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377Y1 - 철재문틀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철재문틀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377Y1
KR200358377Y1 KR20-2004-0012372U KR20040012372U KR200358377Y1 KR 200358377 Y1 KR200358377 Y1 KR 200358377Y1 KR 20040012372 U KR20040012372 U KR 20040012372U KR 200358377 Y1 KR200358377 Y1 KR 200358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astener
horizontal
vertical
vertic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태
김태욱
Original Assignee
김종태
김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태, 김태욱 filed Critical 김종태
Priority to KR20-2004-0012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3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3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8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specially adapted for sheet metal frame members with an open U-shap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과 같은 철재문틀을 구획함에 있어 가로문틀 및 세로문틀을 용접없이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로문틀과 세로문틀의 접경부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접경부의 유동성이 결여 되도록 함으로써 휨 등과 같은 변형이 없는 철재문틀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또 가로문틀과 세로문틀의 견고한 조립을 하나의 보울트만으로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일측 개방형 체결구와 보울트를 이용하여 가로문틀과 세로문틀을 조립하는 것에 있어서, 가로문틀(3) 및 세로문틀(4) 내에 힘살(104)(203)을 가진 계단형체결구(2) 및 피체결구(1)를 상대지게 구비하여 각 체결구(1)(2)의 끝단이 가로,세로문틀(3)(4)의 접경부(J)에 접촉되도록 한 다음 가로문틀(3)의 피체결구(1)를 통상에서와 같이 상면 양측의 고정나사공(102)을 이용하여 가로문틀(3)의 설치홈(301)에 고정하되, 중앙부에는 체결나사공(103)을 형성하여 체결구(2)와 세로문틀(4) 중앙부의 관통공(20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보울트(5)가 체결되도록 하여 가로문틀(3)과 세로문틀(4)이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재문틀 체결구조{a binding structure of iron doorframe}
본 고안은 방화문과 같은 철재문틀을 구획함에 있어 가로문틀 및 세로문틀을 용접없이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한쌍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가로문틀 및 세로문틀의 접경부 전체를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 연결작업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에도 철재문틀의 가로문틀(G) 및 세로문틀(S)을 첨부도면 도7에서와 같이 별도의 체결구(C)와 다수개의 보울트(B)를 이용하여 용접없이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안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선 고안은 가로문틀(G) 및 세로문틀(S)의 접경부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없었다. 즉 사각관 형태의 체결구(C)를 가로문틀(G)에만 고정한 후 이를 세로문틀(S)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보울트(B)에 체결되도록하여 가로문틀(G)과 세로문틀(S)이 조립되도록 한 것이어서 보울트(B)를 계속적으로 체결하더라도 그 체결구(C)의 외면이 세로문틀(S)의 돌출면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므로 가로문틀(G)과 세로문틀(S)의 접경부 전체를 가압하는 형태의 지지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각관 형태의 체결구(C)를 이용하여 구획한 종래의 철재문틀은 그 접경부에 유동성이 존재하게 되어 휨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세로문틀(S)과 체결구(C)의 전면이 접촉되지 않는 부분(이하 "비접촉면"이라 함)에 체결되는 보울트(B)를 억지 체결하였으나, 이는 체결구(C)의 비접촉면 하측이 당겨져 나오면서 비틀어지는 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만 야기시켰을 뿐 가로문틀(G) 및 세로문틀(S)의 접경부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결할 수 없었다.
한편 위와 같은 종래의 철재문틀 구획방식은 다수개의 보울트(B)를 필요로하였을 뿐만 아니라 체결구(C)의 일부분의 변형 및 파손(찢어짐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울트(B) 각각에 동일한 체결력을 부여하여야 하는 애로점이 있어 철재문틀의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없는 결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철재문틀을 조립함에 있어 나타나는 종래의 문제점들을 한꺼번에 해결하기 위함에 그 기술적인 과제를 두고 안출된 고안으로서, 특히 가로, 세로 문틀의 접경부 전체를 가압하는 형태로 직접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지지력에 탄성도 부여하여 가로,세로 문틀의 견고한 연결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문틀의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상태 평면 예시도
도 4는 도 3의 A-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피체결구 종 단면 예시도
도 6는 (가)는 본 고안의 체결구에 형성되는 접촉편의 또 다른 예시도
(나)는 (가)의 작용 예시도
도 7은 종래의 체결구를 나타내기 위한 가로,세로문틀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 철재문틀 1 : 피체결구
101 : 삽입편 102 :고정나사공
103 : 체결나사공 104 ; 힘살
2 : 체결구 201 : 접촉편
202 : 관통공 203 ; 힘살
3 : 가로문틀 301 : 설치홈
4 : 세로문틀 401 : 삽입홈
5 ; 보울트 6 : 고정보울트
J : 접경부
별도의 일측 개방형 체결구와 보울트를 이용하여 가로문틀과 세로문틀을 조립하는 것에 있어서, 가로문틀(3) 및 세로문틀(4) 내에 힘살(104)(203)을 가진 계단형 체결구(2) 및 피체결구(1)를 상대지게 구비하여 각 체결구(1)(2)의 끝단이 가로,세로문틀(3)(4)의 접경부(J)에 접촉되도록 한 다음 가로문틀(3)의 피체결구(1)를 종래와 같이 상면 양측의 고정나사공(102)을 이용하여 가로문틀(3)의 설치홈(301)에 고정하되, 중앙부에는 체결나사공(103)을 형성하여 체결구(2)와 세로문틀(4) 중앙부의 관통공(20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보울트(5)가 체결되도록 하여 가로문틀(3)과 세로문틀(4)이 조립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며,
또한 상기 체결구(2)의 끝단에는 접촉편(201)을 직각 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고,
한편 상기 피체결구(1) 내측의 상하단 양측에는 세로문틀(4)의 삽입홈(401) 에 끼워지는 삽입편(101)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가로문틀(3)에는 피체결구(1)를 고정하고 세로문틀 (4)의 체결구(2)를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를 보울트(5) 체결하면 세로문틀(4)의 체결구(2)는 와셔기능을 하므로 보울트(5)의 체결력에 비례되는 가로문틀(3)과 세로문틀(4)의 조립 유지력을 얻을 수 있으며, 또 양측의 체결구(1)(2)가 계단형 이므로 체결구(1)(2)의 끝단이 첨부도면 도 3에서와 같이 가로문틀(3) 및 세로문틀(4)의 접경부(J) 전체에 접촉되고, 이는 접경부(J) 양측 전체를 가압하는 작용을 발휘하게 되어 접경부(J) 전체의 유동성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며, 또 체결구(2)와 피체결구(1)의 일정위치에 형성되는 힘살(104)(203)은 보울트(5) 체결시 또는 체결 후 발생될 수 있는 비틀림 등의 현상을 방지케하므로 접경부(J)의 가압력 향상은 물론 그 유지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세로문틀(4)의 체결구(2) 끝단에 접촉편(201)을 직각으로 형성하면 가로,세로 문틀(3)(4)의 접경부(J)를 가압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접경부(J)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며, 한편 위 접촉편(201)을 경사지게 형성하면 보울트(5)에는 억지 체결력(보울트를 나사 체결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작용)을, 가로,세로문틀(3)(4)의 접경부(J)에는 탄성을 가진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접경부(J)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된다. 즉, 위 접촉편(201)은 체결구(2)와 피체결구(1)를 체결하는 보울트(5)에 억지 체결력을 부여하지 않으면 첨부도면 도6의 (가)에서와 같이 보울트(5)의 체결력에 비례하는 가압력만 접경부(J)에 제공하지만 보울트(5)에 억지 체결력을 부여하면 위 접촉편(201)은보울트(5)에 억지 체결력이 부여되는 만큼 첨부도면 도 6의 (나)에서와 같이 접혀지면서 탄성이 발생되므로 가로,세로문틀(3)(4)의 접경부(J)를 보다 높은 가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체결구(1)의 삽입편(101)은 세로문틀(4)의 삽입홈(401)에 끼워지는 것으로 그 작용은 가로문틀(3)과 세로문틀(4)를 보다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피체결구(1)의 삽입편(101)을 세로문틀(4)의 삽입홈(401)에 끼우면 가로문틀(3)과 세로문틀(4)이 완전하게 조립되기 전이라도 조립 후의 윤곽이 유지되어 가로문틀(3)과 세로문틀(4)을 보다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계단형의 체결구(2)와 피체결구(1)을 이용하여 가로문틀(3)과 세로문틀(4)을 조립함으로써 그 접경부(J) 전체를 가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는 접경부(J)의 유동성을 없애 휨 등과 같은 변형이 없는 철재문틀(M)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또 가로문틀(3)과 세로문틀(4)의 견고한 조립을 하나의 보울트(5) 만으로도 달성할 수 있어 철재문틀(M) 조립을 신속,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한편 피체결구(1)에 삽입편(101)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가로문틀(3)을 별도로 가공(삽입편 형성) 하지 않더라도 그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있어 생산원가의 하락도 도모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일측 개방형 체결구와 보울트를 이용하여 가로문틀과 세로문틀을 조립하는 것에 있어서, 가로문틀(3) 및 세로문틀(4) 내에 힘살(104)(203)을 가진 계단형 체결구(2) 및 피체결구(1)를 상대지게 구비하여 각 체결구(1)(2)의 끝단이 가로,세로문틀(3)(4)의 접경부(J)에 접촉되도록 한 다음 가로문틀(3)의 피체결구(1)를 통상에서와 같이 상면 양측의 고정나사공(102)을 이용하여 가로문틀(3)의 설치홈(301)에 고정하되, 중앙부에는 체결나사공(103)을 형성하여 체결구(2)와 세로문틀(4) 중앙부의 관통공(20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보울트(5)가 체결되도록 하여 가로문틀(3)과 세로문틀(4)이 조립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문틀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체결구(2) 끝단에 접촉편(201)을 직각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문틀 체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체결구(2) 끝단에 접촉편(201)을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문틀 체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피체결구(1) 내측의 상하단 양측에 세로문틀(4)의 삽입홈 (401)에 끼워지는 삽입편(101)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문틀 체결구조.
KR20-2004-0012372U 2004-05-03 2004-05-03 철재문틀 체결구조 KR200358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372U KR200358377Y1 (ko) 2004-05-03 2004-05-03 철재문틀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372U KR200358377Y1 (ko) 2004-05-03 2004-05-03 철재문틀 체결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154A Division KR100737207B1 (ko) 2004-07-01 2004-07-01 철재문틀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377Y1 true KR200358377Y1 (ko) 2004-08-06

Family

ID=4934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372U KR200358377Y1 (ko) 2004-05-03 2004-05-03 철재문틀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3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1204A (zh) * 2015-09-02 2017-03-08 森特士兴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储物柜门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1204A (zh) * 2015-09-02 2017-03-08 森特士兴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储物柜门框
CN106481204B (zh) * 2015-09-02 2019-05-28 森特士兴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储物柜门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2763Y1 (ko) 스프링쿨러용 지지대 체결구
US7987948B2 (en) Length adjustable 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JP2008208619A (ja) フレーム構造体の連結構造
KR200358377Y1 (ko) 철재문틀 체결구조
KR100737207B1 (ko) 철재문틀 체결구조
KR200313301Y1 (ko) 방음판 고정장치
JP3585027B2 (ja) 梁部材の連結装置
DE202007001650U1 (de) Einrichtung, insbesondere Duschabtrennung oder Fassade, sowie Beschlag
KR200341307Y1 (ko) 철재문틀 조립 장치
KR100964198B1 (ko)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KR200394536Y1 (ko) 에어필터 고정프레임
KR200186035Y1 (ko) 투명방음판 설치구조
KR200165605Y1 (ko) 칸막이 받침구
KR200391970Y1 (ko)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
CN220686292U (zh) 一种金字塔型的装配式建筑体
KR102393422B1 (ko)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97269Y1 (ko) 갱폼 고정용 클램프
JP3107907U (ja) 取付金具
KR200375911Y1 (ko) 격자형 중문 조립체
DE20306363U1 (de) Verankerungseinrichtung für einen Kotflügelbefestigungsbügel von Fahrrädern
KR930005940Y1 (ko) 등나무 회전의자의 연결회전판
JPH089283Y2 (ja) 柱と上枠との取付構造
KR200162591Y1 (ko) 패널 체결용 볼트의 풀림 탄성너트
KR100220064B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어셈블리 조립장치
KR200162837Y1 (ko) 버스용 시트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