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393Y1 - 타이로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타이로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393Y1
KR200452393Y1 KR2020100004155U KR20100004155U KR200452393Y1 KR 200452393 Y1 KR200452393 Y1 KR 200452393Y1 KR 2020100004155 U KR2020100004155 U KR 2020100004155U KR 20100004155 U KR20100004155 U KR 20100004155U KR 200452393 Y1 KR200452393 Y1 KR 200452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rod
climbing cone
cone
climbing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명길
Original Assignee
차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명길 filed Critical 차명길
Priority to KR2020100004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3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3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going through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로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타이로드 고정장치는 몸체의 일측을 이루는 첨상부 내측에 타이로드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도록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타측을 이루는 고정부 내측에 별도의 보울트가 나사결합되도록 제2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의 경계부분에 일정 두께를 갖는 격벽이 형성된 클라이밍 콘과, 이 클라이밍 콘의 고정부면에 조립되는 스냅링 및, 이 스냅링을 매개로 상기 클라이밍 콘의 고정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보울트가 관통되어 클라이밍 콘의 제2 나사부에 체결됨으로써 클라이밍 콘에 조립되는 마운팅 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타이로드가 삽입되는 클라이밍 콘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타이로드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고, 클라이밍 콘의 제작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어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로드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Tie Rod}
본 고안은 거푸집을 지지하는 타이로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이로드가 삽입되는 클라이밍 콘의 구조를 개선하여 타이로드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타이로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에 의해 지하, 터널, 절벽 등과 같은 토벽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할 때에는 콘크리트를 일정한 모양 및 두께로 양생시키기 위하여 거푸집을 사용하고 있는 바, 상기 거푸집은 토벽에 설치되는 내측패널과 이 내측패널로부터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외측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 사이의 공간에는 다수의 타이로드가 개재되어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주게 되며, 상기 타이로드는 양 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봉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타이로드는 콘크리트 벽체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거푸집이 세워 설치되며, 상기 거푸집은 횡방향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는 상기 타이로드에 의해 일정 간격이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타이로드의 양단부에 타이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타이로드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종래의 클라이밍 콘을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클라이밍 콘(10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면서 그 일측인 첨상부(110)에는 타이로드의 선단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클라이밍 콘(100)의 타측인 고정부(120)에는 클라이밍 콘(100)을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 및 별도의 보울트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밍 콘(100)의 중간부 내측에는 클라이밍 콘(100)의 내측을 구획하는 핀(200)이 설치되는 바, 상기 핀(200)은 클라이밍 콘(100)에 홀(130)을 뚫어 삽입시킨 후 용접으로 고정시킨다.
즉, 상기 클라이밍 콘(100) 내부에 핀(200)을 설치하는 이유는 클라이밍 콘(100)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일측의 타이로드 선단이나 타측의 보울트가 클라이밍 콘(100) 내부에서 만나지 않도록 구획하는 것이다. 상기 핀(200)은 결합되는 타이로드 선단이나 보울트가 상기 클라이밍 콘(100)의 중간부를 넘어가지 못하도록 센터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클라이밍 콘(100)에 홀(130)을 뚫고 핀(200)을 삽입한 후 용접하는 방식은 그 작업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제품 생산을 위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클라이밍 콘(100)에 핀(200)을 이용하여 센터를 잡아주는 과정에 있어 과도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품의 단가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타이로드 고정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타이로드가 삽입되는 클라이밍 콘의 내부에 격벽을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타이로드를 안정되게 고정함과 아울러 클라이밍 콘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타이로드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의 일측을 이루는 첨상부 내측에 타이로드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도록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타측을 이루는 고정부 내측에 별도의 보울트가 나사결합되도록 제2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의 경계부분에 일정 두께를 갖는 격벽이 형성된 클라이밍 콘과, 이 클라이밍 콘의 고정부면에 조립되는 스냅링 및, 이 스냅링을 매개로 상기 클라이밍 콘의 고정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보울트가 관통되어 클라이밍 콘의 제2 나사부에 체결됨으로써 클라이밍 콘에 조립되는 마운팅 링을 포함하여 타이로드 고정장치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라이밍 콘의 격벽은 CNC 가공을 통해 클라이밍 콘 내측에 일체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격벽은 그 중앙부에 홀이 형성된 도넛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이로드 고정장치에 의하면, 타이로드가 삽입되는 클라이밍 콘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타이로드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고, 클라이밍 콘의 제작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어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타이로드 고정장치의 클라이밍 콘 외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타이로드 고정장치의 클라이밍 콘 내부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로드 고정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로드 고정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로드 고정장치의 클라이밍 콘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클라이밍 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로드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로드 고정장치가 콘크리트 벽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이로드 고정장치를 도 3과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타이로드 고정장치(1)는 크게 타이로드(2)에 조립되는 클라이밍 콘(10)과 이 클라이밍 콘(10)에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스냅링(20) 및 마운팅 링(30)으로 구성되어, 거푸집 내부에 설치되는 타이로드(2)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거푸집 또한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타이로드 고정장치(1)의 클라이밍 콘(10)은 몸체의 일측을 이루는 첨상부(11) 내측에 타이로드(2)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도록 제1 나사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클라이밍 콘(10) 몸체의 타측을 이루는 고정부(12) 내측에 별도의 보울트(40)가 나사결합되도록 제2 나사부(12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부(11a)와 제2 나사부(12a)의 경계부분에 일정 두께를 갖는 격벽(13)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타이로드 고정장치(1)의 스냅링(20)은 상기 클라이밍 콘(10)의 고정부(12)면에 끼워져 조립되는 부품이고, 상기 마운팅 링(30)은 상기 스냅링(20)을 매개로 상기 클라이밍 콘(10)의 고정부(12)에 연결됨과 동시에 보울트(40)가 관통되어 클라이밍 콘(10)의 제2 나사부(12a)에 체결됨으로써 클라이밍 콘(10)에 조립되는 부품이다.
그러므로, 상기 타이로드 고정장치(1)를 이용하여 타이로드(2)의 양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타이로드 고정장치(1)에 보울트(40)를 체결함으로써 타이로드 고정장치(1)를 거푸집에 고정하여 거푸집을 견고하게 잡아주며, 이를 통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거푸집의 변형을 막아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타이로드 고정장치(1)의 클라이밍 콘(10)을 도 5와 도 6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클라이밍 콘(10)은 그 내부에서 상기 타이로드(2)의 선단부와 상기 보울트(40)가 동시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클라이밍 콘(10)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13)을 통해 센터를 잡아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밍 콘(10)의 격벽(13)은 CNC 가공을 통해 클라이밍 콘(10) 내측에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격벽(13)은 그 중앙부에 홀(13a)이 형성된 도넛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이 클라이밍 콘(10)의 격벽(13)이 CNC 가공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클라이밍 콘(10)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된 클라이밍 콘(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클라이밍 콘(10)의 첨상부(11)에 형성된 제1 나사부(11a)에 상기 타이로드(2)의 선단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클라이밍 콘(10)의 고정부(12)에 형성된 제2 나사부(12a)에 상기 마운팅 링(30)을 고정하는 보울트(40)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격벽(13)에 의해 제1 나사부(11a)와 제2 나사부(12a)를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타이로드(2) 선단과 상기 보울트(40)와의 간섭을 막아주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클라이밍 콘(10)의 제작시 바람직한 치수는 클라이밍 콘(10)의 전체 길이를 117mm로 설정했을 때, 상기 첨상부(11)의 길이를 65mm로 하고, 상기 고정부(12)의 길이를 47mm로 하며, 그 사이의 격벽(13) 두께를 5mm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첨상부(11) 선단의 직경을 35mm로 할 경우 상기 제1 나사부(11a)의 텝가공시 직경은 19.5mm가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12) 선단의 직경을 60mm로 할 경우 상기 제2 나사부(12a)의 텝가공시 직경은 3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이로드 고정장치(1)의 설치상태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푸집(3)과 거푸집(3) 사이에 일정 길이를 갖는 타이로드(2)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타이로드(2)의 양 단부에 각각 상기 클라이밍 콘(10)의 체결되고, 상기 클라이밍 콘(10)의 후방에 보울트(40)로 상기 마운팅 링(30)을 조립함으로써 타이로드 고정장치(1)가 거푸집(3)에 고정되며, 상기 마운팅 링(30)에는 거푸집(3)을 지지하는 또 다른 장치가 연결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 양생을 끝내고 상기 거푸집(3)을 제거하게 되면, 콘크리트 벽체에 상기 타이로드 고정장치(1)의 마운팅 링(30)과 보울트(40)가 보이게 되고, 상기 보울트(40)를 제거하여 상기 마운팅 링(30)을 콘크리트 벽체에서 제거하게 되면 상기 클라이밍 콘(10)의 후방부와 상기 스냅링(20)만 보이게 되며, 상기 스냅링(20)을 제거한 후 콘크리트 벽체를 마감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타이로드 고정장치(1)의 기능이 향상되어 타이로드(2) 고정 및 거푸집(3)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클라이밍 콘(10)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보다 견고한 상태로 타이로드(2) 및 거푸집(3)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타이로드 고정장치 2 : 타이로드
3 : 거푸집 10 : 클라이밍 콘
11 : 첨상부 11a : 제1 나사부
12 : 고정부 12a : 제2 나사부
13 : 격벽 13a : 홀
20 : 스냅링 30 : 마운팅 링
40 : 보울트

Claims (3)

  1. 몸체의 일측을 이루는 첨상부 내측에 타이로드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도록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타측을 이루는 고정부 내측에 별도의 보울트가 나사결합되도록 제2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의 경계부분에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그 중앙부에 홀이 형성된 도넛츠형상으로 이루어진 격벽이 형성된 클라이밍 콘;과
    상기 클라이밍 콘의 고정부면에 조립되는 스냅링; 및
    상기 스냅링을 매개로 상기 클라이밍 콘의 고정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보울트가 관통되어 클라이밍 콘의 제2 나사부에 체결됨으로써 클라이밍 콘에 조립되는 마운팅 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타이로드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00004155U 2010-04-21 2010-04-21 타이로드 고정장치 KR200452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155U KR200452393Y1 (ko) 2010-04-21 2010-04-21 타이로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155U KR200452393Y1 (ko) 2010-04-21 2010-04-21 타이로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393Y1 true KR200452393Y1 (ko) 2011-02-22

Family

ID=4424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155U KR200452393Y1 (ko) 2010-04-21 2010-04-21 타이로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3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493B1 (ko) 2011-04-18 2011-07-21 명보산공 주식회사 수직 거푸집 지지용 거푸집지지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매립 콘 장치, 이를 이용한 거푸집지지 조립체의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방법
KR102099853B1 (ko) * 2019-06-21 2020-05-15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건물옥상 벽체내 삼중체결 안전청소걸이용 체결장치
KR20200086801A (ko) * 2019-01-10 2020-07-20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건물벽체내 3중체결용 클라이밍 앵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006A (ko) * 1999-12-09 2001-07-02 조홍준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006A (ko) * 1999-12-09 2001-07-02 조홍준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493B1 (ko) 2011-04-18 2011-07-21 명보산공 주식회사 수직 거푸집 지지용 거푸집지지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매립 콘 장치, 이를 이용한 거푸집지지 조립체의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방법
KR20200086801A (ko) * 2019-01-10 2020-07-20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건물벽체내 3중체결용 클라이밍 앵커
KR102169045B1 (ko) * 2019-01-10 2020-10-23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건물벽체내 3중체결용 클라이밍 앵커
KR102099853B1 (ko) * 2019-06-21 2020-05-15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건물옥상 벽체내 삼중체결 안전청소걸이용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393Y1 (ko) 타이로드 고정장치
JP6321875B1 (ja) アンカーボルト及びアンカーボルトを用いた固定方法
US20180209138A1 (en) Combined anchor and reba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5248699A (ja) 柱鉄筋組立用治具
CN104895068A (zh) 有端板的变截面桩
KR200486198Y1 (ko)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KR101694990B1 (ko) 패널용 앵커볼트
CN107675836A (zh) 一种定距框
JP5791139B1 (ja) アンカーボルト用補助具、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の施工方法
KR200438242Y1 (ko) 건축용 복합부재
ITMI990444U1 (it) Dispositivo di ancoraggio per manufatti edili in calcestruzzo o simili con elemento di ancoraggio al manufatto ad elevata semplicita' di app
CN103978460A (zh) 卷收器拆装工具
CN101290086A (zh) 型材及其连接结构以及用于连接的连接件
JP6332754B2 (ja) ラックの連結部材取付け構造
JP2652287B2 (ja) セパレータ継ぎ足し用金具
KR20100075794A (ko) 거푸집 판넬의 간격조절장치
KR200482966Y1 (ko) 나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목 지지용 구조체
JP2019024277A (ja) 柱補強構造及び柱補強構造の構築方法
CN102733565A (zh) 快速组合式护栏
JP6429426B1 (ja) セパレータ植立工具
KR200272780Y1 (ko) 거푸집 시스템
EP2369089A1 (de) Verbindungseinrichtung zur Verbindung einer Wand mit einem Fassadenelement oder mit einem Fassadenelementhalter
JPS644899Y2 (ko)
JP6847378B2 (ja) 構築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007187278A (ja) スリーブナ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