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746Y1 -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746Y1
KR200224746Y1 KR2020000034882U KR20000034882U KR200224746Y1 KR 200224746 Y1 KR200224746 Y1 KR 200224746Y1 KR 2020000034882 U KR2020000034882 U KR 2020000034882U KR 20000034882 U KR20000034882 U KR 20000034882U KR 200224746 Y1 KR200224746 Y1 KR 200224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racket
fixing
mol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성
Original Assignee
박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성 filed Critical 박영성
Priority to KR2020000034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746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몰드(300)의 하부 플랜지(310)에 설치되어지는 고정구의 너트 고정부(500)의 구조를 개선하여 너트(52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너트 고정부(500)의 손상을 방지하여 고정구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킨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상부몰드의 상부 플랜지에 설치되어진 볼트 고정부와 대응되는 너트 고정부를 하부몰드의 하부 플랜지에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310)의 관통공(311) 저부에 일측방으로 트여진 브라켓(51 0)을 설치하되, 상기 브라켓(510)의 내측에 너트(520)의 가장자리가 슬라이드 삽탈되는 삽입홈(511)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510)의 양측 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탄착공(512)을 각각 형성한 다음, 상기 탄착공(512)에 스프링(514)의 탄발력에 의해 일부가 브라켓(510)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너트(5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볼(513)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A mold fixture for file curing}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지반강화 또는 지반보강을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몰드의 하부 플랜지에 설치되어지는 고정구의 너트 고정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너트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너트 고정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고정구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는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반강화 또는 지반보강을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파일양생용 몰드는 도 1과 같이 상,하부몰드(101)(102)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몰드(101) (102)의 양단에는 상,하부플랜지(103)(104)가 각각 형성되어지고, 상기 두 플랜지 (103)(104)의 여러 적소에는 볼트 및 너트타입의 고정구(1)가 설치되어 상기 두 플랜지(103)(104)를 착탈시킨다.
여기에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고정구(1)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상부몰드(101)의 상부플랜지(103)에 설치되는 볼트 고정부는 그 하부에 나사부(22)와, 그 상부에 걸림환턱(21)을 갖는 볼트(2)가 스프링 지지부(12)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탄지스프링(3)에 의해 탄지 결합된 채로 상부플랜지(103)에 형성된 관통공(103a)의 상부에 볼트지지용 고정판(11)이 용접고정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부(12)에는 내경이 단차져 걸림턱(14)이 형성되고, 그 상부 양측에는 해탈공 (15)이 형성되며, 하부가 나사(16)형성되어 상부플랜지(103)의 관통공(103a) 상부 에 융착되는 볼트지지용 고정판(11)과 상호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트 (2)의 걸림환턱(21)에는 단조되어 고정 C링(17)이 끼워져 스프링 지지부(12)의 걸림턱(14)에 상호 괴지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하부몰드(102)의 하부플랜지(104)에 설치되는 너트 고정부는 하부플랜지(104)의 관통공(104a) 직하방에 그 하단 내주면으로 스프링 고정홈(51)이 구비된 너트 브라켓(50)이 용접설치되는데, 상기 너트 브라켓(50)의 저부에서 그 내측으로 볼트(2)의 나사부(22)와 대응되는 너트(5)를 삽입한 다음, 상기 스프링 고정홈(51)에 너트 고정핀(52)을 끼워 너트(5)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오랜 사용으로 너트(5)가 마모되었을 시에는 볼트(2)와의 체결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두 플랜지(103)(104)의 사이가 이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너트(5)를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며, 이때 상기 스프링 고정홈(51)으로부터 너트 고정핀(52)을 해제하여 너트 브라켓(50) 내부의 너트(5)를 분리한 다음, 새로운 너트(5)를 삽입하여 스스링 고정홈(51)에 너트 고정핀(52)을 재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구에 있어서 특히, 종래 너트 고정부의 너트 브라켓 (50)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이것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변형되었을 시에는 너트 브라켓(50)으로 부터 너트(5)가 분리되지 않아 너트 브라켓(50) 전체를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종래에는 상기 너트 브라켓(50)의 스프링 고정홈 (51)에 설치되어진 너트 고정핀(52)에 의해 너트(5)의 이탈이 방지되기 때문에 오랜 사용으로 너트 고정핀(52)의 탄발력이 저하되었을 시에는 너트(5)에 가해지는 약한 충격에도 너트 고정핀(52)이 이탈되어 너트 브라켓(50)으로부터 너트(5)가 탈락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하부몰드의 하부 플랜지에 설치되어지는 고정구의 너트 고정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너트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너트 고정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고정구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는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구가 설치되어진 파일양생용 몰드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고정구를 발췌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너트 고정부를 발췌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의 (a)와 (b)는 너트 고정부의 동작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5의 (a)와 (b)는 너트 고정부의 동작상태를 보인 파일양생용 몰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상부몰드 210:상부플랜지
300:하부몰드 310:하부플랜지
400:볼트 고정부
500:너트 고정부 510:브라켓
511:삽입홈 512:탄착공
513:고정볼 514:스프링
520:너트 521:연장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몰드의 상부 플랜지에 설치되어진 볼트 고정부와 대응되는 너트 고정부를 하부몰드의 하부 플랜지에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의 관통공 저부에 일측방으로 트여진 브라켓을 설치하되, 상기 브라켓의 내측에 너트의 가장자리가 슬라이드 삽탈되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의 양측 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탄착공을 각각 형성한 다음, 상기 탄착공에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일부가 브라켓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너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볼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너트의 저부에 이보다 직경이 다소 작은 소정길이의 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너트 고정부를 발췌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의 (a)와 (b)는 너트 고정부의 동작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이며, 도 5의 (a)와 (b)는 너트 고정부의 동작상태를 보인 파일양생용 몰드의 단면도이다.
먼저, 상부몰드(200)의 상부플랜지(210)에 설치되는 볼트 고정부(400)는 그 하부에 나사부(411)와, 그 상부에 걸림환턱(412)을 갖는 볼트(410)가 스프링 지지부(420)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탄지스프링(430)에 의해 탄지 결합된 채로 상부플랜지(210)에 형성된 관통공(211)의 상부에 볼트지지용 고정판(440)이 용접고정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부(420)에는 내경이 단차져 걸림턱(421)이 형성되고, 그 상부 양측에는 해탈공(422)이 형성되며, 하부가 나사(423) 형성되어 상부플랜지(210)의 관통공(211) 상부에 융착되는 볼트지지용 고정판(440)과 상호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트(410)의 걸림환턱(413)에는 단조되어 고정 C링(450)이 끼워져 스프링 지지부(420)의 걸림턱(421)에 상호 괴지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하부몰드(300)의 하부플랜지(310)에 설치되면서 상기 볼트 고정부 (400)와 상호 대응되는 너트 고정부(500)는 상기 하부 플랜지(310)의 관통공(311) 저부에 일측방으로 트여진 브라켓(510)을 용접 설치하는데, 상기 브라켓(510)은 디귿자 형상으로 그 내측에 너트(520)의 가장자리가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삽탈되도록 삽입홈(511)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510)의 양측 단부에는 상호 대향되게 탄착공(512)이 각각 형성되어지되, 상기 탄착공(512)의 내측부는 직경을 다소 작게 형성되어 고정볼(513)의 일부가 브라켓(510)의 내측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탄착공 (512)의 내측에 스프링(514)가 설치되어 고정볼(513)을 소정의 힘으로 탄압하는 한편, 상기 탄착공(512)의 외측으로는 고정볼트(515)가 체결되어 그 내부에 설치되어진 고정볼(513)과 스프링(514)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511)을 따라 슬라이드 삽탈되는 너트(520)의 저부에 이보다 직경이 다소 작은 소정길이의 연장부(521)가 형성되어 브라켓(510)으로의 너트(520)의 삽탈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부플랜지(210)에 설치되는 볼트 고정부(400)는 볼트(410)의 하부로부터 상부측 스프링지지편(460)과 탄지스프링(430), 스프링 지지부(420)가 나사결합된 볼트지지용 고정판 (440)을 순차적으로 끼우고, 상기 볼트지지용 고정판(440)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탄지 스프링(430)을 압축시키는 상태로 볼트지지용 고정판(440)을 상부로 밀어주면 볼트(410)의 나사부(411)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환턱(413)이 볼트지지용 고정판(440)의 하부로 노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C링(450)을 나사부(411)의 하부로부터 회전시키거나 또는 강제로 끼워 걸림환턱(41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끼운 다음, 볼트지지용 고정판(440)을 놓아주면 탄지 스프링(430)의 탄발력에 의해 볼트지지용 고정판(440) 및 그와 나사 결합된 스프링 지지부(420)가 하강하면서 스프링 지지부(420)의 내면의 걸림턱(421)이 상기 고정C링(450)에 걸려 더 이상 후퇴하지 못하고 간단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도 4의 (a)와 같이 하부몰드(300)의 하부플랜지(310)에 설치되어지는 너트 고정부(500)는 하부 플랜지(310)의 관통공(311) 저부에 브라켓(510)이 용접 설치되는데, 상기 브라켓(510)의 양측에 형성되어진 탄착공(512)의 내측부에 그 일부가 브라켓(510)의 내측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볼(513)이 설치되고, 이와 연이어 상기 탄착공(512)의 내측에는 고정볼(513)을 소정의 힘으로 탄압할 수 있게 스프링(514)이 설치된 다음, 상기 탄착공(512)에 고정볼트(515)가 체결되어 그 내부에 설치되어진 고정볼(513)과 스프링(514)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 다음, 도 4의 (b) 및 도 5의 (b)와 같이 하부몰드(300)의 하부플랜지 (310)에 형성되어진 관통공(311) 저부에 일측방으로 트여진 브라켓(510)을 용접 설치한 다음, 상기 브라켓(510)의 삽입홈(511)을 따라 너트(520)를 슬라이드시키게 되는데, 이때 너트(520)의 양측면에 의해 탄착공(512) 외부로 돌출된 고정볼(513)이 그 내부로 압입되며, 상기 고정볼(513)이 압입된 상태에서 브라켓(510)에 너트 (520)를 계속 슬라이드시키게 되면 너트(520)가 브라켓(510) 내부에 완전히 안착됨과 동시에 도 5의 (b)와 같이 스프링(514)의 탄발력에 의해 고정볼(513)이 다시 돌출되어 너트(520)가 브라켓(510)의 삽입홈(5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너트(520)의 저부에는 이보다 직경이 다소 작은 소정길이의 연장부(52 1)가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510)으로 내부로 너트(520)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510)에 삽입된 너트(520)가 볼트(410)와의 잦은 사용으로 인하여 마모되었을 시에는 너트(520)의 연장부(521)를 잡고 브라켓(510)의 측방으 로 힘을 가하게 되는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너트(520)의 양측면에 의해 탄착공 (512) 외부로 돌출된 고정볼(513)이 그 내부로 압입되며, 상기 고정볼(513)이 압입된 상태에서 브라켓(510)에 너트(520)를 계속 슬라이드시키게 되면 너트 (520)가 브라켓(510) 내부로부터 완전히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514)의 탄발력에 의해 고정볼(513)이 다시 돌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부몰드(300)의 하부 플랜지(310)에 설치되어지는 고정구의 너트 고정부(500)의 구조를 개선하여 너트(52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너트 고정부(500)의 손상을 방지하여 고정구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킨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몰드의 상부 플랜지에 설치되어진 볼트 고정부와 대응되는 너트 고정부를 하부몰드의 하부 플랜지에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310)의 관통공(311) 저부에 일측방으로 트여진 브라켓 (510)을 설치하되, 상기 브라켓(510)의 내측에 너트(520)의 가장자리가 슬라이드 삽탈되는 삽입홈(511)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510)의 양측 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탄착공(512)을 각각 형성한 다음, 상기 탄착공(512)에 스프링(514)의 탄발력에 의해 일부가 브라켓(510)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너트(5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볼(513)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520)의 저부에 이보다 직경이 다소 작은 소정길이의 연장부(5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KR2020000034882U 2000-12-13 2000-12-13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KR200224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882U KR200224746Y1 (ko) 2000-12-13 2000-12-13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882U KR200224746Y1 (ko) 2000-12-13 2000-12-13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572A Division KR20020046900A (ko) 2001-06-07 2001-06-07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746Y1 true KR200224746Y1 (ko) 2001-05-15

Family

ID=7306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882U KR200224746Y1 (ko) 2000-12-13 2000-12-13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7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883A (ko) * 2017-12-12 2019-06-20 정양수 파우치 열융착 접합기의 열접합 금형 결합 구조
WO2022065996A1 (ko)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883A (ko) * 2017-12-12 2019-06-20 정양수 파우치 열융착 접합기의 열접합 금형 결합 구조
KR102085895B1 (ko) * 2017-12-12 2020-03-06 정양수 파우치 열융착 접합기의 열접합 금형 결합 구조
WO2022065996A1 (ko)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262B1 (ko) 고정구
US5361925A (en) Terminal box
KR101850986B1 (ko) 풀림 방지 너트
KR200224746Y1 (ko)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KR20020046900A (ko)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KR100592091B1 (ko) 탄성편을 이용한 맨홀덮개 잠금장치
US20030022747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an articulation pin for a chain particularly for bicycles
KR200439245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GB2189858A (en) Retaining components to tools
KR100439067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US6113196A (en) Detachable luggage wheel
EP0989055A2 (en) Cycle mudguard stay & assembly
KR950005803Y1 (ko) 지그 고정장치
KR100448336B1 (ko) 차량용 도어글라스 그립
KR200292672Y1 (ko)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KR200245070Y1 (ko) 잠금장치
JP3038838U (ja) ソケットレンチおよびそのボルト・ナット保持具
KR200277283Y1 (ko) 드라이버의 손잡이 체결구조
JP3517199B2 (ja) スプリングプランジャ用レンチ
KR200255992Y1 (ko) 넛트
KR200153515Y1 (ko)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 소켓
KR200282018Y1 (ko) 핀 고정장치
KR200314984Y1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간격 유지구
KR200327355Y1 (ko) 와이퍼 어뎁터의 체결장치
KR860000560Y1 (ko) 가방 손잡이의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