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526U -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526U
KR20200000526U KR2020180004051U KR20180004051U KR20200000526U KR 20200000526 U KR20200000526 U KR 20200000526U KR 2020180004051 U KR2020180004051 U KR 2020180004051U KR 20180004051 U KR20180004051 U KR 20180004051U KR 20200000526 U KR20200000526 U KR 202000005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crew
ceiling
fixing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남식
Original Assignee
(주)대영에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에프에스 filed Critical (주)대영에프에스
Priority to KR2020180004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526U/ko
Publication of KR202000005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고정용 앵커를 콘크리트 천장에 고정하는 작업과 천장 시설물을 지지하는 행거와 콘크리트 고정용 앵커를 연결하는 나사봉의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 천장에 콘크리트 고정용 앵커가 확실하게 고정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공불량에 의한 고정용 앵커의 탈락 및 천장 시설물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천장에 형성한 앵커삽입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스크류 앵커; 천장 시설물을 지지하는 것으로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행거; 및 상기 스크류 앵커와 행거의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나사봉을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천장의 앵커삽입구멍과 스크류 앵커의 고정은, 스크류 앵커의 삽입부에 나사산형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나사산형 돌기가 앵커삽입구멍의 안둘레면을 나선상으로 파고들어가 밀착하는 것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 앵커와 나사봉의 연결은, 스크류 앵커의 머리부에 상기 나사봉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구멍을 형성하여 암나사구멍에 나사봉을 나사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Ceiling installation member fixing Device using screw anchor}
본 고안은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확장형 앵커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며 천장 시설물의 허용하중 부담 능력이 높아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쇼핑몰, 영화관, 빌딩 등의 건물 건축시 천장에는 전기, 환기, 구조물 등 여러 가지 시설을 위한 배관이나 덕트 같은 천장 시설물이 많이 설치되고, 천장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경우, 콘크리트 고정용 앵커를 이용하여 천장 시설물을 고정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콘크리트 고정용 앵커를 이용하여 천장 시설물(1),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가지는 배관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에는 콘크리트 고정용 앵커로서, 확장형 앵커(10)를 사용하였다.
확장형 앵커(10)의 고정은,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천장(2)에 앵커삽입구멍(2a)을 소정 깊이로 천공하고, 도 2의 (a)에서와 같이 앵커삽입구멍(2a) 내에 확장형 앵커(10)의 삽입부(11)를 삽입한다.
확장형 앵커(10)의 삽입부(11)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직경부(12a)가 형성된 앵커볼트(12)와, 앵커볼트(12)의 외측에 끼워지는 확장통체(13)로 이루어진 것으로, 앵커볼트(12)의 테이퍼직경부(12a)가 확장통체(13)로부터 노출된 상태에서 도 2의 (b)에서와 같이 앵커볼트(12)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앵커너트(14)를 조이게 되면, 확장통체(13)가 앵커삽입구멍(2a)으로 더욱 삽입되면서 절결부(13a)가 형성된 확장통체(13)의 선단부(13b)가 테이퍼직경부(12a)에 의해 확장되고, 이로 인해 확장통체(13)의 선단부(13b)가 앵커삽입구멍(2a)의 안둘레면에 강하게 가압되어 밀착함으로써 발생하는 고정력으로 콘크리트 천장(2)에 확장형 앵커(10)가 고정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구멍(41)이 형성된 연결소켓(40)의 한쪽에 확장형 앵커(10)의 앵커볼트(12)를 나사결합하고, 연결소켓(40)의 다른 한쪽에 나사봉(30)의 일단을 나사결합 한다. 나사봉(130)은 콘크리트 천장(2)과 천장 시설물(1)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긴 나사봉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되며, 천장 시설물(1)을 고정하고 있는 행거(20)의 고정브라켓(21)에 나사봉(30)의 다른 일단을 끼운 후, 고정브라켓(21)의 위,아래에서 너트(22)로 체결함으로써 천장 시설물(1)을 콘크리트 천장(2)으로부터 일정 간격 유지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확장형 앵커(10)를 사용하는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는, 확장형 앵커(10)를 콘크리트 천장(2)에 고정할 때, 앵커삽입구멍(2a)의 형성, 확장형 앵커(10)의 삽입, 망치로 확장형 앵커 3~4회 타격하여 완전 삽입, 앵커너트(14)의 조임 순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천장 시설물(1)을 지지하는 행거(20)와 확장형 앵커(10) 사이를 연결하는 나사봉(30)과 확장형 앵커(10) 사이에는 연결소켓(40)이 개재되어 확장형 앵커(10)와 나사봉(30)을 연결하도록 된 것이므로, 천장 시설물(1)의 고정 작업이 신속하지 못하여 시공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확장형 앵커(10)는 앵커삽입구멍(2a) 내에서 확장통체(13)의 선단부(13b)가 확장하는 것에 의해 앵커삽입구멍(2a)의 안둘레면을 가압하여 밀착하는 고정력이 발생하므로, 고정력 발생 부위가 확장통체(13)의 선단부(13b)에 한정되고, 이로써 천장 시설물(1)의 하중 부담 능력이 낮아 지속적으로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확장형 앵커(10)의 고정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천장 시설물(1)의 하중이 증가할수록 확장형 앵커(10)의 고정 간격을 좁혀야 하므로, 더 많은 확장형 앵커(10)의 설치로 시공성이 좋지 않고, 확장통체(13)의 선단부(13b)를 앵커볼트(12)의 테이퍼직경부(12a) 끝까지 완전히 끼워 확장시켜야 원하는 고정력을 얻을 수 있지만, 선단부(13b)가 앵커삽입구멍(102a) 내에 위치하여 확장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확장통체(13)를 완전히 삽입하지 않아 선단부(13b)의 확장이 완전하지 않은 상태로 작업을 종료할 경우, 천장 시설물(1)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공불량으로 확장형 앵커(10)가 탈락될 경우, 천장 시설물(1)과 함께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유발되고, 이로 인해 인명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고정용 앵커를 콘크리트 천장에 고정하는 작업과 천장 시설물을 지지하는 행거와 콘크리트 고정용 앵커를 연결하는 나사봉의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 천장에 콘크리트 고정용 앵커가 확실하게 고정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공불량에 의한 고정용 앵커의 탈락 및 천장 시설물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 천장에 형성한 앵커삽입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스크류 앵커; 천장 시설물을 지지하는 것으로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행거; 및 상기 스크류 앵커와 행거의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나사봉을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천장의 앵커삽입구멍과 스크류 앵커의 고정은, 스크류 앵커의 삽입부에 나사산형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나사산형 돌기가 앵커삽입구멍의 안둘레면을 나선상으로 파고들어가 밀착하는 것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 앵커와 나사봉의 연결은, 스크류 앵커의 머리부에 상기 나사봉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구멍을 형성하여 암나사구멍에 나사봉을 나사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에 의하면, 콘크리트 천장에 앵커삽입구멍을 천공한 후, 전기 임팩트 렌치를 이용하여 스크류 앵커를 회전시켜 삽입부를 앵커삽입구멍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스크류 앵커의 고정작업이 이루어지고, 스크류 앵커의 머리부에 형성한 암나사구멍에 나사봉을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스크류 앵커와 천장 시설물을 지지하는 행거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콘크리트 천장에 천장 시설물의 고정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인건비를 절감하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또한, 앵커삽입구멍에 스크류 앵커의 삽입부가 삽입될 때, 삽입부에 형성한 나사산형 돌기가 앵커삽입구멍의 안둘레면을 나선상으로 파고들어 밀착하게 되므로, 스크류 앵커의 고정력은 삽입부 전체 길이에 걸쳐 강하게 발생하게 되고, 이로써 천장 시공물의 하중 부담 능력을 높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스크류 앵커의 삽입부가 앵커삽입구멍 내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시공으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시공불량에 의한 스크류 앵커의 탈락 및 천장 시설물 추락에 따른 인명사고와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확장형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의 (a) 및 (b)는 종래의 확장형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에서 확장형 앵커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에 따른 확장형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종래에 따른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천장(102)에 형성한 앵커삽입구멍(102a)에 삽입 고정되는 스크류 앵커(110)와, 천장 시설물(101)을 지지하는 것으로 고정브라켓(121)을 구비한 행거(120)와, 상기 스크류 앵커(110)와 행거(120)의 고정브라켓(121)을 연결하는 나사봉(130)을 포함한다.
스크류 앵커(110)는 원형단면을 가지고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천장(102)의 앵커삽입구멍(102a)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111)와, 이 삽입부(111)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머리부(112)로 이루어지며, 삽입부(111)는 바깥둘레면에 나사산형 돌기(111a)가 축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머리부(112)는 축선방향 중심에 암나사구멍(1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류 앵커(110)는 높은 인장력과 전단력을 가지는 스틸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장 시설물(101)로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배관을 예시한 것으로, 이를 지지하기 위한 행거(120)는 천장 시설물(101)의 둘레를 감싸 지지하는 원형홀더(123)와, 상기 원형홀더(12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나사봉(130)과 연결하기 위한 고정브라켓(121)으로 이루어진다.
나사봉(130)은 스크류 앵커(110)와 행거(120)의 고정브라켓(121) 사이를 연결하여 콘크리트 천장(102)으로부터 천장 시설물(101)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긴 길이의 나사봉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천장(102)에 천공한 앵커삽입구멍(102a)에 스크류 앵커(110)를 고정하는 구성은, 스크류 앵커(110)의 삽입부(111)에 형성한 나사산형 돌기(111a)가 앵커삽입구멍(102a)의 안둘레면을 나선상으로 파고들어 밀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앵커삽입구멍(102a)의 내경은 스크류 앵커(110)의 삽입부(111) 외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하여 삽입부(111)의 삽입시, 삽입부(111)의 바깥둘레면에 돌출 형성한 나사산형 돌기(111a)가 앵커삽입구멍(102a)의 안둘레면을 파고들어갈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스크류 앵커(110)의 삽입부(111) 길이방향 전체에서 고정력을 발생하게 되므로, 천장 시설물(101)의 하중 부담 능력을 높일 수 있고, 스크류 앵커(110)의 삽입부(111)가 앵커삽입구멍(102a) 내에 완전히 삽입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항상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앵커(110)의 삽입부(111) 바깥둘레면에 형성한 나사산형 돌기(111a)는 나선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강한 회전력에 의해 삽입부(11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앵커삽입구멍(102a)에 삽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임팩트 렌치를 이용하여 스크류 앵커(110)의 머리부(112)를 강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크류 앵커(110)의 고정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스크류 앵커(110)와 나사봉(130)의 연결 구성은, 스크류 앵커(110)의 머리부(112)에 형성한 암나사구멍(112a)에 나사봉(130)의 일 끝단을 나사결합함으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나사봉(130)의 다른 끝단과 천장 시설물(101)을 지지하고 있는 행거(120)의 고정브라켓(121)과의 연결은, 나사봉(130)의 다른 끝단을 고정브라켓(21)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끼워 넣은 후, 고정브라켓(121)의 상,하 위치에서 너트(122)를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로써 천장 시설물(101)을 콘크리트 천장(102)에 일정 간격 유지시킨 상태로 메달아 설치하는 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는, 스크류 앵커(110)를 콘크리트 천장(102)에 고정하는 작업과, 스크류 앵커(110)와 천장 시설물(1)을 지지하는 행거(120)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봉(130)의 연결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인건비 절감과 공기 단축 등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나사산형 돌기(111a)에 의해 스크류 앵커(110)의 고정력이 증가되어 천장 시설물(101)의 하중 부담 능력을 높일 수 있음에 따라, 안전성이 확보되어 스크류 앵커(110)의 탈락에 따른 천장 시설물(101)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인명사고와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1 : 천장 시설물 102 : 콘크리트 천장
102a : 앵커삽입구멍 110 : 스크류 앵커
111 : 삽입부 111a : 나사산형 돌기
112 : 머리부 112a : 암나사구멍
120 : 행거 121 : 고정브라켓
130 : 나사봉

Claims (1)

  1. 콘크리트 천장에 형성한 앵커삽입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스크류 앵커;
    천장 시설물을 지지하는 것으로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행거; 및
    상기 스크류 앵커와 행거의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나사봉을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천장의 앵커삽입구멍과 스크류 앵커의 고정은, 스크류 앵커의 삽입부에 나사산형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나사산형 돌기가 앵커삽입구멍의 안둘레면을 나선상으로 파고들어가 밀착하는 것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 앵커와 나사봉의 연결은, 스크류 앵커의 머리부에 상기 나사봉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구멍을 형성하여 암나사구멍에 나사봉을 나사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
KR2020180004051U 2018-08-30 2018-08-30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 KR202000005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51U KR20200000526U (ko) 2018-08-30 2018-08-30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51U KR20200000526U (ko) 2018-08-30 2018-08-30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26U true KR20200000526U (ko) 2020-03-10

Family

ID=6976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051U KR20200000526U (ko) 2018-08-30 2018-08-30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52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6624B2 (en) Linearly extendible impact anchor driving pole and anchor system
US20170058932A1 (en) Expansion Anchor
GB2478952A (en) Fixing Element
WO2007069630A1 (ja) 機械式ブラインド拡開ボードアンカー
US11486430B2 (en) Radially expanding post extender
US11852177B2 (en) Shallow undercut concrete anchor
US4250681A (en) Removable and reusable anchor and method
KR20100127119A (ko) 셋트 앙카볼트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시공방법
US20170167139A1 (en) Shallow undercut concrete anchor
KR20140071621A (ko) 단열재용 유니버셜 인서트
KR20200000526U (ko)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시설물 고정장치
KR102020153B1 (ko) 앙카세트
US20140252292A1 (en) Balcony blockout insert
JP2010203097A (ja) 壁面ボルト固定部材とその取り付け工法
JP7290644B2 (ja) 設備を土木構造物にアンカー固定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4011678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固定ボルト
CA2497758C (en) Expansion anchor
KR102307075B1 (ko) 전산볼트가 고정되어진 공동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 및 이의 앙카시공방법
JP3227733U (ja) インサート位置ボルト
JP2005090220A (ja) 筒状建築材、建築材取付具および建築材の施工方法
KR200490187Y1 (ko) 앵커볼트
JP2015014311A (ja) 埋め込み中空アンカー
AU2021240243A1 (en) Anchoring system for a building element on a structure
US20170275871A1 (en) Low pry seismic fitting
CN115596751A (zh) 一种建筑施工中的锚固连接件及锚固连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