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849Y1 - 냉장고의압축기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압축기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849Y1
KR200245849Y1 KR2019980018598U KR19980018598U KR200245849Y1 KR 200245849 Y1 KR200245849 Y1 KR 200245849Y1 KR 2019980018598 U KR2019980018598 U KR 2019980018598U KR 19980018598 U KR19980018598 U KR 19980018598U KR 200245849 Y1 KR200245849 Y1 KR 200245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fixing
bolt
refrigerator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207U (ko
Inventor
이기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8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84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2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849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압축기 고정장치는 압축기를 고정하는데 다수개의 와셔를 필요로 하고 압축기지지대를 가공하여 압축기고정용 리브를 형성해야 함으로 인해 작업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압축기를 분해 및 조립할 경우 여러개의 볼트를 일일이 풀거나 조임으로 인해 작업공수가 많고 리브의 상단부를 비트는 과정에서 비트는 부위가 절단 혹은 탈락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압축기가 운전되면서 발생되는 전체적인 냉장고의 진동소음을 감소시킴은 물론, 압축기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구성부품의 절감과 함께 간단한 조작으로도 압축기의 설치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에 따른 작업공수를 감소시키고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장치{COMPRESSOR MOUNT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가 운전되면서 발생되는 전체적인 냉장고의 진동소음을 감소시킴은 물론, 압축기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구성부품의 절감과 함께 간단한 조립공정에 의해 작업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압축기의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하부측에는 기계실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압축기, 와이어 콘덴서, 냉각팬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기계실내의 장치들 중 압축기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냉장고의 내외측에 설치된 각 장치들로 공급함으로써 냉동싸이클에 따른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과정에서 상당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므로 냉장고의 기계실 및 냉장고 본체에 진동이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압축기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브라켓의 하측과 압축기지지대 사이에 방진고무를 개재시켜 볼트 혹은 다른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 고정장치에 의한 압축기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냉장고의 하부에 형성된 기계실의 하부에 구비되는 압축기지지대(20)를 프레스 가공하여 압축기가 볼트고정되는 적소에 압축기고정용 리브(13)를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리브(13)에 하측 와셔(12)와 방진고무(50)를 순차적으로 끼우고, 상기 방진고무(50)에 압축기의 고정브라켓을 끼움고정시킨 후 그 상측에 와셔(14)를 끼운상태에서 상기 리브(13)의 상단부를 비틀어 압축기를 압축기지지대(20)상에 설치하도록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축기 고정장치는 다수개의 와셔(도면에는 8개로 도시됨)를 필요로 하고 또한 압축기지지대(20)를 프레스가공하여 압축기고정용 리브(13)를 형성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압축기를 분해 및 조립할 경우 상기 리브(13)의 상단부를 비트는 과정에서 비트는 부위가 절단되거나 혹은 탈락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예컨데, 국내 실용실안 등록출원 제96-27423호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구조'에 이러한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장치의 다른 예가 공개되어 있는 바, 이러한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장치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후방쪽 바닥면인 기계실(10) 저면 일부를 별도의 보강판(28)으로 지지고정하여 압축기지지대(20)를 만들고 여기에 압축기(3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압축기지지대(20)의 해당 볼트공(24)이 관통되어 있는 조립부위 위로 하측 와샤(52)와 방진고무(50)를 순차적으로 배치시키고, 그 위로 압축기(30)의 해당 고정브라켓(32)을 맞추어 올려놓은 후에 이러한 고정브라켓(32)상의 볼트공(34)위에 상측 와샤(52)를 대응되게 맞추어 이들을 고정볼트(56)로 결합하여 상기 압축기지지대(20)에 압축기(30)를 고정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압축기 고정구조는 압축기(30)의 분해 및 조립작업시 고정볼트(56)를 일일이 조립 또는 분해함으로서 압축기의 분해 및 조립작업에 따른 작업공수가 증가하게 됨은 물론, 압축기(30)를 지지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각 4개씩 상측 와샤(54)와 하측 와샤(52)를 필요로 하고 또한 각각의 볼트공(34)에 고정볼트(56)를 일일이 체결고정하여야 함으로 인해 구성부품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압축기가 운전되면서 발생되는 전체적인 냉장고의 진동소음을 감소시킴은 물론, 압축기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구성부품의 절감과 함께 압축기의 분해 및 조립작업시에 작업공수의 획기적인 감소 및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압축기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압축기 고정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계실 20 : 압축기지지대
22 : 틈새 23 : 볼록부
24,34 : 볼트공 27 : 가이드부
30 : 압축기 32 : 고정브라켓
50 : 방진고무 80 : 고정볼트
82 : 걸림돌기 84 : 중간돌기
88 : 상단돌기
이러한 본 고안의 냉장고 압축기 고정장치는 모서리부가 직각으로 하향으로 굽혀져 가이드부들을 형성함과 동시에 모서리부 양측으로 대향되게 측면홈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지지대상에 상호 인접되지 않도록 대각선상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볼트고정구와, 상기 볼트고정구에 대응삽입되도록 하단부 외측면에 대향되게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같은 방향으로 중간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볼트고정구 보다 큰 직경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는 상단돌기가 상향으로 돌출된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삽입되도록 동일직경의 원형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하단 내측면에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의 고정브라켓과 압축기지지대 사이에 개재되는 방진고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들은 상기 측면홈 하방으로 틈새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대향되게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가이드부들 각각의 하단은 중앙이 하방으로 볼록하고 양측이 상방으로 경사진 볼록부가 형성되고 그 볼록부에는 고정볼트의 걸림돌기가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턱으로서의 요홈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종래 냉장고 구조 및 압축기 고정을 위한 요소들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편의상 도 2에 표시된 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냉장고 후방쪽 바닥면인 기계실 저면 일부를 별도의 보강판(28)으로 지지고정하여 압축기지지대(20)를 설치하고 그 상측에 압축기(30)를 고정시키고 있다.
즉, 가로길이 방향으로 소정크기로 중앙이 굽혀져 형성된 지지부(21)가 전방의 조정 다리(40)와 함께 냉장고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압축기(30)의 하부 외측면에는 고정브라켓(32)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32)의 단부에는 각각 볼트공(34)이 천공된다.
도면상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압축기지지대(20)상에 두 개의 볼트고정구 (25)와 방진고무(50)가 안착되는 두 개의 안착홈(55)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안착홈 (55)의 위치에 볼트고정구(25)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볼트고정구(25)를 두 개만 형성할 경우에는 대각선상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고정구(25)가 형성되지 않은 압축기지지대(20)상의 안착홈(55)에는 상기 고정브라켓(32)의 볼트공(34)에 방진고무(50)를 끼움고정시키도록 하여 압축기(30)로부터의 진동전달을 감쇄시키도록 한다.
상기 볼트고정구(25)는 원형 구멍의 모서리부에서 하측으로 직각으로 굽혀져 형성된 가이드부(27)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볼트고정구(25)의 원형 구멍의 모서리에 대향된 위치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측면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27)들은 상기 측면홈(26) 하방으로 틈새(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대향되게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가이드부(27)들 각각의 하단은 중앙이 하방으로 볼록하고 양측이 상방으로 경사진 볼록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23)의 중앙부에는 일정깊이만큼 상측으로 걸림턱으로서의 요홈(38)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고정볼트(80)의 걸림돌기(82) 상단면이 상기 요홈 (38)에 걸려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압축기지지대(20)상의 볼트고정구(25) 및 안착홈 (55) 상측과 상기 압축기(30)의 고정브라켓(32) 상에 형성된 볼트공(34)이 대응되는 위치의 압축기지지대(20)상에 4개의 방진고무(50)가 설치되는데, 특히 볼트고정구(25) 상측에 배치되는 방진고무(50)는 그 중앙부에 원형단면을 가진 고정볼트 (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관통공(52)이 형성되고 그 상단부 외측면에는 요홈(54)이 형성되어 고정브라켓(32)의 볼트공 모서리에 끼워져 고정되게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52)의 하단 내측면에는 후술되는 고정볼트(80)의 중간돌기(84)가 끼워져 수용될 수 있는 요홈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55)과 대응되는 고정브라켓(32)의 볼트공(34)에는 방진고무(50)의 상부의 요홈(54)을 볼트공(34)의 모서리에 끼워 고정하여 안착홈에 배치하고, 상기 볼트고정구(25)와 대응되는 고정브라켓(32)의 볼트공(34)에는 방진고무(5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52)에 고정볼트(80)를 끼운상태로 상기 방진고무(50)의 상부의 요홈(54)을 상기 볼트공(34) 모서리에 끼움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볼트(80)의 하부 외측면에는 상기 볼트고정구(25)의 측면홈(26)에 대응되어 상기 고정볼트(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양측으로 대칭되게 걸림돌기 (8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82)의 상측으로는 상기 가이드부(27)의 볼록부(23) 길이보다 약간 여유있도록(2mm∼3mm정도) 이격되어 그 외측면에 중간돌기 (84)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82)는 그 상단면이 상기 가이드부(27) 하단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돌기(84)는 상기 걸림돌기(82)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한다.
상기 고정볼트(80)의 상부에는 압축기지지대(20)상에 형성된 볼트고정구(25)와 대응되는 형상인 원형의 헤드부(86)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86)의 상면에는 횡방향으로 상단돌기(88)가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8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 상단돌기(88)는 그 하부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걸림돌기(82)의 돌출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볼트(80) 끼움고정시에 작업자가 상기 걸림돌기(82)의 방향을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볼트(8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86)의 상면에 상단돌기(88)대신 '-'자나 '+'자형의 홈을 형성하여 드라이버의 공구를 이용해 간단하게 고정볼트(8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86)의 직경은 상기 고정브라켓(32)상에 형성된 볼트공(34) 보다는 작게 형성하되 상기 방진고무(50)의 상단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가능한 크게 형성하도록 하고 고정볼트(80)와 방진고무(50)가 상기 볼트고정구(25)에 끼움고정되었을 경우, 상기 헤드부(86)의 저면이 방진고무(50)의 상단면에 면접촉되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강하게 누름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압축기(30)의 고정브라켓(32)상에 형성된 4개의 볼트공(34)중 압축기지지대(20)상의 볼트고정구(25)와 대응되지 않는 볼트공(34)에 방진고무(50)의 요홈 (54)을 끼움고정시킨다.
나머지 두 개의 볼트공(34)에는 고정볼트(80)를 방진고무(50)에 관통삽입시킨 상태로 상기 방진고무(50)의 요홈(53)을 끼워 고정시키는데, 상기 방진고무(50)의 관통공(52) 상측으로 상기 고정볼트(80)의 하단을 끼움고정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볼트(80)의 헤드부(86)를 상기 방진고무(50)의 관통공(52) 하단을 통해 끼울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지지대(20)상의 안착홈(55)과 볼트고정구(25)에 각각 방진고무(50)와 고저볼트(80)가 대응되도록 압축기(30)를 배치시킨다.
그후 일정압력으로 압축기(30)를 하측으로 누르면서 상기 고정볼트(80)의 헤드부(86)에 형성된 상단돌기(88)를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을 시킨다.
이때, 고정볼트(8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82)가 틈새(22)로부터 볼록부 (23)로 이동하면서 고정볼트(80)의 조임력이 점차 커지게 되고, 상단돌기(88)를 90도 회전시켰을 경우에 상기 걸림돌기(82)의 상단부가 상기 볼록부(23)상에 형성된 요홈(38)에 삽입고정되면서 압축기(30)가 압축기지지대(20)에 긴밀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반대로 압축기(30)를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볼트(80)를 하측으로 일정깊이만큼 눌러 상기 요홈(38)로부터 상기 걸림돌기(82)를 이탈시킨 후 상단돌기(88)를 90도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82)와 상기 측면홈(26)을 일치되게 하여 틈새(22)와 측면홈(26)을 통해 상기 고정돌기(80)를 상측으로 빼내면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압축기가 운전되면서 발생되는 전체적인 냉장고의 진동소음을 감소시킴은 물론, 압축기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구성부품의 절감과 함께 간단한 조작으로도 압축기의 설치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에 따른 작업공수를 감소시키고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압축기(30)의 운전에 따른 진동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냉장고의 기계실 (10) 하부에 형성된 압축기지지대(20)상에 방진고무와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압축기 (30)를 고정지지하도록 하는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모서리부가 직각으로 하향으로 굽혀져 가이드부(27)들을 형성함과 동시에 모서리부 양측으로 대향되게 측면홈(26)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압축기지지대(20)상에 상호 인접되지 않도록 대각선상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볼트고정구(25)와, 상기 볼트고정구(25)에 대응삽입되도록 하단부 외측면에 대향되게 걸림돌기(82)가 돌출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 상기 가이드부(27)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걸림돌기(82)와 중간돌기(84)가 돌출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브라켓의 볼트공(34)보다 작은 직경의 헤드부(86)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86)의 상면에는 상단돌기(88)가 상향으로 돌출된 고정볼트(80)와, 상기 고정볼트(80)가 관통삽입되도록 동일직경의 원형 관통공(52)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2)의 하단 내측면에는 요홈부(53)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30)의 고정브라켓(32)과 압축기지지대(20) 사이에 개재되는 방진고무(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7)들은 상기 측면홈(26) 하방으로 틈새(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분리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가이드부(27)들 각각의 하단은 중앙이 하방으로 볼록하고 양측이 상방으로 경사진 볼록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23)에는 고정볼트(80)의 걸림돌기(82)가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턱으로서의 요홈(3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장치.
KR2019980018598U 1998-09-29 1998-09-29 냉장고의압축기고정장치 KR200245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598U KR200245849Y1 (ko) 1998-09-29 1998-09-29 냉장고의압축기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598U KR200245849Y1 (ko) 1998-09-29 1998-09-29 냉장고의압축기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207U KR20000007207U (ko) 2000-04-25
KR200245849Y1 true KR200245849Y1 (ko) 2001-12-01

Family

ID=6951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598U KR200245849Y1 (ko) 1998-09-29 1998-09-29 냉장고의압축기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8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072B1 (ko) * 2016-10-26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압축기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416B1 (ko) * 2006-10-30 201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압축기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072B1 (ko) * 2016-10-26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압축기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207U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20835A (ja) エアコン置台用ベースフレームにおけるエアコンの防振取付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用いたエアコン室外機の壁面置台
KR200245849Y1 (ko) 냉장고의압축기고정장치
KR100358949B1 (ko) 조립용 가구 연결구
KR100335387B1 (ko) 회전자와 브라켓트 사이의 일정 공극 유지를 위한 모터의체결구조
KR100415945B1 (ko)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KR100653347B1 (ko) 세탁기의 모터용 완충구조
US5707216A (en) Suction noise muffler mounting apparatus for hermetic compressor
KR200158221Y1 (ko) 냉장고의 응축기 조립구조
CN212959032U (zh) 一种压缩机脚垫、压缩机及空调器
KR200295811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조립용 브라켓트
KR200167061Y1 (ko) 조립용가구연결구
KR200192670Y1 (ko) 자동차의 언더커버 결합용 브라켓
KR200318867Y1 (ko) 와셔가 일체로 구비된 나비너트
KR200146967Y1 (ko) 압축기의 지지장치
KR100445268B1 (ko) 실외기에서의 압축기 고정구조
KR200158223Y1 (ko) 냉장고의 응축기 조립구조
KR200323872Y1 (ko) 자동차 도어용 스위치 조립유니트
KR200257481Y1 (ko) 실외기에서의 압축기 고정구조
KR200285779Y1 (ko) 파티션 체결구
KR200358377Y1 (ko) 철재문틀 체결구조
KR0128979Y1 (ko)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KR200174041Y1 (ko) 도어용 힌지의 구조
KR20000013294U (ko) 냉장고의 압축기지지대 고정장치
KR20220002451U (ko) 배전반용 도어핸들의 회전판 체결부재
JP2000045586A (ja) シリンダ錠の自動車パネルへ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