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990B1 - 패널용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패널용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990B1
KR101694990B1 KR1020150163574A KR20150163574A KR101694990B1 KR 101694990 B1 KR101694990 B1 KR 101694990B1 KR 1020150163574 A KR1020150163574 A KR 1020150163574A KR 20150163574 A KR20150163574 A KR 20150163574A KR 101694990 B1 KR101694990 B1 KR 101694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member
bolt
nut
panel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선
이원필
Original Assignee
동서레미콘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레미콘 (주) filed Critical 동서레미콘 (주)
Priority to KR1020150163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에 형성된 나선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볼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너트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부재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계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절곡 형성되는 부분이 없어 소재 선택의 폭이 크게 넓어질 뿐만 아니라, 볼트부재에 계지구를 단순히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앵커볼트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패널용 앵커볼트{Anchor Bolt for Panel}
본 발명은 패널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이나 천장 또는 바닥에 다른 구조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패널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 종류의 볼트는 콘크리트 바닥이나 또는 벽체에 설치공을 형성한 후, 이 앵커 설치공에 앵커볼트와 설치관을 삽입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볼트의 몸통부분에 고정할 물체의 결합부를 끼운 후 너트를 체결하게 되면, 볼트가 너트를 통해 외부로 점차 배출되는 동시에 원추형으로 된 볼트의 머리부분이 앵커볼트의 상기 설치관 단부를 확관시켜 앵커 설치공에 설치관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앵커볼트는 내부가 꽉 채워진 바닥이나 벽체 등에 사용되는 것이고, 뒷 부분이 빈 공간으로 된 보드 등의 패널에 장착되는 앵커는 다른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패널용 앵커볼트가 종래기술로서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패널용 앵커볼트(100)는 볼트부재(110)에 고정부재(120), 고정용 와셔(130) 및 너트부재(140)가 순차적으로 관통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볼트부재(110)는 너트부재(15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을 구비하는 볼트부(112)와, 볼트부(112)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볼트부(112)에 비해 직경이 증가하는 쐐기부(114)를 포함한다.
체결시에는 먼저, 패널(1)의 관통홀(2)에 앵커볼트(100)의 선단을 삽입하고, 고정부재(120)의 플랜지부(122)를 패널(1)의 표면에 밀착시키며, 볼트부재(110)를 잡아당겨 쐐기부(114)의 후단부 또는 경사면이 실린더부(124)의 선단부에 접하도록 한다.
너트부재(140)를 고정용 와셔(130)의 후단면에 밀착시킨 후 스패너 등으로 너트부재(140)와 볼트부재(110)를 고정한 상태에서 너트부재(140)를 회전시키면 볼트부재(110)의 쐐기부(114)가 패널(1)쪽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부(124)의 고정편(125)을 바깥쪽으로 절곡시킨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120)의 플랜지부(122)의 선단면과 절곡된 고정편(125)이 패널(1)의 관통홀(2)의 주변부를 감싸면서 앵커볼트(100)를 패널(1)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앵커볼트의 경우 쐐기부(114)에 의해 고정편(125)을 절곡 성형시키는 구성이 있어야 하므로 적절한 소재 선별이 필요하였고, 소재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충분한 절곡 성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절곡 성형 후의 강도가 충분치 않아 쉽게 빠지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고정부재와 쐐기부 등의 구성요소가 마련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의 용이한 절곡을 위해 별도의 형상적 고려가 있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97721호(2009.05.0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곡 형성되는 부분이 없어 소재 선택의 폭이 크게 넓어지는 패널용 앵커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패널용 앵커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앵커볼트,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에 형성된 나선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볼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너트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부재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계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너트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 단부로부터 결합홈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계지구가 삽입되며, 힌지축이 상기 결합홈을 가로질러 상기 볼트부재와 계지구를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지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에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가지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확장부가 형성된 측의 계지구 무게가 그 반대쪽의 계지구 무게보다 무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지구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단까지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지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가지는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확장부가 형성된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반대쪽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의 폭방향으로 상기 너트쪽 일측면에는 널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부재의 외주면의 마주보는 양측이 나선쪽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깍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부재의 나선쪽 일단면에는 렌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너트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에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계지구가 설치되는 구조에 의해 구조물을 패널에 고정하므로 절곡 형성되는 부분이 없어 소재 선택의 폭이 크게 넓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부재에 계지구를 단순히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앵커볼트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도 있다.
도 1a ~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패널용 앵커볼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앵커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앵커볼트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앵커볼트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앵커볼트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앵커볼트(1000)는,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볼트부재(200), 상기 볼트부재(200)에 형성된 나선(21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300) 및, 상기 볼트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너트(300)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부재(2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계지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트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너트(300)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 단부로부터 결합홈(22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20)에는 상기 계지구(400)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때, 힌지축(500)이 상기 결합홈(220)을 가로질러 상기 볼트부재(200)와 계지구(400)를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앵커볼트(1000)가 후술하는 패널(600)에 결합될 때 상기 계지구(400)의 폭방향 일측면이 상기 패널(600)의 배면에 접촉 및 지지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계지구(4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플레이트부(410)와, 상기 플레이트(410)의 일단에 상기 플레이트(410)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가지는 확장부(420)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힌지축(500)을 중심으로 상기 확장부(420)가 형성된 측의 계지구 무게가 그 반대쪽의 계지구 무게보다 무겁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상기 계지구(400)의 일측이 타측보다 무겁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계지구(400)의 무거운 쪽이 항상 아래쪽을 향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대안으로, 상기 계지구(400)가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며, 상기 힌지축(500)을 중심으로 양단까지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계지구(4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플레이트부(410)와, 상기 플레이트(410)의 일단에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가지는 확장부(420)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축(500)을 중심으로 상기 확장부(420)가 형성된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힌지축(500)을 중심으로 반대쪽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계지구(400) 수직 자세 유지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지구(400)의 폭방향으로 상기 너트쪽 일측면에는 널링부(430)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300)의 회전시 상기 계지구(400)까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200)의 외주면의 마주보는 양측을 나선쪽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깍아서 파지홈(2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파지홈(230) 둘레를 파지하여 볼트부재(2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너트(300)를 회전시킬 수 있어 한층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는, 상기 볼트부재(200)의 나선쪽 일단면에 렌치홈(24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앵커볼트(1000)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볼트부재(200)와 계지구(400)를 정렬시킨 상태로 패널(600)에 형성된 설치공(610)에 삽입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설치공(610)은 상기 볼트부재(200)와 계지구(4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계지구(400)는 힌지축(500)을 중심으로 무게의 불균형 상태에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회전하여 상기 계지구(400)의 폭방향 일측이 패널(600)의 배면에 접촉하게 된다.
다음 상기 볼트부재(200)에 별도의 구조물(800)을 끼운 상태에서 너트(300)를 체결하면 너트(300)가 볼트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구조물(800)을 상기 패널(600)에 밀착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계지구(400)는 패널(600)의 배면에 걸려서 볼트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200... 볼트부재
210... 나선
220... 결합홈
230... 파지홈
240... 렌치홈
300... 너트
400... 계지구
410... 플레이트부
420... 확장부
430... 널링부
500... 힌지축
600... 패널
610... 설치공
800... 설치 구조물

Claims (8)

  1. 패널용 앵커볼트에 있어서,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에 형성된 나선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볼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너트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부재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계지구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너트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 단부로부터 결합홈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계지구가 삽입되며, 힌지축이 상기 결합홈을 가로질러 상기 볼트부재와 계지구를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계지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에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가지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확장부가 형성된 측의 계지구 무게가 그 반대쪽의 계지구 무게보다 무겁게 형성되되,
    상기 확장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부의 선단은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앵커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확장부가 형성된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반대쪽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앵커볼트.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 측면 중 상기 너트가 결합되는 쪽의 일측면에는 널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앵커볼트.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의 외주면의 마주보는 양측이 나선쪽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깍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앵커볼트.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의 나선쪽 일단면에는 렌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앵커볼트.
KR1020150163574A 2015-11-20 2015-11-20 패널용 앵커볼트 KR101694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74A KR101694990B1 (ko) 2015-11-20 2015-11-20 패널용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74A KR101694990B1 (ko) 2015-11-20 2015-11-20 패널용 앵커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990B1 true KR101694990B1 (ko) 2017-01-11

Family

ID=5783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574A KR101694990B1 (ko) 2015-11-20 2015-11-20 패널용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9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462B1 (ko) 2020-05-29 2020-09-01 (주) 삼진볼트 패널용 볼트
WO2021060848A1 (ko) * 2019-09-27 2021-04-01 이천수 앵커 볼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1458U (ko) * 1975-09-18 1977-03-24
KR20070020117A (ko) * 2007-01-29 2007-02-16 김종성 외장재 고정용 앵커볼트
KR100768013B1 (ko) * 2006-08-10 2007-10-17 (주)신화금속 도난방지용 핑거볼트
KR100897721B1 (ko) 2008-10-10 2009-05-15 김윤수 패널용 앵커볼트 및 그 설치방법
KR20100049603A (ko) * 2007-08-20 2010-05-12 알코아 글로벌 파스너 인크. 블라인드 패스너 및 이를 장착하기 위한 노우즈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1458U (ko) * 1975-09-18 1977-03-24
KR100768013B1 (ko) * 2006-08-10 2007-10-17 (주)신화금속 도난방지용 핑거볼트
KR20070020117A (ko) * 2007-01-29 2007-02-16 김종성 외장재 고정용 앵커볼트
KR20100049603A (ko) * 2007-08-20 2010-05-12 알코아 글로벌 파스너 인크. 블라인드 패스너 및 이를 장착하기 위한 노우즈 조립체
KR100897721B1 (ko) 2008-10-10 2009-05-15 김윤수 패널용 앵커볼트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848A1 (ko) * 2019-09-27 2021-04-01 이천수 앵커 볼트
KR102150462B1 (ko) 2020-05-29 2020-09-01 (주) 삼진볼트 패널용 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3400B1 (en) Concrete insert for poured concrete floors
US8832920B2 (en) Standoff adaptor for a threaded hollow wall anchor
KR101467929B1 (ko) 앵커 볼트
US991517A (en) Anchor.
RU2655248C2 (ru) Анкерный болт
JP6511513B2 (ja) 接続ナットおよびホールダウン工法
NZ205768A (en) Fastener for supporting pipe or cable
US4218858A (en) Tri-anchor bracket for poles
KR101694990B1 (ko) 패널용 앵커볼트
US3091990A (en) Hollow tubular spirally wound covered metallic anchor
TW201727085A (zh) 用於夾持膨脹部分的膨脹錨具
KR101494722B1 (ko) 리프트 설치용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20153B1 (ko) 앙카세트
JP2015094416A (ja) ボルト接続具
KR20120105129A (ko) 확장형 앵커볼트
CN204387037U (zh) 对冲式膨胀螺栓
CN201050528Y (zh) 一种膨胀螺栓
CN205689543U (zh) 新型六点式膨胀螺栓
JP2006105194A (ja) 長尺物支持具
US20060182511A1 (en) Mounting device
KR102141439B1 (ko)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2183626B1 (ko) 지지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US3008557A (en) Foundation for portable structures
CN104454864A (zh) 对冲式膨胀螺栓
KR20190002896U (ko) 천장용 세트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