 결합 구조
KR20080024552A (ko) 불법광고물 부착방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