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970Y1 -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970Y1
KR200391970Y1 KR20-2005-0013120U KR20050013120U KR200391970Y1 KR 200391970 Y1 KR200391970 Y1 KR 200391970Y1 KR 20050013120 U KR20050013120 U KR 20050013120U KR 200391970 Y1 KR200391970 Y1 KR 200391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frame
pin
hol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태성판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판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성판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3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웨지핀(60)이 끼워지는 핀공(3a) 및 체결공(3b)를 갖는 수직프레임(3)이 내·외측패널(1)(2)의 양측에 구비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패널(1)(2)을 보강하도록 수직프레임(3)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보강프레임(10)과, 상기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과 연통되는 결합공(31a)이 구비되어 보강프레임(10)을 수직프레임(3)에 지지하는 지지브래킷(30)과, 상기 지지브래킷(30)의 결합공(31a) 및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으로 결합되어 웨지핀(60)이 끼워지는 끼움공(41)이 형성된 핀볼트(40)와, 상기 핀볼트(40)와 나사결합되어 지지브래킷(30)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강프레임을 수직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재료원가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STRUCTURE FOR FIXING A REINFORCED FRAME OF A MOLD}
본 고안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프레임을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료원가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보강프레임을 수직프레임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거푸집은 내·외측패널의 양단부에 핀공 및 체결공이 형성된 수직프레임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양생 중에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패널의 뒤틀림현상 또는 내·외측패널의 일부분이 처짐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양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상기 내·외측패널의 외면으로 보강프레임을 배치하여 보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프레임을 내·외측패널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조는 도 1a와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측패널(1)(2)의 양단부에 웨지핀(8)이 끼워지는 핀공(3a) 및 체결공(3b)이 형성된 수직프레임(3)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 상하로 한조의 보강프레임(4)을 배치하여 그 사이에 끼움공(5a)이 형성된 핀볼트(5)를 체결공(3b)으로 결합하며, 상기 핀볼트(5)를 고정시키도록 끼움공(5a)으로 웨지핀(8)을 끼우고, 상기 핀볼트(5)와 나사결합되는 나비너트(7) 사이에는 와셔(6)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웨지핀(8)에는 고정핀(9)이 끼워지는 고정공(8a)이 천공되어 웨지핀(8)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보강프레임(4)의 고정구조는,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 상부와 하부에 한조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4)을 각각 배치한 상태에서, 핀볼트(5)와 나비너트(7)로 고정하고, 핀볼트(5)와 나비너트(7) 사이에 와셔(6)를 배치하여 보강프레임(4)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강프레임(4)은 한조로 이루어져 배치해야 하므로 수직프레임(3)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4)은 도 1a에서와 같이, 적절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며, 그에 따라 하나의 보강프레임(4)만으로도 내·외측패널을 보강할 수 있음에도, 반드시 두개가 한조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4)을 수직프레임(3)에 설치해야 하므로 재료원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상기 한조의 보강프레임(4)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보강프레임(4)을 지지하는 와셔(6)가 나비너트(7)의 조임으로 인하여 내측으로 절곡되고, 이에 따라 한조의 보강프레임(4) 각각을 견고히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보강프레임을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료원가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보강프레임을 수직프레임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웨지핀이 끼워지는 핀공 및 체결공을 갖는 수직프레임이 내·외측패널의 양측으로 구비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평으로 보강프레임을 배치하여 지지브래킷으로 보강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체결공 및 지지브래킷의 결합공과 연결되게 핀볼트를 설치하며, 상기 핀볼트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로 지지브래킷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래킷은 보강프레임의 일면을 지지하여 결합공이 천공된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수직프레임에 지지되는 수평편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브래킷의 수평편에는 수직프레임을 지지하는 일단부에 유동방지홈이 형성되어 지지브래킷의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의 수직편에는 보강프레임의 저면을 받치도록 지지편이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때,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으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및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요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요부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핀(60)이 끼워지는 핀공(3a) 및 체결공(3b)를 갖는 수직프레임(3)이 내·외측패널(1)(2)의 양측에 구비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패널(1)(2)을 보강하도록 수직프레임(3)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보강프레임(10)과, 상기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과 연통되는 결합공(31a)이 구비되어 보강프레임(10)을 수직프레임(3)에 지지하는 지지브래킷(30)과, 상기 지지브래킷(30)의 결합공(31a) 및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으로 결합되어 웨지핀(60)이 끼워지는 끼움공(41)이 형성된 핀볼트(40)와, 상기 핀볼트(40)와 나사결합되어 지지브래킷(30)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내·외측패널(1)(2)은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절하도록 복수개가 연결되어 배치되며, 이러한 연결은 내·외측패널(1)(2)의 양측에 구비된 수직프레임(3)으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3)의 전면에는, 이웃하는 수직프레임(3)과 대응되도록 체결공(3b)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3b)과 동일한 수평중심을 이루는 타측에는 연결되는 수직프레임(3)와 연통되도록 핀공(3a)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프레임(10)은 수직프레임(3)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내·외측패널(1)(2)을 보강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강프레임(10)은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져 사각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과 근접하는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과 근접하는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브래킷(30)은 보강프레임(10)을 받쳐 수직프레임(3)에 지지되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브래킷(30)은 크게 수직편(31) 및 이 수직편(31)의 하부로 절곡되는 수평편(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편(31)은 보강프레임(10)의 일면을 지지하면서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과 연이어져 통하도록 결합공(3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편(32)은 수직프레임(3)에 지지되고, 수직프레임(3)에 지지되는 일단부에는 유동방지홈(32a)이 형성되어 지지브래킷(30)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핀볼트(40)는 지지브래킷(30)의 결합공(31a)을 지나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으로 결합되며, 이 체결공(3b)과 결합되는 핀볼트(40)의 일측에는 웨지핀(60)이 끼워지는 끼움공(41)이 천공되고, 외주연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타측은 고정너트(50)와 나사결합되므로, 고정너트(50)의 조임으로 인하여 보강프레임(10)에 지지브래킷(30)을 밀착시켜 수직프레임(3)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너트(50)는 핀볼트(40)와 나사결합이 용이하도록 나비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웨지핀(60)은 고정너트(50)와 나사결합되는 핀볼트(4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웨지핀(60)은 수직프레임(3)의 핀공(3a)과 연결되면서 핀볼트(40)의 끼움공(41)으로 끼워지고, 웨지핀(60)의 일측에는 수직프레임(3)의 핀공(3a)을 지나 외부와 연결되도록 고정공(61)이 천공되며, 타측에는 웨지핀(60)의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6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웨지핀(60)의 고정공(61)에는 고정핀(70)이 끼워져 웨지핀(6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a,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브래킷(30)의 수직편(31)에는 보강프레임(10)의 저면을 받치도록 지지편(31b)이 구비되며, 이러한 지지편(31b)은 수직편(3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거푸집 보강프레임의 고정구조는,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과 근접하는 상부에 보강프레임(10)을 배치한 상태에서, 핀볼트(40)를 체결공(3b)으로 결합하고, 핀볼트(40)가 지지브래킷(30)의 수직편(31)에 형성된 결합공(31a)과 연결되도록 하며, 수평편(32)의 일단부를 수직프레임(3)에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핀볼트(40)의 끼움공(41)으로 수직프레임(3)의 핀공(3a)과 연결되도록 웨지핀(60)을 끼워 핀볼트(40)의 일측을 고정시킨 후, 고정너트(50)를 핀볼트(40)와 나사결합하게 되면, 지지브래킷(30)이 보강프레임(10)을 수직프레임(3) 측으로 밀착시켜 수직프레임(3)에 고정된다.
이때, 수직프레임(3)에 지지되는 지지브래킷(10)의 수평편(32) 일단부에 유동방지홈(32a)을 형성하여 지지브래킷(30)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웨지핀(60)에 천공된 고정공(61)으로 고정핀(70)을 끼우면, 웨지핀(6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한층 더 견고히 웨지핀(60)을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a,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브래킷(30)의 수직편(31)에 형성된 지지편(31b)으로 보강프레임(10)의 저면을 받치게 되면, 지지브래킷(31b)에 지지되는 보강프레임(10)을 한층 더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웨지핀(60)으로 고정된 핀볼트(40)와 지지브래킷(30)을 수직프레임(3)에 설치한 상태에서, 보강프레임(10)을 지지브래킷(30)의 지지편(31b)으로 안착시켜 고정너트(50)와 핀볼트(40)의 나사결합으로 보강프레임(1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보강프레임(10)만으로 충분히 내·외측패널(1)(2)을 보강할 수 있게 되어 재료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보강프레임(10)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직프레임(3)에 고정시켜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보강프레임만으로 충분히 내외측패널을 견고히 보강할 수 있게 되어 재료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프레임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직프레임에 설치하여 작업공정을 단축시키며,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보강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이 수직프레임에 지지될 때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강프레임의 저면을 지지하여 수직프레임에 보강프레임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1b 은 종래의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요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요부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a, 5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브래킷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내측패널 2 : 외측패널
3 : 수직프레임 3a : 핀공
3b : 체결공 10 : 보강프레임
30 : 지지브래킷 31 : 수직편
31a : 결합공 31b : 지지편
32 : 수평편 32 : 유동방지홈
40 : 핀볼트 41 : 끼움공
50 : 고정너트 60 : 웨지핀
61 : 고정공 70 : 고정핀

Claims (4)

  1. 웨지핀(60)이 끼워지는 핀공(3a) 및 체결공(3b)를 갖는 수직프레임(3)이 내·외측패널(1)(2)의 양측에 구비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패널(1)(2)을 보강하도록 수직프레임(3)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보강프레임(10)과,
    상기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과 연통되는 결합공(31a)이 구비되어 보강프레임(10)을 수직프레임(3)에 지지하는 지지브래킷(30)과,
    상기 지지브래킷(30)의 결합공(31a) 및 수직프레임(3)의 체결공(3b)으로 결합되어 웨지핀(60)이 끼워지는 끼움공(41)이 형성된 핀볼트(40)와,
    상기 핀볼트(40)와 나사결합되어 지지브래킷(30)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30)은, 보강프레임(10)의 일면을 지지하여 결합공(31a)이 천공된 수직편(31)과, 상기 수직편(31)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수직프레임(3)에 지지되는 수평편(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32)에는, 수직프레임(3)에 지지되는 일단부에 유동방지홈(3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31)에는, 보강프레임(10)의 저면을 받치도록 지지편(31b)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
KR20-2005-0013120U 2005-05-10 2005-05-10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 KR200391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120U KR200391970Y1 (ko) 2005-05-10 2005-05-10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120U KR200391970Y1 (ko) 2005-05-10 2005-05-10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970Y1 true KR200391970Y1 (ko) 2005-08-09

Family

ID=4369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120U KR200391970Y1 (ko) 2005-05-10 2005-05-10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9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611B1 (ko) 2007-05-17 2009-03-10 (주)삼아테크 거푸집 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611B1 (ko) 2007-05-17 2009-03-10 (주)삼아테크 거푸집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707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200391970Y1 (ko)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조
KR100655507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체결구조 및 그 체결방법
KR101177502B1 (ko)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20220022664A (ko) 거푸집 고정용 십자조인트
KR200392012Y1 (ko) 조립식 거푸집의 체결구조
KR20140020582A (ko)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200360267Y1 (ko) 조적 벽체 보강용 브래킷
KR100662815B1 (ko) 콘크리트 수직 구조물용 기둥폼
KR20140020583A (ko)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102357054B1 (ko) 개구부 모서리 표면부에서 균열제어를 위한 크랙다운 스트립
KR200415531Y1 (ko) 쇼핏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쇼핏거푸집 설치구조
KR100583773B1 (ko)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대
KR101803487B1 (ko) 거푸집 연결용 보강재
KR200339870Y1 (ko) 천정거푸집 고정구
KR200364216Y1 (ko) 건축물 기둥 거푸집 코너 구조
KR100737207B1 (ko) 철재문틀 체결구조
KR102033417B1 (ko) 루프 철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KR200306769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KR20100011591U (ko)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KR200359197Y1 (ko) 지붕판넬과 채광판넬의 연결을 위한 이음부재
KR200274915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KR200337010Y1 (ko) 거푸집 바닥패널 지지빔 설치 브라켓
KR950008065Y1 (ko) 벽체 콘크리트 거푸집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