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153B1 - 앙카세트 - Google Patents

앙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153B1
KR102020153B1 KR1020180124437A KR20180124437A KR102020153B1 KR 102020153 B1 KR102020153 B1 KR 102020153B1 KR 1020180124437 A KR1020180124437 A KR 1020180124437A KR 20180124437 A KR20180124437 A KR 20180124437A KR 102020153 B1 KR102020153 B1 KR 10202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bolt
unit
anchor
ta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영
Original Assignee
윤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영 filed Critical 윤대영
Priority to KR1020180124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Abstract

본 발명의 앙카세트는, 구조물에 형성된 앙카공)에 삽입되며, 하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 1 테이퍼부와, 제 1 암나사부가 형성된 제 1 쐐기부; 제 1 쐐기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 2 테이퍼부와, 제 2 암나사부가 형성된 제 2 쐐기부; 상부부위에 제 2 쐐기부의 제 2 암나사부와 결합되고 하부부위에 제 1 쐐기부의 제 1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외주연에 형성된 볼트부; 볼트부의 수나사부가 삽입되며 제 1 쐐기부와 제 2 쐐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원통형 몸체와, 원통형 몸체의 하단부위에 원통형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절개부와, 원통형 몸체의 상단부위에 원통형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2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쐐기관; 볼트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볼트부를 회전시켜 수나사부에 결합된 제 1 쐐기부와 제 2 쐐기부의 간격을 줄여 쐐기관의 제 1 절개부가 제 1 테이퍼부에 의해 벌려지게 되고 쐐기관의 제 2 절개부가 제 2 테이퍼부에 의해 벌려지게 되어 쐐기관의 양단부가 앙카공에 고정되도록 하는 볼트부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앙카세트{Anchor Set}
본 발명은 각종 피착물을 고정하도록 하기 위한 앙카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타격하여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없이 앙카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조이는 작업만으로 앙카공에 고정되도록 하는 앙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앙카세트는 구조물에 피착물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에 앙카공을 천공하고 그 앙카공에 앙카볼트를 고정하도록 하는 장치이며, 이 앙카볼트에 와셔와 너트를 채워서 피착물을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앙카세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를 가진 가지며 단부부위에 확장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볼트봉(110)과, 상기 볼트봉(110)에 끼워져 타격시에 상기 볼트봉(110)의 단부에 확장된 페이퍼부에 의해 그 지름이 확장 가능하도록 몸체 일부에 절개부(121)가 형성된 쐐기관(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앙카세트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볼트봉(110)을 쐐기관(120)에 삽입하고, 쐐기관(120)에 삽입된 볼트봉(110)을 앙카공에 삽입한다. 볼트봉(110) 삽입후에는 파이프 형태로 된 공구를 이용하여 쐐기관(120)의 외측단부에 접하도록 한 다음, 공구를 타격한다. 이렇게 되면, 쐐기관(120)이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볼트봉(110)의 테이퍼부에 의해 쐐기관(120)의 절개부가 절개되면서 지름이 확장되게 되며, 확장된 쐐기관(120)이 앙카공에 고정되게 되며 이에 따라 볼트봉(110) 또한 쇄기관(120)과 함께 앙카공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으로 볼트봉(110)이 구조물에 고정되게 되면 볼트봉(110)의 나사부에 브라켓 등을 고정하여 각종 피착물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앙카세트를 구조물에 고정할 때 파이프 형태로 된 공구를 이용하여 쐐기관(120)의 외측단부에 접하도록 한 다음 공구를 타격하여 앙카볼트를 쐐기관(120)에 의해 고정되게 되지만, 타격하는데 용이하지 않고, 건물 외벽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타격시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아울러, 볼트봉(110)의 내측단부는 쐐기관(120)에 의해 고정되지만, 볼트봉(110)이 길고 볼트봉(110)의 나사부는 앙카공과의 유격이 있으므로, 무거운 피착물을 지지하게 되면 볼트봉(110)의 외측단부가 처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앙카세트가 잘못 시공이 된 경우나 필요없는 경우에는 앙카공의 외부로 돌출된 볼트봉(110)의 단부부위를 절단하여 볼트봉(110)을 제거하여야 하나, 볼트봉(110)이 구조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볼트봉(110)을 절단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해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피착물을 고정하도록 하기 위한 앙카세트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앙카를 타격하여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없이, 앙카세트에 구비되는 볼트를 조이는 작업만으로 앙카세트를 앙카공에 고정되도록 하는 앙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앙카에 무거운 피착물을 지지하게 되더라도 처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앙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앙카세트가 잘못 시공이 된 경우나 필요없는 경우에 앙카세트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앙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앙카세트는, 구조물에 형성된 앙카공(1a)에 삽입되며, 하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 1 테이퍼부(11)와, 상기 제 1 테이퍼부(11)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제 1 암나사부(12)가 형성된 제 1 쐐기부(10);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 2 테이퍼부(21)와, 상기 제 2 테이퍼부(21)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제 2 암나사부(22)가 형성된 제 2 쐐기부(20); 상부부위에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상기 제 2 암나사부(22)와 결합되고 하부부위에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암나사부(12)와 결합되는 수나사부(31)가 외주연에 형성된 볼트부(30);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가 삽입되며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 사이에 위치하는 원통형 몸체(41)와,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하단부위에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절개부(42)와,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상단부위에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2 절개부(43)로 이루어지는 쐐기관(40); 상기 볼트부(30)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볼트부(30)를 회전시켜 상기 수나사부(31)에 결합된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의 간격을 줄여 상기 쐐기관(40)의 제 1 절개부(42)가 상기 제 1 테이퍼부(11)에 의해 벌려지게 되고 상기 쐐기관(40)의 제 2 절개부(43)가 상기 제 2 테이퍼부(21)에 의해 벌려지게 되어 상기 쐐기관(40)의 양단부가 앙카공(1a)에 고정되도록 하는 볼트부 회전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는 상기 앙카공(1a)에 끼워맞춤 결합되며 상기 볼트부(30)의 회전시 상기 제 1 쐐기부(10) 및 상기 제 2 쐐기부(20)가 상기 볼트부(30)와 같이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은 외주연에 상기 앙카공(1a)의 내주연과 접하여 상기 볼트부(30)의 회전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회전방지돌기(6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쐐기관(40)의 몸체(41) 양단부 내주연은 라운드 또는 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테이퍼부(11)와 상기 제 2 테이퍼부(21)의 외주연에는 상기 쐐기관(40)의 원통형 몸체(41)와 각각 접촉하는 면적이 줄도록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돌기부(11a,2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앙카세트는 각종 피착물을 고정하도록 하기 위한 앙카세트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앙카를 가격하여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없이, 앙카에 구비되는 볼트부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 앙카세트를 앙카공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앙카세트의 설치가 용이하고 상부와 하부가 앙카공에 고정이 되므로, 앙카에 무거운 피착물을 지지하게 되더라도 처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되게 되며 흔들림 없이 피착물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타격하지 않고 회전에 의해서 고정되게 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적다.
아울러, 앙카세트가 잘못 시공이 된 경우나 필요없는 경우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볼트만 분리되게 되므로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앙카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앙카세트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앙카세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앙카세트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앙카세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앙카세트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앙카세트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앙카세트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앙카세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앙카세트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앙카세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쐐기부(10); 제 2 쐐기부(20); 볼트부(30); 쐐기관(40); 볼트부 회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조물에는 앙카세트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앙카공(1a)이 천공되게 된다. 이때, 구조물은 건물의 벽체, 바닥, 천정 등이 될 수 있으며, 건물 외에 피착물을 고정하기 위한 어떠한 구조물이든 상관이 없다.
상기 제 1 쐐기부(10)는, 구조물에 형성된 앙카공(1a)에 삽입되며, 하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 1 테이퍼부(11)와, 상기 제 1 테이퍼부(11)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제 1 암나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테이퍼부(11)는 후술할 쐐기관(40)의 하단부를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쐐기관(40)의 하단부가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암나사부(12)는 후술할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하부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쐐기부(10)와 볼트부(3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쐐기부(20)는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 2 테이퍼부(21)와, 상기 제 2 테이퍼부(21)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제 2 암나사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테이퍼부(21)는 후술할 쐐기관(40)의 상단부를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쐐기관(40)의 상단부가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암나사부(22)는 후술할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상부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쐐기부(20)와 볼트부(3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트부(30)는 상부부위에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상기 제 2 암나사부(22)와 결합되고 하부부위에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암나사부(12)와 결합되는 수나사부(31)가 외주연에 형성된다.
상기 쐐기관(40)은 양단부가 벌어져 구조물에 형성된 앙카공(1a)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원통형 몸체(41)와, 제 1 절개부(42)와, 제 2 절개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 몸체(41)는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가 삽입되며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원통형으로 된다. 상기 원통형 몸체(41)는 금속재로 된 경우에는 평판형태의 금속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 1 절개부(42)와, 제 2 절개부(43)가 형성되도록 가공한 후에 말아서 원통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쐐기관(40)이 수지재로 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절개부(42)와, 제 2 절개부(43)가 형성되도록 사출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 1 절개부(42)는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하단부위에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절개부(42)는 상기 제 1 테이퍼부(11)에 의해 벌어지게 되며, 상기 제 1 절개부(42)가 벌어지게 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쐐기관(40)의 상기 몸체(41)가 상기 앙카공(1a)의 하부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 1 절개부(42)의 개수는 3개 내지 4개로 되며 4개로 되는 것이 안정적이고 대칭되게 상기 원통형 몸체(41)가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절개부(43)는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상단부위에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절개부(42)와 마찬가지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절개부(43)는 상기 제 1 절개부(42)의 형상과 동일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을 이룬다.
상기 볼트부 회전부(50)는 상기 볼트부(30)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볼트부(30)를 회전시켜 상기 수나사부(31)에 결합된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의 간격을 줄여 상기 쐐기관(40)의 제 1 절개부(42)가 상기 제 1 테이퍼부(11)에 의해 벌려지게 되고 상기 쐐기관(40)의 제 2 절개부(43)가 상기 제 2 테이퍼부(21)에 의해 벌려지게 되어, 상기 쐐기관(40)의 양단부가 앙카공(1a)의 상부 및 하부에 모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트부 회전부(50)는 스패너 또는 복스 등의 공구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육각볼트머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볼트부 회전부(5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로 스패너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복스를 회전시키는 전동공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결합된 상태의 본 발명의 앙카세트를 앙카공(1a)에 삽입한 도 4의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 회전부(5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 1 쐐기부(10)가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상부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 2 쐐기부(20)가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와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상기 제 2 테이퍼부(21)와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며, 상기 제 1 테이퍼부(11)와 상기 제 2 테이퍼부(21) 사이에 위치한 쐐기관(40)의 양단부가 벌어지게 되어 상기 쐐기관(40)의 양단부가 앙카공(1a)에 고정되는 도 5의 상태가 되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결합된 상태의 본 발명의 앙카세트를 앙카공(1a)에 삽입하고 큰 힘으로 타격하지 않고 약한 힘으로 가격하면 앙카공(1a)의 하단에 상기 쐐기부(10)의 하단이 가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 회전부(5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 1 쐐기부(10) 또는 상기 제 2 쐐기부(20)가 상기 볼트부(30)와 함께 돌지 않고 상기 볼트부(30)만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쐐기부(10) 또는 상기 제 2 쐐기부(20)가 상기 볼트부(30)와 함께 돌지 않고 상기 볼트부(30)만 회전되게 되면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고,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쐐기관(40)이 상기 제 1 테이퍼부(11) 및 상기 제 2 테이퍼부(21)에 의해 벌어지면서 상기 쐐기관(40)이 앙카공(1a)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피착물을 고정하도록 하기 위한 앙카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앙카를 가격하여 앙카공에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없이, 앙카에 구비되는 볼트머리를 조이는 작업만으로 앙카세트를 앙카공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앙카세트의 설치가 용이하고 볼트의 상부와 하부가 쐐기관(40)에 의해 앙카공에 고정이 되므로, 앙카에 무거운 피착물을 지지하게 되더라도 처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되게 되며 흔들림 없이 피착물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앙카세트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앙카세트를 조립하게 되며, 조립된 앙카세트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앙카공(1a)에 고정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암나사부(22)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는 상기 볼트부(30)의 상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중간부위에 수나사부(31)가 삽입되도록 상기 쐐기관(40)을 결합시키되, 상기 쐐기관(40)이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 하부에 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를 상기 쐐기관(40)에 삽입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암나사부(12)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는 상기 볼트부(30)의 하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제 1 쐐기부(10)를 상기 수나사부(31)에 결합시킬 때 상기 제 1 쐐기부(20)의 제 1 테이퍼부(11) 상부가 상기 쐐기관(40)의 하단부와 접하여 위치하도록 결합시킨다. 이렇게 되면 앙카세트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앙카세트를 상기 제 1 쐐기부(10)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조물에 형성된 앙카공(1a)에 삽입한다.
상기 앙카공(1a)에 앙카세트를 삽입한 후에,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축과 상기 앙카공(1a)의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 회전부(50)를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킨다. 이렇게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축과 상기 앙카공(1a)의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 하단부 또는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 상단부가 상기 앙카공(1a)에 접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 회전부(50)를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볼트부(30)가 회전되게 되는데, 처음에는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 하단부 또는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 상단부가 상기 앙카공(1a)에 접한 상태가 되어 상기 볼트부(30)가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볼트부(3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 1 쐐기부(10) 또는 상기 제 2 쐐기부(20)는 상기 볼트부(30)와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볼트부 회전부(50)의 회전에 따른 상기 볼트부(30)의 회전시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에 의해 상기 쐐기관(40)의 하단부에 위치한 제 1 절개부(42)가 절개되면서 상기 쐐기관(40)의 하단부가 앙카공(1a)에 고정되게 되고, 상기 제 2 쐐기부(10)의 제 2 테이퍼부(21)에 의해 상기 쐐기관(40)의 상단부에 위치한 제 2 절개부(43)가 절개되면서 상기 쐐기관(40)의 상단부가 앙카공(1a)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에 의해 상기 쐐기관(40)의 하단부에 위치한 제 1 절개부(42)가 절개되면서 상기 쐐기관(40)의 하단부가 앙카공(1a)에 고정되게 되고, 상기 제 2 쐐기부(10)의 제 2 테이퍼부(21)에 의해 상기 쐐기관(40)의 상단부에 위치한 제 2 절개부(43)가 절개되면서 상기 쐐기관(40)의 상단부가 앙카공(1a)에 고정되게 될 때에는, 상기 앙카공(1a)의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시킨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축이 서로 일치되게 되면서 앙카세트가 앙카공(1a)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앙카세트 고정방법은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축과 상기 앙카공(1a)의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 회전부(50)를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앙카세트를 앙카공(1a)에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앙카세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앙카세트의 작동도이다.
앙카세트 고정시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축과 상기 앙카공(1a)의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시키지 않고 상기 볼트부 회전부(50)를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앙카세트를 앙카공(1a)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볼트부 회전부(50)의 회전시에 상기 볼트부(30)에 구비된 수나사부(31)는 동일방향으로 형성되게 되므로 상기 제 1 쐐기부(10) 또는 상기 제 2 쐐기부(20)가 상기 볼트부(3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상기 볼트부(30)의 회전시에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에 결합된 상기 제 1 쐐기부(10) 또는 상기 제 2 쐐기부(20)가 함께 돌게 되면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 사이의 간격이 줄지 않게 되어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에 의해 상기 쐐기관(40)의 양단이 벌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부 회전부(50)의 회전시에 상기 제 1 쐐기부(10) 및 상기 제 2 쐐기부(20)가 상기 볼트부(30)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억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상부 및 상기 제 2 쐐기부(20)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가 각각 삽입되며 외주연이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어 상기 볼트부(30)의 회전시 상기 제 1 쐐기부(10) 또는 상기 제 2 쐐기부(20)가 상기 볼트부(30)와 같이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의 내주연은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 및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절개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은 상기 앙카공(1a)에 끼워맞춤결합되며, 상기 볼트부(30)의 회전시에는 회전이 억제되게 되며, 상기 제 1 쐐기부(10) 및 상기 제 2 쐐기부(20)가 각각 삽입 결합되어 상기 볼트부(30)의 회전시 상기 제 1 쐐기부(10) 및 상기 제 2 쐐기부(20)가 상기 볼트부(30)와 같이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은 상기 제 1 쐐기부(10) 및 상기 제 2 쐐기부(20)가 각각 삽입 결합되고 외주연은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볼트부 회전부(50)의 회전에 따른 상기 볼트부(30) 회전시 상기 제 1 쐐기부(10) 및 상기 제 2 쐐기부(20)의 회전을 억제하게 되어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 사이의 간격이 줄게 되며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 및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에 의해 상기 쐐기관(40)의 양단이 벌어지게 되어 상기 쐐기관(40)의 양단이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게 되어 결국 앙카세트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은 상기 앙카공(1a)에 끼워맞춤결합되나 상기 앙카공(1a)이 일반적으로 원형이므로 상기 볼트부 회전부(50)의 회전시 상기 볼트부(30)가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의 외주연이 미끄러짐이 발생되어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가 회전이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은 외주연에 상기 앙카공(1a)의 내주연과 접하여 상기 볼트부(30)의 회전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회전방지돌기(61)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상기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이 구비된 본 발명의 앙카세트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앙카세트를 조립하게 되며, 조립된 앙카세트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앙카공(1a)에 고정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암나사부(22)를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 2 쐐기부(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에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를 끼우고 내주연이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에 고정되도록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을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에 결합시킨다.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을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암나사부(22)를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에 결합시켜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는 상기 볼트부(30)의 상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중간부위에 수나사부(31)가 삽입되도록 상기 쐐기관(40)을 결합시키되, 상기 쐐기관(40)이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 하부에 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를 상기 쐐기관(40)에 삽입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암나사부(12)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는 상기 볼트부(30)의 하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제 1 쐐기부(10)를 상기 수나사부(31)에 결합시킬 때 상기 제 1 쐐기부(20)의 제 1 테이퍼부(11) 상부가 상기 쐐기관(40)의 하단부와 접하여 위치하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수나사부(31)에 결합된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상부에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이 위치되도록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에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를 끼우고 내주연이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에 고정되도록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을 상기 제 1 쐐기부(20)의 제 1 테이퍼부(11)에 결합시킨다.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을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암나사부(12)를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에 결합시켜도 무방하다.
이렇게 되면 앙카세트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앙카세트를 상기 제 1 쐐기부(10)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조물에 형성된 앙카공(1a)에 삽입한다. 조립된 앙카세트를 상기 제 1 쐐기부(10)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조물에 형성된 앙카공(1a)에 삽입하게 되면,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은 앙카공에 끼워맞춤 결합이 되게 되고,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은 회전이 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 회전부(50)를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볼트부(30)가 회전되게 되는데,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 및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는 상기 앙카공(1a)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게 되는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에 의해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볼트부(3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 1 쐐기부(10) 및 상기 제 2 쐐기부(20)는 회전이 억제 되어 상기 볼트부(30)와 함께 회전이 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볼트부 회전부(50)의 회전에 따른 상기 볼트부(30)의 회전시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 사이의 간격이 점점 줄어들게 된다.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에 의해 상기 쐐기관(40)의 하단부에 위치한 제 1 절개부(42)가 절개되면서 상기 쐐기관(40)의 하단부가 앙카공(1a)에 고정되게 되고, 상기 제 2 쐐기부(10)의 제 2 테이퍼부(21)에 의해 상기 쐐기관(40)의 상단부에 위치한 제 2 절개부(43)가 절개되면서 상기 쐐기관(40)의 상단부가 앙카공(1a)에 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앙카세트가 잘못 시공이 된 경우나 필요없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부 회전부(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는데, 상기 볼트부 회전부(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볼트부(30)가 상기 제 1 쐐기부(10) 및 제 2 쐐기부(20)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앙카공으로부터 노출된 볼트의 절단을 하지 않고 상기 볼트부(30)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므로 해체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 및 상기 쐐기관(40)은 앙카공(1a)에 고정된 상태가 되며 상기 볼트부(30)의 제거만 되는 것이다. 상기 볼트부(30)를 설치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볼트부(30)를 제거한 상태에서 몰탈 등으로 상기 앙카공(1a)을 메우면 앙카세트의 해체가 완료되게 된다.
또한, 상기 쐐기관(40)의 원통형 몸체(41) 양단부 내주연은 라운드 또는 챔퍼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쐐기관(40)의 원통형 몸체(41) 양단부 내주연에 라운드 또는 챔퍼가 형성되게 되면, 상기 볼트부 회전부(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테이퍼부(21)와 제 1 테이퍼부(11)의 간격을 줄이게 될 때, 상기 쐐기관(40)의 원통형 몸체(41) 양단부가 상기 제 2 테이퍼부(21)와 제 1 테이퍼부(11)와 접촉하는 마찰을 줄이게 되므로 상기 볼트부 회전부(5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볼트부 회전부(5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 1 테이퍼부(11)와 상기 제 2 테이퍼부(21)는 상기 쐐기관(40)의 원통형 몸체(41)와 각각 접촉하는 면적이 줄도록 돌기부(11a,21a)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테이퍼부(11)와 상기 제 2 테이퍼부(21)에 돌기부(11a,21a)를 각각 형성하게 되면 상기 쐐기관(40)의 원통형 몸체(41)에 형성된 제 1 절개부(42)와 제 2 절개부(43)에 의해 절개되어 벌어질 때 상기 쐐기관(40)의 원통형 몸체(41)와 각각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쐐기관(40)의 원통형 몸체(41) 양단부가 상기 제 2 테이퍼부(21)와 제 1 테이퍼부(11)와 접촉하는 마찰을 줄이게 되므로, 상기 볼트부 회전부(5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볼트부 회전부(5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a: 앙카공 10: 제 1 쐐기부 11: 제 1 테이퍼부
12: 제 1 암나사부 20: 제 2 쐐기부 21: 제 2 테이퍼부
22: 제 2 암나사부 11a,21a: 돌기부 30: 볼트부
31: 수나사부 40: 쐐기관 41: 몸체
42: 제 1 절개부 43: 제 2 절개부 50: 볼트부 회전부
60: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 61: 회전방지돌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구조물에 형성된 앙카공(1a)에 삽입되며, 하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 1 테이퍼부(11)와, 상기 제 1 테이퍼부(11)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제 1 암나사부(12)가 형성된 제 1 쐐기부(10);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 2 테이퍼부(21)와, 상기 제 2 테이퍼부(21)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제 2 암나사부(22)가 형성된 제 2 쐐기부(20);
    상부부위에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상기 제 2 암나사부(22)와 결합되고 하부부위에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암나사부(12)와 결합되는 수나사부(31)가 외주연에 형성된 볼트부(30);
    상기 볼트부(30)의 수나사부(31)가 삽입되며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 사이에 위치하는 원통형 몸체(41)와,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하단부위에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절개부(42)와,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상단부위에 상기 원통형 몸체(4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2 절개부(43)로 이루어지는 쐐기관(40);
    상기 볼트부(30)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볼트부(30)를 회전시켜 상기 수나사부(31)에 결합된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의 간격을 줄여 상기 쐐기관(40)의 제 1 절개부(42)가 상기 제 1 테이퍼부(11)에 의해 벌려지게 되고 상기 쐐기관(40)의 제 2 절개부(43)가 상기 제 2 테이퍼부(21)에 의해 벌려지게 되어 상기 쐐기관(40)의 양단부가 앙카공(1a)에 고정되도록 하는 볼트부 회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쐐기부(10)와 상기 제 2 쐐기부(20)는 상기 앙카공(1a)에 끼워맞춤 결합되며 상기 볼트부(30)의 회전시 상기 제 1 쐐기부(10) 및 상기 제 2 쐐기부(20)가 상기 볼트부(30)와 같이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은 외주연에 상기 앙카공(1a)의 내주연과 접하여 상기 볼트부(30)의 회전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회전방지돌기(61)가 구비되며,
    상기 쐐기부 회전억제용 패킹(60)의 내주연은 상기 제 1 쐐기부(10)의 제 1 테이퍼부(11) 및 상기 제 2 쐐기부(20)의 제 2 테이퍼부(21)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절개된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세트.
  4. 삭제
  5. 삭제
KR1020180124437A 2018-10-18 2018-10-18 앙카세트 KR10202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37A KR102020153B1 (ko) 2018-10-18 2018-10-18 앙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37A KR102020153B1 (ko) 2018-10-18 2018-10-18 앙카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153B1 true KR102020153B1 (ko) 2019-09-09

Family

ID=6795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437A KR102020153B1 (ko) 2018-10-18 2018-10-18 앙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728A (ko) * 2020-11-18 2022-05-25 최성호 앙카볼트
KR20220119798A (ko) * 2021-02-22 2022-08-30 홍석환 탄성 고정력을 갖는 앵커볼트유닛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4734A (en) * 1974-06-14 1976-08-17 Maechtle Fritz Expandable anchor stud
JPH10338972A (ja) * 1997-05-08 1998-12-22 Illinois Tool Works Inc <Itw> 膨張アンカー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0778028B1 (ko) * 2003-12-22 2007-12-18 주식회사 파워앙카 앵커볼트유닛
KR101209622B1 (ko) * 2005-10-25 2012-12-07 오에누공업주식회사 패킹 및 이음매와 강관의 접속기구
KR101784263B1 (ko) * 2017-07-04 2017-11-06 주식회사 티케이비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4734A (en) * 1974-06-14 1976-08-17 Maechtle Fritz Expandable anchor stud
JPH10338972A (ja) * 1997-05-08 1998-12-22 Illinois Tool Works Inc <Itw> 膨張アンカー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0778028B1 (ko) * 2003-12-22 2007-12-18 주식회사 파워앙카 앵커볼트유닛
KR101209622B1 (ko) * 2005-10-25 2012-12-07 오에누공업주식회사 패킹 및 이음매와 강관의 접속기구
KR101784263B1 (ko) * 2017-07-04 2017-11-06 주식회사 티케이비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728A (ko) * 2020-11-18 2022-05-25 최성호 앙카볼트
KR102529282B1 (ko) * 2020-11-18 2023-05-03 최성호 앙카볼트
KR20220119798A (ko) * 2021-02-22 2022-08-30 홍석환 탄성 고정력을 갖는 앵커볼트유닛
KR102578295B1 (ko) * 2021-02-22 2023-09-14 홍석환 탄성 고정력을 갖는 앵커볼트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601B1 (ko) 스터드 앙카세트
KR101784263B1 (ko)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
KR102020153B1 (ko) 앙카세트
US9296050B2 (en) Self-undercut expansion anchor insertion system
US4218858A (en) Tri-anchor bracket for poles
US11486430B2 (en) Radially expanding post extender
US20040103599A1 (en) Ground anchor
AU2021204090B2 (en) Supporting post improvements
US4793580A (en) Wireway suspension system with braced support leg construction
KR101694990B1 (ko) 패널용 앵커볼트
KR102058520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체
KR102637867B1 (ko) 고정력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앵커볼트
KR101304511B1 (ko) 스페이서가 마련된 스트롱 앵커 볼트
KR200275978Y1 (ko) 셋트앵커볼트
CN109989975B (zh) 一种用于安装在建筑墙体的膨胀螺套
KR20230157083A (ko) 빔 클램프
CN212003864U (zh) 一种新型膨胀螺栓
CA1066474A (en) Tri-anchor bracket for poles
KR20180023269A (ko)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KR200183417Y1 (ko) 앵커볼트
US3889570A (en) Self-drilling anchor device
JP3113710U (ja) 固定バンド及びこの固定バンドを設けた侵入者阻止用突片具
KR20200000526U (ko)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
EP3482094B1 (en) Hook
KR20060106383A (ko) 스트롱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