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979Y1 -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979Y1
KR0128979Y1 KR2019940009020U KR19940009020U KR0128979Y1 KR 0128979 Y1 KR0128979 Y1 KR 0128979Y1 KR 2019940009020 U KR2019940009020 U KR 2019940009020U KR 19940009020 U KR19940009020 U KR 19940009020U KR 0128979 Y1 KR0128979 Y1 KR 0128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locker
bar
fixing
fo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748U (ko
Inventor
박재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09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979Y1/ko
Publication of KR9500317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7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디오비젼이나 텔레비젼의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을 조립시 록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립되고 분해가 용이하도록 한 캐비넷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후론트 캐비넷(1) 내부에 부착되는 보스바(2)는 고정판(3)하단 양측에 리브(4)를 이룬 중앙에 수평으로 바(5)를 형성하고, 백 캐비넷(6)은 몰드물인 록커(10)가 끼워질 수 있는 사각형홀(8)을 이룬 고정부(7)의 상부에 직사각형의 록킹홀(9)을 형성하고, 상기 백 캐비넷(6)의 사각형홀(8)을 통하여 상기 보스바(2)에 결합되는 록커(10)는 상측에 걸림턱(14)과 작동편(13)을 이루고, 하측 내면에 돌출된 결합부(11)의 하부가 절결된 결합홈(12)이 형성된 것으로,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을 조립 분해할 때 고정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잠금장치인 록커를 이용하여 손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제1도는 종래 전자기기의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의 고정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전자기기의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의 고정장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이 결합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이 고정장치에 의해 결합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론트 캐비넷 2 : 보스바
3 : 고정판 4 : 리브
5 : 바 6 : 백 캐비넷
7 : 고정부 8 : 사각형홀
9 : 록킹홀 10 : 록커
11 : 결합부 12 : 결합홈
13 : 작동편 14 : 걸림턱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비디오비젼이나 텔레비젼의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을 조립시 록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립되고 분해가 용이하도록 한 캐비넷 고정장치에 관한것이다.
비디오비젼이나 텔레비젼의 캐비넷 고정장치에 있어,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론트 캐비넷(31)과 백 캐비넷(34)을 고정하기 위해 후론트 캐비넷(31) 내벽에 일정한 거리를 갖는 위치에 각각 볼트구멍(33)이 형성된 고정부(32)를 형성하고, 백 캐비넷(34)에는 상기 볼트구멍(33)과 일치하는 위치에 각각 홀(35)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후론트 캐비넷(31)과 백 캐비넷(34)을 결합하기 위하여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고정볼트(36)로 각각 백 캐비넷(34)의 홀(35)을 통하여 후론트 캐비넷(31)의 고정부(32)에 형성된 각각 볼트구멍(33)에 고정시켜 후론트 캐비넷(31)과 백 캐비넷(34)을 고정하게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을 조립 분해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드라이버로 다수개의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백 캐비넷을 후론트 캐비넷에 조립 분해시 다수개의 고정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충격시 고정된 고정볼트 부분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분해시 고정볼트가 꽉 조여 있어 고정볼트가 문드러져 분해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을 조립, 분해할 때 간단하면서 용이하도록 캐비넷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을 조립 분해할 때 고정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캐비넷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에 관한 것으로 비디오비젼이나 텔레비젼의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을 조립 분해시 간단하도록 후론트 캐비넷에 보스바를 설치하고, 백 캐비넷의 록커홀을 통하여 잠금장치인 록커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을 조립하고 분해가 용이하도록 잠금장치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2,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후론트 캐비넷(1) 내부에 부착되는 보스바(2)는 고정판(3) 하단 양측에 리브(4)를 이룬 중앙에 수평으로 바(5)를 형성하고, 백 캐비넷(6)은 몰드물인 록커(10)가 끼워질 수 있는 사각형홀(8)을 이룬 고정부(7)의 상부에 직사각형의 록킹홀(9)을 형성하고, 상기 백 캐비넷(6)의 사각형홀(8)을 통하여 상기 보스바(2)에 결합되는 록커(10)는 상측에 걸림턱(14)과 작동편(13)을 이루고, 하측 내면에 돌출된 결합부(11)의 하부가절결된 결합홈(12)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후론트 캐비넷(1)과 백 캐비넷(6)을 조립시록커(10)를 백캐비넷(6)의 사각형홀(8)에 끼워 결합부(11)의 결합홈(12)이 보스바(2)의 바(5)에 끼워지면, 상기 록커(10)를 상향으로 회전시켜 상측의 작동편(13)이 텐션을 받으며 사각형홀(8)에 끼워져 걸림턱(14)이 백 캐비넷(6)의 고정부(7)에 형성된 록킹홀(9)에 위치 할 때 자체 탄성에 의해 끼워져 고정되므로 상기 후론트 캐비넷(1)과 백 캐비넷(6)이 록커(1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디오비젼이나 텔레비젼의 후론트 캐비넷(1)과 백 캐비넷(6)를 조립시 고정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잠금장치인 록커(1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립되고 분해가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후론트 캐비넷(1)과 백 캐비넷(6)의 조립과 분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후론트 캐비넷(1)에는 고정판(3)을 이룬 양측 리브(4)의 중앙에 바(5)가 형성된 보스바(2)의 고정판(3)을 부착한 상태에서 백 캐비넷(6)을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후론트 캐비넷(1)에 백 캐비넷(6)을 밀착시키고, 록커(10)를 백 캐비넷(6)의 사각형홀(8)에 끼워 결합부(11)의 결합홈(12)의 보스바(2)의 바(5)에 끼워지면, 상기 록커(10)를 상향으로 회전시켜 상측의 작동편(13)이 사각형홀(8)에 끼워지며 텐션을 받게 된다. 이때 상측의 걸림턱(14)이 백 캐비넷(6)의 고정부(7)에 형성된 록킹홀(9)에 위치하게 되면 작동편(13)이 자체 텐션에 의해 복원되며 걸림턱(14)이 록킹홀(9)에 끼워져 고정되며, 작동편(13)의 끝단은 백 캐비넷(6)의 사각형홀(8) 상측에 약간 돌출되게 된다.
이때 록커(10)는 결합부(11)에 형성된 결합홈(12)이 바(5)에 끼워진 상태로 바(5)를 중심으로 상향 회전되므로 결합부(11)의 결합홈(12)이 하향으로 이동되어 바(5)에 의해 결합부(11)가 이탈하지 않게 되며, 록커(10)는 걸림턱(14)이 록킹홀(9)에 끼워지므로 고정되어 상기 후론트 캐비넷(1)과 백 캐비넷(6)이 록커(10)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후론트 캐비넷(1)과 백 캐비넷(6)을 분해하고자 할 때에는 백 캐비넷(6)의 사각형홀(8) 설치된 록커(10)의 상측 작동편(13)을 하향으로 누르면, 걸림턱(14)이 고정부(7)의 록킹홀(9)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때, 록커(10)를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편(13)과 걸림턱(14)이 사각형홀(8)에서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결합부(11)의 결합홈(12)이 후론트 캐비넷(1)의 전면으로 향하게 되어 보스바(2)의 바(5)에서 록커(10)의 결합부(11)가분리될 수 있게되므로 록커(10)를 후방으로 빼내면 후론트 캐비넷(1) 백 캐비넷(6)이 분해되는 것이다.
상기 후론트 캐비넷(1)과 백 캐비넷(6)의 크기에 따라 상기 록커(10)에 의한 잠금장치를 여러곳에 설치하여 후론트 캐비넷(1)과 백 캐비넷(6)을 간단하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후론트 캐비넷과 백 캐비넷을 조립 분해할 때 고정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잠금장치인 록커를 이용하여 손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에 있어서, 후론트 캐비넷(1) 내부에 부착되는 보스바(2)는 고정판(3) 하단 양측에 리브(4)를 이룬 중앙에 수평으로 바(5)를 형성하고, 백 캐비넷(6)은 사각형홀(8)을 이룬 고정부(7)를 형성하고, 상기 백 캐비넷(6)의 사각형홀(8)을 통하여 상기 바(5)에 결합되는 몰드물인 록커(10)는 상측이 외측으로 절곡되고, 하측 내면에 돌출된 결합부(11)의 하부가 절결된 결합홈(12)을 형성하여 상기 바(5)에 록커(10)의 결합홈(12)이 끼워지고, 절곡된 상측은 사각형홀(8)의 내부 상면에 의해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2.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에 있어서, 후론트 캐비넷(1) 내부에 부착되는 보스바(2)는 고정판(3) 하단 양측에 리브(4)를 이룬 중앙에 수평으로 바(5)를 형성하고, 백 캐비넷(6)은 몰드물인 록커(10)가 끼워질 수 있는 사각형홀(8)을 이룬 고정부(7)의 상부에 록킹홀(9)을 형성하고, 상기 백 캐비넷(6)의 사각형홀(8)을 통하여 상기 바(5)에 결합되는 록커(10)는 상측에 작동편(13)과 걸림턱(14)을 이루고, 하측 내면에 돌출된 결합부(11)에 하부가 절결된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상기 바(5)에 결합부(11)의 결합홈(12)이 끼워지고, 작동편(13)의 걸림턱(14)이 록킹홀(9)에 끼워져 후론트 캐비넷(1)과 백 캐비넷(6)이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10)는 백 케비넷(6)의 사각형홀(8)에 끼워 결합부(11)의 결합홈(12)이 바(5)에 끼워져 회동가능하며, 상측의 작동편(13)이 자체 텐션에 의해 걸림턱(14)이 고정부(7)에 형성된 록킹홀(9)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의 록킹홀(9)과 록커(10)의 걸림턱(14)은 각각 직사각형으로 록킹홀(9)에 걸림턱(14)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KR2019940009020U 1994-04-27 1994-04-27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KR0128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020U KR0128979Y1 (ko) 1994-04-27 1994-04-27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020U KR0128979Y1 (ko) 1994-04-27 1994-04-27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748U KR950031748U (ko) 1995-11-22
KR0128979Y1 true KR0128979Y1 (ko) 1998-12-15

Family

ID=1938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020U KR0128979Y1 (ko) 1994-04-27 1994-04-27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9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748U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8979Y1 (ko)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KR200434093Y1 (ko) 도어용 손잡이의 록킹레버 결합구조
JPH09250520A (ja) 筐体固定構造
JPH0456195A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KR200285779Y1 (ko) 파티션 체결구
KR0137215Y1 (ko) A/v 단자부의 터미널 고정장치
JP4084878B2 (ja) 盤面ユニット
KR200245849Y1 (ko) 냉장고의압축기고정장치
KR200189283Y1 (ko)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케이스
KR900009668Y1 (ko) 도어 클로우져의 장착장치
KR0135873Y1 (ko)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KR20070053994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상표블록 및 조작블록의 장착구조
KR0138679Y1 (ko) 전자레인지의 콘트롤판넬 취부구조
KR200142983Y1 (ko)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플레이트 장착구조
KR200333568Y1 (ko) 전자기기용 회로기판 고정구조
KR100247388B1 (ko) 모니터의 쉴드 플레이트 장착구조
KR19990034710U (ko) 비상콘센트박스고정장치
KR0123932Y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프레임
KR200324709Y1 (ko) 전면판고정장치
KR200162705Y1 (ko) 모니터의 전후방외함 형합구조
KR19980021673U (ko) 전자렌지의 콘트롤판넬 조립구조
KR19980068123U (ko) 전화기의 케이스 체결구조
JPH07212924A (ja) 取付けベースへの電気機器受け金具の取付構造
JPS6130358Y2 (ko)
JPH1023633A (ja) 配線器具取付用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