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070Y1 -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070Y1
KR200245070Y1 KR2019980028378U KR19980028378U KR200245070Y1 KR 200245070 Y1 KR200245070 Y1 KR 200245070Y1 KR 2019980028378 U KR2019980028378 U KR 2019980028378U KR 19980028378 U KR19980028378 U KR 19980028378U KR 200245070 Y1 KR200245070 Y1 KR 200245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lid
block
pi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999U (ko
Inventor
최지호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이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이노텍(주)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2019980028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07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070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체를 신속,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력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는 조립체(32)에 고정되고 통과공(54)이 형성된 고정블록(52)에 조립체(32)의 뚜껑(30)이 체결되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록(52)에 삽입되는 고정핀(56)을 구비하는 고정핀부(50)를 뚜껑(30)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56)이 통과공(5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체결유지부(60)가 조립체(32)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도구없이 조립체에 뚜껑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잠금장치
본 고안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체를 신속,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력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장치에는 여러 가지 부품을 사용하며 각 부품을 조립하기 위해 여러종류의 체결수단이 사용된다. 종래에는 주로 나사,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류 또는 래치와 같은 화스너(fastener)류가 사용되었는데 상기의 체결수단은 특별한 용구를 사용해야 하고 분해 및 조립에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분해 및 조립을 빈번히 해야 하는 조립체의 경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립체에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체결수단이 풀어지거나 손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조립체에 뚜껑이 체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잠금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종래 나사 및 1/4 턴(turn) 구성 및 이를 이용한 조립체의 조립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조립체(12)에 뚜껑(10)이 나사(14)에 의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나사(14)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결수단이다. 나사(14)를 이용하여 조립체(12)에 뚜껑(10)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조립체(12)에 뚜껑(10)을 끼운후, 나사(14)를 나사체결부에 집어넣고 드라이버로 돌려 체결한다.
일반적인 체결류로 볼트와 너트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조립체에 뚜껑을 체결하는 방식도 상기와 거의 유사하다. 즉 조립체에 뚜껑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볼트를 조립체 및 뚜껑 체결부에 동시에 삽입하고, 볼트에 너트를 끼우고 스패너를 이용하여 너트를 조여야 한다.
그런데, 조립체(12)에 따라서는 분해 및 조립을 빈번히 하여야 하는 것도 있는데, 그런 조립체(12)를 나사(14)로 체결하는 경우, 분해 및 조립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나사(14)의 나사산이 손상될 수 있어 조립체에 대한 뚜껑의 체결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조립체(12)에서 뚜껑(10)을 분해 및 조립할 때마다,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14)를 돌려야 하기 때문에, 분해 및 조립시간이 많이 걸리고 반드시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분해 및 조립이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조립체(12)에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나사(14)가 풀어지는 경우도 있어 조립체(12)에 대한 뚜껑(10)의 체결력에도 문제가 있다.
도 2a, 2b는 1/4를 회전시키면 체결되는 화스너(20)를 이용하여 조립체(12')에 뚜껑(10')을 체결한 상태도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화스너(20)를 이용하여 조립체(12')에 뚜껑(10')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조립체(12')에 뚜껑(10')을 끼운 후, 화스너 체결부에 화스너(20)를 삽입하고 1/4 원 만큼 회전시켜 조립체(12')에 뚜껑(10')을 고정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화스너에 의한 조립체의 체결의 경우에는 나사에 비해체결이 용이하기는 하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체를 신속,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력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나사에 의해 조립체에 뚜껑이 체결된 상태의 평면도.
제2a, 2b도는 종래 1/4 턴(turn)에 의해 조립체에 뚜껑이 체결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3a, 3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조립체에 뚜껑을 체결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4a, 4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유지부 압축전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4c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유지부의 압축상태의 측면도.
제5a, 5b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블록에 고정핀이 삽입되기 전과 후의 상태도.
제6a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에 의해 체결되기 전의 조립체 평면도.
제6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의 체결순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의 분해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뚜껑 31 : 홈
32 : 조립체 34 : 플랜지
50 : 고정핀부 52 : 고정블록
54 : 통과공 56 : 고정핀
58,72 : 나사 60 : 체결유지부
62,64 : 블록 65 : 링
66 : 승강핀 68 : 압축스프링
70 : 커버 74 : 나사 체결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는 조립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고정블록부와, 상기 조립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부품에 설치되고 상기 부품이 착탈되는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고정블록부에 일측이 삽입되어 부품이 조립체에 체결되게 하는 고정핀부와, 상기 조립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블록부에 상기 고정핀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품이 상기 고정핀부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체결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록부의 고정블록 일측에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부에는 상기 통과공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유지수단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승강가능하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부품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상부블록과, 상기 상부블록의 하부에 구비되는 승강핀의 승강을 안내하여 상기 상부블록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조립체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하부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압축스프링이 장착된 체결유지부의 상부블록을 누른후 고정블록과 고정핀을 체결하기 때문에, 체결후 부품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체결유지수단은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부품의 홈에 안착된다. 따라서 고정블록에 고정된 고정핀이 부착된 부품의 우측면은 상기 체결유지부에 걸려서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어 부품은 조립체에서 용이하게 분해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립체에 부품이 강력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조립체에서 부품을 분해할 때에는 고정블록에서 고정핀을 분리하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부품이 상방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조립체에서의 분해가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 3b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뚜껑(30)을 조립체(32)에 체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뚜껑(30)에 의해 차폐되는 조립체 (32) 내부의 공간 입구보다 상기 뚜껑(30)의 좌우방향(도3기준)으로의 폭이 소정 길이(G)만큼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뚜껑(30)의 좌우방향 폭이 조립체(32)의 입구보다 작더라도, 상기 조립체(32)의 내부의 공간 입구를 둘러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0)의 가장자리가 얹어질 수 있는 플랜지(34)가 형성 되어 있어 뚜껑(3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립체(32) 내부의 공간 입구 둘레에는 다수개의 고정된 고정블록(52)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블록(52)과 대응되는 뚜껑(30)의 하면에는 고정핀부 (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체(32)의 일측에는 체결유지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4b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유지부(60)의 전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c는 상기 체결유지부(60)의 압축스프링(68)이 압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의 체결유지부(60)는, 힘을 받는 상부블록(64), 상기 상부블록(64)과 연동되는 승강핀(66), 상기 승강핀(66)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블록(62), 상기 승강핀(66)의 외주연에 끼워져 승강핀(66)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압축스프링(68), 상기 하부블록(62)을 조립체에 고정하는 고정부(74)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블록(64)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받는 부분으로, 상부에서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승강핀(66)을 상기 압축스프링(6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부블록(64)의 형상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을 조립체(32)에 체결할 때 체결되는 뚜껑(30)에 의해 일부분이 걸쳐져 눌릴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ㄴ"자 형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핀(66)의 상단은 상부블록(64)에 삽입, 고정되어 있어 상부블록(64)과 승강핀(66)은 일체로 승강된다. 그리고 승강핀(66)의 하부는 하부블록(6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하부블록(62)은 좌우측으로 돌출된 고정부(74)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고정부(74)에는 나사체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를 이용하여 조립체 (32)에 체결유지부(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압축스프링(68)은 상기 승강핀(66)의 외주를 둘러 끼워져 있는데, 상기 압축스프링(68)의 하단은 하부블록(62)의 하단 커버(70)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은 승강핀(66)에 끼워진 링(6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핀(66)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승강핀(66) 외주면에 끼워진 링(65)과 하부블록 하단 커버(70)사이에서 압축스프링(68)이 압축되게 된다.
상기 커버(70)는 하부블록(62)의 하단에 나사(72)로 고정되어 압축스프링 (68)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커버(70)에는 핀(66)의 직경과 동일한 핀(66) 통과공이 구비되어 핀(66)는 통과하나, 핀(66)보다 직경이 큰 압축스프링(68)의 하단은 통과하지 못하고 지지된다.
상기한 구성의 체결유지부(60)는 조립체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어, 뚜껑(30)이 체결될 때 뚜껑(30)이 우측(도면기준)으로 밀려오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최초에 뚜껑(30)에 의해 눌러져 승강핀(66)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승강핀(66)의 하부 외주면에 삽입되어 있는 압축스프링(68)이 승강핀의 링(65)과 하부블록(62) 하단의 커버(70)에 의해 압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뚜껑(30)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블록(64)을 하방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압축스프링(68)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블록(64)과 승강핀(66)이 상방으로 움직여 상기 뚜껑 (30)의 일측에 형성된 홈(31)에 안착되어 뚜껑(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도 5a, 5b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의 고정블록(52)에 고정핀부(50)가 체결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상기 고정블록(52)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면, 고정블록(52)은 나사(58)에 의해 조립체(32)에 고정되는 하부와, 고정핀(56)이 삽입되는 통과공(54)이 구비된 상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핀부(50)는 나사(58)에 의해 뚜껑(30)의 하면에 고정되는 상부와 상기 고정블록(52)에 끼워지는 고정핀(56)이 설치된 하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블록(52)은 조립체의 4개소에 설치되어, 고정핀부 (50)가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고정핀부(50)는 상기 고정블록(52)에 대응되는 뚜껑(30)의 하면 4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블록(52)에 끼워져 뚜껑(30)을 조립체(32)에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록(52)의 통과공(54)에 고정핀부(50)의 고정핀(56)이 삽입되면 고정블록(52)이 장착된 조립체(32)와 고정핀부(50)가 장착된 뚜껑(30)이 체결되게 된다.
도 6a는 조립되기 전 조립체(32)의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내부에는 체결유지부(60)가 설치되어 있고, 상측 및 하측 내부 4개소에는 고정블록(52)이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뚜껑(3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플랜지(34)가 조립체(32)의 내부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어 있다.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조립체(32)에 뚜껑(30)을 체결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체결될 뚜껑(30)을 조립체(32)의 우측에 위치한 체결유지부(60)에 얹어놓고 하방으로 누른다. 이때, 상기 뚜껑(30)의 홈(31) 가장자리에 상기 상부블록(64)의 상면이 걸쳐지게 한다. 그러면, 뚜껑(30)이 체결유지부 (60)의 상부블록(64)의 "ㄴ"자 홈에 걸쳐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블록(64)이 힘을 받음에 따라 승강핀(66)이 압축스프링(68)을 압축시키면서 하부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핀부(50)의 고정핀(56)이 고정블록(52)의 홈(54)에 끼워지도록 뚜껑(30)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민다. 이때 상기 뚜껑(30)은 상기 플랜지(34)상에 얹어진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뚜껑(30)을 밀면 뚜껑(30)이 체결유지부(60)의 상부블록(64)을 하방으로 더 이상 누르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체결유지부(60)의 압축스프링(68)의 복원력에 의해 체결유지부(60)의 상부블록(64)과 핀(66)이 상방으로 복원되어 상부 블록(64)이 뚜껑(30)의 홈(3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뚜껑(30)은 체결유지부(60)의 상부블록(64)에 걸려 우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체결유지부(60)의 상부블록(64)을 하방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이상 외부에서 조립체(32)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만으로는 뚜껑(30)이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아, 상기 고정핀(56)이 통과공(54)으로 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에 의해 조립체(32)에 뚜껑(30)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고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체결이 가능하다. 그리고 빈번한 조립 및 분해에도 소모되는 구성요소가 없고 상술한 바 와 같이 체결력도 우수하다.
한편, 도 7은 상기와 같이 체결된 뚜껑(30)을 조립체(32)에서 분해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의 홈(31) 외부로 돌출된 상부블록(64)을 손으로 눌러주면, 상기 홈(31) 내에 안착되어 있던 상부블록(64)이 상기 압축스프링(6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승강핀(66)과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뚜껑(30)이 상기 조립체(32)에 대해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30)은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을 이동시키면 상기 고정블록(52)에서 고정핀(50)이 분리되고, 상기 뚜껑(30)의 우측면은 체결유지부(60)의 상부블록(64)의 "ㄴ"자 홈에 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조립체에 뚜껑이 체결되는 것만이 아니라 다양한 부품을 조립체에 체결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미는 동작만으로 부품의 조립 및 분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력이 강화되어 조립체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부품이 분리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조립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고정블록부와, 상기 조립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부품에 설치되고 상기 부품이 착탈되는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고정블록부에 일측이 삽입되어 부품이 조립체에 체결되게 하는 고정핀부와, 상기 조립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블록부에 상기 고정핀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품이 상기 고정핀부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체결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부의 고정블록 일측에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부에는 상기 통과공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지수단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승강가능하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부품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상부블록과, 상기 상부블록의 하부에 구비되는 승강핀의 승강을 안내하여 상기 상부블록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조립체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하부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KR2019980028378U 1998-12-31 1998-12-31 잠금장치 KR200245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78U KR200245070Y1 (ko) 1998-12-31 1998-12-31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78U KR200245070Y1 (ko) 1998-12-31 1998-12-31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99U KR20000014999U (ko) 2000-07-25
KR200245070Y1 true KR200245070Y1 (ko) 2001-12-01

Family

ID=6950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378U KR200245070Y1 (ko) 1998-12-31 1998-12-31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0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945B1 (ko) * 2002-02-25 2004-01-24 박지순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KR100597381B1 (ko) * 2004-08-03 2006-07-20 주식회사 잠그미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99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35970B1 (en) Screw threaded locking bolt assembly
KR200245070Y1 (ko) 잠금장치
US20040258473A1 (en) Lock structure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JP4222219B2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US20040115030A1 (en) Detachable connection arrangement
KR200405409Y1 (ko) 고정용 볼트
GB2189858A (en) Retaining components to tools
KR101284372B1 (ko) 볼트 고정 클립
KR200172774Y1 (ko) 맨홀뚜껑의 잠금 장치
KR200224746Y1 (ko)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KR200218360Y1 (ko) 냉간압연롤 그라인더 도그 장착장치
KR200142092Y1 (ko) 소켓렌치용 범용 소켓
KR100528009B1 (ko) 차량용 엔진커버 어셈블리
KR100974495B1 (ko) 엔진 커버의 결합 구조
CN209429534U (zh) 一种建筑铝模板锁紧装置
KR102202423B1 (ko) 자력에 의한 풀림 방지 구조를 가지는 볼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볼트 체결 장치
JPH1197086A (ja) 接地板の取付金具
US6557649B1 (en) Pneumatic tool structure
KR100324921B1 (ko)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
KR200153510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가스스프링 체결구조
KR200343003Y1 (ko) 고정 장치
CN2287224Y (zh) 一种紧固件
KR100337354B1 (ko) 시작차 간이 지그의 록킹장치
JPH02188386A (ja) 緩衝器の分解装置
KR0121129Y1 (ko) 세탁기의 백커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