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728A - 앙카볼트 - Google Patents

앙카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728A
KR20220067728A KR1020200154266A KR20200154266A KR20220067728A KR 20220067728 A KR20220067728 A KR 20220067728A KR 1020200154266 A KR1020200154266 A KR 1020200154266A KR 20200154266 A KR20200154266 A KR 20200154266A KR 20220067728 A KR20220067728 A KR 20220067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extension plate
anchor bolt
inl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282B1 (ko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최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호 filed Critical 최성호
Priority to KR102020015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28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앙카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옆면이 균등한 형태로 완전히 절개된 낱개의 확장편으로 이루어진 다면의 확장판을 탄성부재가 결속시켜 원통관을 이루게 하고 확장판의 상, 하부에 위치한 이중 테이퍼너트의 회전에 의해 확장판이 확개함으로써 고정력과 범용성, 시공성을 높인 다면 개폐식 앙카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앙카볼트는, 헤드와 나사산이 구비된 고정볼트(1000); 옆면이 완절히 절개되어 균등한 형태의 다면으로 분리되고 맞춰지는 낱개의 확장편으로 구성되어 원통관을 형성하는 확장판(2000); 원형의 탄성고무소재로 확장판의 확장편을 결속시키고 확장판의 개폐에 따라 팽창하고 수축하는 탄성부재(3000); 확장판의 하부에 위치한 제1 테이퍼너트가 고정볼트의 나사산을 타고 상승하면서 확장판에 내입되고 확장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 테이퍼너트와 대칭되어 마주보도록 체결된 제2 테이퍼너트가 확장판에 내입되어 양쪽에서 확장판을 확개시키는 이중 테이퍼너트(4000);를 포함한다.
상기 앙카볼트를 이용하면, 설치공에 압착되는 구간이 확장되고 다양한 직경의 설치공에 장착이 가능하며 장착과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앙카볼트{ANCHOR BOLT}
본 발명은 앙카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균등한 형태로 옆면이 완전히 절개된 낱개의 확장편으로 이루어진 다면의 확장판을 탄성부재가 결속시켜 원통관을 이루게 하고 확장판의 상, 하부에 위치한 이중 테이퍼너트의 회전에 의해 확장판이 확개함으로써 밀착력으로 구조물 내에서 피착물이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며 탄성력으로 확장과 복원이 원활히 이루어져 다양한 설치공의 규격에 대응하면서 분리와 장착의 시공이 용이한 다면 개폐식 앙카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앙카볼트는 구조물에 피착물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벽이나 천장, 바닥에 각종 시설물을 고정하는 건축부자재로서의 용도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장치나 물품(예: 이륜차의 핸들바와 핸들 웨이트의 결합, 자전거 차체와 백미러의 결합 등)에 있어서 각종 부품의 결합시에도 그 고정방식을 차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앙카볼트는 일반적으로 도6 내지 도10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6을 참조하면, 종래의 앙카볼트는 크게 볼트(1), 쐐기관(2), 확관너트(3)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쐐기관(2)은 원통관의 형상으로 그 일단에 다수개의 절개홈을 가지며, 확관너트(3)는 쐐기관(2)이 내입되는 삽입부가 쐐기관(2)의 내경보다 좁다가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안쪽에는 나사공을 형성함으로써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1)와 한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앙카볼트는 도7 내지 도8과 같이, 피착물(4)이 끼워진 볼트(1)에 쐐기관(2)과 확관너트(3)가 조립되어 건축물에 시설물을 고정하기 위한 위치에 천공작업을 하거나 중공된 파이프형태의 장치에 부품을 결합하기 위해 만들어진 설치공(5)에 삽입된다. 이때, 그 시공방식에 따라 약간의 변형과 차이가 있으나 도9 내지 도10과 같이 종래의 앙카볼트는 공통적으로 볼트(1)에 확관너트(3)가 체결되면서 조여짐에 따라 확관너트(3)가 상승하며 쐐기관(2)의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쐐기관(2)의 절개홈이 벌어지면서 설치공(5)의 내벽을 압착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앙카볼트는 그 구조상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종래의 앙카볼트는 쐐기관의 절개홈이 형성된 일단이 확관너트에 의해 벌어짐으로써 설치공의 내벽을 눌러 고정하는 방식으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단은 평면이기 때문에 설치공의 내벽과의 유격이 상당부분 존재함으로써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특히 무게가 있는 피착물을 고정하거나 이륜차나 자전거와 같은 이동수단에 피착물을 설치할 경우 그 하중에 의해 피착물이 처지거나 진동에 의해 중심을 잃고 흔들리는 등 고정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쐐기관은 금속재로서 확관너트를 절개홈이 형성된 일단의 내부에 인입함으로써 강제로 벌리는 방식으로 시공에 많은 힘이 요구되고 확장될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설치공의 직경에 맞는 앙카볼트를 각각 구비해야 하므로 범용성과 생산효율성이 저하된다. 또한 쐐기관이 한번 벌어지면 원형으로의 복원이 어려워 앙카볼트의 분해나 해제가 용이치 않고 재사용이 어려워 피착물의 보수나 교체의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등 작업공정성에도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1919호(2001.10.1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859호(2005.03.08. 공고)
상기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균등한 형태로 옆면이 완전히 절개된 다면의 확장판이 양쪽으로 안입되는 이중 테이퍼너트를 통해 확개하여 설치공에 전면밀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설치공과의 유격범위를 최소화하여 지지력과 고정력을 강화한 앙카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확장판의 개폐가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부재를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설치공의 직경에 따라 확장과 축소범위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복원과 해제가 손쉽게 이루어져 분리와 장착이 용이한 앙카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와 나사산이 구비된 고정볼트; 옆면이 완절히 절개되어 균등한 형태의 다면으로 분리되고 맞춰지는 낱개의 확장편으로 구성되어 원통관을 형성하는 확장판; 원형 링 형태의 탄성고무소재로 확장판의 확장편을 결속시키고 확장판의 개폐에 따라 팽창하고 수축하는 탄성부재; 확장판의 하부에 위치한 제1 테이퍼너트가 고정볼트의 나사산을 타고 상승하면서 확장판에 내입되고 확장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 테이퍼너트와 대칭되어 마주보도록 체결된 제2 테이퍼너트가 확장판에 내입되어 양쪽에서 확장판을 확개시키는 이중 테이퍼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를 제공한다.
상기 확장판을 구성하는 확장편은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인입구와 고정볼트의 나사산과 접촉하며 그 둘레를 감싸도록 곡면을 이루는 내주면과 설치공과 접촉하여 확개할 때 그 내벽에 압착되도록 곡면을 이루는 압입면과 압입면의 중앙부를 따라 곡선으로 이루어져 탄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끼움홈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확장편의 압입면의 합산 둘레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결속된 확장편의 끼움홈에 안착되며, 상기 이중 테이퍼너트를 구성하는 제1 테이퍼너트와 제2 테이퍼너트는 안쪽에 고정볼트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바깥쪽에 결속된 확장편의 인입구에 내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의 합산 내경보다 좁게 형성되고 인입구 방향으로 조여지며 결속된 확장편의 인입구를 확장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가면서 인입구의 합산 외경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경사진 형태의 인입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앙카볼트에 의하면 옆면이 완전히 절개된 균등한 형태의 확장편으로 구성되어 탄성부재를 통해 결속되는 확장판이 확장판의 상, 하부에 위치한 이중 테이퍼너트에 의해 그 전면이 확개됨으로써 설치공에 밀착되는 압착구간이 보다 확장되어 지지력과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낱개로 분리되는 다면의 확장편으로 구성된 확장판을 신축성이 뛰어난 탄성부재를 통해 결속시켜 원형관을 형성함으로써 설치공마다 별도의 규격을 가진 앙카볼트를 구비할 필요없이 다양한 직경의 설치공에 피착물의 고정이 가능하여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확장판의 개폐가 이중 테이퍼너트의 체결과 해제를 통해 탄성부재의 팽창 및 수축으로 이루어지므로 무리한 힘을 주지 않고도 용이하게 장착이 가능하고 손쉽게 원형으로의 복원이 가능하여 유지보수 등 작업시공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첨부도면을 인용한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이상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를 설치공에 삽입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의 확장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를 설치공에 삽입한 확장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6은 종래의 앙카볼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종래의 앙카볼트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8은 종래의 앙카볼트를 설치공에 삽입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9는 종래의 앙카볼트의 확장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10은 종래의 앙카볼트를 설치공에 삽입한 확장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목적과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할 실시예를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되고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여기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한다, 가지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두께 등은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을 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단순화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즉,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기된 참조부호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를 설치공에 삽입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의 확장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를 설치공에 삽입한 확장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는 크게 고정볼트(1000), 확장판(2000), 탄성부재(3000), 이중 테이퍼너트(40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볼트(1000)는 헤드(10)와 나사산(11)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헤드(10)는 피착물(5000)이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산(11)과 일체로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고, 별도로 분리되는 너트의 방식일 수도 있다.
상기 확장판(2000)은 옆면이 완절히 절개되어 균등한 형태의 다면으로 분리되고 맞춰지는 낱개의 확장편(200)으로 구성된다. 이때 확장판(2000)의 조각을 이루는 확장편(200)의 개수는 유동적일 수 있다. 상기 확장편(200)은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인입구(20)와 고정볼트(1000)의 나사산(11)과 접촉하며 그 둘레를 감싸도록 곡면을 이루는 내주면(21)과 설치공(6000)과 접촉하여 확개할 때 그 내벽에 압착되도록 곡면을 이루는 압입면(22)과 압입면(22)의 중앙부를 따라 곡선으로 이루어져 탄성부재(3000)가 안착될 수 있는 끼움홈(23)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3000)는 원형 링 형태의 탄성고무소재로 그 신축성을 고려하여 확장편(200)의 압입면(22)의 합산 둘레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결속된 확장편(200)의 끼움홈(23)에 안착된다.
상기 이중 테이퍼너트(4000)는 제1 테이퍼너트(400)와 제2 테이퍼너트(4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테이퍼너트(400)와 제2 테이퍼너트(410)는 안쪽에 고정볼트(1000)의 나사산(11)과 결합되는 나사공(40)을 형성하고 바깥쪽에 결속된 확장편(200)의 인입구(20)에 내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20)의 합산 내경보다 좁게 형성되고 인입구(20) 방향으로 조여지며 결속된 확장편(200)의 인입구(20)를 확장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가면서 인입구(20)의 합산 외경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경사진 형태의 인입면(41)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는 도2 내지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6000) 바깥쪽으로 고정볼트(1000)의 헤드(10)에 피착물(5000)이 걸려 고정되고 설치공(6000) 안쪽으로 고정볼트(1000)의 나사산(11)에 낱개의 확장편(200)으로 구성된 확장판(2000)이 확장편(200)의 끼움홈(23)에 안착된 탄성부재(3000)를 통해 결속되어 원통관을 이룬다. 확장판(2000)의 상,하부에는 나사공(40)를 통해 체결된 이중 테이퍼너트(4000)가 위치한다. 이때, 이중 테이퍼너트(4000)를 구성하는 제1 테이퍼너트(400)는 그 인입면(41)이 결속된 확장편(200)의 인입구(20)와 맞닿은 형태로 확장판(2000)의 하부에 체결되며 제2 테이퍼너트(410)는 제1 테이퍼너트(400)와 대칭되어 마주보도록 확장판(2000)의 상부에 체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는 도4 내지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판(2000)의 하부에 위치한 제1 테이퍼너트(400)가 고정볼트(1000)의 나사산(11)을 타고 상승하면서 결속된 확장편(200)의 인입구(20)에 내입되고 확장판(20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 테이퍼너트(400)와 대칭되어 마주보도록 체결된 제2 테이퍼너트(410)가 결속된 확장편(200)의 반대쪽 인입구(20)에 내입되어 조여짐에 따라 결속된 확장편(200)의 상, 하부 인입구(20)가 동시에 확개됨으로써 결속된 확장편(200)의 압입면(22)이 설치공(6000)의 내벽에 전면밀착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3000)는 상기 확장판(2000)의 개폐에 따라 설치공(6000)의 직경범위 내에서 팽창하고 수축한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거쳐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이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것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고정볼트
10: 헤드
11: 나사산
2000: 확장판
200: 확장편
20: 인입구
21: 내주면
22: 압입면
23: 끼움홈
3000: 탄성부재
4000: 이중 테이퍼너트
400: 제1 테이퍼너트
410: 제2 테이퍼너트
40: 나사공
41: 인입면
5000: 피착물
6000: 설치공

Claims (2)

  1. 헤드(10)와 나사산(11)이 구비된 고정볼트(1000);
    옆면이 완절히 절개되어 균등한 형태의 다면으로 분리되고 맞춰지는 낱개의 확장편(200)으로 구성되어 원통관을 형성하는 확장판(2000);
    원형 링 형태의 탄성고무소재로 확장판(2000)의 확장편(200)을 결속시키고 확장판(2000)의 개폐에 따라 팽창하고 수축하는 탄성부재(3000);
    확장판(2000)의 하부에 위치한 제1 테이퍼너트(400)가 고정볼트(1000)의 나사산(11)을 타고 상승하면서 확장판(2000)에 내입되고 확장판(20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 테이퍼너트(400)와 대칭되어 마주보도록 체결된 제2 테이퍼너트(410)가 확장판(2000)에 내입되어 양쪽에서 확장판(2000)을 확개시키는 이중 테이퍼너트(4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2000)을 구성하는 확장편(200)은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인입구(20)와 고정볼트(1000)의 나사산(11)과 접촉하며 그 둘레를 감싸도록 곡면을 이루는 내주면(21)과 설치공(6000)과 접촉하여 확개할 때 그 내벽에 압착되도록 곡면을 이루는 압입면(22)과 압입면(22)의 중앙부를 따라 곡선으로 이루어져 탄성부재(3000)가 안착될 수 있는 끼움홈(23)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3000)는 상기 확장편(200)의 압입면(22)의 합산 둘레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결속된 확장편(200)의 끼움홈(23)에 안착되며,
    상기 이중 테이퍼너트(4000)를 구성하는 제1 테이퍼너트(400)와 제2 테이퍼너트(410)는 안쪽에 고정볼트(1000)의 나사산(11)과 결합되는 나사공(40)을 형성하고 바깥쪽에 결속된 확장편(200)의 인입구(20)에 내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20)의 합산 내경보다 좁게 형성되고 인입구(20) 방향으로 조여지며 결속된 확장편(200)의 인입구(20)를 확장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가면서 인입구(20)의 합산 외경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경사진 형태의 인입면(41)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
KR1020200154266A 2020-11-18 2020-11-18 앙카볼트 KR102529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266A KR102529282B1 (ko) 2020-11-18 2020-11-18 앙카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266A KR102529282B1 (ko) 2020-11-18 2020-11-18 앙카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728A true KR20220067728A (ko) 2022-05-25
KR102529282B1 KR102529282B1 (ko) 2023-05-03

Family

ID=8179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266A KR102529282B1 (ko) 2020-11-18 2020-11-18 앙카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2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9022B1 (ja) * 2023-03-15 2023-06-08 茂 宮古 口元管および口元管埋設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919Y1 (ko) 2001-05-23 2001-10-15 최양근 앙카볼트
KR200375859Y1 (ko) 2004-11-24 2005-03-08 정갑희 앙카볼트
KR102020153B1 (ko) * 2018-10-18 2019-09-09 윤대영 앙카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919Y1 (ko) 2001-05-23 2001-10-15 최양근 앙카볼트
KR200375859Y1 (ko) 2004-11-24 2005-03-08 정갑희 앙카볼트
KR102020153B1 (ko) * 2018-10-18 2019-09-09 윤대영 앙카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9022B1 (ja) * 2023-03-15 2023-06-08 茂 宮古 口元管および口元管埋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282B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01588B2 (en) Fastener
US4934861A (en) Attachment apparatus for external stores on thin-wall poles
US6488460B1 (en) Composite panel insert with hold out recess feature
JPH0332810Y2 (ko)
US11629798B2 (en) Pipe clamp
US5233885A (en) Axle structure for bicycles
WO1988005136A2 (en) Connecting apparatus
JP2014523829A (ja) 複合ホイールの取付装置
KR20220067728A (ko) 앙카볼트
US5213006A (en) Bicycle stem mechanism having internal rigidifying washer
JP2008525745A (ja) フランジ
KR101185765B1 (ko) 풀림 방지 플랜지 너트
US20110248232A1 (en) Universal baluster connector
JP2007024280A (ja) 防水ワッシャー
US20070152446A1 (en) Flange joint with at least one flange being mounted in a rotation allowing manner
JP4457977B2 (ja) 化粧栓
US20230264329A1 (en) Cv axle removing device
JP2022077146A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の支持装置
EP0989055A2 (en) Cycle mudguard stay & assembly
JPS6338265Y2 (ko)
JP2008057660A (ja) ボルトの仮固定構造および仮固定ボルト
JPH08290220A (ja) 中空カムシャフトの製造方法
KR200257538Y1 (ko)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JP2976182B2 (ja) 露出型弾性固定柱脚工法等に使用されるアンカーボルトの芯出し治具
JPH11351223A (ja) 埋込みナット・ボルトおよびそ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