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993B1 -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 Google Patents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993B1
KR100391993B1 KR10-1999-0056056A KR19990056056A KR100391993B1 KR 100391993 B1 KR100391993 B1 KR 100391993B1 KR 19990056056 A KR19990056056 A KR 19990056056A KR 100391993 B1 KR100391993 B1 KR 100391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nut
cement mortar
metal nu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006A (ko
Inventor
조홍준
Original Assignee
조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홍준 filed Critical 조홍준
Priority to KR10-1999-0056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99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44Plug means for tie-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면에 매설되는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에 관한 것으로, 콘형상으로 된 시멘트몰탈 콘과, 상기 시멘트몰탈 콘의 중심에 매설된 금속 너트관으로 구성되는 콘너트에 있어서,
상기 금속 너트관의 내부 중간부분에는 금속 너트관의 양측에서 나사조립되는 간격유지볼트와 타이볼트의 정해진 깊이 만큼만 나사조립될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Cone nut for keeping distance of flash board}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면에 매설되는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을 구축할 때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거푸집 간격 유지구(separator)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의 거푸집 간격 유지구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여러 종류가 있다.
도 10의 거푸집 간격 유지구는 띠철판을 소재로 하여 역"U"자형으로 벤딩된 유지구 본체(200)의 일단에는 목재 거푸집에 박히는 고정침(201)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목재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편(202)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거푸집 간격 유지구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완전히 매몰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벽면에 공동부를 형성시키지 않게 되어 벽면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현상이 없고 또한 1mm 내외의 두께를 가지는 띠철판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벽면에 매설되더라도 벽면 양측에 표출되는 고정침(201) 및 지지편(202)의 표면적이 아주 작기 때문에 미장작업에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거푸집의 간격을 강도있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갯수의 유지구 본체(200)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구본체(200)를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유지구 본체(200)는 건축물을 구축할 때 고층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 11의 거푸집 간격 유지구는 플라스틱 튜브(300)의 양단에 플라스틱 콘(301)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한 다음 상기 플라스틱 튜브(300)와 양측의 플라스틱 콘(301)을 관통하는 타이볼트(302)의 양단을 윙너트(303)로 나사조임하는 수단으로 거푸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플라스틱 튜브(300)와 플라스틱 콘(301)으로 구성된 거푸집 간격 유지구 역시 타설되는 콘크리트 몰탈에 매몰되므로 벽면을 구축한 후 그대로 놔둔 채 플라스틱 콘(301)을 플라스틱 캡(304)으로 커버하고 미장작업을 진행하는데, 이렇게 플라스틱 튜브(300) 및 플라스틱 콘(301)이 벽면에 매설된 상태로 건축물을 구축하게 될 때에는 플라스틱 튜브(300) 등에 의하여 벽면에 공동부가 생기게 되어 벽면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띠철판으로 제조된 유지구 본체(200) 및 플라스틱 튜브(300)로 구성된 거푸집 간격 유지구들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도 7 내지 도 9의 도시와 같은 거푸집 간격 유지구가 있다. 상기의 거푸집 간격 유지구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제 콘(101)의 중심에 금속제 너트(102)가 강제적으로 타입된 콘너트(100)와 양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세파볼트(sepa bolt : 103)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거푸집 간격 유지구는 세파볼트(103) 양단에 콘너트(100)를 나사조립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설치한 다음 거푸집 외측에서 관통하는 타이볼트(104)를 윙너트(105)으로 나사조임하는 구조로서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므로 상기 세파볼트(103)와 콘너트(100)가 벽면에 매설되는데, 상기 세파볼트(103)는 벽면에 완전히 매몰되어 공동부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지만 콘너트(100)의 경우는 거푸집에 밀착된 부분이 벽면 양측으로 표출됨과 동시 합성수지제 콘(101)과 금속제 너트(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인하여 벽면에 공동부를 발생시키게 되고 또한 합성수지제 콘(101) 자체가 콘크리트 몰탈 및 시멘트 몰탈에 접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콘너트(100)가 벽면에 매설된 상태로 건축물을 구축하게 될 경우에는 건축물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어 이를 벽면에서 해체한 후 상기 콘너트(100)가 해체된 부분에 시멘트몰탈을 채워주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콘너트(100)는 금속제 너트(102)가 세파볼트(103) 양단에 형성된 수나사에 나사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벽면에 박혀있는 콘너트(100)를 빼내는 것도 어려운데 나사풀림까지 해야 하므로 콘너트(100)를 해체하는 작업이 매우 힘이 들고 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또한 높은 위치에 매설된 콘너트(100)의 경우는 그 해체작업은 물론이고 해체된 콘너트 자리를 메워주는 작업이 더욱더 힘이들고 어렵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또한 콘너트(100)를 해체한 후 그 자리를 시멘트몰탈로 메워주지 않을 경우에는 벽면에서 해체된 콘너트에 의해 생긴 수많은 구멍들에 의하여 벽면의 미관이 흉해지는 것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거푸집의간격을 유지하는 콘너트를 콘크리트 몰탈 및 시멘트 몰탈과 같은 재질로 성형한 다음 이를 해체하지 않더라도 설계상의 건축물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콘너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으며, 또한 콘너트를 해체하는데 따른 인력과 시간을 절약하여 건축물의 건축비를 절약하고 또 건축공기를 단축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콘너트가 벽면에 매설되어 있다 하더라도 벽면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콘형상으로 된 시멘트몰탈 콘과, 상기 시멘트몰탈 콘의 중심에 매설된 금속 너트관으로 구성된 콘너트에 있어서,
상기 금속 너트관의 내부 중간부분에는 금속 너트관의 양측에서 나사조립되는 간격유지볼트와 타이볼트의 정해진 깊이 만큼만 나사조립될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금속 너트관의 외주에 요철면을 형성하여 시멘트몰탈 콘과의 결합력을 증강시킨 것과, 상기 시멘트몰탈 콘의 작은 직경측 중심부에는 금속 너트관과의 사이에 원형단턱부가 형성되게 한 다음 마감용 캡의 삽입돌기를 금속 너트관에 삽입시키면서 밀봉플랜지가 상기 원형단턱부에 끼이도록 하여 시멘트몰탈 콘 중심부의 금속 너트관을 밀봉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시멘트몰탈 콘은 넓은 직경측에 간격유지볼트가 나사조립되게 하며 작은 직경측이 거푸집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일부 단면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의 콘너트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종래 기술의 사용상태 및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다른 종래 기술의 거푸집 간격 유지들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너트 2 : 금속 너트관
3 : 시멘트몰탈 콘 4 : 간격유지볼트
5 : 타이볼트 6 : 마감용 캡
7 : 거푸집 8 : 윙너트
21 : 암나사 22 : 걸림돌기
23 : 회전방지홈 24 : 요철면
31 : 삽입부 32 : 원형단턱부
61 : 삽입돌기 62 : 밀봉플랜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일부 단면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A-A선 및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콘너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콘너트(1)는 암나사(21)가 형성된 금속 너트관(2)과 상기 금속 너트관(2) 외주면에 시멘트와 모래가 혼합되거나 또는 시멘트와 고령토가 혼합된 시멘트몰탈로서 콘 형상으로 성형되는 시멘트몰탈 콘(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 너트관(2)은 외부의 중간부분을 프레스가공하는 수단으로 외부에는 복수의 회전방지홈(22)이 형성되게 하면서 내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23)가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너트관(2)이 다각형(도면에서는 8각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한 회전방지홈(22)과 걸림돌기(23)를 사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한 회전방지홈(22)은 금속 너트관(2) 외주면에 시멘트몰탈로 성형되는 시멘트몰탈 콘(3)의 삽입부(31)가 끼이게 되므로 상기 금속 너트관(2)과 시멘트몰탈 콘(3)이 일체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며, 상기한 걸림돌기(23)는 금속 너트관(2)의 양측에서 나사조립되는 간격유지볼트(4)와 타이볼트(5)가 정해진 깊이만큼만 나사조립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므로서 간격유지볼트(4) 및 타이볼트(5)가 걸리돌기(23)에 걸림될 때까지 나사조립하도록 하므로서 그것들의 나사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상기한 시멘트몰탈 콘(3)은 시멘트만을 반죽하여 성형하거나 시멘트와 모래를 적당 비율로 섞어서 성형할 수 있으며, 또는 시멘트와 고령토를 적당 비율로 섞어서 성형할 수 있는데, 시멘트와 고령토를 70∼80 중량% : 20∼30 중량%의 비율로 섞어서 성형할 경우에는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서 성형한 것에 비하여 강도가 훨씬 강하게 성형되므로 상기 시멘트몰탈 콘(3)은 시멘트와 고령토를 섞어서 성형하는것이 강도가 강한 콘너트(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금속 너트관(2)의 외주면에 요철면(24)을 형성하게 되면 시멘트몰탈로 성형되는 시멘트몰탈 콘(3)과 금속 너트관(2)의 접합 표면적이 확대되어 결합력이 증대되어 금속 너트관(2) 자체는 시멘트몰탈 콘(3) 내부에서 절대 회전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금속 너트관(2)은 시멘트몰탈 콘(3)의 길이보다 조금 작은 것을 사용하여 상기 시멘트몰탈 콘(3)의 작은 직경측 중심부에 원형단턱부(32)이 형성되게 하는 수단으로 상기 콘너트(1)를 벽면에 매설되게 설치한 후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제로 된 마감용 캡(6)으로 원형단턱부(32)를 막아주는데, 이때 상기 마감용 캡(6)의 삽입돌기(61)는 금속 너트관(2) 속으로 삽입되게 하고 밀봉플랜지(62)는 원형단턱부(32)에 끼이도록 하므로서 벽면(W)에 표출되는 시멘트몰탈 콘(3)의 작은 직경측 단면적을 평면상으로 마감할 수 있도록 하여 미장작업시 미장용 몰탈이 금속 너트관(2)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콘너트(1)는 넓은 직경측이 거푸집(7)의 안쪽을 향하게 하고 작은 직경측이 거푸집(7) 내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므로서 콘크리트 몰탈 타설하게 되면 콘너트(1) 자체는 벽면(W)에서 빼낼 수 없도록 완전히 매몰된 상태로 매설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콘너트(1)를 이용하여 거푸집(7)을 지지하고자 할 때에는 도 3과 같이 간격유지볼트(4)의 양단에 콘너트(1)를 나사조립하는데, 이때 상기 간격유지볼트(4)의 양단에 나사조립되는 양측 콘너트(1)들은 넓은 직경측이 서로 마주하게 한 상태에서 간격유지볼트(4) 양단을 금속 너트관(2)의 암나사에 나사조립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콘너트(1)의 직경이 넓은 측에서 금속 너트관(2)의 암나사를 간격유지볼트(4)의 양단에 형성된 수나사에 나사조립할 때 상기 금속 너트관(2)의 중간부분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돌기(22)가 간격유지볼트(4)의 양단에 걸릴 때까지 나사조립하게 되므로 간격유지볼트(4) 양단에 나사조립되는 양측 콘너트(1)가 정확한 간격이 유지되게 나사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간격유지볼트(4) 양단에 나사조립된 콘너트(1)는 작은 직경측이 양측의 거푸집(7) 내면에 밀착되어 지지하게 되며, 상기 거푸집(7) 외측에서 가로버팀목(71)과 세로버팀목(72)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타이볼트(5)는 금속 너트관(2)의 암나사에 나사조립되는데, 이때에도 타이볼트(5)가 걸림돌기(22)에 걸릴 때까지 나사조립하게 되므로 타이볼트(5)를 금속 너트관(2) 깊숙히 나사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어서 가로버팀목(71)에 사각와샤(73)를 밀착시키고 윙너트(8)로 나사조임하게 되면 양측 거푸집(7)은 간격유지볼트(4) 양단에 나사조립된 양측 콘너트(1)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거푸집(7) 사이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게 되면 양측콘너트(1)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시멘트몰탈 콘(3) 자체는 콘크리트 몰탈과 같은 재질이므로 콘크리트 몰탈과 일체화 상태로 접합되는 것이며, 상기한 양측 콘너트(1) 자체가 넓은 직경측이 거푸집(7)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콘크리트 몰탈로 벽면(W)을 구축하였을 때 벽면(W)에 완전히 매몰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또한 벽면(W) 구축 후 거푸집(7)을 철거한 다음 벽면(W)에 표출된 시멘트몰탈 콘(3)의 작은 직경측에 노출되어 있는 금속 너트관(2) 속으로는 삽입돌기(61)가 삽입되게 하고 밀봉플랜지(62)는 원형단턱부(32)에 끼이도록 마감용 캡(6)을 설치하게 되면 벽면(W)에 노출된 콘너트(1)의 작은 직경측 단면적은 구멍이 없는 평면상태로 밀봉되어 미장작업을 수행할 때 미장용 몰탈이 금속 너트관(2) 속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며, 또한 벽면(W)에 노출된 시멘트몰탈 콘(3)의 작은 직경측도 미장용 몰탈과 같은 재질이므로 미장용 몰탈이 잘 접합되어 미장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벽면(W)에 매설되는 콘너트(1)의 중심부에 형성된 금속 너트관(2) 자체가 금속제이므로 속이 비어 있더라도 콘크리트 벽면에서 요구하고 있는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금속 너트관(2) 외주면에 형성된 시멘트몰탈 콘(3) 자체는 콘크리트 몰탈과 같은 강도를 보유하고 있거나 또는 그 이상의 강도를 보유하고 있으므로서 벽면(W)에 매설된 콘너트(1)는 벽면(W)의 강도를 설계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건축물을 건축할 때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콘너트를 콘크리트 몰탈과 같은 재질의 시멘트몰탈로 성형하므로서 타설되는 콘크리트 몰탈과 일체화상태로 결합되게 하는 수단으로 콘너트 자체를 벽면 구축 후 해체하지 않고 벽면에 매설되어 있게 하더라도 상기 콘너트가 벽면이 설계상의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서 종래와 같이 벽면 구축 후 콘너트를 해체하고 다시 메워주는데 따른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건축물의 건축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콘너트는 시멘트몰탈 콘의 넓은 직경측이 안쪽에 위치하고 작은 직경측이 거푸집에 밀착된 상태로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상기 콘너트는 콘크리트 벽면에서 빼낼 수 없는 상태가 됨과 동시 벽면과의 결합력이 증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고, 거푸집 철거시 벽면에 표출되는 콘너트의 작은 직경측의 중심부를 마감용 캡으로 밀봉한 다음 미장작업을 진행토록 하므로서 미장용 몰탈이 콘너트의 금속 너트관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 미장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등 콘크리트 건축물을 건축공기를 단축시키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콘형상으로 된 시멘트몰탈 콘과, 외부의 중간부분에 복수개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된 채 상기 시멘트몰탈 콘의 중심에 매설된 금속 너트관으로 구성되는 콘너트에 있어서,
    상기 금속 너트관의 내부 중간부분에는 금속 너트관의 양측에서 나사조립되는 간격유지볼트와 타이볼트의 정해진 깊이 만큼만 나사조립될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1999-0056056A 1999-12-09 1999-12-09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KR100391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056A KR100391993B1 (ko) 1999-12-09 1999-12-09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056A KR100391993B1 (ko) 1999-12-09 1999-12-09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006A KR20010055006A (ko) 2001-07-02
KR100391993B1 true KR100391993B1 (ko) 2003-07-22

Family

ID=1962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056A KR100391993B1 (ko) 1999-12-09 1999-12-09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64Y1 (ko) * 2012-02-07 2013-08-07 김사석 스티로폼 고정용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689B1 (ko) * 2002-11-13 2005-06-20 주식회사 일호 간격유지구
KR200452393Y1 (ko) * 2010-04-21 2011-02-22 차명길 타이로드 고정장치
KR101039683B1 (ko) * 2010-12-29 2011-06-09 주식회사 비엠테크 케이브 인 콘, 이를 이용한 앵커 조립체 및 앵커 조립체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 시공방법
CN104047429B (zh) * 2014-06-19 2015-08-05 南通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建筑工程砼接缝质量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4223U (ko) * 1973-07-23 1975-04-12
JPS5933951U (ja) * 1982-08-26 1984-03-02 株式会社神戸機材 コンクリ−ト型枠支承具
KR970043902A (ko) * 1995-12-28 1997-07-26 김태구 톱니 형상을 갖은 자동차 테일 게이트 힌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4223U (ko) * 1973-07-23 1975-04-12
JPS5933951U (ja) * 1982-08-26 1984-03-02 株式会社神戸機材 コンクリ−ト型枠支承具
KR970043902A (ko) * 1995-12-28 1997-07-26 김태구 톱니 형상을 갖은 자동차 테일 게이트 힌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64Y1 (ko) * 2012-02-07 2013-08-07 김사석 스티로폼 고정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006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3552A (en) Passageway forming sleeve
KR100391993B1 (ko)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KR101465514B1 (ko) 철근 이음용 슬리브
US5581949A (en) Threshold assembly
JP2006225997A (ja) 手摺支柱の取付工法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100586397B1 (ko) 아파트 건축용 콘크리트 거푸집 스페이서
KR20100023228A (ko) 분리형 플렛타이
KR102032658B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0381791B1 (ko) 거푸집 간격유지구
JP2000034898A (ja) 内面樹脂被覆セグメント用樹脂部材、および内面樹脂被覆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並びに内面樹脂被覆セグメントによって構築されたシ―ルドトンネル
KR200379873Y1 (ko) 인서트 볼트
KR200241684Y1 (ko) 콘크리트 벽면의 구멍메움용 커버콘
KR200281866Y1 (ko) 철근골조용 스페이서
KR200349980Y1 (ko) 거푸집 간격유지용 콘너트
KR100216125B1 (ko) 지중앵커파일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70235Y1 (ko) 건물외벽의 돌출무늬 성형용 조립식 거푸집
KR102198442B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337968Y1 (ko) 철근 지지 및 방수시트 고정용 앵커볼트
KR200159182Y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H0577816B2 (ko)
KR200199003Y1 (ko) 건축의 외벽장식 공사용 요철캡
KR200342269Y1 (ko) 거푸집 체결구조
KR200379955Y1 (ko) 조립식 수밀패킹재
KR100484021B1 (ko) 소일 네일링공법용 제거형 네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