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058B1 - 등주의 나무외장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등주의 나무외장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058B1
KR100974058B1 KR1020070133022A KR20070133022A KR100974058B1 KR 100974058 B1 KR100974058 B1 KR 100974058B1 KR 1020070133022 A KR1020070133022 A KR 1020070133022A KR 20070133022 A KR20070133022 A KR 20070133022A KR 100974058 B1 KR100974058 B1 KR 100974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lumn
wooden
male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629A (ko
Inventor
신상희
Original Assignee
신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희 filed Critical 신상희
Priority to KR102007013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0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03Access covers or lock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이나 신호등 과 같은 등주에 나무와 같은 외부장식을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주 둘레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고정캡의 내경에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캡의 나사 조립에 의해 상기 나무외장 상단을 신속, 간편하게 결합하는 지주의 외부장식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은 등주(10)에 복수개로 나누어진 나무외장(16) 상부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등주(10)의 둘레에 수나사부(24)와, 상기 나무외장(16)의 상단 일부를 씌움 삽입하고 중앙부에 상기 등주(10)가 삽입되는 등주홀(22)을 갖으며, 내경에 상기 수나사부(24)에 대응되는 암나사부(23)를 형성한 고정캡(20)을 구성하여, 상기 등주(10)의 둘레에 나무외장(16)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20)을 상기 수나사부(24)에 나사결합하여 나무외장(16)의 상단에 씌워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주, 나무외장, 고정캡, 나사결합

Description

등주의 나무외장 결합 구조{Facing of a Road Pole}
본 발명은 가로등이나 신호등 과 같은 등주에 나무와 같은 외부장식을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주 둘레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고정캡의 내경에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캡을 등주의 수나사부에 나사 조립함으로써 나무외장의 손상없이 상기 나무외장을 신속, 간편하게 결합하는 등주의 나무외장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로된 가로등 등주가 항상 차가운 느낌을 주고, 또 전기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가 종종 발생함에 따라 공원이나 거리에 설치되는 가로등 등주에 나무외장을 부착하여 따뜻하고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갖도록 하고, 또 나무의 절연성을 통해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나무외장을 가로등 등주에 부착할 때 종래에는 복수의 조각으로된 나무외장을 등주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부에 나무외장 조각의 하단을 결합한 후 상부에 캡을 씌운후 캡에서 목재로 피스를 틀어박거나 또는 캡 없이 직접 목재를 등주에 피스로 틀어박아 고정하였다.
이러한 결합방법에 의해 나무외장이 등주에 결합되면 시간이 지나면서 목재 가 습기를 머금었다 건조되는 현상을 반복하여 뒤틀리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되기 시작한다. 특히 나무가 갈라지는 현상은 피스가 틀어박히면서 발생된 흠집에서부터 시작하게 되고, 또 이에 빗물이 유입되게 되면 부식이 심화되어 견고성이 취약해지기 때문에 갈라짐 현상은 더욱더 빠르게 진행된다. 결국 나무외장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그로인해 나무외장의 교체주기가 짧아져 유지관리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또한, 나무외장을 등주에 부착하는 공정, 즉, 등주의 설치 후 그 둘레에 복수의 나무외장 조각을 밀칙시키고 캡을 씌운 후 나무외장을 피스로 일일이 틀어박는 공정이 매우 더디고 힘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나무외장의 상부 쪽 등주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이에 고정캡을 나사결합하여 나무외장에 흠집을 내지않고 결합하도록 하여, 건 습의 반복적 현상에 의해 나무의 뒤틀림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나무외장의 특정부위가 갈라지거나 썩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므로 나무외장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작업이 보다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주의 외부장식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등주에 나무외장 상부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등주의 둘레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상기 등주가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내경에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둘레에는 상기 나무외장의 상단 둘레를 씌워 고정하는 고정캡을 구성하여,
상기 등주의 둘레에 나무외장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을 나사결합에 의해 나무외장의 상단에 씌워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나무외장의 하단부가 받침부의 지지홈에 고정된 후 그 상부는 등주의 수나사부에 체결되어 나사회전에 의해 하강하는 고정캡에 씌워져 마감되므로 나무외장 결합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나무외장이 종래와 같이 조금의 흠집이 발생되지 않고 고정되므로 건 습의 반복에 의해 발생되는 뒤틀림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나무외장의 특정부위가 갈라지거나 썩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나무외장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 이러한 효과에 의해 유지보수비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주의 외부장식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외부장식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등주(10)는 직경이 큰 하부몸체(11b)와 그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몸체(11a)로 구성된다. 상부몸체(11a)와 하부몸체(11b)의 연결은 용접결합에 의해 일체화 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11b)의 상단부 내경에 플랜지(12b)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 결합되는 상부몸체(11a)의 하단 둘레에 플랜지(12a)를 형성하여 서로 플랜지(12a)(12b)를 포갠 후 볼트(14)로 체결하여 일체화 한다. 특히 상부몸체(11a)의 하단부를 연장하여 상기 하부몸체(11b)의 플랜지(12b)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시킴과 동시에 상부몸체(11a)의 내부에 오목한 지지체(15)를 설치하여 상기 삽입된 상부몸체(11a)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나무외장(16)은 주로 상기 하부몸체(11b)의 둘레에 씌워지며, 적어도 둘 이상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무외장(16)이 결합되는 등주(10)의 하부몸체(11b) 하부에는 지지홈(18)을 상부에 구비한 하부받침(17)을 구성하여 상기 나무외장(16)의 하단부를 상기 지지홈(18)에 삽입 고정하고, 상부에는 고정캡(20)이 구성되어 나무외장(16)의 상단부를 씌워 고정함으로써 나무외장(16)을 등주(10)의 둘레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한다.
특히, 상기 고정캡(20)은 내부에 등주(10) 즉, 상부몸체(11a)가 삽입되는 등주홀(22)을 형성하고, 이 등주홀(22)의 내경에 암나사부(23)를 형성한다. 또 등주(10)의 둘레에는 상기 암나사부(23)와 대응되는 수나사부(24)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캡(20)의 암나사부(23)를 수나사부(24)에 체결하는 것이며,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캡(20)은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나무외장(16)의 상단부를 씌워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등주(10) 즉, 상부몸체(11a)에 형성되는 수나사부(24)는 등주(10) 상부몸체(11a)의 외경을 내경으로 하는 별도의 링형 부재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것으로, 이를 등주(10)의 둘레에 끼워 용접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며, 상기 암나사부(23)는 링형 부재의 내경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캡(20)의 등주홀(22) 내측에 용접결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고정캡(20)의 등주홀(22) 상단과 등주(10)의 사이에는 서로간의 틈새를 없애기 위해 패킹(26)이 개재되며, 이 패킹(26)에 의해 빗물이나 결로현상 등으로 인해 등주(10)를 타고 내려오는 물의 유입이 방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식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단면 도이고, 도 4는 도 3의 외부장식을 부분 결합한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외부장식을 결합 완료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고정캡(30)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고정캡(30)이 수나사부(24)에 나사결합될 때 나사회전하는 상기 고정캡(30)의 하단 둘레가 나무외장(16)의 상단둘레에 간섭을 받아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고, 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캡(30) 하단 내경을 크게 하면 나무외장(16) 둘레와 고정캡(30)의 하단 사이의 유격이 커져 나무외장(16)이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캡(30)을 제1캡(31a)과 제2캡(31b)으로 구성하였다. 즉,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캡(30)은, 상기 나무외장(16)의 상단을 씌워 흔들림 유격없이 1차고정하는 제1캡(31a)과; 등주(10)의 상부몸체(11a)가 삽입되는 등주홀(22)을 갖고 그 내경에 상기 수나사부(24)와 대응 결합되는 암나사부(23)를 구비하여 상기 나사조립에 의해 상기 제1캡(31a)의 상부를 하부로 가압하는 제2캡(31b)으로 구성한다.
이 구조에 의해 나무외장(16)들을 등주(10)의 하부몸체(11b) 외주면에 밀착시킨 후 그 상단에 제1캡(31a)을 씌워 상기 나무외장(16)을 정렬시켜 1차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제2캡(31b)을 등주(10)의 수나사부(24)에 나사결합하면 상기 제2캡(31b)이 나사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제1캡(31a)의 상단을 눌러 가압한다. 제1캡(31a)은 이미 나무외장(16)의 상단에 씌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제2캡(31b)에 의해 약간의 회전을 할 수도 있으나, 더 이상의 유동은 없으며, 나무외장(16)의 정렬상 태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결국 제2캡(31b)이 제1캡(31a)의 상단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제1캡(31a)은 나무외장(16)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한편, 상기 제2캡(31b)이 제1캡(31a)의 상부에 포개어지게 되면 그 둘레가 돌출되어 층을 이루게 되어 디자인의 완성도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캡(31a)의 상부 둘레에 상기 제2캡(31b)의 둘레 하단이 접하는 단턱(32)을 형성하여 상기 제2캡(31b)이 제1캡(31a)에 밀착되면, 제2캡(31b)의 둘레 하단이 상기 단턱(32)에 대응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즉, 외관적으로는 약간의 경계선만 보일 뿐이므로 디자인적 완성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캡(31b)이 나사회전에 의해 하강하여 제1캡(31a)을 가압할 때 그 접촉면이 완만한 곡면을 형성하여 이 곡면에 포개어지도록 구성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캡(31a)의 상단에 접촉곡면(33)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2캡(31b)의 저면에는 나사조임 조작을 통해 상기 접촉곡면(33)의 상부를 가압하는 오목한 가압곡면(34)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형상의 곡면에 의해 상기 제2캡(31b)이 나사회전하여 하강하게 되면 그 저면의 가압곡면(34)이 제1캡(31a) 상부의 접촉곡면(33)을 포개어 가압하게 된다. 초기에는 가압곡면(34)의 하단 둘게가 접촉곡면(33)의 상면을 접촉하여 누르게 된다. 상기 제2캡(31b)의 나사회전이 진행되면서 더욱더 하강하게 되면 미세하지만 상기 가압곡면(34)이 외부로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제1캡(31a)의 접촉곡면(33)에 밀착되게 되어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접촉구조에 의해 상기 제2캡(31b)의 가압력은 제1캡(31a)에 넓은 면적으로 고르게 작용하게 되어 결국 제1캡(31a)과 제 2캡(31b)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캡(30)의 제2캡(31b) 내경 상부와 등주(10) 사이에도 패킹(26)이 개재되어 방습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나무외장은 그 재질을 나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합성수지재도 포함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주의 외부장식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외부장식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식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단면도.
도 4는 도 3의 외부장식을 부분 결합한 상태도.
도 5는 도 4의 외부장식을 결합 완료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등주 11a,11b - 상부 및 하부몸체
12a,12b - 플랜지 14 - 볼트
15 - 지지체 16 - 나무외장
17 - 하부받침 18 - 지지홈
20 - 고정캡 22 - 등주홀
23 - 암나사부 24 - 수나사부
26 - 패킹 30 - 고정캡
31a,31b - 제1캡과 제2캡 32 - 단턱
33 - 접축곡면 34 - 가압곡면

Claims (5)

  1. 삭제
  2. 등주(10)에 복수개로 나누어진 나무외장(16) 상부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등주(10)의 둘레에 수나사부(24)와,
    상기 나무외장(16)의 상단 일부를 씌움 삽입하고 중앙부에 상기 등주(10)가 삽입되는 등주홀(22)을 갖으며, 내경에 상기 수나사부(24)에 대응되는 암나사부(23)를 형성한 고정캡(20)을 구성하여,
    상기 등주(10)의 둘레에 나무외장(16)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20)을 상기 수나사부(24)에 나사결합하여 나무외장(16)의 상단에 씌워 마감하되,
    상기 고정캡은, 상기 나무외장(16)의 상단을 씌움 삽입하여 일체화하는 제1캡(31a)과;
    내경에 상기 수나사부(24)와 대응 결합되는 암나사부(23)를 구비하여 상기 나사조립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제1캡(31a)의 상부를 가압하는 제2캡(31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의 외부장식 결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31a)의 상부 둘레에 상기 제2캡(31b)의 하단 이 걸림되는 단턱(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의 외부장식 결합구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31a)의 상단에 접촉곡면(33)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2캡(31b)에는 나사조임 조작을 통해 상기 접촉곡면(33)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곡면(3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의 외부장식 결합구조.
  5. 삭제
KR1020070133022A 2007-12-18 2007-12-18 등주의 나무외장 결합 구조 KR100974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022A KR100974058B1 (ko) 2007-12-18 2007-12-18 등주의 나무외장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022A KR100974058B1 (ko) 2007-12-18 2007-12-18 등주의 나무외장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629A KR20090065629A (ko) 2009-06-23
KR100974058B1 true KR100974058B1 (ko) 2010-08-06

Family

ID=4099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022A KR100974058B1 (ko) 2007-12-18 2007-12-18 등주의 나무외장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039B1 (ko) * 2013-02-14 2013-05-08 (주)세광산업조명 방수커버가 구비된 2중 구조의 감전예방 가로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504A (ja) * 1995-02-28 1996-09-10 Ooderitsuku Kk 人工埋木外装照明柱
KR100370465B1 (en) 2002-08-17 2003-02-05 Hynyang Frame Co Ltd Structure for supporting guide plate
KR20030073224A (ko) * 2002-03-09 2003-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막 식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및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373224Y1 (ko) * 2004-10-28 2005-01-14 조성봉 가로등 지주의 결합 구조
KR100720649B1 (ko) * 2006-10-10 2007-05-23 에이컴조명 주식회사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504A (ja) * 1995-02-28 1996-09-10 Ooderitsuku Kk 人工埋木外装照明柱
KR20030073224A (ko) * 2002-03-09 2003-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막 식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및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370465B1 (en) 2002-08-17 2003-02-05 Hynyang Frame Co Ltd Structure for supporting guide plate
KR200373224Y1 (ko) * 2004-10-28 2005-01-14 조성봉 가로등 지주의 결합 구조
KR100720649B1 (ko) * 2006-10-10 2007-05-23 에이컴조명 주식회사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039B1 (ko) * 2013-02-14 2013-05-08 (주)세광산업조명 방수커버가 구비된 2중 구조의 감전예방 가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629A (ko) 200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494Y1 (ko) 조립형 목재 난간
JP2014508262A (ja) ボルト及びナット二重保護キャップ
KR200441343Y1 (ko)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KR100974058B1 (ko) 등주의 나무외장 결합 구조
KR200473516Y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연결구조
FR1465089A (fr) Lanterneau-coupole à double paroi
KR200402529Y1 (ko) 조립식 지주 구조
KR100942245B1 (ko) 조립식 하부구조를 갖는 가로등
KR100879604B1 (ko) 박스 커버 일체형 커넥터
KR100876949B1 (ko)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CN201535069U (zh) 一种栓孔模套
KR101029360B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KR200236851Y1 (ko) 난간용 지주의 캡
KR200322223Y1 (ko) 조합시설물용 목재기둥의 고정구조
CN204266242U (zh) 一种盖、座一体的窨井盖或水箅
KR20080079360A (ko)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KR200335518Y1 (ko)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기둥부재
KR101588370B1 (ko) 방부가 가능한 조립용 목재 데크
KR200409521Y1 (ko) 가로등 지주용 연결부 커버
KR200372218Y1 (ko) 가로등주
KR200223680Y1 (ko) 일체형 앵커 플레이트가 부착된 난간지주
KR200361560Y1 (ko) 가로등 장식구
KR200372220Y1 (ko) 가로등주
KR200210981Y1 (ko) 국기봉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